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870A -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870A
KR20220106870A KR1020210009075A KR20210009075A KR20220106870A KR 20220106870 A KR20220106870 A KR 20220106870A KR 1020210009075 A KR1020210009075 A KR 1020210009075A KR 20210009075 A KR20210009075 A KR 20210009075A KR 20220106870 A KR20220106870 A KR 2022010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ackaging container
receiving body
wrapping pape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21000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6870A/ko
Publication of KR2022010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12Cooking fri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는 수 개의 결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수용 본체(1), 음식물의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전체를 에워싸도록 구비된 내용물 포장지(2), 내부 음식물의 최상부 위에 놓여지고 내용물 포장지(2)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지는 내부 덮개(3),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그 하부 가장자리 단부가 수용 본체(1)의 상단부위로 약간 돌출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고깔모양의 외장 덮개(4)와, 상기 외장 덮개(4)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에서 누르면서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 내측에 밀착되고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되는 결착구(6)가 구비된 환상의 고리체(5)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순서대로 조립되고 고리체(5)의 결착구(6)가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는 밀폐도가 뛰어나서 음식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어 배달동안에도 식지 않아 구이 닭이나 오리고기, 각종 튀김 등의 온열 음식물을 막 조리되었을 때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포장작업이 용이하며 상품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with excellent insulation and storage}
본 발명은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밀폐도를 높여서 배달동안 포장된 음식물의 온도를 식지 않도록 유지하여 소비자에게 최상의 맛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포장 작업이 용이한 일회용 조립식 음식물 포장용기에 대한 것이다.
요즈음 사람들의 생활이 바빠지고 외식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간식용 피자나 닭 등과 같은 구이나 튀김 음식을 비롯하여 김치나 반찬 등과 같은 주식용 음식물에 이르기까지 가정에서 직접 조리하기보다는 전문 업소의 상품을 배달 받고 있다.
특히 배달 음식 중 닭구이나 튀김 등의 기름진 온열 음식물은 배달되는 동안 식으면 기름이 끼고 맛이 크게 떨어지므로 되도록 이면 식지 않도록 비닐 팩이나 랩 등으로 싼 후 솜이나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체가 내장된 가방이나 박스 등의 보온 가능한 수납용기에 넣어 배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거리나 교통 사정상 배달시간이 다소 길어지면 많이 식을 뿐 아니라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으며, 또 지체 없이 배달될 수 있도록 서두르다 보니 오토바이나 자동차를 이용한 배달사고도 종종 일어나고 있어서 배달 측면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오리고기가 건강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오리고기는 닭고기보다도 기름성분이 더 많아서 식으면 기름이 많이 끼고 맛도 상당히 떨어지므로 오리고기와 같은 기름진 온열 음식물은 배달되지 않고 대부분 직접 음식점으로 가서 먹을 수밖에 없었으며, 간혹 포장 배달이 된다고 하여도 반드시 다시 데워먹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닭고기보다 인체 건강에 유익하다는 유황오리의 기름진 온열 음식물을 잘 포장하여 식지 않도록 배달할 수만 있다면 그 수요가 급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오리고기처럼 기름진 음식물도 기름이 끼지 않도록 따뜻한 상태로 포장하여 배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음식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게끔 밀폐도가 뛰어나서 구이 닭이나 오리고기, 또는 각종 튀김 등의 따뜻한 음식물을 막 조리되었을 때와 동일한 상태와 온도를 그대로 잘 유지하여 소비자에게 최상의 맛과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고, 포장 작업이 용이하며, 상품의 가치 또한 일층 증진시킬 수 있는 저렴한 일회용 포장용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는 음식물의 온도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게끔 밀폐도가 뛰어나서 구이 닭이나 오리고기를 비롯하여 각종 튀김, 피자 등 각종의 따뜻한 음식물이 배달되더라도 소비자에게 막 조리되었을 때의 상태와 온도를 그대로 잘 유지하여 주므로 최상의 맛을 제공해 줄 수 있고, 또 포장 작업이 용이하고 미감이 우수하여 제품의 상품가치를 일층 증진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일회용 포장용기로서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일 구체례에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수용 본체에 토기판상체가 추가 설치될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수용 본체에 은박지가 추가 설치될 경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또 다른 구체례에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에 있어서의 고리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구체례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에서 고리체가 수용 본체에 내장될 경우의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 본체, 상기 수용 본체에 위치되며 음식물의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전체를 에워싸도록 구비된 내용물 포장지, 상기 내용물 포장지의 상부 개봉 부분을 통하여 내부 음식물의 최상부 위에 놓여지고 상기 내용물 포장지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지는 내부 덮개, 상기 내용물 포장지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그 전 둘레의 하부 가장자리 단부가 상기 수용 본체의 상단부 위로 약간 돌출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고깔모양으로 형성되는 외장 덮개와, 상기 외장 덮개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에서 누르면서 상기 수용 본체의 플랜지 내측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환상의 고리체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순서대로 조립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는 포장용기 전체의 견고성과 보온성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하여 토기판상체 또는 은박지를 상기 수용 본체의 내부 바닥에 추가 위치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토기판상체 및 은박지 둘다를 기재순대로 차례로 상기 수용 본체의 내부 바닥에 부가 적층할 수도 있다.
토기판상체는 그 재질 특성상 보온력이 뛰어나고 수용 본체를 지지하여 주므로 배달과정 동안 충격이 있더라도 포장 형태를 잘 유지하여주는 이점이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수용 본체의 내부 바닥의 크기와 거의 같거나 약간 작아야 된다.
또 상기 은박지는 수용 본체 내에 놓여지는 내용물 포장지의 하단부를 둘러쌀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수용 본체의 플랜지위로 약간 돌출되는 크기의 것이 바람직하며, 은박지는 음식물에서 나오는 기름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내용물 포장지를 지지하여 배달동안의 움직임에도 음식물의포장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용 본체는 원형 또는 삼각,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원형이나 팔각형일 경우 조립 후 그 형태가 우수하고 일차 먹고 남은 음식물을 전자레인지 등을 사용하여 데울 때 사용하기가 편리하므로 원형이나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 본체는 그 플랜지에 수 개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함께 사용되는 고리체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착구가 구비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또 다른 구체례로서, 상기 수용부가 다각형일 경우에는 상기 수용 본체의 플랜지 상단부가 내부 중심으로 ㄱ자형을 이루도록 구부러지며, 이 때 상기 수용 본체의 플랜지 내부에 결착되는 고리체는 상기 수용 본체의 형상에 맞추어 각을 이루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연속하는 이중 띠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 선단부가 두 부분으로 갈라져서 대략 ㄷ자형으로 홈을 형성하여서 그 타 선단부가 그 홈으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양 선단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의 대표적인 제1 구체례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는 일반 용기와 같이 중간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보유하고 위쪽이 개방되어 있는 수용 본체(1)가 기부(基部)로서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수용 본체(1)에는 수 개의 결합홈(7)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구체례에서의 상기 수용 본체(1)는 도 1에 원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삼각,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본체(1)의 중간 공간부에는 조리된 오리고기나 닭고기 등의 음식물 전 주위를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에워싼 내용물 포장지(2)가 놓여지며 이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봉하기 전에 상부 개봉 부분을 통하여 그 내부 음식물의 최상부 위에 원뿔형의 내부 덮개(3)가 위치된다.
상기 내용물 포장지(2)는 그 형태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고 단지 내용물을 충분히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족하며, 기름을 흡수할 수 있고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재질의 얇은 도화지와 같은 지류가 사용된다.
상기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그 전 둘레의 하부 가장자리 단부가 상기 수용 본체(1)의 상단부위로 약간 돌출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고깔모양의 외장 덮개(4)가 놓여진다. 상기 외장 덮개(4)의 하단부의 형태는 특별히 구애됨이 없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상형을 이룰 경우 그 가장자리 최단부가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위로 돌출되면서 수려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덮개(4)를 위에서 누르면서 상기 수용부(1)의 플랜지(1a) 내측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환상의 고리체(5)에는 수용부(1)의 결합홈(7)에 삽입되는 결착구(6)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이 차례로 위치되어 조립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고리체(5)의 결착구(6)가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는 일체적으로 조립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를 이루는 수용 본체(1), 내용물 포장지(2), 내부 덮개(3), 외장 덮개(4) 및 고리부(5)는 모두 소독 등의 위생처리된 종이재질로 제조되는데, 일례로 수용 본체(1) 및 고리체(5)는 골판지나 하드보드와 같이 어느 정도의 경도 및 두께가 있는 가벼운 지류(紙類)가 적용되며, 내부 덮개(3) 및 외장 덮개(4)는 수용 본체(1) 및 고리체(5)보다는 얇고 부드러운, 예컨대 마분지정도의 두께 및 재질의 것이 적용된다.
외장 덮개(4)의 형상은 원뿔 내지는 고깔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장의 형태 구조상 바람직하나, 내부 덮개(3) 역시도 원뿔형상이 바람직하며,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의 것도 적용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수용 본체(1)위에 토기판상체(8) 또는 은박지(9), 또는 이들 모두가 더 적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포장 용기에 지지력 및 보온성을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구체례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의 수용 본체(1′)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맞추어 그 상부의 고리체(5′)도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수용 본체(1′)의 상단부(1b)는 내부 중심 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즉 도 1 내지 도 6에서와는 달리,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또 다른 구체례에서는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 상단부(1b)는 내부 중간을 향하여 살짝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리체(5′)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제1 구체례에서와는 달리 수용 본체(1′)의 다각 형상에 맞추어 각을 이루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연속하는 이중 띠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 측 단부가 두 선단부(10c)(10d)로 갈라지면서 대략 ㄷ자형의 홈(11)을 형성하여서 그 타 측의 선단부(10a)(10b)가 상기 홈(11)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완전한 고리형상을 이룬다. 다시 말해, 원하는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일련의 이중 띠 형상의 반 조립상태의 고리체(5′)가 수용 본체(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선단부(10a)(10b)가 타 선단부(10c)(10d)사이의 홈(11)에 결합됨으로써 환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도 7-9에 도시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는 수용 본체(1′) 및 고리체(5′)의 구조가 도 1내지 6에 도시된 구체례에서의 것과 다를 뿐, 그 외 내용물 포장지(2), 내부 덮개(3) 및 외장 덮개(4)의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도 7-9의 수용 본체(1′)는 팔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육각형이나 사각형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팔각형상일 경우 꼭지점(a)(b)(c)(d)(e)(f)(g)(h)(i)이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고리체(5′)의 선단부(10a)(10b)(10c)(10d)사이의 결착력과 포장용기 자체의 지지력이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고리체(5′)는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의 상단부(1b)가 중심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므로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에 인접하도록 일단 끼워지면 상단부(1b)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수용 본체(1′)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를 사용하여 포장할 경우, 먼저 내용물 포장지(2) 속에 조리된 음식물이 싸여지도록, 펼쳐진 내용물 포장지(2)의 중심에 음식물을 놓고 음식물의 밑에서부터 위로 내용물 포장지(2)를 둘러싼 후 이를 수용 본체(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다음, 상기 내용물 포장지(2)의 상부의 미폐쇄된 개봉 부분을 통하여 음식물 위에 내부 덮개(3)를 위치시킨 후 상기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봉하고, 그 위에 외장 덮개(4)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1 구체례에서의 수용 본체(1)의 경우에는 고리체(5)를 상기 외장 덮개(4)를 살짝 누르면서 수용부(1)의 플랜지(1a)의 내측에 끼우고(도 2 참조), 고리체(5)의 결착구(6)를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되며(도 1-6 참조), 제2 구체례에서의 수용 본체(1′)의 경우에는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형성된 반 조립 상태의 고리체(5′)를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 내측에 삽입하고 그 일 측의 선단부(10a)(10b)를 타 측의 두 선단부(10c)(10d)사이의 홈(11)에 끼우면 조립이 완성된다(도 7-9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A)는 구조적으로 조립공정이 간단하며, 종이 재질로 형성되나 그 견고성이 뛰어나고 배달과정동안 음식물이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완전히 폐쇄되므로 산화되거나 식어서 음식물의 맛이 변질될 우려가 전혀 없다.
A : 포장용기 1, 1′ : 수용 본체
1a : 플랜지(flange) 1b : 상단부
2 : 내용물 포장지 3 : 내부 덮개
4 : 외장 덮개 5, 5′: 고리체
6 : 결착구 7 : 결합홈
8 : 토기판상체(土器板狀體) 9 : 은박지
10a, 10b, 10c, 10d : 선단부 11 : 홈
a, b, c, d, e, f, g, h : 꼭지점

Claims (5)

  1. 음식물을 배달하기 위한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으며 그 플랜지(1a)에 수 개의 결합홈(7)을 구비하고 있는 수용 본체(1), 상기 수용 본체(1)에 위치되며 음식물의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전체를 에워싸도록 구비된 내용물 포장지(2), 상기 내용물 포장지(2)의 상부 개봉 부분을 통하여 내부 음식물의 최상부 위에 놓여지고 상기 내용물 포장지(2)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지는 내부 덮개(3), 상기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그 전 둘레의 하부 가장자리 단부가 상기 수용 본체(1)의 상단부 위로 약간 돌출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고깔모양으로 형성되는 외장 덮개(4)와, 상기 외장덮개(4)의 가장자리 인접부분을 위에서 누르면서 상기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되는 결착구(6)가 구비된 환상의 고리체(5)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순서대로 조립되고 상기 고리체(5)의 결착구(6)가 상기 수용 본체(1)의 결합홈(7)에 삽입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가능한 조립
    식 음식물 포장용기.
  2. 음식물을 배달하기 위한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각형상의 수용 본체(1′), 상기 수용 본체(1′)에 위치되며 음식물의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전체를 에워싸도록 구비된 내용물 포장지(2), 상기 내용물 포장지(2)의 상부 개봉 부분을 통하여 내부 음식물의 최상부 위에 놓여지고 상기 내용물 포장지(2)에 의하여 완전히 덮여지는 내부 덮개(3), 상기 내용물 포장지(2)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그 전 둘레의 가장자리 단부가 상기 수용 본체(1′)의 상단부 위로 약간 돌출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고깔모양으로 형성되는 외장 덮개(4)와, 상기 외장 덮개(4)의 가장자리 인접 부분을 위에서 누르면서 상기 수용 본체(1′)의 플랜지(1a)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수용 본체(1)의 다각 형상에 맞추어 각을 이루면서 접혀질 수 있도록 연속하는 이중 띠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 측 단부가 두 선단부(10c)(10d)로 갈라지면서 대략 ㄷ자형의 홈(11)을 형성하여서 그 타 측의 선단부(10a)(10b)가 상기 홈(11) 내부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환상의 고리체(5′)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순서대로 조립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본체(1) 위에 토기판상체(8) 가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본체(1) 위에 은박지(9)가 더 적층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본체(1) 위에 토기판상체(8) 와 은박지(9)가 차례로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KR1020210009075A 2021-01-22 2021-01-22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KR20220106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75A KR20220106870A (ko) 2021-01-22 2021-01-22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075A KR20220106870A (ko) 2021-01-22 2021-01-22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70A true KR20220106870A (ko) 2022-08-01

Family

ID=8284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075A KR20220106870A (ko) 2021-01-22 2021-01-22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68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2898T3 (es) Envas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de soporte manual.
US7871653B2 (en) Double-stack shrimp tray
ES2237620T3 (es) Envase para usar al cocinar productos de masa y alimenticios en un horno de microondas.
JPH0297826A (ja) 電子レンジ内で食品をかりかりに及び褐色に焼くためのスリーブ、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パッケージ及びその利用方法
US4018905A (en) Taco package
US20010001674A1 (en)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JPH0246469B2 (ko)
JP2014522789A (ja) 可食製品用のパッケージおよび該パッケージ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CA2405562C (en) Microwavable meal kit and food packaging system
US4248901A (en) Combination package and sleeve support means
JP2017165422A (ja) 包装用容器
US7763296B2 (en) Food items, systems and methods
PL178413B1 (pl) Opakowanie spożywcze, zwłaszcza kanapki w postaci walca o niewielkiej wysokości
EP2152604B1 (en) Packaging for microwave preparation of cookies
KR20220106870A (ko) 보온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포장용기
US20060210677A1 (en) Food products having handheld holders, food holders, and methods of serving foods
KR100594511B1 (ko) 보온 가능한 조립식 음식물 포장용기
JP2529108Y2 (ja) 紙容器
JP7417238B2 (ja) 包装用容器
US20060172045A1 (en) Peelable handheld food container
JPH0110380Y2 (ko)
JPH027822Y2 (ko)
JP7296167B1 (ja) 串刺し食品用包装容器、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串刺し包装食品
CN210406995U (zh) 方便蛋
KR200386379Y1 (ko) 포장 군고구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