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201A - fuel tanks, and ships - Google Patents

fuel tanks, and shi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201A
KR20220106201A KR1020227022520A KR20227022520A KR20220106201A KR 20220106201 A KR20220106201 A KR 20220106201A KR 1020227022520 A KR1020227022520 A KR 1020227022520A KR 20227022520 A KR20227022520 A KR 20227022520A KR 20220106201 A KR20220106201 A KR 2022010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storage
fuel
fuel tank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토시 미야자키
신 우에다
도모아키 오자키
고이치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2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6Fluid distribution for feeding engines f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는,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료가 유통되는 배관부와,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배관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최초로 배관부에 형성되는 밸브와,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적어도 밸브까지를 기밀 가능하게 덮는 방벽부를 구비하고, 방벽부는,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된다.A fuel tank mounted on a ship includes a storage portion in which fuel is stored, a pip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rough which fuel flows, and a piping portion fir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iping portion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 valve formed therein is provided, and a barrier portion covering at least the valve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in an airtight manner is provided, and the barrier portion is lower than the storage portion and is provided in a barrier portion installation portion that is a part of a ship.

Description

연료 탱크, 및 선박fuel tanks, and ships

본 개시는, 연료 탱크, 및 연료 탱크가 탑재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uel tank and a ship on which the fuel tank is mounted.

선박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에는, 액화 천연 가스 (LNG) 나 액화 프로판 가스 (LPG) 등의 액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저장부에는, 저장부 내에 액화 가스를 주입하거나, 저장부 내로부터 액화 가스를 배출하거나 하기 위한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액화 가스가 주기 (主機) 를 향하여 유통되는 배관을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The storage part for storing liquefied ga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liquefied propane gas (LPG), may be formed in the fuel tank mounted on a ship. A pipe for injecting liquefied gas into the storage unit or discharging the liquefied gas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hip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liquefied gas, and a pipe through which the liquefied gas stored in the storage unit flows toward a main body.

선박에 연료 탱크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저온의 액화 가스에 의한 열 수축을 고려하여, 저장부는 새들 상에 재치 (載置) 하는 경우가 많다. 또, 배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배관 상에서 가장 저장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밸브 (제 1 밸브) 까지를 기밀하게 덮는 방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벽 내에는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 (TCS) 로 불리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설령, 연료 탱크와 제 1 밸브의 접속부로부터 액화 가스가 누설되었다고 하더라도, TCS 내에 격납된다.When mounting a fuel tank on a ship, a storage part is mounted on a saddle in consideration of the thermal contraction by low-temperature liquefied gas in many cases. Moreover,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piping, it is necessary to form the barrier which airtightly covers up to the valve (1st valve) formed in the position closest to a storage part on piping. A space called a tank connection space (TCS) is formed in this barrier. Even if liquefied gas leaks from the connection part of a fuel tank and a 1st valve, it is stored in TCS.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7690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8-176900

배관은,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로써, 액화 가스의 배출시에 액화 가스의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펌프의 설치 대수를 삭감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밸브까지를 방벽으로 기밀하게 덮기 위해, 방벽도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즉 매달린 구조가 되게 된다. 방벽은 기밀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 또, 방벽은 저장부로부터 누설된 저온·고압의 액화 가스를 격납하였을 때에도 유의한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로 할 것도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방벽은 두께를 두껍게 함과 함께 방벽끼리를 견고하게 조합할 필요가 있다, 또, 저장부의 하방에 TCS 를 형성할 공간이 필요해짐으로써, 새들을 고정시키는 바닥면 등으로부터 저장부의 재치 위치까지의 높이가 높아진다. 저장부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TCS 의 용량도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는 더욱 높게 할 필요도 있다. 선체 동요에 수반하여 저장부 등이 받는 가속도는, 상기 높이가 높을수록 커진다. 따라서, 저장부나 배관 등의 건전성 (建全性) 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장부의 지지 구조를 보다 강인하게 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특허문헌 1 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요구되는 대응은, 연료 탱크의 고비용화, 중량화로 이어지게 된다.The pipe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utilize the gravity of liquefied gas at the time of discharge|emission of liquefied gas, and it is known that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a pump can be reduced. In this case, in order to hermetically cover up to the first valve with the barrier as described above, the barrier also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ie, has a suspended structure. The barrier needs to ensure confidentiality. In addition, the barrier is also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prevents significant deformation even when storing the low-temperature/high-pressure liquefied gas leaked from the storage uni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and firmly combine the barrier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 space for forming the TCS is required below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storage unit is placed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 the saddle is fixed, etc. increase in height to As th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increases,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TCS. Acceleration received by the storage unit or the like accompanying the hull sway becomes larger as the height is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e soundness of a storage part, piping, etc.,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upport structure of a storage part more rigid. That is, the response required in the structure similar to patent document 1 leads to cost increase and weight increase of a fuel tank.

본 개시는, 상기 서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박에 탑재되고,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배관이 연장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보다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저장부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 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n a fuel tank mounted on a ship and having a pip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more soundness can be ensured by configuring the storage unit at a lower cost and light weigh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tan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관련된 연료 탱크는, 선박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로서,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료가 유통되는 배관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배관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배관부에 형성되는 밸브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밸브까지를 기밀 가능하게 덮는 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벽부는, 상기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상기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uel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fuel tank mounted on a ship, and includes a storage unit in which fuel is stored, a piping uni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and through which the fuel is circulated; , a valve formed in the piping portion fir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iping portion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a barrier portion that airtightly covers at leas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to at least the valve, wherein the barrier portion , is lower than the storage unit, and is installed in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that is a part of the ship.

본 개시의 연료 탱크에 의하면, 방벽부는,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되므로, 방벽부를 방벽부 설치부로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벽부가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되지 않고, 저장부에 매달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방벽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연료 탱크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el tank of this indication, since a barrier part is below a storage part, and is provided in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which is a part of a ship, a barrier part can be supported by a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from below.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barrier part is not provided in a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but hangs on a storage part, since a barrier part can be comprised cheaply and lightweight, the soundness of a fuel tank can be ensured more.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료 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료 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방벽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방벽부의 설명을 위해 연료 탱크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방벽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방벽부의 설명을 위해 연료 탱크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에 관련된 배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관부의 설명을 위해 연료 탱크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련된 저장부의 바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저장부의 바닥부의 설명을 위해 연료 탱크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 은, 제 6 변형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저장부의 바닥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schematic which showed the structure of the fuel tank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el tan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tank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tank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rier part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for explanation of the barrier part.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rier part according to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for explanation of the barrier part.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iping part according to a fif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for explanation of the piping part.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ixth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tank for explanation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ottom portion of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ixth modification.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의한 연료 탱크, 및 이 연료 탱크가 탑재되는 선박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uel tan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and the ship on which this fuel tank is mounted are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These embodiments show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not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and can be arbitrari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 (1) 는, 선박 (100) 에 탑재되는 것이다. 이 연료 탱크 (1) 는, 저장부 (2) 와, 배관부 (4) 와, 제 1 밸브 (6) 와, 방벽부 (8) 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서는, 선박 (100) 의 선미에서 선수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선박 (100) 의 선수에서 선미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the structure of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 , the fuel tank 1 is mounted on the ship 100 . This fuel tank 1 is equipped with the storage part 2, the piping part 4, the 1st valve 6, and the barrier part 8. As shown in FIG. In this indication, let the direction which goes to a bow from the stern of the ship 100 forward, and let the direction which goes to a stern from the bow of the ship 100 be rearward.

저장부 (2) 는, 내부에 저장 공간 (3) 이 형성되고, 이 저장 공간 (3) 내에 연료 (F) 가 저장되는 것이다 (도 2 참조). 이와 같은 저장부 (2)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고, 홑겹 껍질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저장부 (2) 는, 전후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되는 2 개의 새들 (10A, 10B) 에 재치되어 있다. 저장부 (2) 와 2 개의 새들 (10A, 10B) 사이에는, 단열재 (14) 가 배치되어 있다. 새들 (10A, 10B) 은, 선박 (100) 의 선체 (7) 의 상갑판 (12) (방벽부 설치부)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갑판 (12) 이란, 선체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최상층의 전통 (全通) 갑판이다. 저장부 (2) 에 저장되는 연료 (F) 는 선박 (100) 의 항행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것이며, LNG 나 LPG 의 액화 가스가 예시된다.The storage unit 2 has a storage space 3 formed therein, and the fuel F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 (see FIG. 2 ). Such a storage part 2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comprised with single-layer shell structure. The storage unit 2 is mounted on two saddles 10A, 10B arranged in a row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reservoir 2 and the two saddles 10A, 10B, an insulating material 14 is arranged. The saddles 10A and 10B are provided on the upper deck 12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of the hull 7 of the ship 100 . Here, the upper deck 12 is the uppermost traditional deck constituting the main part of the hull. The fuel F stored in the storage part 2 is usable for navigation of the ship 100, and the liquefied gas of LNG or LPG is illustrated.

저장부 (2) 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 새들 (10A) (고정 새들) 에 고정되어 있다. 본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저장부 (2) 의 하부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후방 새들 (10A) 의 전후로부터 사이에 두는 구조나, 양자를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 구조 등이 취해진다. 또, 저장부 (2) 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새들 (10B) (맞닿음 새들) 과 맞닿아 있다. 또한, 저장부 (2) 를 고정시키는 새들은, 후방 새들 (10A) 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새들 (10B) 이어도 상관없다. 고정 새들은, 열 수축에 수반되는 전후 방향으로의 저장부 (2) 의 변위에 수반하여 배관부 (4) 에 발생하는 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맞닿음 새들보다 배관부 (4) 의 저장부 (2) 의 하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점에 가까운 새들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portion 2 is fixed to a rear saddle 10A (fixed saddle) located on the rear side. This fixing means takes,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2 and sandwich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rear saddle 10A, a structure in which both are fixed with bolts, and the like. Moreover, the storage part 2 abuts with the front saddle 10B (abutting saddle)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addition, the saddle which fixes the storage part 2 is not limited to the rear saddle 10A, It may be the front saddle 10B. The stationary saddle considers the influence of the stress generated in the piping portion 4 accompanying the displacement of the storage portion 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mpanying thermal contraction, the storage portion of the piping portion 4 rather than the abutment saddle. (2) is preferably a saddle close to the point extending from below.

배관부 (4) 는, 저장부 (2) 의 바닥부 (5) (하벽면)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배관부 (4) 는, 저장부 (2)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와 연료 조정부 (20) 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조정부 (20) 는, 저장부 (2) (연료 탱크 (1)) 로부터 공급된 연료 (F) 에 압축, 기화, 조압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도시가 생략된 엔진에 공급한다.The pipe part 4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part 5 (low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part 2 . The piping part 4 is able to connect the storage part 2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and the fuel adjustment part 20. After the fuel adjustment unit 20 processes the fuel F supplied from the storage unit 2 (fuel tank 1), such as compression, vaporization, and pressure regulation, it is supplied to an engine (not shown).

제 1 밸브 (6) 는, 배관부 (4) 에 형성된 1 개 이상의 밸브 중, 저장부 (2) 의 바닥부 (5) 로부터 배관부 (4) 가 연장되는 연장 방향 (D) 에 있어서 가장 저장부 (2) 에 가까운 것이다. 제 1 밸브 (6) 는, 배관부 (4) 를 유통하는 연료 (F) 의 유통량을 조절 가능하다.The 1st valve 6 stores the most in the extension direction D in which the piping part 4 extends from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among one or more valves formed in the piping part 4 . It is close to part (2). The 1st valve 6 can adjust the flow amount of the fuel F which flows through the piping part 4 .

방벽부 (8) 는, 방벽에 의해 박스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격납 공간 (9)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 을 형성하고 있다. 방벽부 (8) 는, 저장부 (2) 의 바닥부 (5) 로부터 적어도 제 1 밸브 (6) 까지를 기밀 가능하게 덮고 있다. 방벽부 (8) 는, 저장부 (2) 보다 하방이고, 선박 (100) 의 일부인 상갑판 (12) (방벽부 설치부) 에 설치된다. 요컨대,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제 1 밸브 (6) 와, 배관부 (4) 중 상갑판 (12)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밀 가능하게 덮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갑판 (12) 의 일부를 방벽부 (8) 의 방벽으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벽부 (8) 를 설치한 지점에 있어서의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에 면하는 상갑판 (12) 의 상면 (설치면) 을 박스상체의 일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이 방벽부 (8) 는, 저장부 (2) 에 저장되는 연료 (F) 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료 (F) 가 LNG 인 경우에는 특히 저온 인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9 % 니켈강 등으로 구성된다. 또, 연료 (F) 가 LPG 인 경우에는 비교적 저비용인 저온용 강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적어도 그 일부를 상갑판 (12) 에 배치한 방벽부 설치체 (13) (방벽부 설치부) 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이 방벽부 설치체 (13) 는, 예를 들어, 상갑판 (12) 위에 설치한 대 (臺) 이다. 이 때, 방벽부 설치체 (13) 의 일부를 방벽부 (8) 의 방벽으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The barrier part 8 is formed in box shape by the barrier, and forms the storage space 9 (tank connection space) in the inside. The barrier part 8 has covered from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to the 1st valve 6 at least so that airtightness is possible. The barrier part 8 is below the storage part 2,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deck 12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which is a part of ship 100. That is, in 1st Embodiment, the barrier part 8 has covered the 1st valve 6 and the part located above the upper deck 12 among the piping parts 4 so that airtightness is possible. In the first embodiment, a part of the upper deck 12 can also function as a barrier of the barrier portion 8 .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upper deck 12 facing the bottom portion 5 of the storage portion 2 at the point where the barrier portion 8 is installed can function as one surface of the box body. . Moreover, this barrier part 8 is comprised from the suitable materia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uel F stored in the storage part 2 . For example, when the fuel F is LNG, it is composed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9% nickel steel, or the like which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low-temperature toughness. Moreover, when the fuel F is LPG, it is comprised from comparatively low-cost low-temperature steel materials, etc.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some embodiment, the barrier part 8 may be provided in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13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which arrange|positioned at least the part in the upper deck 12. none. This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13 is a stand provided on the upper deck 12, for example. At this time, a part of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13 can also be made to function as a barrier of the barrier part 8. As shown in FIG.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방벽부 (8) 는, 저장부 (2) 보다 하방이고, 선박 (100) 의 상갑판 (12) 또는 방벽부 설치체 (13) 에 설치되므로, 방벽부 (8) 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갑판 (12) 이나 방벽부 설치체 (13) 의 일부를 방벽부 (8) 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방벽부 (8) 가 저장부 (2) 에 매달리는 경우보다,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저장부 (2) 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 탱크 (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1st Embodiment, since the barrier part 8 is below the storage part 2,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deck 12 or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13 of the ship 100, the barrier part 8 It can be supported from below. Moreover, a part of the upper deck 12 and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13 can also be used as the barrier part 8.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e fuel tank 1 which can ensure the soundness of the storage part 2 cheaply and lightweight rather than the case where the barrier part 8 hangs on the storage part 2 .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배관부 (4) 는,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었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관부 (4) 는, 저장부 (2) 에 연료 (F) 를 주입하기 위한 배관이어도 되고, 저장부 (2) 에 대한 연료 (F) 의 주입·배출의 양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관이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새들 (10A, 10B) 은, 선박 (100) 의 선체 (7) 의 상갑판 (12) 상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갑판 (12) 상에 형성된 구조물 위에 2 개의 새들 (10A, 10B) 중 적어도 일방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성립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새들 (10A, 10B) 은 2 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 (2) 의 전후 방향 치수에 따라 임의의 원수 (員數) 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 새들 (10A) 과 전방 새들 (10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벽부 (8) 는 2 개의 새들 (10A, 10B) 사이 이외에 위치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단일의 배관부 (4) 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벽부 (8) 는, 복수의 배관부 (4) 를 덮도록 구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in 1st Embodiment, although the piping part 4 was piping for discharging the fuel F from the storage part 2,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pipe part 4 may be a pipe for injecting the fuel F into the storage part 2 , or may be a pipe configured to allow both injection and discharge of the fuel F into the storage part 2 . . Moreover, although it was said that the two saddles 10A, 10B are provided on the upper deck 12 of the hull 7 of the ship 100 in 1st Embodiment,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same holds true even when at least one of the two saddles 10A and 10B is formed on the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deck 12 .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re are 2 saddles 10A, 10B was shown in 1st Embodiment,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ront-back direction dimension of the storage part 2, you may form arbitrary raw water.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arrier portion 8 is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addle 10A and the front saddle 10B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barrier portion 8 may be positioned other than between the two saddles 10A, 10B. In addition, in 1st Embodiment, although the barrier part 8 was comprised so that the single piping part 4 might be covered,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barrier part 8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some piping part 4 may be covered.

(제 1 변형예)(1st modification)

도 4 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상갑판 (12) 상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개시는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요건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ith reference to FIG. 4,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1st modification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although the barrier part 8 was provided on the upper deck 12,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1st Embodiment. In the first modification,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벽부 (8) 는, 선박 (100) 의 선체 (7) 의 하방 갑판 (22) (방벽부 설치부) 상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방 갑판 (22) 이란, 상갑판 (12) 보다 하층에 위치하는 갑판이다. 편의상, 상갑판 (12) 과 하방 갑판 (22) 을 함께 갑판이라고 총칭한다. 요컨대, 방벽부 (8) 의 일부가 선체 (7) 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저장부 (2) 의 용량은, 예를 들어, 선박 (100) 의 항행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 1 밸브 (6) 나 배관부 (4) 의 배관 직경 등도 대형화하게 된다. 이 경우, 격납 공간 (9) 에 요구되는 용적도 커져, 대형의 방벽부 (8)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격납 공간 (9) 에 요구되는 용적은, 저장부 (2) 가 갖는 내압성이나 내온성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특히, 저장부 (2) 가 높은 내압성을 갖는 경우에는, 연료 (F) 가 누설되었을 때의 누설량이 많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격납 공간 (9) 의 용적을 더욱 크게 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 4, the barrier part 8 is provided on the lower deck 22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of the hull 7 of the ship 100. As shown in FIG. Here, the lower deck 22 is a deck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deck 12 . For convenience, the upper deck 12 and the lower deck 2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eck. That is, a part of the barrier part 8 is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ship body 7 . Th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2 is preferably made as large as possible, for example, in order to secure the navigation distance of the ship 100 . At this time, the piping diameter of the 1st valve 6 and the piping part 4, etc. will also enlarge. In this case, the volume requested|required of the storage space 9 also becomes large, an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large-sized barrier part 8.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volume requested|required of the storage space 9 changes also with the pressure resistance and temperature resistance which the storage part 2 has. In particular, when the storage unit 2 has high pressure resistance, the amount of leakage when the fuel F leaks may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volume of the storage space 9 .

저장부 (2) 나 방벽부 (8) 를 대형화하기 위해 2 개의 새들 (10A, 10B) 의 높이 (상하 방향의 치수) 를 크게 하면, 결국은 저장부 (2) 가 부피가 커지면, 예를 들어, 선체 (7) 가 동요하였을 때의 저장부 (2) 의 선폭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커진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2 개의 새들 (10A, 10B) 에 추가하여 저장부 (2) 를 지지하는 다른 지지 부재를 형성하거나, 2 개의 새들 (10A, 10B) 을 보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 1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저장부 (2) 나 방벽부 (8) 가 대형화되었다고 하더라도, 방벽부 (8) 의 일부가 선체 (7) 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저장부 (2) 는 부피가 커지지 않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지지 부재의 설치나 2 개의 새들 (10A, 10B) 의 보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 2 개의 새들 (10A, 10B) 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장부 (2) 를 대용량화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저장부 (2) 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 탱크 (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f the height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wo saddles 10A, 10B is increased in order to enlarge the storage portion 2 or the barrier portion 8, eventually the storage portion 2 becomes bulky, for example, , the acceleration in the line width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2 when the hull 7 is shaken increases. 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in addition to the two saddles 10A, 10B, another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torage unit 2 is formed, or the two saddles 10A, 10B are reinforced in some cases.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odification, even if the storage portion 2 or the barrier portion 8 is enlarged, a part of the barrier portion 8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ull 7, so the storage portion 2 is Since it is not bulk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support member as described above or to reinforce the two saddles 10A, 10B.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two saddles 10A, 10B can be made small.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even when the storage part 2 is made to have a large capacity,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e fuel tank 1 which can ensure the soundness of the storage part 2 at low cost and light weight.

또한, 제 1 변형예에서는, 방벽부 (8) 는 하방 갑판 (22) 상에 설치된다고 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방 갑판 (22) 에 형성된 도시가 생략된 방벽부 설치체 (방벽부 설치부) 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성립한다. 방벽부 설치체로는 설치대 등이 예시된다. 또, 방벽부 (8) 의 방벽의 일부는, 하방 갑판 (22) 이나 방벽부 설치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성립한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said that the barrier part 8 is provided on the lower deck 22 in a 1st modification,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same holds true even in a case where it is provided on the lower deck 22 and is provided on a non-illustrated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An installation table etc. are illustrated as a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In addition, a part of the barrier of the barrier part 8 holds similarly, also when using the lower deck 22 or a barrier part installation body.

(제 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5 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변형예는, 제 1 변형예에서 설명한 방벽부 (8)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변형예의 구성 요건과 동일한 것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변형예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벽부 (8)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5,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2nd modified exampl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 second modification further limited the configuration of the barrier portion 8 described in the first modification,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modification. In the second modification, the same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modification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addition, the 2nd modification may further limit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part 8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벽부 (8) 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이하, 단면 (S) 으로 한다) 의 면적이 방벽부 (8) 와 저장부 (2) 가 접속되는 접속 부분 (24) 에서 가장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벽부 (8) 는, 소직경부 (8a) 및 대직경부 (8b) 로 구성되어 있다. 소직경부 (8a) 는,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에 접속되고, 소직경부 (8a) 의 단면 (S) 의 형상을 유지하며 저장부 (2) 의 바닥부 (5)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대직경부 (8b) 는, 소직경부 (8a) 의 단면 (S) 의 면적을 확대시키며 소직경부 (8a) 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As shown in FIG. 5 , the barrier portion 8 has an area of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ross section S) is a connecting portion ( 24) is the smallest. In this embodiment, the barrier part 8 is comprised from the small diameter part 8a and the large diameter part 8b.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5 of the storage portion 2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S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5 of the storage portion 2 . part that extends to The large-diameter portion 8b i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while enlarging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S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제 2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열 수축이나 선체 동요에 의해 저장부 (2) 의 바닥부 (5) 가 변위되었을 때에, 저장부 (2) 와 방벽부 (8) 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면 (S) 의 면적이 접속 부분 (24) 에서 가장 작아지는 것이면, 본 개시는 제 2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직경부 (8a) 는, 테이퍼상 등, 하방을 향함에 따라 단면 (S) 의 면적이 커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modification, when the bottom portion 5 of the storage portion 2 is displaced due to thermal contraction or hull fluctuation, the stres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torage portion 2 and the barrier portion 8 is reduced. can be reduced. Furth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econd modification as long as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S is the smallest at the connecting portion 24 . For example, the small diameter part 8a may be comprised so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S becomes large as it goes downward, such as a taper shape.

(제 3 변형예)(3rd modification)

도 6 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변형예는, 제 2 변형예에서 설명한 방벽부 (8)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 2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 3 변형예는 제 1 실시형태나 제 1 변형예에서 설명한 방벽부 (8)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6,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3rd modified exampl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 3rd modification further limited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part 8 demonstrated in the 2nd modification,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emonstrated in the 2nd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3rd modification may further limit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part 8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or 1st modification.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벽부 (8) 는, 상측 방벽부 (26) 와 상측 방벽부 (26)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방벽부 (28) 로 2 분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부 (8a) 가 상부 (8c) 와 하부 (8d) 로 2 분할되어 있고, 소직경부 (8a) 의 상부 (8c) 가 상측 방벽부 (26) 로서, 소직경부 (8a) 의 하부 (8d) 와 대직경부 (8b) 가 하측 방벽부 (28) 로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측 방벽부 (26) (소직경부 (8a) 의 상부 (8c)) 는, 하측 방벽부 (28) 의 일부 (대직경부 (8b)) 보다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작다. 또, 배관부 (4) 에는, 방벽부 (8) 내에 위치하고, 상기 서술한 제 1 밸브 (6) 를 장착하기 위한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관부 (4) 의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는, 제 2 플랜지부 (32) 보다 하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관부 (4) 의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는, 방벽부 (8) 의 대직경부 (8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배관부 (4) 중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보다 연장 방향 (D) 의 상류측의 부분을 상류측 배관부 (4a) 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부 (8a) 는 단면 (S) 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직경부 (8a) 의 상부 (8c) 와 하부 (8d) 에서 서로 상이한 단면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측 방벽부 (26) 는, 하측 방벽부 (28) 의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중 가장 작은 단면의 면적보다 작아도 된다. 또,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의 외경은, 방벽부 (8) 의 소직경부 (8a) 의 하부 (8d) 의 내경 이상이어도 된다.As shown in FIG. 6 , the barrier part 8 is divided into two into an upper barrier part 26 and a lower barrier part 28 located below the upper barrier part 26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8c and a lower portion 8d, and the upper portion 8c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serves as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The lower portion 8d and the large-diameter portion 8b are constituted as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 In other words,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the upper portion 8c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n a part of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the large-diameter portion 8b). Moreover, in the piping part 4, it is located in the barrier part 8, and the flange part 27 for 1st valves for attaching the 1st valve 6 mentioned above is formed. Here, the 1st flange part 27 for valves of the piping part 4 can be located below the 2nd flange part 32. In this embodiment, the 1st flange part 27 for valves of the piping part 4 is located in the large-diameter part 8b of the barrier part 8. As shown in FIG. Below, let the upstream part of the extension direction D rather than the flange part 27 for 1st valves among the piping parts 4 be the upstream piping part 4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maintain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S, however, the upper portion 8c and the lower portion 8d of the small-diameter portion 8a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In this case, the upper barrier part 26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mallest cross section among the cross sections orthogonal to the up-down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28. As shown in FIG. Moreover, although illustration was abbreviate|omitted in some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art 27 for 1st valves may be mor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art 8d of the small-diameter part 8a of the barrier part 8 or more.

상측 방벽부 (26) 의 하단부에는 제 1 플랜지부 (30) 가 형성되고, 하측 방벽부 (28) 의 상단부에는 제 2 플랜지부 (32) 가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 (33)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제 1 플랜지부 (30) 와 제 2 플랜지부 (32) 를 체결함으로써, 제 2 플랜지부 (32) 는 제 1 플랜지부 (30)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플랜지부 (30) 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측 방벽부 (26) 의 하단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플랜지부 (30) 는, 상측 방벽부 (26) 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다. 동일하게, 제 2 플랜지부 (32) 가 형성되는 위치는, 하측 방벽부 (28) 의 상단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플랜지부 (32) 는, 하측 방벽부 (28) 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다.A first flange portion 3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 and a second flange portion 3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 And by fastening the 1st flange part 30 and the 2nd flange part 32 with fastening members, such as the bolt 33, the 2nd flange part 32 is being fixed to the 1st flange part 30. . In addition, the position where the 1st flange part 30 is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upper side wall part 26. As shown in FIG. The first flange portion 30 is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 Similarly,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flange portion 32 is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 The 2nd flange part 32 is formed in the arbitrary position of the lower side wall part 28. As shown in FIG.

제 3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측 방벽부 (26) 와 하측 방벽부 (28) 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장부 (2) 에 대한 배관부 (4), 제 1 밸브 (6) 및 방벽부 (8) 의 초기 조립시 및 메인터넌스시의 작업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특히, 배관부 (4) 의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를 제 2 플랜지부 (32) 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제 1 밸브 (6) 의 메인터넌스 효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직경부 (8a) 의 상부 (8c) 에 있어서의 단면 (S) 을 배관부 (4) 의 단면 부근까지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 (2) 와 방벽부 (8) 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modification,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and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can be easily separated. For this reason, the working efficiency at the time of the initial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piping part 4 with respect to the storage part 2, the 1st valve 6, and the barrier part 8 can be made high. In particular, by locating the flange part 27 for 1st valves of the piping part 4 below the 2nd flange part 32,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maintenance efficiency of the 1st valve 6 high. Moreover, since the cross section S in the upper part 8c of the small diameter part 8a can be made small to the end surface vicinity of the piping part 4,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torage part 2 and the barrier part 8,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ed stress as much as possible.

(제 4 변형예)(4th modification)

도 7 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변형예는, 제 3 변형예에서 설명한 방벽부 (8)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 3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With reference to FIG. 7,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4th modification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 4th modification further limited the structure of the barrier part 8 demonstrated in the 3rd modification,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emonstrated in the 3rd modification.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랜지부 (30) 와 제 2 플랜지부 (32)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는 이음매 (34) 가 형성된다. 이음매 (34) 는, 예를 들어 벨로즈로서, 복수의 산 접힘부 (35) 및 골 접힘부 (36) 가 교대로 형성되는 주름상자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 이음매 (34) 의 상단부는, 볼트 (38)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제 1 플랜지부 (30) 와 체결되어 있다. 동일하게, 이음매 (34) 의 하단부는, 볼트 (40)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제 2 플랜지부 (32) 와 체결되어 있다. 이음매 (34) 는 금속이나 유기재 (예 : 러버,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between the 1st flange part 30 and the 2nd flange part 32, the joint 34 which can expand-contract freely in an up-down direction is formed. The seam 34 is, for example, a bellows, and has a pleated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mountain folds 35 and valley folds 36 are alternately formed. Moreover, the upper end of the joint 34 is fastened with the 1st flange part 3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the bolt 38. Similarly, the lower end of the joint 34 is fastened with the second flange portion 32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the bolt 40 . The joint 34 is made of a metal or an organic material (eg, rubber, resin) or the like.

제 4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선체 동요 등에 의한 하측 방벽부 (28) 에 발생하는 변위는 이음매 (34) 에서 흡수된다. 이 때문에, 저장부 (2) 와 방벽부 (8) 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저장부 (2) 에 대한 배관부 (4), 제 1 밸브 (6) 및 방벽부 (8) 의 초기 조립시 및 메인터넌스시의 작업 효율을 높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음매 (34) 는 벨로 구조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리브형 신축관 이음매 등,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는 이음매이면 다른 수단이어도 상관없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modification, the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lower barrier portion 28 due to hull oscillation or the like is absorbed by the seam 34 . For this reason, the stress which generate|occur|produces in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torage part 2 and the barrier part 8 can be reduced more. Moreover, the working efficiency at the time of the initial assembly and maintenance of the piping part 4 with respect to the storage part 2, the 1st valve 6, and the barrier part 8 can also be made high. Also, the seam 34 is not limited to the bellows structure. For example, other means may be sufficient as long as it is a joint which can expand and contract freely, such as a sleeve-type expansion-contraction pipe joint.

(제 5 변형예)(5th modification)

도 8 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5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변형예는, 제 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배관부 (4)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 4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 5 변형예는 제 1 실시형태나 제 1 변형예 ∼ 제 3 변형에서 설명한 배관부 (4)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8,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5th modified exampl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Although the 5th modification further limited the structure of the piping part 4 demonstrated in the 4th modification, the structure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emonstrated in the 4th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5th modification may further limit the structure of the piping part 4 demonstrated by 1st Embodiment or 1st modification - 3rd modification.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부 (4) 의 저장부 (2) 측의 일단 (一端) (42) 은, 저장부 (2) 내 (저장 공간 (3) 내) 에 위치한다. 배관부 (4) 의 일단 (42) 에 형성된 기밀용 플랜지부 (44) 는, 저장 공간 (3) 을 기밀하게 할 수 있는 기밀 시험용 플랜지 (도시 생략) 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이 기밀용 플랜지부 (44) 는, 연료 (F) 의 유통에 의해 연료 (F) 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스트레이너 (45) 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스트레이너 (45) 는, 볼트 (47)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기밀용 플랜지부 (44) 와 체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트레이너 (45) 는 배관부 (4) 의 일단 (42) 에 직접 장착되어도 된다.As shown in FIG. 8, the one end 42 of the storage part 2 side of the piping part 4 is located in the storage part 2 (inside the storage space 3). The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formed in the one end 42 of the piping part 4 is comprised so that the flange (not shown) for airtightness testing which can make the storage space 3 airtight is detachable. Moreover, this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is comprised so that the 1st strainer 45 comprise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mixed into the fuel F by circulation|circulation of the fuel F can be removed may be attached. In this embodiment, the 1st strainer 45 is fastening with the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the bolt 47. In addition, the 1st strainer 45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end 42 of the piping part 4 .

제 5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배관부 (4) 의 일단 (42) 은 저장부 (2)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료 (F) 에 입자상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저장부 (2) 내에 삽입되어 있는 배관부 (4) 의 일부가 저장부 (2) 내의 이물질의 이동을 막아, 이물질이 저장부 (2) 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modified example, since one end 42 of the pipe part 4 is located in the storage part 2, even if a particulate foreign material is mixed in the fuel F, it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art 2 and A part of the piping portion 4 with the presence of the storage portion 2 blocks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ortion (2).

그런데, 선박 (100) 에 연료 탱크 (1) 를 탑재할 때에, 제 1 밸브 (6) 가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7) 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제 1 밸브 (6) 의 장착 후에, 상류측 배관부 (4a) 의 기밀성이 시험된다. 이 기밀 시험은, 펌프 등에 의해 압송된 가스로 상류측 배관부 (4a) 의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실시되는데, 상류측 배관부 (4a) 는 저장 공간 (3) 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부터의 기밀 시험에서는 저장 공간 (3) 전체에 가스를 주입할 필요가 있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 5 변형예에 의하면, 기밀 시험시에, 기밀용 플랜지부 (44) 에 기밀 시험용 플랜지를 장착함으로써, 저장 공간 (3) 에 가스를 주입하지 않고, 상류측 배관부 (4a) 의 기밀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밀 시험을 실시하는 데에 필요해지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By the way, when mounting the fuel tank 1 on the ship 100, the 1st valve 6 is attached to the flange part 27 for 1st valves in many cases. Then, after the first valve 6 is mounted, the airtightness of the upstream piping portion 4a is tested. This airtight test is carried out by 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upstream piping portion 4a with gas pressure fed by a pump or the like. Since the upstream piping portion 4a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3, conventional airtightness In the test, it was necessary to inject gas into the entire storage space 3, which required a lot of time. However, according to the fifth modification, by attaching the airtight flange portion 44 to the airtight flange portion 44 during the airtight test, gas is not injected into the storage space 3 and the airtightness of the upstream piping portion 4a can be tested. For this reason, the time required for implementing an airtight test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또, 제 5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기밀용 플랜지부 (44) 에 제 1 스트레이너 (45) 가 장착되므로,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를 배출할 때에,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5th modification, since the 1st strainer 45 is attached to the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when discharging the fuel F from the storage part 2, it is fuel from the storage part 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F).

(제 6 변형예)(6th modification)

도 9 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6 변형예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에 대해 설명한다. 제 6 변형예는, 제 5 변형예에서 설명한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제 5 변형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 6 변형예는 제 1 실시형태나 제 1 변형예 ∼ 제 4 변형에서 설명한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의 구성을 더욱 한정한 것이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9, the fuel tank 1 which concerns on the 6th modified example of 1st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The sixth modification further limits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unit 2 described in the fifth modification, but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fth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6th modification may further limit the structure of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or 1st modification - 4th modification.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에는,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의 내면 (46) 의 일부 (46a) 로부터 함몰됨으로써 함몰 공간 (48) 을 구획하는 함몰부 (50) 가 형성되고, 배관부 (4) 의 일단 (42) 은 함몰 공간 (48) 내에 위치한다. 도 9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기밀용 플랜지부 (44) 및 제 1 스트레이너 (45) 도 함몰 공간 (48) 내에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9 , in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 a recessed space 48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a part 46a of the inner surface 46 of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 The recessed part 50 to partition is formed, and the end 42 of the piping part 4 is located in the recessed space 48. As shown in FIG. In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and the 1st strainer 45 are also located in the recessed space 48. As shown in FIG.

함몰부 (50) 는, 함몰 공간 (48) 을 하방으로부터 둘러싸는 하벽부 (52) 와, 이 하벽부 (52) 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함몰 공간 (48) 을 상하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둘러싸는 측벽부 (54) 를 구비한다. 하벽부 (52) 는 배관부 (4) 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측벽부 (54) 에는 상측 방벽부 (26) 가 접속되어 있고, 이 상측 방벽부 (26) 의 외주 가장자리에 제 1 플랜지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The depression 50 includes a lower wall portion 52 that surrounds the depression space 48 from below, and extends upward from the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wall portion 52 and intersects the depression space 48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the side wall part 54 which surrounds from the direction which The lower wall part 52 is penetrated by the piping part 4 . The upper barrier part 26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part 54, and the 1st flange part 30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is upper wall part 26. As shown in FIG.

배관부 (4) 의 일단 (42) 이 저장부 (2)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면,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를 배출할 수 있는 연료 (F) 의 수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저장부 (2) 로부터 모든 연료 (F) 를 배출할 수 없어, 연료 (F) 의 일부가 저장부 (2) 에 남아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해, 제 6 변형예의 구성에 의하면, 배관부 (4) 의 일단 (42) 은, 바닥부 (5) 의 내면 (46) 의 일부 (46a) 로부터 함몰됨으로써 구획된 함몰 공간 (48) 내에 위치하므로, 연료 (F) 의 대부분을 저장부 (2) 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저장부 (2) 에 남는 연료 (F) 의 양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When the one end 42 of the piping portion 4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storage portion 2 , the water level of the fuel F capable of discharging the fuel F from the storage portion 2 rises. For this reason, all the fuel F cannot be discharged|emitted from the storage part 2, bu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part of fuel F may remain in the storage part 2.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modification, the one end 42 of the pipe part 4 is recessed from a part 46a of the inner surface 46 of the bottom part 5, so that the recessed space 48 is partitioned. Since it is located inside, most of the fuel F can be discharged|emitted from the storage part 2, and the quantity of the fuel F remaining in the storage part 2 can be made very small.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6 변형예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함몰 공간 (48) 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연료 (F) 의 유통에 의해 연료 (F) 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스트레이너 (56) 를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부 (54) 의 내면에는 제 2 스트레이너용 플랜지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 (60) 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제 2 스트레이너 (56) 와 제 2 스트레이너용 플랜지부 (58) 를 체결함으로써, 제 2 스트레이너 (56) 는 제 2 스트레이너용 플랜지부 (58) 상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6th modification, the 2nd strainer comprised so that the recessed space 48 was covered from upper direction, and the foreign material mixed into the fuel F by flow|circulation of the fuel F was removable. (56)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2nd flange part 58 for strainers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54. As shown in FIG. And, by fastening the second strainer 56 and the second strainer flange portion 58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the bolt 60, the second strainer 56 is formed on the second strainer flange portion 58. It is fix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스트레이너 (56) 는 함몰 공간 (48) 을 상방으로부터 덮으므로,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를 배출할 때에, 이물질이 함몰 공간 (48) 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부 (2) 로부터 연료 (F) 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 (2) 의 바닥부 (5) 에 함몰 공간 (48) 을 구획하는 함몰부 (50) 가 형성되는 것이면, 함몰 공간 (48) 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제 2 스트레이너 (56)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개시는 제 6 변형예의 다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기밀용 플랜지부 (44) 나 제 1 스트레이너 (45) 는 제 2 스트레이너 (56) 를 형성하기 위한 필수의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econd strainer 56 covers the recessed space 48 from above, when discharging the fuel F from the storage 2 , i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moving into the recessed space 48 . It can be prevented, and it can suppress that a foreign material is discharged|emitted from the storage part 2 together with the fuel F. Moreover, if the depression 50 which partitions the depression space 48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2, the 2nd strainer 56 is formed so that the depression space 48 may be covered from above. Since it is possible to do s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sixth modification. That is, the flange part 44 for airtightness and the 1st strainer 45 are not made into the essential structure for forming the 2nd strainer 56. As shown in FIG.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The contents describe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are grasped as follows, for example.

(1) 본 개시에 관련된 연료 탱크 (1) 는, 선박 (100) 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로서, 연료 (F) 가 저장되는 저장부 (2) 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부 (5)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료가 유통되는 배관부 (4) 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배관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배관부에 형성되는 밸브 (6) 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부 (5) 로부터 적어도 상기 밸브까지를 기밀 가능하게 덮는 방벽부 (8) 를 구비하고, 상기 방벽부는, 상기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상기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 (12, 13, 22) 에 설치된다.(1) A fuel tank 1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fuel tank mounted on a ship 100 , and includes a storage unit 2 in which fuel F is stored, and a bottom portion 5 of the storage unit downwardly. a pipe part 4 extending and flowing through the fuel; a valve 6 formed in the pipe part fir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art extends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a bottom part 5 of the storage part. ) and at least a barrier portion (8) covering at least the valve in an airtight manner, and the barrier portion is lower than the storage portion and is installed in the barrier portion installation portions (12, 13, 22) which are a part of the vessel.

상기 (1)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방벽부는,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되므로, 방벽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벽부가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되지 않고, 저장부에 매달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방벽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연료 탱크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in said (1), since a barrier part is below a storage part, and is provided in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which is a part of a ship, a barrier part can be supported from below.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barrier part is not provided in a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but hangs on a storage part, since a barrier part can be comprised cheaply and lightweight, the soundness of a fuel tank can be ensured more.

(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 설치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에 면하는 설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방벽부의 일부는 상기 설치면으로 구성된다.(2)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1) above, the barrier portion installation portion includes an installation surface fac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a part of the barrier portion is the installation surface. is composed

상기 (2)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방벽부 설치부의 일부를 방벽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said (2), a part of a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can be made to function as a barrier part.

(3)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 설치부는, 갑판 (12, 22) 이다.(3) In some embodiment,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in said (1) or (2), the said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is the deck 12, 22.

상기 (3)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갑판에 방벽부를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므로,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방벽부를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above (3),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provide the barrier portion on the deck,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barrier portion at low cost and light weight.

(4)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된 복수의 새들 (10A, 10B) 에 재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새들은, 상기 저장부와 고정되는 고정 새들 (10A) 과 상기 저장부에 맞닿는 맞닿음 새들 (10B) 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상기 맞닿음 새들보다 상기 고정 새들에 가까운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4) In some embodiments,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any one of (1) to (3) above, the storage unit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saddles (10A, 10B) provided in the barrier unit installation unit, , The plurality of saddles include a fixed saddle (10A) fixed to the storage unit and abutment saddles (10B) in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and the pipe unit is closer to the fixed saddle than the abutment saddle. It extends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section.

상기 (4)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저장부의 바닥부의 변위는 맞닿음 새들보다 고정 새들에 가까운 쪽이 작으므로, 배관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4) above,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is smaller toward the fixed saddle than the abutting saddl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piping portion can be reduced.

(5)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방벽부와 상기 저장부가 접속되는 접속 부분 (24) 에서 가장 작아지도록 구성된다.(5)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above, the barrier portion has an area of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rrier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are connected. It is configured to be smallest in the portion 24 .

상기 (5)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열 수축이나 선체 동요에 의해 저장부의 바닥부가 변위되었을 때에, 저장부와 방벽부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said (5), when the bottom part of a storage part is displaced by thermal contraction or hull shaking, the stress which generate|occur|produces at the connection point of a storage part and a barrier part can be reduced.

(6)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측 방벽부 (26) 와 상기 상측 방벽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방벽부 (28) 로 2 분할되고, 상기 상측 방벽부에는 제 1 플랜지부 (30) 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방벽부에는 제 2 플랜지부 (32) 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6)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the barrier portion includes the upper barrier portion 26 and the lower barrier portion located below the upper barrier portion. 28, a first flange portion 30 is formed on the upper barrier portion, a second flange portion 32 is formed on the lower barrier portion,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is the second flang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상기 (6)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방벽부와 하측 방벽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벽부의 초기 조립시 및 메인터넌스시의 작업 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6) above, the upper barrier portion and the lower barrier por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or this reason, the work efficiency at the time of the initial assembly of a barrier part and the time of maintenance can be made high.

(7)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측 방벽부는, 하측 방벽부보다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작다.(7) In some embodiments,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6) above, the upper barrier portion has a smaller area of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ower barrier portion.

상기 (7)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측 방벽부의 단면을 배관부의 단면 부근까지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와 방벽부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가능한 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7) above,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upper barrier portion can be made small to the vicinity of the end surface of the pipe portion,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barrier portion as much as possible.

(8)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 또는 (7)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플랜지부 사이에는,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는 이음매 (34) 가 형성된다.(8) In some embodiments,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6) or (7) above, a freely expandable joint 3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

상기 (8)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선체 동요 등에 의한 하측 방벽부에 발생하는 변위는 이음매에서 흡수되므로, 저장부와 방벽부의 접속 지점에 발생하는 응력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8) above, since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lower barrier portion due to hull oscillation or the like is absorbed at the seam, the stres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barrier portion can be further reduced.

(9)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 (42) 은,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한다.(9)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one end 42 of the piping part on the storage part side is located in the storage part.

상기 (9)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배관부의 일단은 저장부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연료에 입자상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저장부로부터 연료를 배출할 때에, 저장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배관부의 일부가 이물질의 이동을 막아, 저장부로부터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9) above, since one end of the pip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storage portion, even if particulate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in the fuel, when the fuel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ortion, a part of the pip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torage portion is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foreign substance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torage unit.

(10)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유통에 의해 상기 연료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스트레이너 (45) 를 포함한다.(10)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9) above, the agent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pip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to the fuel by the flow of the fuel. One strainer (45) is included.

상기 (10)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배관부의 일단에 제 1 스트레이너가 장착되므로, 저장부로부터 연료를 배출할 때에, 저장부로부터 연료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에 연료를 주입할 때에, 배관부로부터 연료와 함께 이물질이 저장부 내에 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10) above, since the first strainer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piping portion, when the fuel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or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together with the fuel from the storage portion. Alternatively, when fuel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jec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torage unit together with the fuel from the piping unit.

(11)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9) 또는 (10)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내면 (46) 의 일부 (46a) 로부터 함몰됨으로써 함몰 공간 (48) 을 구획하는 함몰부 (50) 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은 상기 함몰 공간 내에 위치한다.(11) In some embodiments,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9) or (10) above, in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a recessed space ( 48)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storage part side of the pipe part is located in the depression space.

배관부의 일단이 저장부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면, 저장부로부터 연료를 배출할 수 있는 연료의 수위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저장부로부터 모든 연료를 배출할 수 없어, 연료의 일부가 저장부에 남아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11)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배관부의 일단은, 바닥부의 내면의 일부로부터 함몰됨으로써 구획된 함몰 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연료의 대부분을 저장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저장부 내에 남는 연료의 양을 작게 할 수 있다.When one end of the pip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storage portion, the level of fuel capable of discharging the fuel from the storage portion rises. For this reason, all fuel cannot be discharged|emitted from a storage part, bu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part of fuel may remain in a storage part.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11) above, since one end of the pipe portion is located in the depression space partitioned by being depressed from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most of the fuel can b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ortion and the fuel remaining in the storage portion can be made smaller.

(12)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1) 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함몰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연료의 유통에 의해 상기 연료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스트레이너 (56) 를 포함한다.(12) In some embodiments,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11) above, the second strainer 56 covering the recessed space from above and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to the fuel by the flow of the fuel ) is included.

상기 (12)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제 2 스트레이너는 함몰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덮으므로, 저장부로부터 연료를 배출할 때에, 이물질이 함몰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부로부터 연료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에 연료를 주입할 때에, 저장부 내에 있어서 이물질이 함몰 공간 이외의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12) above, since the second strainer covers the recessed space from above, when discharging fuel from the storage unit,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moving into the recessed space, and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storage unit together with the fuel. emissions can be suppressed. Alternatively, when fuel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trus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spaces other than the recessed space in the storage unit.

(13)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00) 은,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연료 탱크를 탑재한다.(13) In some embodiments, the ship 100 is equipped with the fuel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above.

상기 (13) 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배관이 연장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보다 염가로 또한 경량으로 저장부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13) above, in the fuel tank in which the pipe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ip that can secure more soundness by configuring the storage portion at a lower cost and light weight.

1 : 연료 탱크
2 : 저장부
3 : 저장 공간
4 : 배관부
4a : 상류측 배관부
5 : 저장부의 바닥부
6 : 제 1 밸브 (밸브)
7 : 선체
8 : 방벽부
9 : 격납 공간
10A : 후방 새들 (고정 새들)
10B : 전방 새들 (맞닿음 새들)
12 : 상갑판 (방벽부 설치부)
14 : 단열재
20 : 연료 조정부
22 : 하방 갑판 (방벽부 설치부)
26 : 상측 방벽부
27 : 제 1 밸브용 플랜지부
28 : 하측 방벽부
30 : 제 1 플랜지부
32 : 제 2 플랜지부
34 : 이음매
35 : 산 접힘부
36 : 골 접힘부
44 : 기밀용 플랜지부
45 : 제 1 스트레이너
46 : 저장부의 바닥부의 내면
48 : 함몰 공간
50 : 함몰부
56 : 제 2 스트레이너
100 : 선박
D : 연장 방향
F : 연료
1: fuel tank
2: storage
3: storage space
4: piping
4a: upstream side piping
5: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6: 1st valve (valve)
7: hull
8: barrier
9: containment space
10A : Rear Saddle (Fixed Saddle)
10B: front saddles (abutting saddles)
12: upper deck (barrier installation part)
14: insulation
20: fuel adjustment unit
22: lower deck (barrier installation part)
26: upper barrier part
27: flange portion for the first valve
28: lower barrier part
30: first flange portion
32: second flange portion
34 : seam
35: mountain fold
36: bone fold
44: Flange for airtightness
45: first strainer
46: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48: recessed space
50: depression
56: second strainer
100 : ship
D: direction of extension
F : fuel

Claims (13)

선박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로서,
연료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료가 유통되는 배관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배관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최초로 상기 배관부에 형성되는 밸브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밸브까지를 기밀 가능하게 덮는 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벽부는, 상기 저장부보다 하방이고, 상기 선박의 일부인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A fuel tank mounted on a ship,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uel;
a pip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part and through which the fuel flows;
a valve formed in the pipe portion firs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ipe portion extends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a barrier part for sealingly covering at least the valve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The barrier part is lower than the storage part, and the fuel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that is a part of the shi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 설치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에 면하는 설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방벽부의 일부는 상기 설치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rier part installation part includes an installation surface facing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A part of the barrier portion is a fuel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stituted by the installation surf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 설치부는 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uel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installation part is a deck.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방벽부 설치부에 설치된 복수의 새들에 재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새들은, 상기 저장부와 고정되는 고정 새들과 상기 저장부와 맞닿는 맞닿음 새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부는, 상기 맞닿음 새들보다 상기 고정 새들에 가까운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orage unit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saddles installed in the barrier unit installation unit,
The plurality of saddles include a fixed saddle fixed to the storage unit and abutment saddles in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pipe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closer to the fixed saddle than to the abutment saddl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방벽부와 상기 저장부가 접속하는 접속 부분에서 가장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arrier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n area of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st at a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barrier portion and the storage portion are connect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측 방벽부와 상기 상측 방벽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방벽부로 2 분할되고,
상기 상측 방벽부에는 제 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방벽부에는 제 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랜지부는 상기 제 2 플랜지부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barrier portion is divided into two, an upper barrier portion and a lower barrier portion located below the upper barrier portion,
A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barrier portion,
A second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barrier portion,
The fuel tan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a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second flange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방벽부는, 상기 하측 방벽부보다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barrier portion has a smaller area of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lower barrier portion.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상기 제 2 플랜지부 사이에는,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는 이음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 freely expandable join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은, 상기 저장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fuel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pipe part on the side of the storage part is located in the storage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료의 유통에 의해 상기 연료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1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irst strainer mounted on one end of the pipe part on the side of the storage pa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mixed into the fuel by the flow of the fuel.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내면의 일부로부터 함몰됨으로써 함몰 공간을 구획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의 상기 저장부측의 일단은 상기 함몰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A depression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storage unit by being depressed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partition a depression space,
One end of the pipe part on the side of the storage part is located in the recessed spa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상기 연료의 유통에 의해 상기 연료에 혼입되는 이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 제 2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탱크.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strainer covering the recessed space from above and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to the fuel by the flow of the fuel.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료 탱크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A ship equipped with the fuel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227022520A 2020-02-28 2021-02-18 fuel tanks, and ships KR202201062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3058A JP7379211B2 (en) 2020-02-28 2020-02-28 fuel tanks and ships
JPJP-P-2020-033058 2020-02-28
PCT/JP2021/006137 WO2021172164A1 (en) 2020-02-28 2021-02-18 Fuel tank and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201A true KR20220106201A (en) 2022-07-28

Family

ID=7749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20A KR20220106201A (en) 2020-02-28 2021-02-18 fuel tanks, and ship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79211B2 (en)
KR (1) KR20220106201A (en)
CN (1) CN114981160B (en)
WO (1) WO2021172164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900A (en) 2017-04-07 2018-11-15 三菱造船株式会社 Shi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510B2 (en) * 1993-08-20 2002-07-2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Hull protection system for liquefied gas carriers
KR20090098387A (en) * 2008-03-14 2009-09-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he ship had a driving clean fuel storage tank on an upper deck
KR101210917B1 (en) * 2010-05-19 2012-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mounted fuel gas tank on deck
EP2990715B1 (en) * 2013-04-23 2021-07-1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Double-shell ship tank structure and liquefied gas carrier
CN103615658A (en) * 2013-11-22 2014-03-05 江苏现代造船技术有限公司 Natural gas filling device for LNG (Liquefied Natural Gas) power ship
LT3077653T (en) * 2013-11-25 2020-10-12 Chart Inc. Multimode gas delivery for rail tender
FR3017924B1 (en) * 2014-02-21 2016-08-26 Gaztransport Et Technigaz METHOD AND SYSTEM FOR INERTING A WALL OF A STORAGE TANK OF A LIQUEFIED FUEL GAS
CN104728595B (en) * 2015-03-31 2017-11-17 张家港富瑞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NG fuel tank
JP6002813B1 (en) 2015-05-29 2016-10-05 株式会社大島造船所 Ship
JP6530860B2 (en) * 2015-09-28 2019-06-12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Ship fuel tank equipment
CN106081040B (en) * 2016-08-10 2018-08-28 江苏鸿运绿色能源有限公司 A kind of LNG ship oceangoing ship dynamical system whole updating method
KR20190054844A (en) * 2017-11-14 2019-05-22 유병용 Tank system for storing a liquefied gas and vessel having the same
JP7055667B2 (en) 2018-03-06 2022-04-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Liquefied hydrogen carrier and hull pro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900A (en) 2017-04-07 2018-11-15 三菱造船株式会社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1160B (en) 2024-05-03
JP2021133855A (en) 2021-09-13
WO2021172164A1 (en) 2021-09-02
JP7379211B2 (en) 2023-11-14
CN114981160A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0953B2 (en) Pump tower of liquefied gas storage tank
EP229397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tanks in a cargo ship
KR101681723B1 (en) Structure for mounting fuel tank of ship
KR20190112005A (en) Fuel Tank Array on Ship
CN104094042A (en) Inspectable containers for the transport by sea of compressed natural gas, fitted with a manhole for internal access
KR20230018293A (en) tank arrangement
KR20220106201A (en) fuel tanks, and ships
US20220275910A1 (en) Pipe leadthrough module for a cryogenic container
KR102327627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220015559A (en) Fuel Tank Apparatu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7630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7631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7624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7632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327629B1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220015557A (en) Fuel Tank Apparatus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2673483B1 (en) Ship tank system
KR102107905B1 (en) Fuel Tank Structure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240030972A (en) liquefied gas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20220033657A (en) Twin fuel tanks for vessels
KR101766263B1 (en) Indeck Tank for Offshore
JP2024060610A (en) Loading and/or unloading towers intended to be fitted to liquefied gas storage tanks
KR101686250B1 (en) Storage Tank of Ship
KR20220089143A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