KR20140035984A -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984A
KR20140035984A KR1020140012832A KR20140012832A KR20140035984A KR 20140035984 A KR20140035984 A KR 20140035984A KR 1020140012832 A KR1020140012832 A KR 1020140012832A KR 20140012832 A KR20140012832 A KR 20140012832A KR 20140035984 A KR20140035984 A KR 20140035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butment
cup
implant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14001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984A/ko
Publication of KR2014003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임플란스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시술부위의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게 마련된 본컵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결합되는 본핀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간섭되는 치은 또는 치조골을 삭제하는 치은 세이퍼 또는 본 세이퍼와; 시술 부위 치아의 치관에 대응하여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임시적으로 결합되는 힐링 캡(Healing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임플란트 시술 방법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최빈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격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격화 내지 표준화할 수 있으며, 규격화 내지 표준화된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대응되도록 선택되어 다음 단계의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연관성을 가져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분 내지 선정될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Simple Implantology Device}
본 발명은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빈치에 기초하여 임플란트 각 시술 단계에 있어 사용되는 도구들의 규격을 구분하여 규격화 내지 표준화를 하여 각 단계에서 선택되는 도구들이 상호 연관성 있는 대응하는 규격으로 선정하여 일련의 시술 과정이 단순하면서도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손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통상 치주골에 드릴링을 형성한 후 픽스쳐를 고정하고, 각종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와 고정하여 최종적으로 보철물을 픽스쳐와 고정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치주골과 간섭이 생기거나 치은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삭제하는 과정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에 여러 가지의 도구들과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 예로, 어버트먼트의 종류만 하더라도 다수의 제조사에서 다수의 종류를 제공하고 있어 수 백 종인 것이 현실이다. 이에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단순화하면서도 체계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환자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나 학계의 논문 등을 참조하면 통상의 환자 치아 배열에서는 최빈치(最頻値, mode)를 추출할 수 있다. 즉, 10명의 환자 중에서 정상적인 치아 배열을 갖는 8 ~ 9명의 최빈치에 속하는 환자는 규격화된 어버트먼트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임상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즉, 최빈치를 형성하는 대부분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으면서 치아의 크기 등에 따라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각각 연관되도록 구분하여 이를 토대로 최빈치가 적용되는 환자에게 임플란트 시술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시술 방법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최빈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격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격화 내지 표준화할 수 있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 내지 표준화된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대응되도록 선택되어 다음 단계의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구 내지 방법을 최적화 내지 최소화할 있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적의 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시술부위의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게 마련된 본컵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결합되는 본핀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간섭되는 치은 또는 치조골을 삭제하는 치은 세이퍼 또는 본 세이퍼와; 시술 부위 치아의 치관에 대응하여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임시적으로 결합되는 힐링 캡(Healing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컵은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분되어 규격화되고 상기 본컵의 규격화에 대응하여 상기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어느 하나의 크기도 마련되며, 임플란트의 식립부터 보철까지 모든 과정에서 상기 본컵,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본컵,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다른 하나가 대응한 규격으로 선택되어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시술부위의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게 마련된 본컵(Bone Cup);을 포함하며, 상기 본컵의 크기는 시술부위의 치아의 근원심경에 기초하여 구분되어 규격화되고, 상기 본컵의 외경은 6mm, 7mm, 8mm, 9mm, 10mm 를 포함하고, 임플란트 식립 수술 과정에서 근원심측, 협설측 및 식립 각도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여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드릴링 위치, 각도 및 대합치까지의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본핀(Bone Pi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하는 드릴부재가 드릴링한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에 가상의 치아가 존재하여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와 인접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마련된 본컵과;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를 드릴링하는 드릴부재;를 포함하고, 본펜은 상기 본컵과 상기 드릴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와 결합된 본펜과; 상기 본핀;을 세트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치조골의 홀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스처와; 상기 픽스처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치조골을 삭제하는 본 세이퍼(Bone Shap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치은을 삭제하는 치은 세이퍼 (Gingival Shap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임시적으로 결합되어 치은 증식을 억제하는 힐링 캡(Healing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 방법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최빈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격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격화 내지 표준화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 내지 표준화된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대응되도록 선택되어 다음 단계의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연관성을 가져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분 내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또한, 구분 내지 선정된 도구 내지 방법을 최적화 내지 최소화할 있다.
또한, 시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빈치의 환자에 대응하여 본 컵, 본 펜, 본 핀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임플란트 경로 위치 등을 안내할 수 있어 최적의 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컵의 단면도,
도 3은 본 펜의 분해 조립도,
도 4(a) 및 도 4 (b)는 본 펜의 드릴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핀의 단면도,
도 6은 본 컵을 본 펜에 결합한 상태에서 치조골을 드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업 이후에 본 핀으로 드릴링 깊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이웃한 치아에 드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힐링 어버트먼트와 파이널 어버트먼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힐링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도 11은 파이널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와 파이널 어버트먼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 (a) 내지 도 13(c)는 본 셰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단면도 내지 확대 단면도,
도 14는 치은 셰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힐링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컵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펜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4(a) 및 도 4 (b)는 본 펜의 드릴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컵을 본 펜에 결합한 상태에서 치조골을 드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작업 이후에 본 핀으로 드릴링 깊이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웃한 치아에 드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힐링 어버트먼트와 파이널 어버트먼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힐링 어버트먼트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파이널 어버트먼트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와 파이널 어버트먼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3 (a) 내지 도 13(c)는 본 셰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단면도 내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치은 셰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힐링 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이하에서 간단하게 ‘시술 장치’이라 함, 100)에 대한 설명는 그 시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시술 장치(100)에 대한 설명을 동시에 진핸을 한다.
시술 장치을 이용한 시술 과정은, (1) 보철물(10)을 지지하는 픽스쳐(140)가 지지되는 치조골(3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11)가 단부에 구비되며, 각각 개방된 개구부(115)를 상하측에 구비하고, 환자의 치아의 종류에 대응하여 규격화되어 구분된 직경으로 마련되어 고정 부재(111)로부터 연장된 수용 부재(117)를 갖는 본 컵(bone cup, 110)을 형성하여 선택하는 단계(S510)와; (2) 본 컵(110)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분되어 치조골(30)을 드릴링 하도록 마련된 드릴 부재(121)를 포함하는 본 펜(bone pen, 120) 중에서 본 컵(110)에 대응하여 선택된 본 펜(120)을 본 컵(110)에 결합하여 치조골(30)을 드릴링하는 단계(S520)와; (3) 본 컵(1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 컵(110) 및 본 펜(120)의 규격에 대응하여 마련된 본 핀(bone pin, 130)으로 보철물(10)의 치관 높이를 확인하는 단계(S530)와; (4) 본 펜(120)으로 드릴링 작업을 한 제1 임플란트와 이웃한 제2 임플란트가 식립될 경로와 거리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 컵(110a)을 위치시키고 선택된 제2 본 컵(110y)을 제2 본 컵(110y)에 대응하는 제2 본 펜(120)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본 컵(110x)에 안내되도록 제2 본 컵(110y)을 제1 본 컵(110x)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제2 본 펜(120)으로 드릴링하는 단계(S535)와; (5) 본 펜(120)에 의해 드릴링된 치조골(30)에 픽스쳐(140)를 고정하는 단계(S540)와; (6) 본 컵(110)의 직경 및 본 핀(130)의 높이에 기초한 규격으로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150)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1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픽스쳐(140)에 고정하는 단계(S550)와; (7) 힐링 어버트먼트(150)가 치조골정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부(171)를 갖는 본 셰이퍼(bone shaper, 170)로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간섭되는 치조골(30)을 삭제하는 단계(S555, S560)와; (8) 파이널 어버트먼트(160)가 치은(50)과 접촉하는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비되어 치은(50)을 삭제 가능하게 마련된 삭제부(181)를 갖는 치은 셰이퍼(gingival shaper, 180)로 치은(50)을 삭제하는 단계(S565, S570)와; (9) 힐링 어버트먼트(150)가 치은(50)과 접촉하는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비된 힐링 캡(190)을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 단계에서 본 컵(110)의 직경(D-CP) 및 용량, 본 펜(120)의 직경(D-PE), 본 핀(130)의 높이(H-PN), 힐링 어버트먼트(150)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의 직경(D-HA, D-FA) 및 높이(H-HA, H-FA), 본 셰이퍼(170)의 윤곽, 치은 셰이퍼(180)의 윤곽 및 힐링 캡(190)의 윤곽은 환자의 최빈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의 종류에 대응하여 규격화되어 구분된 규격을 가지며, 시술 대상이 되는 환자의 대상 치아에 대응하는 최적의 본 컵(110)이 선정되면, 본 펜(120), 본 핀(130), 힐링 어버트먼트(150)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160), 본 셰이퍼(170), 치은 셰이퍼(180) 및 힐링 캡(190)의 규격도 선정된 본 컵(110)의 규격에 대응 가능하게 일관되게 선정되도록 구분되어 일련의 임플란트 시술 방법(100)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100)에서는 상기 단계 (4), 단계 (6)의 힐링 어버트먼트 및 단계 (7) 내지 단계(9) 중 하나의 단계 내지 구성이 선택적일 수 있어 포함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빈치를 갖는 다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100)은 보편적인 치아 배열을 갖는 통상의 환자들이 갖는 최빈치에 적용되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첫 단계는, 보철물(10)을 지지하는 픽스쳐(140)가 지지되는 치조골(3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11)가 단부에 구비되며, 각각 개방된 개구부(115)를 상하측에 구비하고, 최적의 보철물(10)을 형성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의 종류에 대응하여 규격화되어 구분된 직경(도 2의 ‘D-BC’참조)으로 마련되어 고정 부재(111)로부터 연장된 수용 부재(117)를 갖는 본 컵(bone cup, 110)을 형성하여 선택한다(S510). 물론, 여기서, 본 컵(110)의 규격은 보철물(10)로 치료 대상이 되는 대상 치아의 최빈치에 따른 크기, 위치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컵(110)은 본 펜(120)을 안내하며, 치조골(30)에 고정되고, 내부의 공간부(113)에는 본 펜(120)이 치조골(30)을 드릴링하는 동안 파쇄되는 치조골(30)이 모여지는 기능을 한다. 본 컵(110)은 본 펜(120)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택된 본 컵(110)의 규격에 대응하는 본 펜(120)을 선택하여 본 컵(110)과 본 펜(12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본 컵(110)에서 수용 부재(117)의 내부인 공간부(113)에 파쇄된 치조골(30)이 많이 모이면 모인 치조골(30)을 웰(well) 등에 비워 다시 본 컵(110)과 본 펜(120)을 결합하여 치조골(30) 드릴링 작업을 진행한다. 하측의 개구부(115b)는 드릴 부재(121)가 출입하고 파쇄된 치조골(30)이 하측의 개구부(115b)와 드릴 부재(121) 사이로 출입한다. 상측의 개구부(115a)는 제1 커버(123)가 출입하면서 공간부(113)에 파쇄된 치조골(30)이 채집되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즉, 본 컵(110)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인 본 펜(120)의 드릴링 경로와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컵(110)에서 직경을 형성하는 외경(도 2의 ‘D-BC’참조)이 규격을 나누는 기준이 되며 본 컵(110)의 외경은 환자 치아의 근원심경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컵(110)의 규격인 외경을 구분한 일예로는 도 2의 ‘D-BC’가 6mm, 7mm, 8mm, 9mm, 10mm로 나누어지고 높이의 일예로는 ‘H-BC’가 8mm로 마련된다.
다음, 본 컵(110)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분되어 치조골(30)을 드릴링 하도록 마련된 드릴 부재(121)를 포함하는 본 펜(120) 중에서 본 컵(110)에 대응하여 선택된 본 펜(120)을 본 컵(110)에 결합하여 치조골(30)을 드릴링 한다(S520).
본 펜(120)은 본 컵(110)에 안내되어 핸드 피스(70)에 결합되어 치조골(30)을 드릴링 하는 봉 형상의 드릴 부재(121)와, 드릴 부재(121)에 결합되어 파쇄된 치조골(30)이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본 펜(120)에 결합된 본 컵(110) 수용 부재(117)의 내부인 공간부(113)를 덮고 있는 제1 커버(123)와, 드릴 부재(121)가 치조골(30)을 드릴링 하면서 제1 커버(123)를 본 컵(110)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27)과, 스프링(127)을 고정시키는 제2 커버(125)와, 제2 커버(125)를 드릴 부재(1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루브(121b)에 결합되는 스냅 링(129)을 포함한다(도 6 참조). 본 펜(120)의 드릴 부재(121)에는 제1 커버(123)가 하측으로 이동 저지되는 돌기(121a)와, 핸드 피스(70)와 결합되는 척결합부재(121c)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에, 본 펜(120)의 드릴 부재(121)가 본 컵(110)에 안내되어 드릴링 됨에 따라 깊이가 깊어가도 안정적으로 제1 커버(123)가 본 펜(120)에 결합된 본 컵(110) 수용 부재(117)를 덮을 수 있어 파쇄 되는 치조골(30)을 공간부(113)에 안정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본 컵(110)은 규격에 따라 구분이 되며,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부재(121)의 직경(도 4의 ‘D-PE’참조)과 높이(도 4의 ‘H1-PE’ 및 ‘H2-PE’ 참조)이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드릴 부재(121)의 높이(‘H1-PE’ 및 ‘H2-PE’)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드릴 부재(121)의 직경(‘D-PE’)은 2.35mm, 2.85m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커버(125)는 본 컵(110)의 공간부(113)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로 마련되어 본 컵(110)의 규격이 정해지면 대응하여 본 펜(120)의 규격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 본 컵(1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 컵(110) 및 본 펜(120)의 규격에 대응하여 마련된 본 핀(130)으로 보철물(10)의 치관 높이를 확인한다(S530). 본 핀(130)에는 눈금(131)이 표시되어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치아(Ta, Tb)들을 참조하여 본 펜(120)에 의해 드릴링 된 깊이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보철물(10)의 치관 높이를 가늠하여, 최종적으로 픽스쳐(140)가 고정되는 치조골(30)에 드릴링 깊이를 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여기서, 본 핀(130)의 규격은 드릴 부재(121)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도 5의 ‘D-PN’참조) 또는 높이(도 5의 ‘H-PN’ 참조)에 따라 구분되어 규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컵(110) 내지 본 펜(120)의 규격이 결정 내지 선택되면 대응하는 본 핀(130)의 규격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펜(120)으로 드릴링 작업을 한 제1 임플란트와 이웃한 제2 임플란트가 식립될 경로와 거리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1 본 컵(110x)을 위치시키고 선택된 제2 본 컵(110y)을 제2 본 컵(110)에 대응하는 제2 본 펜(120)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본 컵(110)에 안내되도록 제2 본 컵(110)을 제1 본 컵(110)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제2 본 펜(120)으로 치조골(30)을 드릴링한다(S535). 이 단계에서는 제2 본 컵(110) 및 제2 본 펜(120)의 선택은 보철물(10)을 대신할 대상 치아의 위치, 크기에 대응하여 선정된다. 선정된 제2 본 컵(110) 옆에 치아가 없는 상태이므로 치아를 대신하여 제1 본 컵(110)을 위치시켜 제1 본 컵(110)의 안내에 따라 제2 본 컵(110) 및 이와 결합되는 본 펜(120)의 경로 내지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만약, 대상 치아가 연속적으로 3 개라면, 제1 본 컵(110x), 제2 본 컵(110y), 미도시된 제3 본 컵 순서로 상호 접하여 배치되어 각 단계가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이웃하는 대상 치아가 없는 상태에서도 가이드가 될 수 있는 본 컵(110)이 존재하고 있어 편리하고 간단하게 대상 치아에 대한 임플란트 시술시 경로, 위치, 깊이에 대한 최적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펜(120)에 의하여 치조골(30)을 드릴링 하고 본 핀(130)으로 보철물(10)의 치관의 높이를 확인하여 픽스쳐(14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치조골(30)의 드릴링 작업에 대한 계획을 세워 다양한 공구를 이용하여 드릴링 작업을 완료한다. 드릴링 작업을 완료한 후에 치조골(30)에 드릴링된 구멍을 이용하여 픽스쳐(140)를 고정한다(S540).
다음, 본 컵(110)의 직경 및 본 핀(130)의 높이에 기초한 규격으로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150)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9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픽스쳐(140)에 고정한다(S550).
여기서, 종래 기술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링 어버트먼트(210)와 파이널 어버트먼트(230)의 외형을 비교하면, 픽스쳐(140)와 결합된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영역에서 하단부에서 차이(도 9의 동그라미 부분)를 보인다. 즉, 도 9의 동그라미 부분에서는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의 치수가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치수보다 크다. 이에, 임시적으로 결합되었던 힐링 어버트먼트(150)를 제거하고 픽스쳐(140)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파이널 어버트먼트(160)를 결합하면 치조골이나 치은과 간섭이 생겨 픽스쳐(140)와 완전하게 결합이 되지 않거나 치은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파이널 어버트먼트(160)는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전술한 본 컵(110), 본 펜(120) 내지 본 핀(130)과 연관성 있도록 규격화되어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일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링 어버트먼트(150)는 픽스쳐(140)에 고정되는 부분과, 고정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경사각(도 10의 ‘α’ 또는 ‘β’참조)을 갖는 하관부(151)를 구비하고 하관부(15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치은 프로파일부(153)를 포함한다. 그리고,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상측은 일정한 직경(도 10의 ‘D-HA’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프로파일부(153)는 도 10의 점선으로 표시된 종래의 ‘concave’한 형상이 아닌, 좌측의 직선 형상(‘153a’ 참조)이나 우측의 ‘convex’한 형상(‘153b’ 참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파일부(153)의 직선 형상 내지 convex한 형상은 추후 파이널 어버트먼트(160) 내지 보철물(10)을 결합한 경우 파이널 어버트먼트(160) 내지 보철물(10)과 치은(50) 사이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힐링 어버트먼트(150)는 본 컵(110), 본 펜(120)의 구분의 기초가 되는 통상의 환자가 갖는 최빈치에 기준하여 직경(도 10의 ‘D-HA’참조)과 높이(도 10의 ‘H1-HA’ 및 ‘H2-HA’참조)에 기초하여 구분된다.
이렇게 구분된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일예로 직경(D-HA)은 6mm, 7mm, 8mm, 9mm이며, 높이 ‘H1-HA’ 및 ‘H2-HA’는 1.5mm/4.0mm, 3.0mm/6.0mm의 두 종류를 구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분은 본 컵(110)의 직경과 본 핀(130)에서의 치관 높이에 대응하여 구분된 수치이므로 본 컵(110) 내지 본 핀(130)의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규격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높이(H1-HA, H2-HA)는 이머전스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 및 인상 채득시 편의를 고려하여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150)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널 어버트먼트(160)는 픽스쳐(140)에 고정되는 부분과, 고정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경사각(도 10의 ‘k’참조)을 갖는 하관부(161)를 구비하고 하관부(16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일 직경이 큰 부분인 최외곽부(163)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이널 어버트먼트(160)는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마찬가지로 본 컵(110), 본 펜(120)의 구분의 기초가 되는 통상의 환자가 갖는 최빈치에 기준하여 직경(도 11의 ‘D-FA’참조)과 높이(도 11의 ‘H1-FA’ 및 ‘H2-FA’참조)에 기초하여 구분된다.
그리고,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에서는 힐링 어버트먼트(150)와의 관계에서 도 9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하관부(151)와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의 하관부(151)의 윤곽을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 다른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부(163)의 직경(도 11의 ‘D-FA’참조)이 동일한 높이의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직경보다 약 0.5~1mm 적게(도 12의 ‘GAP’참조) 형성하였다. 이렇게 GAP을 형성하는 것은, 힐링 어버트먼트(150)를 제거하고 파이널 어버트먼트(160)를 기준으로 인상을 용이하게 채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간격(도 12의 ‘GAP’참조)을 너무 크게 하면 추후 치은(50)과 보철물(10)과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며, 너무 적으면 최적의 인상을 채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본 컵(110), 본 핀(130) 및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대응하여 구분된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의 일예로 직경(D-FA)은 4.5mm, 5.5mm, 6.5mm, 7.5mm이며, 높이 ‘H1-FA’ 및 ‘H2-FA’는 1.5mm/5.0mm, 3.0mm/5.0mm의 두 종류를 구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분은 본 컵(110)의 직경과 본 핀(130)에서의 치관 높이 및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직경 및 높이에 대응하여 구분된 수치이므로 본 컵(110), 본 핀(130) 및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다음, 힐링 어버트먼트(150)가 치조골정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부(171)를 갖는 본 셰이퍼(170)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간섭되는 치조골(30)을 삭제한다(S555, S560). 즉, 힐링 어버트먼트(150)가 픽스쳐(14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치조골정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본 셰이퍼(170)로 간섭되는 치조골(30)을 삭제한다.
본 셰이퍼(170)는 핸드 피스(70)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치조골(30)을 삭제하는 삭제부(181)를 포함한다. 삭제부(181)에서 치조골(30)을 삭제하는 영역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리머, 드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치조골정에 대응한 윤곽을 가지며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윤곽보다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힐링 어버트먼트(15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치조골(30)을 삭제하는 영역은 예를 들면 5개의 날(flute)을 포함하며, 각 날의 날세우기용 연마 및 코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셰이퍼(170)가 치조골(30)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삭제부(181)를 지지하기 위하여 픽스쳐(140)에 고정되는 고정부(173)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픽스쳐(140) 등에 지지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일예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부(181)와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픽스쳐(140)와 지지되는 부분은 회전하지 않으며 픽스쳐 내경의 윤곽을 갖는 고정부(173)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셰이퍼(170)도 힐링 어버트먼트(150)와 대응하는 규격으로 마련되어 예를 들면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규격이 정해지면 대응하는 본 셰이퍼(170)의 규격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선정될 수 있다.
치조골(30)을 삭제하는 단계(S555, S560)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치조골(30)과 힐링 어버트먼트(15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본 셰이퍼(170)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 파이널 어버트먼트(160)가 치은(50)과 접촉하는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비되어 치은(50)을 삭제 가능하게 마련된 삭제부(181)를 갖는 치은 셰이퍼(180)로 치은(50)을 삭제한다(S565, 570). 치은 셰이퍼는 힐링 캡(190)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보철물(10)을 픽스쳐(140)에 결합하기 전체 치은(50)과 보철물(10)의 간섭이 생기는 경우에 치은(50)을 삭제한다.
치은(50)을 삭제하는 삭제부(181)는 다수의 날을 포함하며, 각 날의 날세우기용 연마 및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은 셰이퍼(180)도 어버트먼트에서 규격화되어 구분된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하여 구분되어 마련된다. 이에, 어느 하나의 어버트먼트가 선택되면 대응한 치은 셰이퍼(180)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치은(50)을 삭제하는 단계(S565, S570)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치은(50)과 힐링 캡(190) 또는 보철물(1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치은 셰이퍼(180)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 어버트먼트가 치은(50)과 접촉하는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한 규격으로 구비된 힐링 캡(190)을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에 결합시킨다(S570).
보철물(10)을 최종적으로 결합하기 전에 치은(50)이 보철물(10)이 결합될 위치까지 자라지 못하도록 픽스쳐(140)에 힐링 캡(190)을 일시적으로 씌워준다.
여기서, 힐링 캡(190)의 규격은 어버트먼트 내지 치은 셰이퍼(180)에서 규격화되어 구분된 치은 프로파일부(153)에 대응하여 구분되어 마련된다. 이에, 어느 하나의 어버트먼트 내지 치은 셰이퍼(180)가 선택되면 대응한 힐링 캡(190)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인상채득한 보철물(10)을 파이널 어버트먼트(160)에 결합한다.
이러한 일련의 임플란트 시술 방법(100)은 각 단계별로 구별되고 상호 편리성을 고려하여 구분된 규격화 내지 표준화를 하여 각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규격이 선정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선정된 규격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선택하면 되므로 아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련의 임플란트 시술 과정을 일관된 대응된 규격으로 시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구들을 구성하고 구분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본 컵(CP1, CP2, CP3, ..., CPn) 중에서 어느 하나인 규격 ‘CP2’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에서 본 펜(120)의 규격은 ‘PE2’가, 본 핀(130)의 규격은 ‘PB2’가, 어버트먼트(150, 160)의 규격은 ‘AB2’가, 본 셰이퍼의 규격은 ‘BS2’가, 치은 셰이퍼(180)의 규격은 ‘GS2’가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 방법에 사용되는 도구 내지 방법을 최빈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격으로 구분하여 이를 규격화 내지 표준화할 수 있다. 또한, 규격화 내지 표준화된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대응되도록 선택되어 다음 단계의 도구 내지 방법의 선택이 상호 연관성을 가져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분 내지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또한, 구분 내지 선정된 도구 내지 방법을 최적화 내지 최소화할 있다. 또한, 시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최빈치의 환자에 대응하여 본 컵, 본 펜, 본 핀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임플란트 경로 위치 등을 안내할 수 있어 최적의 보철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10 : 본 컵 111 : 고정 부재
113 : 공간부 115 : 개구부
117 : 수용 부재 120 : 본 펜
121 : 드릴 부재 123 : 제1 커버
125 : 제2 커버 127 : 스프링
129 : 스냅 링 130 : 본 핀
131 : 눈금 140 : 픽스쳐
150 : 힐링 어버트먼트 151 : 하관부
153 : 치은 프로파일 160 : 파이널 어버트먼트
161 : 하관부 163 : 최외곽부
170 : 본 셰이퍼 171 : 회전부
173 : 고정부 180 : 치은 셰이퍼
181 : 삭제부 190 : 힐링 캡

Claims (10)

  1.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시술부위의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게 마련된 본컵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결합되는 본핀과;
    상기 드릴부재에 의해 형성된 치조골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간섭되는 치은 또는 치조골을 삭제하는 치은 세이퍼 또는 본 세이퍼와;
    시술 부위 치아의 치관에 대응하여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임시적으로 결합되는 힐링 캡(Healing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컵은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의 크기에 기초하여 구분되어 규격화되고 상기 본컵의 규격화에 대응하여 상기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어느 하나의 크기도 마련되며,
    임플란트의 식립부터 보철까지 모든 과정에서 상기 본컵,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본컵, 본핀,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상기 본 세이퍼, 상기 치은 세이퍼, 상기 힐링 캡 중 다른 하나가 대응한 규격으로 선택되어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3.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는 과정에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시술부위의 치아의 크기에 대응하게 마련된 본컵(Bone Cup);을 포함하며,
    상기 본컵의 크기는 시술부위의 치아의 근원심경에 기초하여 구분되어 규격화되고, 상기 본컵의 외경은 6mm, 7mm, 8mm, 9mm, 10mm 를 포함하고, 임플란트 식립 수술 과정에서 근원심측, 협설측 및 식립 각도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재가 드릴링하여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드릴링 위치, 각도 및 대합치까지의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본핀(Bone P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5.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하는 드릴부재가 드릴링한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에 가상의 치아가 존재하여 상기 드릴부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와 인접된 시술부위의 근원심 위치, 협설측 위치 및 식립 각도를 결정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마련된 본컵과;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어느 하나의 시술부위를 드릴링하는 드릴부재;를 포함하고,
    본펜은 상기 본컵과 상기 드릴부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6. 제3항의 상기 드릴부재와 상기 드릴부재와 결합된 본펜과;
    제4항의 상기 본핀;을 세트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7.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위해 시술부위를 드릴링을 하는 드릴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치조골의 홀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픽스처와;
    상기 픽스처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힐링 어버트먼트 또는 파이널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치조골을 삭제하는 본 세이퍼(Bone Sha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치은을 삭제하는 치은 세이퍼 (Gingival Sha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널 어버트먼트와 임시적으로 결합되어 치은 증식을 억제하는 힐링 캡(Healing 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장치.
KR1020140012832A 2014-02-05 2014-02-05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20140035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32A KR20140035984A (ko) 2014-02-05 2014-02-05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32A KR20140035984A (ko) 2014-02-05 2014-02-05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93A Division KR20130121063A (ko) 2013-09-16 2013-09-16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984A true KR20140035984A (ko) 2014-03-24

Family

ID=506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32A KR20140035984A (ko) 2014-02-05 2014-02-05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9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085A (zh) * 2019-04-25 2019-06-25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垂直间隙测量组件
WO2022158635A1 (ko) * 2021-01-25 2022-07-28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085A (zh) * 2019-04-25 2019-06-25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垂直间隙测量组件
CN109925085B (zh) * 2019-04-25 2024-02-20 四川大学 一种口腔种植垂直间隙测量组件
WO2022158635A1 (ko) * 2021-01-25 2022-07-28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KR20220107398A (ko) * 2021-01-25 2022-08-02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235B2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CN106037978B (zh) 牙科植牙用种植导板的手术指导数据显示方法
US10709524B2 (en) Dental implant for bon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JP6338544B2 (ja) 歯科用工具
US8770974B2 (en) Set of dental drills
CN103561675A (zh) 牙齿修整导引装置以及针对口腔赝复的修整牙齿的方法
US20160128810A1 (en) Guided sinus lift
JP2006519642A (ja) 歯科移植技術用のパイロットドリル,ステップドリルとドリルセット
AU2008290807A1 (en) Drill guide with a limit stop
US20140127640A1 (en) Dental drill bit system and method
US20190374314A1 (en) Double concave drill for dental implant
KR20160130242A (ko) 단차 가이드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링 도구
CN104224329B (zh) 牙科手机辅助系统及其操作方法
KR20140035984A (ko)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EP3253327B1 (en) Dental implant for implantation facilitation and stabilization
KR101333558B1 (ko)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20130121063A (ko)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장치
KR20120113446A (ko) 간편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1373063B1 (ko) 임플란트 식립용 거리측정기
KR200323647Y1 (ko) 임플란트 수술용 드릴
KR101068399B1 (ko) 천공 깊이 제한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11471172B1 (en) Osteotomy drill bit to produce an optimally shaped jawbone opening for a dental implant and abutment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CN107898512A (zh) 牙科种植钻头自定位方法
CN204192768U (zh) 牙科手术用牙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