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437A - 치조골 확장용 드릴 - Google Patents

치조골 확장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437A
KR20130076437A KR1020110145028A KR20110145028A KR20130076437A KR 20130076437 A KR20130076437 A KR 20130076437A KR 1020110145028 A KR1020110145028 A KR 1020110145028A KR 20110145028 A KR20110145028 A KR 20110145028A KR 20130076437 A KR20130076437 A KR 2013007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gap
drill
expansion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8247B1 (ko
Inventor
윤지훈
서봉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247B1/ko
Priority to PCT/KR2012/011463 priority patent/WO2013100561A1/ko
Publication of KR2013007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7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circularly moving saw blades, i.e. non-reciprocating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04Chisels; Rongeurs; Punches; St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나선형태로 감기어 있으며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팅에지가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절삭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2나사산이 나산형태로 감기어 있는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회전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자루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분은 하단의 직경보다 상단의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조골 확장용 드릴{Drill for bone augmentation}
본 발명은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골폭을 가진 환자에게 시술시 골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원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인체의 치조골에 삽입되는 인공치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드릴을 이용하여 소정의 구멍을 치조골에 형성한 후에, 그 구멍 내에 픽스쳐를 삽입하고 소정의 기간을 기다린 후에 상기 픽스쳐가 주변 골조직과 골융합된 후에는 픽스쳐의 상부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픽스쳐가 골융합이 용이하게 되기 위해서는 치조골의 골폭이 충분하게 커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골폭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골폭이 충분히 넓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본이나 인조본과 같은 골이식재(G)를 치조골(B)의 주변에 부착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골융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충분한 폭을 가진 치조골을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방식은 골재생유도술(GBR; Gudided Bone Regeneration)이라고 하는데, 이를 통하여 충분한 골폭을 가진 치조골을 얻어내면 그 후에 상술한 통상적인 임플란트 시술방식을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치조골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골재생유도술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골이식재가 기존 치조골과 골융합되는데 드는 시간이 장기화되어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기간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가본 또는 인조본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시술비용이 번거럽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시술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골폭이 좁은 치조골(B)에 틈새(S)를 형성하고 상기 틈새(S)를 통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임플란트 픽스쳐를 삽입하는 시술방식이 있다. 이러한 시술방식은 의료용 정(Chiesel)이나 오스테오톰(Osteotome)을 이용하여 골 확장후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B)에 형성된 틈새 (S)내에 의료용 정(Ch)을 삽입하고 해머를 이용하여 의료용 정이 상기 틈새를 통하여 삽입됨으로서 상기 틈새가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의료용 정이 삽입되어 틈새가 확장시키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면 인공치아를 시술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정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식은, 골유착을 위한 시간을 감소시켜 골재생유도술에 비하여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기간 및 시술의 번거로움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술시에 정을 치조골에 두드리는 방식으로 인하여 환자에게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중 치조골이 파손되는 위험을 초래할 염려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의료용 정을 이용한 골확장술이 시술시간 단축 및 시술의 편의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골재생유도술에 비하여 적게 시술되고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263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면서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면서 골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나선형태로 감기어 있으며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팅에지가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절삭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2나사산이 나산형태로 감기어 있는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회전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자루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분은 하단의 직경보다 상단의 직경이 클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확장부분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확장부분은 뒤집어진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커팅에지는 상기 절삭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제2나사산은,
골들과, 상기 골들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나사산 산마루들과, 각각의 골과 나사산 산마루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과, 상기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θ1)는, 하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θ2)는 서로 다른 것(θ1 ≠ θ2)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상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는 상기 하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보다 큰 것(θ1 > θ2 )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절삭부분과 확장부분은 인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자루부의 사이에는 상기 나사부가 일정 깊이이상 틈새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나사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절삭부분이 마련한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면서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연결되되 회전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자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커팅에지가 마련되어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절삭부분이 마련한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면서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단보다 상단의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분에는 나선방향으로 감기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산의 산마루는 그 산마루와 인접한 골들 중 하측에 배치된 골보다 상측에 배치된 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치조골을 확장함에 있어서 절삭부분이 삽입된 후에 확장부분이 삽입되어 치조골에 형성된 틈새를 벌림에 따라서 별도의 두드림 작업이 없기 때문에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치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치조골이 파손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골재생유도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료용 정을 이용하여 골 확장시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 내지 도 1은 골 확장시술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 및 그를 이용한 시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은, 치조골(B)의 벌려진 틈새(S)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S)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나사부(20)와, 자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20)는, 절삭부분(30)과 확장부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삭부분(30)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치조골(B)의 틈새(S) 내에 삽입되면서 진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나사산(31)은 나선형으로 감기어 있으며, 1줄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줄 이상의 다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나사산(31)에는 파쇄되는 골편을 수용하기 위한 플루트 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플루트 홈은 중심축(C)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에 골편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삭부분(30)에는 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팅에지(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팅에지(32)는 플루트홈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중심축(C)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게 된다. 회전하는 절삭부분(30)은 커팅에지(32)가 치조골(B)의 주변벽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통상의 커팅에지(32)와 형상이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절삭부분(30)은 진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단보다 상단의 외경이 클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장부분(40)은, 상기 절삭부분(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절삭부분(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2나사산(41)이 나선형태로 감기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확장부분(40)에는 절삭을 위한 커팅에지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주변골(411)의 절삭이 없이 치조골(B)을 확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확장부분(40)이 치조골(B)의 틈새(S)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분(40)의 상단은 상기 확장부분(40)의 하단보다 외경이 큰 것이 바람직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부분(4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확장부분(40)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뒤집어진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뒤집어진 다각뿔대의 형상 또는 뒤집어진 타원뿔대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나사산(41)은, 골(411)들과, 상기 골(411)들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나사산 산마루(412)들과, 각각의 골(411)과 나사산 산마루(412)를 연결하는 경사면(4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사면(413)은,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412)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413')과, 상기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412)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4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경사면(413')과 나사부(20)의 중심축(C;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축과 평행인축(C')) 간의 각도(θ1)는, 하부경사면(413'')과 나사부(20)의 중심축(C) 간의 각도(θ2)는 서로 다른 것(θ1 ≠ θ2)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경사면(413')과 나사부(20)의 중심축(C) 간의 각도는 상기 하부경사면(413'')과 나사부(20)의 중심축(C) 간의 각도보다 큰 것(θ1 > θ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나사산(41)의 산마루(412)는 그 산마루(412)와 인접한 골(411)들 중 하측에 배치된 골(411)보다 상측에 배치된 골(411)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제2나사산(41)은 삽입방향으로의 경사면(413'';하부경사면)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의 경사면(413';상부경사면)에 비하여 내측방향으로 눕혀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확장부는 치조골(B)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치조골(B)을 골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절삭부분(30)과 상기 확장부분(40)은 서로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제1나사산(31)과 제2나사산(41)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자루부(50)는, 상기 나사부(20)와 일체로 연결되되 회전용 공구(미도시)가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자루부(50)는, 원형단면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윈기둥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단부에는 드라이버 등이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5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1)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자루부(50)의 구체적인 형상은 드릴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루부(50)와 나사부(20)의 사이에는, 스토퍼(52)가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나사부(20)에 비하여 직경이 큰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52)가 치조골(B)의 틈새(S)에 걸림으로서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이 일정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데, 상기 스토퍼(52)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일정깊이 이상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이 치조골(B)의 벌려진 틈새(S)로 삽입될 수 없도록 하여 치조골(B)이 지나치게 확장되거나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치조골(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52)와 상기 자루부(50)의 사이에는 수동 공구가 체결될 수 있는 육각단면 형태의 체결부(53)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루부(50)의 결합부(51)는 전동용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53)는 수동용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B)을 확장하기 위하여, 먼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411)폭이 좁은 치조골(B)의 상단면에 소정의 드릴(60)을 이용하여 구멍(H1)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을 지나면서 치조골(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틈새(S)를 형성하기 위하여 톱니(61)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톱니(61)를 드릴(60)이 형성한 구멍(H1)의 주변부터 시작하여 치조골(B)의 커팅을 수행하고 이후에 일방향으로 진행시켜 필요한 틈새(S) 형성을 진행한다. 이후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을 준비하고, 상기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을 상기 틈새(S) 내에 삽입함으로서 소정의 골확장 시술을 시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0)를 먼저 틈새(S) 내에 삽입한다. 이때 나사부(20)에는 커팅에지(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틈새(S)에 쉽게 파고들게 된다. 이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의 진입을 증가시켜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이 충분하게 상기 틈새(S)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확장부분(40)는 점차적으로 그 직경이 확대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틈새(S)를 상기 확장부분(40)의 최대 외경(예를 들어, 확장부분의 상단)에 대응하는 폭만큼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통하여 틈새(S)가 충분하게 확보되었다면 시술을 멈추고 충분한 틈새(S) 폭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10')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S) 내에 삽입함으로서 보다 치조골(B)이 넓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회전하여 삽입되는 드릴의 형상을 가지면서 치조골의 틈새를 확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의료용 정을 이용하여 치조골의 틈새를 확장시키는 것에 비하여 과도한 충격을 치조골에 가하는 일이 없고 이에 따라서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조골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치조골 확장용 드릴의 확장부분은 점진적으로 그 폭이 증가될 수 있어 치조골을 서서히 벌림으로서 치조골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제2나사산이 진입방향으로 눕혀진 나사산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진입과정에서 주변골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주변골조직에 큰 파손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치조골의 틈새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입과정에서 과도한 삽입으로 인한 치조골의 벌림을 방지함으로서 치조골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확장용 드릴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확장부분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부분에는 제2나사산이 형성됨에 없이 외경만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데, 매끈한 표면을 가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절삭부분에 커팅에지가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나사산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산과 제2나사산이 서로 연속되어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 서로 단절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며 나사산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루부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나사부만이 배치되고 상기 나사부에 하단을 향하여 패여진 블라인드 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블라인드 홀은 회전용 공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육각 등의 각진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합리적으로 해석되는 범위까지에 이른다.
10...치조골 확장용 드릴 20...나사부
30...절삭부분 31...제1나사산
32...커팅에지 40...확장부분
41...제2나사산 411...골
412...산마루 413...경사면
413'...상부경사면 413''...하부경사면
50...자루부 51...결합부
52...스토퍼 53...체결부
60...드릴 61...톱니
S...틈새 B...치조골
C...중심축

Claims (11)

  1.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나선형태로 감기어 있으며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커팅에지가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절삭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제2나사산이 나산형태로 감기어 있는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회전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자루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분은 하단의 직경보다 상단의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분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분은 뒤집어진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에지는 상기 절삭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사산은,
    골들과, 상기 골들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나사산 산마루들과, 각각의 골과 나사산 산마루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로부터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경사면과, 상기 어느 한 나사산 산마루로부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는 하부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θ1)는, 하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θ2)는 서로 다른 것(θ1 ≠ θ2)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는 상기 하부경사면과 나사부의 중심축 간의 각도보다 큰 것(θ1 > θ2 )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분과 확장부분은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자루부의 사이에는 상기 나사부가 일정 깊이이상 틈새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나사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10.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절삭부분이 마련한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면서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회전용 공구가 결합될 수 있는 자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11.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틈새를 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로서,
    상기 틈새 내에 삽입되어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커팅에지가 마련되어 있는 절삭부분; 및
    상기 절삭부분의 상측에 배치되고 절삭부분이 마련한 상기 구멍 내에 삽입되면서 치조골의 벌려진 틈새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단보다 상단의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는 확장부분을 포함하는 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분에는 나선방향으로 감기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산의 산마루는 그 산마루와 인접한 골들 중 하측에 배치된 골보다 상측에 배치된 골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확장용 드릴.
KR1020110145028A 2011-12-28 2011-12-28 치조골 확장용 드릴 KR10129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28A KR101298247B1 (ko) 2011-12-28 2011-12-28 치조골 확장용 드릴
PCT/KR2012/011463 WO2013100561A1 (ko) 2011-12-28 2012-12-26 치조골 확장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28A KR101298247B1 (ko) 2011-12-28 2011-12-28 치조골 확장용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37A true KR20130076437A (ko) 2013-07-08
KR101298247B1 KR101298247B1 (ko) 2013-08-22

Family

ID=4869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028A KR101298247B1 (ko) 2011-12-28 2011-12-28 치조골 확장용 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8247B1 (ko)
WO (1) WO20131005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98A (ko) 2021-01-25 2022-08-02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KR20220124378A (ko) 2021-03-03 2022-09-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230096555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티아이티 타이타늄 임플란트 치공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11Y1 (ko) 2018-09-21 2019-02-27 김용서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치조골 트리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187A (ja) * 1993-04-27 1994-11-01 Nikon Corp 穿孔用ドリル
JP4420423B2 (ja) * 2002-09-26 2010-02-24 株式会社ジーシー セルフタップ付き歯科用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ドリルセット
DE202004000723U1 (de) * 2003-03-13 2004-04-08 Thommen Medical Ag Pilotbohrer, Stufenbohrer und Bohrerset für die Dentalimplantologie
KR100539414B1 (ko) * 2004-02-17 2005-12-27 (주) 코웰메디 치과용 드릴세트
KR100946344B1 (ko) * 2007-11-16 2010-03-08 송영완 임플란트 드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98A (ko) 2021-01-25 2022-08-02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gps 드릴
KR20220124378A (ko) 2021-03-03 2022-09-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230096555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티아이티 타이타늄 임플란트 치공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247B1 (ko) 2013-08-22
WO2013100561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825B2 (en) Sacroiliac screw
JP6101772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US8864495B2 (en) Quick dental implant kit
US9387027B2 (en) Implantable fixture
EP3113716B1 (en) Dental implant
KR101298247B1 (ko) 치조골 확장용 드릴
JP2010274103A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リムーバー
US20100304329A1 (en) Implant fixture remover
US20150157425A1 (en) Serrated dental implant
JPH08510400A (ja) 固着素子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923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EP0955015B1 (en) Dental implant
KR101144933B1 (ko) 임플란트 픽스쳐
KR101731542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1134343B1 (ko) 포스트 스크루 및 그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스크루용 리무버 드라이버
KR20190131992A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보호팁을 구비한 임플란트 고정체
IT202100001556A1 (it) Impianto dentale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62053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225465B1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KR102599230B1 (ko) 미세 홈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301190B1 (ko) 매립형 이중 절삭 임플란트 고정체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00086561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