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308A -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 Google Patents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308A
KR20220107308A KR1020227024307A KR20227024307A KR20220107308A KR 20220107308 A KR20220107308 A KR 20220107308A KR 1020227024307 A KR1020227024307 A KR 1020227024307A KR 20227024307 A KR20227024307 A KR 20227024307A KR 20220107308 A KR20220107308 A KR 20220107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connector body
groove
ring
infla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리 앤 사우센
크리스티안 제임스 하겐
브래들리 씨. 프리몬트
Original Assignee
외티커 엔와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외티커 엔와이, 인크. filed Critical 외티커 엔와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0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제1 관통 보어(34); 제1 관통 보어(34)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홈(50), 제1 홈 내에 배치되는 시일(62), 및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커넥터 본체(40) 상에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지 클립(70)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40); 및 제1 단부(28), 제2 단부(22),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관통 보어(41)를 포함하는 팽창 링(22)으로서, 팽창 링(22)은 제1 관통 보어(34) 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22)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Description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본 개시내용은 유체 커넥터,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에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팽창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체 커넥터는 많은 용례를 위한, 그리고 특히 자동차 용례를 위한 필수 부품이다. 자동차 시스템은 라디에이터, 변속기, 및 엔진과 같은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체가 각각의 부품 내부뿐만 아니라 부품 사이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부품 사이를 이동하는 유체의 예는 변속기 유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변속기로부터 변속기 오일 냉각기로 이동하는 변속기 유체이다. 유체는 주로 유체 커넥터에 의해 각각의 부품에 연결되는 가요성 또는 강성 호스를 통해서 부품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유체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튜브 단부 형태가 커넥터 본체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튜브 단부 형태의 융기된 견부의 후방에 스냅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본체 상에 지지되는 유지 클립, 유지 링 클립, 또는 스냅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튜브 단부 형태를 커넥터 본체 내로 삽입하는데 요구되는 힘이 상당히 크다. 이것은, 튜브 단부 형태의 견부가 유지 클립을 통과할 때까지 튜브 단부 형태가 유지 클립을 반경방향 외향으로 가압해야 하기 때문이며, 견부가 유지 클립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유지 링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스냅결합되어 그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튜브 단부 형태가 커넥터 본체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유지 클립을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위치에 유지하고, 이에 의해 유체 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요구되는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팽창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가 필요하다고 오랫동안 생각되어 왔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보어, 유지 클립 및 튜브 단부 형태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를 위한 팽창 링이 제공되며, 팽창 링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관통 보어를 포함하고, 팽창 링은 커넥터 본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홈, 제1 홈 내에 배치되는 시일, 및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커넥터 본체 상에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제1 단부, 제2 단부,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관통 보어를 포함하는 팽창 링으로서, 팽창 링은 제1 관통 보어 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홈, 제1 홈 내에 배치되는 시일, 및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커넥터 본체 상에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제1 관통 보어 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으로서, 팽창 링은 제1 단부, 제2 단부, 제2 홈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관통 보어를 포함하는 팽창 링,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튜브 단부 형태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제조 조립 공정 중에 튜브 단부 형태를 신속 커넥터 용례에 조립하는데 필요한 삽입력(노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유체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 개시된 유체 커넥터는 튜브가 유체 연결부를 신속 연결하기 위한 삽입력 요건을 감소시켜 모든 조립 위치로부터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유체 커넥터는 튜브 단부 형태가 매우 낮은 삽입력으로 커넥터 본체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일체형 자립형 캐리어(베젤(bezel), 팽창 링 등)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 세라믹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신속 연결 커넥터 본체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 세라믹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단부 형태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 세라믹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양태에 따르면,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자립형 조립 해결책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가 제공된다. 캐리어는 유지 클립 슬롯 위치에서 신속 연결 커넥터 본체 내부에 배치된다. 유지 클립은 이어서 커넥터 본체 상에 배치/설치되고 캐리어 인터페이스에 결합된다. 유지 링은 이제 팽창된 상태(또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된다. 튜브 단부 형태는 캐리어의 내경에 진입하고 캐리어를 꽉 누른다(즉, 캐리어를 커넥터 본체 내로 축방향으로 더 변위시킨다). 캐리어가 커넥터 본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됨에 따라, 캐리어는 단차부 또는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에서 바닥을 이루거나 그에 맞닿는다. 캐리어는 O-링 글랜드(gland)를 위한 캐비티의 상부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캐비티의 바닥에서 바닥을 이룬다. 일부 실시예에서, O-링 글랜드는 캐리어의 사용 없이 이미 형성되며, 이는 튜브 밀봉 표면을 보호한다.
최종 조립 동안, 튜브 단부 형태는 유지 클립을 팽창시키는 캐리어를 수용하는 커넥터 본체의 내경 내로 삽입된다. 튜브 단부 형태가 캐리어 및 커넥터 본체의 내경을 통해 활주함에 따라, 튜브 단부 형태는 유지 클립 및 유지 클립 슬롯(또는 홈)을 지나 활주하면서 커넥터 본체 보어의 내경 내의 단차부, 표면 또는 돌출부까지 제1 축방향으로 캐리어를 변위시킨다. 단차부 상에서 바닥을 이룰 때(그에 맞닿을 때), 캐리어는 포켓을 형성하고 O-링 글랜드의 상부로서 기능한다. 유지 클립은 이제 튜브 단부 형태 견부 또는 비드의 상부에 위치되고, 커넥터 본체 내에 튜브 단부 형태를 유지한다. O-링 글랜드를 위한 격납부로서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은 더 용이한 제조성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커넥터 본체 보어 내의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 상에서 바닥을 이루고, 돌출부는 O-링 글랜드의 상부로서 작용하고 튜브 밀봉 표면을 보호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견지에서 본 개시내용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시에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개시되며, 이 도면에서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유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유체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팽창 링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대체로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커넥터 본체 및 팽창 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팽창 링이 연결된 상태에 있는 대체로 도 1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팽창 링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커넥터 본체 및 팽창 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유체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연결된 상태에 있는 도 6에 도시되는 유체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처음에, 상이한 도면의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조 요소를 식별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청구항은 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설명되는 특정 방법론, 재료 및 수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물론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임의의 방법, 장치 또는 재료가 예시적인 실시예의 실행 또는 테스트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실질적으로"는 "거의", "정말 거의", "약", "대략", "쯤", "에 접하는", "근접하는", "본질적으로", "인근", "부근"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며,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날 때 교체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근접"은 "부근", "가까운", "인접하는", "이웃하는", "바로 이웃하는", "접해있는" 등과 같은 용어와 동의어이고,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나타날 때 교체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용어 "대략"은 명시된 값의 10% 이내의 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에서 "또는"의 사용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비배타적" 구성에 관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템 x는 A 또는 B이다"라고 말할 때, 이는 (1) 아이템 x는 A와 B 중 오직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인 것; (2) 아이템 x는 A와 B 양자 모두인 것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대안적으로 말하면, 단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 구성을 정의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이템 x는 A 또는 B이다"라는 진술에 대한 "배타적 또는" 구성은 x가 A와 B 중 오직 하나일 수 있는 것을 요구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및/또는"은 언급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는 이하의 구조적 배치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시스템 또는 요소와 조합되는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및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구문은 시스템 또는 요소가 이 구문 전에 열거된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는 이하의 구조적 배치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본 명세서에서 "~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이라는 구문이 사용될 때 유사한 해석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및/또는"은 언급된 요소 또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거나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문법적 접속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제2 요소 및/또는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는 이하의 구조적 배치 중 어느 하나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제1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2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제1 요소,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제2 요소 및 제3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이제 도면을 언급하면, 도 1은 유체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체 커넥터(10)의 분해도이다. 유체 커넥터(10)는 일반적으로 팽창 링(20), 커넥터 본체(40), 및 튜브 단부 형태(8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의 관점에서 숙독되어야 한다.
커넥터 본체(40)는 단부(42)로부터 단부(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41), 반경방향 내향 표면(46),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홈(50), 반경방향 외향 표면(52), 헤드(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40)는 유체로 충전되는 부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40)는 외부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60)을 통해 변속기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40)는 (예컨대,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58)를 통해 변속기 내의 나사산형 구멍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고, 그 후 변속기 유체로 충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58)는 육각형이지만; 헤드(58)는 커넥터 본체(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40)가 설치될 수 있는 다른 부품은 엔진 블록이다. 유체 커넥터(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부품, 조립체 및 하위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시일(62)이 커넥터 본체(40)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시일(62)은 홈(50)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일(62)은 O-링이다. 본체(40)는 표면(47)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49)를 더 포함한다. 표면(47)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과 반경방향 내향 표면(48)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돌출부(49)는 시일 또는 O-링 글랜드에 대한 캐비티 한계로서 작용한다(즉, 시일(62)이 돌출부(49)에 의해 홈(50)에 수용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52)은 반경방향 외향 홈(54)을 더 포함한다. 홈(54)은 그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개구(56A-C)를 포함한다. 개구(56A-C)는 홈(54)으로부터 관통 보어(41)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금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지 클립(또는 유지 링 또는 스냅 클립/링)(70)이 본체(40) 내의 홈(54) 내에 배치된다. 유지 클립(70)은 일반적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유지 링이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유지 클립(70)은 돌출부(72A-C)를 포함한다. 돌출부(72A-C)는 홈(54) 내의 개구(56A-C)를 통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돌출부(72A-C)는 튜브 단부 형태(80)를 커넥터 본체(40) 내에 고정하기 위해 비드 또는 견부(87), 구체적으로는 표면(88)에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유지 클립(70)은 탄성 변형되고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 단부 형태(80)는 단부(82), 섹션(83), 비드 또는 견부(87), 섹션(89), 단부(92), 및 관통 보어(94)를 포함한다. 관통 보어(94)는 단부(82)로부터 단부(92)까지 튜브 단부 형태(80)를 통해 연장된다. 섹션(83)은 단부(82)와 견부(87)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84)은 절두 원추형 테이퍼 근위 단부(82)를 포함한다(도 4 참조). 견부(87)는 섹션(83)과 섹션(89)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86) 및 표면(8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D1)을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고, 표면(8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AD2)을 향하는 축방향 표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표면(86)은 견부(87)의 반경방향 외향 표면으로부터 축방향(AD1)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절두 원추형 표면이다. 예를 들어, 표면(86)은 선형 원추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2)으로 직경이 증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표면(86)은 선형 부분 및 원추형 또는 절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섹션(89)은 견부(87)와 단부(92)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을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90)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포함한다. 튜브 단부 형태(80)는 구체적으로는 단부(82)가 먼저 유체 커넥터 본체(40) 내로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직선형 램프(즉, 일정한 선형 램프) 또는 가변 직경 램프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는 튜브 단부 형태(80), 구체적으로는 견부(87)는, 유지 클립(70)이 견부(87) 위에 스냅결합될 때까지 커넥터 본체(40) 내로 삽입된다. 튜브 단부 형태(80)는, 커넥터 본체 내에 튜브 단부 형태를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 내에서 스냅 링 또는 와이어 클립을 변위시키도록 튜브 단부 형태의 외표면 상에서 반경방향 외측 및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 또는 플랜지, 또는 램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임의의 전통적인 튜브 단부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 단부 형태(80)는 금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 단부 형태(80)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 단부 형태(8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팽창 링(20)은 유지 클립(70)을 팽창 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고, 관통 보어(41), 구체적으로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팽창 링(20)은 단부(22), 반경방향 외향 표면(24), 단부(28), 및 관통 보어(34)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24)은 반경방향 외향 홈(2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홈(26)은 표면(27)을 포함한다. 표면(27)이 절두 원추형 형상일 수 있고 축방향(AD1)으로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홈(26) 내의 이러한 절두 원추형 표면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링(20)이 유지 클립(70)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돕는다. 단부(28)는 축방향(AD1)으로 단부(28)로부터 연장되어 표면(32)을 형성하는 리세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20)은 금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20)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20)은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3은 팽창 링(2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대체로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커넥터 본체(40) 및 팽창 링(20)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튜브 단부 형태(80)는 커넥터 본체(40) 내로 아직 삽입되지 않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팽창 링(20)은 커넥터 본체(40)의 관통 보어(41) 내에 배치되고 홈(54) 및 유지 클립(70)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팽창 링(2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46)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부(72A-C)는 개구(56A-C)를 통해 연장되고 유지 클립(70)의 홈(26)에 결합된다. 유지 클립(70)은 팽창 링(20)의 홈(26)에 결합될 때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와 같이, 튜브 단부 형태(80)가 커넥터 본체(40) 내로 삽입될 때, 팽창 링(20)을 갖는 유체 커넥터(10)의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유지 클립(70)의 반경방향 외측 팽창(즉, 반경방향 변위)은 팽창 링(20)을 갖지 않는 유체 커넥터(10)의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유지 클립(70)의 반경방향 외측 팽창(즉, 반경방향 변위)보다 작다. 즉, 유지 클립(70)의 사용은 튜브 단부 형태(80)를 커넥터 본체(40) 내로 삽입하고 유체 커넥터(10)를 적절하게 고정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유체 커넥터(10)를 적절하게 고정하기 위해, 튜브 단부 형태(80)는 단부(82)가 먼저 축방향(AD1)으로 관통 보어(34) 내로 삽입된다. 견부(87)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부(28)에 결합되고 팽창 링(20)을 축방향(AD1)으로 변위시킨다.
도 4는 팽창 링(20)이 연결된 상태에 있는 대체로 도 1의 선 4-4를 따라 취한 유체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튜브 단부 형태(80)는 단부(82)가 먼저 축방향(AD1)으로 관통 보어(34)(및 관통 보어(41)) 내로 삽입된다. 견부(87)는 팽창 링(20)의 단부(28)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견부(87)는 리세스(30), 구체적으로는 표면(32)에 결합된다. 축방향(AD1)으로 튜브 단부 형태(80)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 팽창 링(20) 및 견부(87)는, 유지 클립(70)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스냅결합되어 커넥터 본체(40) 내에 견부(87) 및 팽창 링(20)을 로킹시킬 때까지 축방향(AD1)으로 변위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연결 상태에서, 팽창 링(20)의 단부(22)는 커넥터 본체(40)의 표면(47)에 결합되고 및/또는 그에 맞닿고, 유지 클립(70), 구체적으로는 돌출부(72A-C)는 견부(87)의 표면(88)에 결합하고 그에 맞닿는다. 이 연결 공정 동안, 홈(26)의 절두 원추형 형상은 돌출부(72A-C)가 표면(27)을 "타고 올라가게" 하여 팽창 링(20)을 유지 클립(70)으로부터 결합해제시킨다.
도 5는 팽창 링(12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커넥터 본체(140) 및 팽창 링(12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유체 커넥터 조립체(1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연결된 상태의 유체 커넥터 조립체(110)의 단면도이다. 유체 커넥터(110)는 일반적으로 팽창 링(120), 커넥터 본체(140), 및 튜브 단부 형태(80)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의 견지에서 숙독되어야 한다.
커넥터 본체(140)는 단부(142)로부터 단부(144)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141),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 반경방향 내향 표면(148), 홈(150),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 헤드(158), 및 반경방향 외향 표면(160)을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140)는 유체로 충전되는 부품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본체(140)는 외부 나사산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160)을 통해 변속기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40)는 (예컨대, 렌치를 사용하여) 헤드(158)를 통해 변속기 내의 나사산형 구멍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고, 그 후 변속기 유체로 충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158)는 육각형이지만; 헤드(158)는 커넥터 본체(140)에 토크를 인가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유체 커넥터(110),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140)가 설치될 수 있는 다른 부품은 엔진 블록이다. 유체 커넥터(110)는 유체 연결이 요구되는 다양한 다른 부품, 조립체 및 하위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시일(162)이 커넥터 본체(140)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시일(162)은 홈(150)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일(162)은 O-링이다. 본체(140)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과 홈(158)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연결되는 표면(147)을 더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본체(140) 그 자체는 시일 또는 O-링 글랜드를 위한 캐비티 한계를 포함하지 않는다(즉, 시일(162)은 홈(50) 내에 배치되지만 축방향(AD2)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지 않는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팽창 링(120)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일 또는 O-링 글랜드에 대한 축방향 한계를 제공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52)은 반경방향 외향 홈(154)을 더 포함한다. 홈(154)은 그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개구(156A-C)(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개구(156A-C)(도시되지 않음)는 홈(154)으로부터 관통 보어(141)까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금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 본체(140)는 세라믹을 포함한다.
유지 클립(또는 유지 링 또는 스냅 클립/링)(70)이 본체(140) 내의 홈(154) 내에 배치된다. 돌출부(72A-C)가 홈(154) 내의 개구(156A-C)를 통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돌출부(72A-C)는 튜브 단부 형태(80)를 커넥터 본체(140) 내에 고정하기 위해 비드 또는 견부(87), 구체적으로는 표면(88)에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유지 클립(70)은 탄성 변형되고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예를 들어, 금속, 중합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링(120)은, 유지 클립(70)을 팽창 상태로 유지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고, 관통 보어(141), 구체적으로는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팽창 링(120)은 단부(122), 반경방향 외향 표면(124), 단부(212), 및 관통 보어(134)를 포함한다. 반경방향 외향 표면(124)은 반경방향 외향 홈(126)을 포함한다. 단부(128)는 축방향(AD1)으로 단부(128)로부터 연장되어 표면(132)을 형성하는 리세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120)은 금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120)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팽창 링(120)은 세라믹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 튜브 단부 형태(80)는 커넥터 본체(140) 내로 아직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팽창 링(120)은 커넥터 본체(140)의 관통 보어(141) 내에 배치되고 홈(154) 및 유지 클립(70)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팽창 링(120)은 반경방향 내향 표면(146)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부(72A-C)는 개구(156A-C)(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장되고 유지 클립(70)의 홈(126)에 결합된다. 유지 클립(70)은 팽창 링(120)의 홈(126)에 결합될 때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와 같이, 튜브 단부 형태(80)가 커넥터 본체(140) 내로 삽입될 때, 팽창 링(120)을 갖는 유체 커넥터(110)의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유지 클립(70)의 반경방향 외측 팽창(즉, 반경방향 변위)은 팽창 링(120)을 갖지 않는 유체 커넥터(110)의 연결을 위해 요구되는 유지 클립(70)의 반경방향 외측 팽창(즉, 반경방향 변위)보다 작다. 즉, 유지 클립(70)의 사용은 튜브 단부 형태(80)를 커넥터 본체(140) 내로 삽입하고 유체 커넥터(110)를 적절하게 고정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유체 커넥터(110)를 적절하게 고정하기 위해, 튜브 단부 형태(8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부(82)가 먼저 축방향(AD1)으로 관통 보어(134) 내로 삽입된다. 견부(87)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부(128)에 결합되고 팽창 링(120)을 축방향(AD1)으로 변위시킨다.
도 7은 연결된 상태의 유체 커넥터 조립체(110)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튜브 단부 형태(80)는 단부(82)가 먼저 축방향(AD1)으로 관통 보어(134)(및 관통 보어(141)) 내로 삽입된다. 견부(87)는 팽창 링(120)의 단부(128)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견부(87)는 리세스(130), 구체적으로는 표면(132)에 결합된다. 축방향(AD1)으로 튜브 단부 형태(80)에 힘이 가해짐에 따라, 팽창 링(120) 및 견부(87)는, 유지 클립(70)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스냅결합되어 커넥터 본체(140) 내에 견부(87) 및 팽창 링(120)을 로킹시킬 때까지 축방향(AD1)으로 변위된다. 도 7에 도시되는 연결 상태에서, 팽창 링(120)의 단부(122)는 커넥터 본체(140)의 표면(147)에 결합되고 및/또는 그에 맞닿고, 유지 클립(70), 구체적으로는 돌출부(72A-C)는 견부(87)의 표면(88)에 결합하고 그에 맞닿는다. 또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유체 커넥터 조립체(110)가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 팽창 링(120)의 단부(122)는 시일 또는 O-링 글랜드를 위한 캐비티 한계를 제공한다(즉, 시일(162)은 팽창 링(120)의 단부(122)에 의해 홈(50) 내에 수용된다).
전술한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 그리고 다른 특징 및 기능 또는 그 대안들이 많은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용례로 바람직하게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식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또한 의도된, 이제까지 예상 또는 예측하지 못한 다양한 대안, 수정예, 변경예, 또는 개선예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서 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0 유체 커넥터
20 팽창 링
22 단부
24 반경방향 외향 표면
26 홈
27 표면
28 단부
30 리세스
32 표면
34 관통 보어
40 커넥터 본체
41 관통 보어
42 단부
44 단부
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47 표면
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49 돌출부
50 홈
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54 홈
56A 개구
56B 개구
56C 개구
58 헤드
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62 시일
70 유지 클립
72A 돌출부
72B 돌출부
72C 돌출부
80 튜브 단부 형태
82 단부
83 섹션
84 반경방향 외향 표면
86 표면
87 견부 또는 비드
88 표면
89 섹션
90 반경방향 외향 표면
92 단부
94 관통 보어
110 유체 커넥터
120 팽창 링
122 단부
124 반경방향 외향 표면
126 홈
128 단부
130 리세스
132 표면
134 관통 보어
140 커넥터 본체
141 관통 보어
142 단부
144 단부
146 반경방향 내향 표면
147 표면
148 반경방향 내향 표면
150 홈
152 반경방향 외향 표면
154 홈
156A 개구(도시되지 않음)
156B 개구(도시되지 않음)
156C 개구(도시되지 않음)
158 헤드
160 반경방향 외향 표면
162 시일
AD1 축방향
AD2 축방향

Claims (20)

  1. 보어, 유지 클립, 및 튜브 단부 형태를 갖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를 위한 팽창 링이며, 팽창 링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팽창 링은 커넥터 본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
  2. 제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홈을 포함하는 팽창 링.
  3. 제2항에 있어서,
    홈은 절두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는 팽창 링.
  4. 제2항에 있어서,
    홈은 유지 클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유지 클립에 결합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팽창 링.
  5. 제2항에 있어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팽창 링은 유지 클립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 단부 형태는 팽창 링을 제1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팽창 링 및 튜브 단부 형태의 견부는 커넥터 본체의 보어에 고정되는 팽창 링.
  6.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부는 표면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팽창 링.
  7. 제6항에 있어서,
    표면은 튜브 단부 형태의 견부에 결합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팽창 링.
  8. 유체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홈;
    제1 홈 내에 배치되는 시일; 및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커넥터 본체 상에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및
    팽창 링으로서,
    제1 단부;
    제2 단부;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관통 보어를 포함하고, 팽창 링은 제1 관통 보어 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팽창 링은 유지 클립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팽창 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하는 유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외향 표면은 제2 홈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홈은 절두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 단부 형태는 팽창 링을 제1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팽창 링 및 튜브 단부 형태는 커넥터 본체의 제1 관통 보어 내에 고정되는 유체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부는 시일을 제1 홈 내에 포위하는 유체 커넥터.
  14. 제8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시일을 제1 홈 내에 포위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15. 제8항에 있어서,
    제2 단부는 표면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표면은 튜브 단부 형태의 견부에 결합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체 커넥터.
  17. 유체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로서,
    제1 관통 보어;
    제1 관통 보어 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홈;
    제1 홈 내에 배치되는 시일; 및
    제1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도록 커넥터 본체 상에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제1 관통 보어 내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는 팽창 링으로서, 팽창 링은,
    제1 단부;
    제2 단부;
    제2 홈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외향 표면; 및
    제2 관통 보어를 포함하는,
    팽창 링; 및
    커넥터 본체에 연결되도록 동작적으로 배치되는 튜브 단부 형태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홈은 유지 클립에 결합되며, 유지 클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로 유지되는 유체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에서, 튜브 단부 형태는 팽창 링을 제1 관통 보어 내에서 제1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고, 팽창 링 및 튜브 단부 형태는 유지 클립을 통해 커넥터 본체 내에 고정되는 유체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단부는 시일을 제1 홈 내에 포위하는 유체 커넥터.
KR1020227024307A 2019-12-19 2019-12-19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KR20220107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9/067538 WO2021126215A1 (en) 2019-12-19 2019-12-19 Fluid connector with an expansion 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308A true KR20220107308A (ko) 2022-08-02

Family

ID=6941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307A KR20220107308A (ko) 2019-12-19 2019-12-19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9935A1 (ko)
EP (1) EP4078000A1 (ko)
JP (1) JP7432731B2 (ko)
KR (1) KR20220107308A (ko)
CN (1) CN114829823A (ko)
WO (1) WO2021126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9700B1 (fr) * 2021-11-30 2023-10-13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e raccords a montage rapide comportant une protection d’une surface contribuant a l’etancheite de l’ensemble une fois assemb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6135B1 (fr) * 1995-06-28 1997-08-29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raccord rapide entre une tubulure et un embout, notamment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equipe d'un tel dispositif
JP2002267071A (ja) * 2001-03-09 2002-09-18 Inax Corp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JP4529658B2 (ja) *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60145475A1 (en) * 2004-12-30 2006-07-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wire retainer
CA2826829A1 (en) * 2011-02-11 2012-08-16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WO2016081590A1 (en) * 2014-11-20 2016-05-26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connector
US11098833B2 (en) * 2016-10-28 2021-08-24 Piolax, Inc. Quick connector
US10781958B2 (en) * 2017-10-31 2020-09-22 Oetiker Ny, Inc. Low peak insertion tube end 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9823A (zh) 2022-07-29
US20230019935A1 (en) 2023-01-19
JP2023507579A (ja) 2023-02-24
EP4078000A1 (en) 2022-10-26
JP7432731B2 (ja) 2024-02-16
WO2021126215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0793B1 (en) Coupling adapter and assembly
CA1095100A (en) Quick connect fluid fitting
KR100246176B1 (ko) 포지티브 트랜지션 급속 결합 커플링
US6880864B2 (en) Tube joint with attachment and detachment mechanism
WO1993020380A1 (en) Tube coupling with secondary retainer clip
WO2015081291A1 (en) A fluid coupling with lock connection
KR20220107308A (ko) 팽창 링을 갖는 유체 커넥터
US11143311B2 (en) Valve seat and cage assembly
US4715107A (en) Method of forming an airspring with pneumatic fitting
CA2015826C (en) Socket assembly
KR20220113512A (ko) 유지 클립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US7108296B2 (en) Fluid quick connector for threaded fluid components
KR20230093460A (ko) 유체 연결 조립체
JP3219074B2 (ja) ホース継手
US20230392732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KR20220110311A (ko) 내부 유지 클립을 포함하는 유체 커넥터
US20230366496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30375113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US20230258290A1 (en) Fluid connection assembly
CN112004997B (zh) 在套筒形液力引导元件上具有密封轮廓的控制阀;及具有控制阀和凸轮轴相位器的部件
JP2000283362A (ja) ホース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80710A (ja) シリンダ装置
ZA200303368B (en) Coupling adapter and assembly.
KR19990036892U (ko) 관형결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