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146A -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146A
KR20220106146A KR1020227019578A KR20227019578A KR20220106146A KR 20220106146 A KR20220106146 A KR 20220106146A KR 1020227019578 A KR1020227019578 A KR 1020227019578A KR 20227019578 A KR20227019578 A KR 20227019578A KR 20220106146 A KR20220106146 A KR 2022010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guidance device
tapered component
pushing mean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안 필립 조지 건
폴 데이빗 모리스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셰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셰필드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셰필드
Publication of KR2022010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62Guid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과 카테터의 원위단에서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미는 수단이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에서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한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이다.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르다.

Description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본 발명은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혈관을 통한 카테터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맥 질환은 현재 영국 및 세계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동맥 질환은 지방 침착(죽상 동맥 경화증)의 축적으로 인한 협착으로 인해 발생한다. 관상 동맥은 심장 표면을 따라 달리고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관상 동맥 심장 질환과 관련된 협착은 혈류를 제한하고 심장 근육에 대한 필수 산소 공급이 막힐 수 있다. 관상동맥 및 기타 동맥에 접근하기 위해 의사는 혈관계에 카테터를 삽입해야 한다. 관상 동맥에 접근하기 위해 가장 흔한 혈관 중재술을 위해 전통적으로 대퇴 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했다. 최근에는 요골동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을 치료하는 가장 일반적인 절차는 관상 동맥 성형술 또는 경피적 관상 동맥 중재술(PCI)(일반적으로 '스텐트 삽입'으로 알려짐)이라고 한다.
이러한 시술에서, 관상동맥의 협착은 X선 유도하에 조영제를 주입함으로써 확인된다. 협착을 완화하기 위해 풍선을 팽창시키고 스텐트(금속 메쉬 튜브)를 삽입한다. 스텐트는 동맥을 개방하고 혈류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영국에서는 연간 약 100,000건의 PCI 시술이 수행된다.
카테터는 와이어, 풍선 및 스텐트를 포함하는 혈관 성형 장비 및 조영제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혈관 카테터에 대한 기술적 요구로 인해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실린더형 튜브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팔의 동맥을 통해 혈관 카테터를 전진시키면 혈관 카테터의 가장자리가 동맥 벽을 긁는 소위 "면도기 효과"(razor effect)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환자에게 고통스럽고 동맥이 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며 걸림 현상과 심각한 출혈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경련 또는 걸림이 발생하는 경우, 환자에게 진정제, 진통제(예: 아편제) 및 동맥 확장 약물의 조합이 제공되어 그 동안 시술이 자주 지연된다. 어떤 상황에서는 시술이 다른 동맥을 통해 수행되거나 아예 중단되어야 한다. 대퇴 동맥을 통해 시술을 수행하게 될 경우 출혈과 주요 합병증의 추가 위험이 있다.
선행 기술은 이러한 문제 중 일부가 발생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몇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해결책은 종종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많은 선행 기술 해결책은 표준 장비와 호환되지 않고 특정 카테터 하드웨어와만 호환되므로 특정 카테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장치를 선택하려면 여러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의 목적은 선행 기술과 관련된 적어도 일부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보어(bore)를 통과하고 상기 혈과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에서 신장하며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는 미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이며,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섹션은 볼록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오목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대 직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소 직경은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 너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상기 근위단에 상기 안내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free-wheel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림(rim)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은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변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인접한 변 사이의 모서리는 둥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안내 와이어의 일부가 사용 중에 작업자에게 가시적으로 남아 있도록 상기 미는 수단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안내 장치는: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비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도록 구성된 미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른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상기 근위단 너머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은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변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인접한 변 사이의 모서리는 둥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상기 근위단에 상기 안내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free-wheel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림(rim)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일 수 있고,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섹션은 볼록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오목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대 직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소 직경은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안내 와이어의 일부가 사용 중에 작업자에게 가시적으로 남아 있도록 상기 미는 수단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안내 장치는: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도록 구성된 미는 수단; 그리고
상기 안내 장치를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 너머로부터 제어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림(rim)은 상기 커넥터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은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변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인접한 변 사이의 모서리는 둥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의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일 수 있고,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섹션은 볼록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상기 제3 섹션은 오목 원뿔 섹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섹션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대 직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소 직경은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안내 와이어의 일부가 사용 중에 작업자에게 가시적으로 남아 있도록 상기 미는 수단이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저마찰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저마찰 외부 표면은 친수성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신장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10cm 내지 30cm, 및 선택적으로 14cm 내지 25cm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약 20cm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는 수단은 선택적으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적어도 60cm, 적어도 70cm, 적어도 80cm, 적어도 90cm 또는 적어도 100cm 신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은 0.46mm(0.018"), 0.64mm(0.025"), 0.81mm(0.032"), 0.89mm(0.035"), 0.97mm(0.038") 또는 1.10mm(0.043")의 직경을 갖는 안내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크기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3.00mm 미만, 2.7mm 미만, 2.29mm 미만, 2.0mm 미만, 1.7mm 미만 또는 1.35mm 미만인 최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 외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할 수 있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에서의 최소 외경으로부터 상기 최대 외경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황산바륨(barium sulphate)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마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마커는 형광투시 스크리닝 하에 상기 안내 장치의 일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마커는 예를 들어, 상기 안내 장치의 전개된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는 수단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을 X-선 및 기타 의료 영상 기술에 보이게 하는 잉크 또는 물리적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미는 수단은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키트가 제공되며, 상기 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 장치; 그리고
혈관 카테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장치의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키트는 안내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구멍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로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키트가 제공되며, 상기 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 장치;
안내 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구멍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로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며, 여기서: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b는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카테터 및 안내 와이어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의 미는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용 커넥터의 원위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용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용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guide device)(1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안내 장치(10)는 말초 혈관(예를 들어, 요골 동맥)을 통한 혈관 카테터의 개선된 통과를 촉진할 수 있다.
안내 장치(10)는 근위단(proximal end)(10a)과 원위단(distal end)(10b)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100)을 따라 신장한다(extend).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전방 또는 원위 방향(및 유사한 방향)에 대한 언급은 길이방향 축(100)에 평행한 원위단(10b)을 향하는(또는 근위단(1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후방 또는 근위 방향 (또는 유사한 방향)에 대한 언급은 길이방향 축(100)에 평행한 근위단(10a)을 향하는(또는 원위단(10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관한 것이다. 축방향(axial direction) 등에 대한 언급은 길이방향 축(100)에 평행한 방향에 관한 것이다.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 등에 대한 언급은 길이방향 축(100)에 직각으로 신장하는 방향에 관한 것으로, 반경 방향 외측 위치는 반경 방향 내측 위치보다 길이방향 축(100)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 등에 대한 언급은 그 면이 길이방향 축(100)에 직각으로 신장하는 개념적 원의 원주(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를 따라는 경로에 대한 것이다. 단면(cross-section)에 대한 언급은 길이방향 축(100)에 수직인 평면의 단면에 관련된 것이다.
안내 장치(10)는 근위단(10a)으로부터 원위단(10b)까지 길이방향 축(100)을 따라 일반적으로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tapered component)(1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원위단(12b)은 안내 장치(10)의 원위단(10b)과 일치한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은 원위단(12b)에서의 최소 직경으로부터 원위단(12b)의 후방의 최대 직경까지 테이퍼링된다(즉 직경이 증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최대 직경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의 형상은 근위단(12a)과 원위단(12b) 사이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을 따라 변경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제1 섹션(15), 제2 섹션(17) 및 제3 섹션(19)을 포함한다. 각각의 섹션은 상이한 형상이다. 그러나,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전체 외부 프로파일은 길이방향 축(10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속적이다. 제1 섹션(15)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과 제2 섹션(17)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섹션(15)은 실린더(cylinder) 형태를 취한다. 즉, 제1 섹션의 단면은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다. 제1 섹션(15)의 근위단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섹션(15)의 직경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최대 직경일 수 있다. 제2 섹션(17)은 제1 섹션(15) 및 제3 섹션(19)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섹션(17)은 볼록 원뿔(convex cone) 형태를 나타낸다. 즉, 원뿔의 테이퍼 프로파일은 볼록한 곡선을 따른다. 볼록 원뿔의 단면의 직경은 증가율(increasing rate)로 감소한다. 제2 섹션(17)의 최대 직경은 제2 섹션(17)의 근위단과 일치하고 제2 섹션의 직경은 원위 방향으로 감소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섹션(17)의 근위단의 직경은 제1 섹션(15)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섹션(19)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제2 섹션(17)과 원위단(12b)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섹션(19)은 오목 원뿔(concave cone)의 형태를 나타낸다. 즉, 원뿔의 테이퍼 프로파일은 오목한 곡선을 따른다. 오목 원뿔의 단면 직경은 감소율(decreasing rate)로 감소한다. 제3 섹션(19)의 최대 직경은 제3 섹션(19)의 근위단과 일치하고 제3 섹션(19)의 직경은 원위 방향으로 감소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섹션(19)의 근위단의 직경은 제2 섹션(17)의 원위단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섹션(19)의 원위단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원위단(12a)과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최소 직경은 제3 섹션(19)의 원위단의 직경일 수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전술한 형상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유연성을 제공하여 혈관을 효과적으로 탐색하게 한다. 그 결과,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그 길이를 따라 물질 또는 물질 특성(예: 경도)을 변경할 필요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테이퍼형 구성품은 요구되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대안적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이한 개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섹션이 제3 섹션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제4 섹션(미도시)은 실린더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5 섹션이 제1 섹션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제5 섹션(미도시)은 실린더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 섹션들이 제1 섹션(15)과 제2 섹션(17) 사이에 및/또는 제2 섹션(17)과 제3 섹션(1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섹션의 모양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2 섹션(17)은 원뿔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즉, 원뿔의 테이퍼 프로파일이 직선을 따른다). 대안적으로, 제2 섹션(17)은 오목 원뿔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제2 섹션(17)은 반경 형태의(radiused) 또는 포물선형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제3 섹션(19)은 원뿔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즉, 원뿔의 테이퍼 프로파일이 직선을 따른다). 대안적으로, 제3 섹션(19)은 볼록 원뿔의 형태를 취할 수 있거나 제3 섹션(19)은 반경 형태의 또는 포물선형 테이퍼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섹션(17)의 테이퍼는 제3 섹션(19)의 테이퍼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섹션(17)의 테이퍼는 길이방향 축(100)에 대해서 제3 섹션(19)의 테이퍼보다 상대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가파르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은 그 원위단(12b)에 구멍(aperture)(13)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내부 보어(inner bore)(13a)가 구멍(13)을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속이 비어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내부 보어(13a)는, 또한 근위단(12a)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으로로 신장한다. 따라서, 내부 보어(13a)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모든 섹션을 통해 신장한다. 내부 보어(13a)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에서 원위단(12b)까지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보어(13a)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에서 제2 구멍(13b)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벽(wall)(12c)이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외부 표면(outer surface)과 내부 보어(13a) 사이에서 신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벽(12c)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축(100)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벽(12c)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축(100)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벽(12c)은 제2 구멍(13b)에 대해 테이퍼형 개구(tapered opening)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장치(10)는 또한 테이퍼형 구성품(12)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미는 수단(pushing means)(14)(예를 들어, 미는 구성품 또는 미는 구성품들의 어셈블리 형태의 미는 물품)을 포함한다. 미는 수단(14)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축방향 전방인 테이퍼형 구성품(12) 상의 위치로부터 추가로 신장할 수 있다. 미는 수단(14)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홈(groove)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미는 수단(14)이 혈관 (그리고 신체) 밖으로 테이퍼형 구성품(12)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할 때, 미는 수단(14)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을 혈관을 통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히 강성이다. 이러한 강성에도 불구하고, 미는 수단(14)은 또한 혈관을 통과할 때 혈관의 윤곽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다.
안내 장치(10)는 미는 수단(14)에 연결된 커넥터(connector)(18)를 추가로 포함한다. 커넥터(18)는 혈관 외부로부터 미는 수단(14)의 더 쉬운 취급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18)는 안내 장치(10)를 혈관 카테터(vascular catheter)(22)의 원위단(22b)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적어도 일부가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으로부터 신장하도록, 안내 장치(10)는 혈관 카테터(22)의 보어를 통과한다. 도 1b 및 도 3의 개략적인 측면도에서, 혈관 카테터(22)는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투명으로 도시되어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의 길이에 대한 혈관 카테터의 도시된 길이는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단축되어 있다. 혈관 카테터라는 용어는 혈관(즉, 동맥 또는 정맥)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카테터를 나타낸다. 테이퍼형 구성품(12) 및 혈관 카테터(22)는, 안내 와이어(guide wire)(미도시)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구멍(13),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내부 보어(13a), 및 혈관 카테터(22)의 보어를 통과하도록, 안내 와이어에 대해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 같은 구성에서, 안내 와이어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원위단(12b)으로부터 전방으로 그리고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미도시)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한다.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의 후방으로, 안내 와이어 및 미는 수단(14)은 나란히 신장한다. 이와 같이, 미는 수단(14)의 축방향 이동은 안내 와이어(20)를 따라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사용 시, 안내 와이어는,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은 혈관 외부에 남아 있으면서, 혈관 카테터(22)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혈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을 넘어 신장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혈관 내에서 혈관 카테터(22)를 안내한다. 따라서, 혈관 내 혈관 카테터(22)의 통과는 테이퍼형 구성품(12)에 의해 더 쉬워지며, 이에 의해 카테터(22)의 전방 가장자리가 혈관의 내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면도기 효과"를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다. 따라서, 혈관 카테터(22)가 혈관 벽에 걸릴 위험이 감소하고, 혈관이 경련을 일으킬 위험도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요골 및 상완 동맥("면도기 효과"와 관련된 문제가 더 널리 퍼져 있음)과 같은 혈관에서 시술(관상동맥 성형술 또는 경피적 중재술(PCI) 등)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대퇴 동맥과 같은 다른 혈관의 시술에 대한 실행가능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안내 장치(10)가 혈관을 통한 혈관 카테터(22)의 통과를 안내하는 동안, 혈관 카테터(22) 내에 항상 부분적으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제1 부분(15)은 항상 혈관 카테터(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미는 수단(14)은 길이방향 축(100)과 동축이 되도록 신장하지는 않는 반면, 안내 와이어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축(100)을 따라 신장한다. 결과적으로, 미는 수단(14)은 안내 와이어(20)의 경로를 간섭하지 않는다. 중요하게는, 미는 수단(14)은, 미는 수단(14)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안내 와이어 부분이 사용 중인 작업자에게 보이는 채로 남아 있도록(즉, 안내 와이어(20)를 따라 테이퍼형 구성품(12)을 이동시키기 위해 미는 수단(14)을 사용할 때)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체 안내 와이어가 부주의하게 혈관 내로 전진하지 않도록 안내 와이어를 시야에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은 와이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를 밀어냄으로써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내에서 전진하게 하는 강성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을 전진시킬 수 있고, 미는 수단(14)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안내 와이어 부분이 사용 중인 작업자에게 가시적으로 남아있게 하는 임의의 대안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는 수단은 로드(rod)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또는 로드는 작은 각도 범위(angular extent)에서 안내 와이어와 단지 반경방향으로 정렬되며, 따라서 노출된 안내 와이어(20)를 시각적으로 크게 가리지 않고 테이퍼형 구성품(12)을 밀고 (그리고 당기기) 하기에 충분한 수단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미는 수단(14)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들은 작은 각도 범위(예를 들어, 180° 미만, 90° 미만, 45° 미만, 20° 미만, 10° 미만 또는 5° 미만)에 걸쳐 안내 와이어와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미는 수단(14)은, 미는 수단(14)의 조작에 의해 혈관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히 단단한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은 금속으로 (예를 들어, 미는 수단(14)이 와이어 또는 로드인 경우)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에서 안내 장치(10)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원위단은 벽(12c)으로부터 신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12c)은 내부 보어(13a)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신장한다. 벽(12c)은 제한된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6F 크기 카테터에서 테이퍼형 구성품은 1.7mm 미만의 최대 직경 및 약 1.1mm의 내부 보어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약 0.3mm의 두께를 갖고 이로부터 미는 수단이 신장하는 벽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테이퍼형 구성품(12)에 대한 미는 수단(14)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원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원형 단면(40)은 실질적으로 미는 수단(14)의 길이를 따라 있다. 예를 들어, 비원형 단면(40)은 미는 수단(14)의 길이의 50%, 60%, 70%, 80% 또는 90% 이상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단면은 미는 수단(14)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비원형 단면(40)은 제한된 두께를 갖는 벽(12c)에 대한 미는 수단(14)의 부착을 향상시킨다. 비원형 단면(40)을 갖는 미는 수단(14)은 단면 프로파일의 서로 다른 축을 따라 서로 다른 굽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미는 수단(14)은 (폭에 비해) 길고 사용시 안내 카테터의 내강 내에서 이동이 제한(restrain)되기 때문에,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제어에 대한 미는 수단(14)의 상이한 굽힘 특성의 영향은 최소한이고 허용 가능한 수준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원형 단면(40)은 미는 수단(14)의 유연성 및 작은 단면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미는 가능성을 미는 수단(14)에 제공한다.
미는 수단(14)은 안내 와이어(20)를 따라 테이퍼형 구성품(12)을 전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강성과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테이퍼형 구성품(12)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비원형 단면(40)을 취할 수 있다. 미는 수단(14)은 또한 안내 와이어를 사용하는 동안 계속 볼 수 있도록 하는 비원형 단면(40)을 취한다.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복수의 변(sid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40)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변 중 하나 이상은 만곡 변(curved side)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만곡 변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일 수 있다. 또한, 단면은 볼록한 만곡 변과 오목한 만곡 변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면(40)은 예를 들어 내부 보어(13a)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conform)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단면(40)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외부 표면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만곡 변을 포함할 수 있다. 단면(40)의 복수의 변은 길이가 서로 다른 인접한 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0.40mm 내지 0.53mm의 길이를 갖는 제1 변 및 0.20 mm 내지 0.30 mm의 길이를 갖는 제1 변에 인접한 제2 변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한 변들 사이에 잘 정의된 모서리(corner)가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파일의 인접한 변들 사이의 모서리는 둥글게 될 수 있다. 한 쌍의 인접한 변 사이의 각도는 90°, 90°보다 크거나 9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는 수단(14)의 단면 프로파일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미는 수단(14)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140, 240), 정사각형(340) 또는 환형 호(annular arc)(440, 74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환형 호는 둥근 모서리(240, 440)를 가질 수 있다. 환형 호(440, 740)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내부 보어(13a)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만곡 변(441, 741)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환형 호(440, 740)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만곡 변(442, 6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난원형(640)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원형 세그먼트(8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세그먼트(840)의 만곡 변(842)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외부 표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면(40)은 반원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의 단면(40)은 적어도 하나의 만곡 변(542, 942, 1041)을 갖는 장방형 형상(oblong-like shape)(540, 940, 1040)일 수 있다. 만곡 변(542, 942)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외부 표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만곡 변(1041)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내부 보어(13a)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방형 형상은 제1 및 제2 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변 및 제2 변 각각의 제1 단이 제3 변의 양단에 직각으로 결합한다. 제3 변은 제1 변 및 제2 변보다 길 수 있다. 제1 및 제2 변 각각의 제2 단은 제4 변의 양단에 결합하고 이때 제4 변은 곡면 변이다. 제4 변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일 수 있다.
일단 미는 수단(14)이 혈관 카테터(22) 내로 테이퍼형 구성품(12)을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을 넘어 신장하면, 커넥터(18)는 안내 장치(10)를 탈부착 가능하게 혈관 카테터(22)에 연결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8)를 도시한다. 안내 장치(10)를 혈관 카테터(22)에 연결함으로써 안내 장치(10)가 혈관 카테터(22)에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안내 장치(10)와 혈관 카테터(22) 사이의 연결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 밖으로 신장하는 최대 범위를 결정할 것이다. 또한, 안내 장치(10)와 혈관 카테터(22) 사이의 연결은 안내 장치(10)와 혈관 카테터(22)가 안내 와이어(20)를 따라 하나로 집합적으로(즉, 그들 사이의 최소 상대 이동으로) 이동하게 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18)는 안내 장치(10)의 근위단(10a)에 또는 근위단(10a)을 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18)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근위단(12a)의 후방에서 미는 수단(14)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18)는 다양한 길이의 혈관 카테터(22)와 체결될 수 있도록 미는 수단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커넥터(18)는 푸시 핏(push fit) 및 스냅 핏(snap fit) 구조(arrangement)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fixing mechanism)에 의해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에 안내 장치(10)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혈관 카테터(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넥터(18)는 자유 회전 메커니즘(free-wheeling mechanism)을 포함한다. 자유 회전 메커니즘은 미는 수단(14)의 회전을 야기하지 않고 커넥터(18)를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18)를 회전시켜 혈관 카테터(22)에 연결할 때,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혈관 카테터(22) 또는 혈관 내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8)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조립된 상태의 미는 수단(14)에 연결된 커넥터(18)를 나타내며, 도 8은 커넥터(18)의 분해 측면도를 나타낸다. 커넥터(18)는 본체(body)(30), 잠금 튜브(locking tube)(38) 및 자유 회전 링(free-wheeling ring)(24)을 포함한다. 조립 시 본체(30)와 자유 회전 링(24)은 자유 회전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본체(30)는 본체(30)를 통해 근위단(30a)으로부터 원위단(30b)으로 신장하는 보어(34)를 포함한다. 보어(34)의 중심축은 안내 장치(10)의 길이방향 축(100)과 일치한다. 본체(30)는 환형 림(annular rim)(32)을 갖는다. 림(32)은 본체(30)의 원위단(30b)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림은 본체(30)의 원위단(30b)에 있을 수 있다. 림(32)은 연속적일 수 있거나 복수의 개별 융기 섹션(raised s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는 림(32)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이격된 견부(shoulder)(38)를 포함한다. 견부(38)는 본체(30)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신장한다. 견부(38)는 연속적일 수 있거나 복수의 개별 융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36)이 림(32)과 견부(38) 사이에 형성된다. 채널(38)은 자유 회전 링(24)의 일부를 수용(receive)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30)의 근위단(30a)은 본체(30)를 추가 구성품에 연결하기 위한 나사산(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30)는 단일 사출 성형일 수 있다.
자유회전 링(24)은 링(24)의 원위단에 내부 공동(internal cavity)(25)을 포함한다. 내부 공동(25)은 카테터(22)의 근위단에 연결하기 위한 나사산(2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공동(25)은 암 루어 나사산(female luer thread)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 회전 링(24)은 링(24)의 근위단에 구멍(27)을 포함한다. 구멍은 자유 회전 링(24)의 근위단 벽을 통과해 내부 공동(25)으로 신장한다. 구멍(27)은 본체(30)의 근위단(3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멍(27)의 직경은 환형 림(32)에 대해 스냅핏을 형성하고 환형 림(32)과 견부(38)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멍(27)의 직경은 림(32)의 직경 및 견부(38)의 직경보다 작다.
커넥터(18)의 조립 동안, 본체(30)의 원위단(30b)은 자유 회전 링(24)의 구멍(27)을 통해 삽입된다. 자유 회전 링(24)의 구멍(27)은 림(32) 위로 밀려 자유 회전 링(24)은 채널(36) 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 링(24)은 림(32)과 견부(38)에 의해 몸체(30)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restrain)되지만 몸체(3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자유 회전 링(24)의 회전축은 길이방향 축(100)일 수 있다.
미는 수단(14)은 잠금 튜브(28)에 의해 본체(30)에 연결된다. 잠금 튜브(28)의 외경은 본체(30)의 보어(34)의 직경보다 작다. 잠금 튜브(28)의 내경은 안내 와이어(guide wire)(미도시)의 직경보다 크다.
미는 수단(14)을 본체(30)에 연결하는 동안, 미는 수단(14)은 본체(30)의 보어(34)에 삽입된다. 잠금 튜브(28)도 접착제로 또한 잠금 튜브(28) 및 미는 수단(14)을 본체(30) 내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본체(30)의 보어(34)에 삽입된다. 잠금 튜브(28)는 길이방향 축(10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미는 수단(14)을 유지한다. 이는 길이방향 축(10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으로부터 신장하는 미는 수단(14)에 대응한다.
커넥터(18)가 조립되고 미는 수단(14)이 본체(30)에 연결되면, 자유 회전 링(24)은 커넥터(18)를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에 연결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링(24)이 본체(30)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혈관 카테터(22)에 대한 연결은 미는 수단(14)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안내 장치(10)가 카테터에 연결될 때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혈관 카테터(22) 또는 혈관 내에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8)는 테이퍼형 구성품(12)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내 장치(10)와 혈관 카테터(22) 사이의 안전한 연결을 제공한다.
혈관 카테터(22)가 혈관 내의 원하는 위치로 전진이 되면, 커넥터(18)는 혈관 카테터(22)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미는 수단(14)은 안내 와이어(20)를 따라 혈관으로부터 안내 장치(10)를 빼내기 위해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고, 혈관 카테터(22)는 혈관 내 제자리에 남겨진다. 유리하게는, 안내 장치(10)는 표준 삽입 시술 동안 동맥 경련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된, 구불구불한 또는 경련성 동맥과 마주치면 카테터의 전진을 계속하기 위해 표준 안내 와이어를 제거하고 추가 구성요소를 삽입해야 하는선행 기술 방법과 대조된다.
전진하는 카테터 앞의 혈관에서 혈관 카테터(22)의 안내를 돕는 것 외에도, 안내 장치(10)는, 걸림 또는 경련이 발생하고 혈관에서 안내 와이어를 따라 혈관 카테터(22)의 통과가 차단되고 혈관 카테터(22)의 추가 전진이 억제되거나 방해되는 경우를 "구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내 장치(10)는 안내 와이어를 따라 그리고 혈관 카테터(22)의 보어를 통해 전진되어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혈관 내에서 혈관 카테터(22)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이와 관련된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 및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내 장치는 덮개(sheath)를 통해 또는 덮개 없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장치가 안내 카테터를 위한 삽입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조합이 덮개가 없는 카테터로 알려져 있을 수 있고 모든 제조업체의 카테터 및 안내 와이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보편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저마찰(low friction)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혈관벽과의 낮은 마찰 계면은 혈관에서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활한 이동을 촉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임의의 윤활성 및/또는 친수성 외부 표면이 이러한 저마찰 외부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친수성 외부 표면은 테이퍼형 구성품(12)에 적용되는 친수성 코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친수성 외부 표면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의 표면 지형(예를 들어, 복수의 홈, 오목부 또는 테이퍼형 구성품(12) 친수성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타 표면 특징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테이퍼형 구성품(12)은 혈관 내에서 사용 중에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형 구성품(12)은 단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4)은 최대 30c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4)은 1cm 내지 30cm, 또는 14cm 내지 25cm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4)은 약 14c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테이퍼형 구성품(14)은 요구되는 유연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안내 장치(10)가 6F 카테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테이퍼형 구성품(12)은 14cm의 축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실린더형 제1 섹션(15)은 10cm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12b) 및 원통형 제1 섹션(15) 사이에 4c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제2 섹션(17)은 볼록한 원뿔일 수 있으며, 이때 원뿔의 테이퍼는 반경이 2000mm와 4000mm 사이인 원의 원호와 부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3 섹션(19)은 원뿔의 테이퍼가 2000mm와 4000mm 사이의 반경을 갖는 원의 원호와 부합하는 오목 원뿔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이퍼형 구성품(12)의 최대 직경(예를 들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은 그것이 삽입될 카테터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테이퍼형 구성품은 3.00mm 미만, 2.7mm 미만, 2.29mm 미만, 2.0mm 미만, 1.7mm 미만 또는 1.35mm 미만인 최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8F 카테터의 경우 최대 직경은 2.29mm 미만일 수 있고, 7F 카테터의 경우 최대 직경은 2.0mm 미만일 수 있으며, 6F 카테터의 경우 최대 직경은 1.7mm 미만일 수 있다. 숙련된 독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F"가 프랑스 게이지 시스템을 의미하며, 여기서 1F는 1.3mm의 직경과 동일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안내 와이어(20)의 범위와 양립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13, 29)은 직경이 약 0.5mm 내지 1mm인, 예를 들어 직경이 0.46mm(0.018"), 0.64mm(0.025"), 0.81mm(0.032"), 0.89mm(0.035"), 0.97mm(0.038") 또는 1.10mm(0.043")인,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구멍(13)은 테이퍼형 구성품(12)을 0.36mm(0.014")의 직경을 갖는 안내 와이어(예를 들어, 혈관성형술 와이어)가 통과할 할 수 있도록 0.36mm(0.014")보다 클 수 있다.
안내 장치(10)는 공지된 혈관 카테터(22) 및/또는 안내 와이어(20)와 치수적으로 양립할 수 있고 그와 달리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단일 크기의 안내 장치(10)가 다른 길이의 혈관 카테터(22)들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혈관 카테터(22)와 치수적으로 양립하기 위해, 테이퍼형 구성품(12)이 혈관 카테터(22)의 원위단(22b)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있을 때, 미는 수단(14)은 혈관 카테터(22)의 근위단을 넘어 후방으로 신장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은 테이퍼형 구성품(12)으로부터 적어도 60cm, 적어도 70cm, 적어도 80cm, 적어도 90cm 또는 적어도 100cm 신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미는 수단(14)에는 안내 장치(10)의 전개된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커(16)(도 1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마커(16)가 카테터(22)의 근위단에 근접하면, 안내 장치(10)(및 이에 따른 혈관 카테터(22))가 전개된 길이는 마커(16)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마커는 시각적 마커 및/또는 비-시각적 마커를, 예를 들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예: 텅스텐 또는 바륨)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마커는 미는 수단(14)에 국한되지 않고 안내 장치(1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원위단 끝(tip)에서부터 대략 2mm 떨어진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형광투시 검사(fluoroscopic screening)에서 장치의 원위단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드시 위에서 논의된 특정 특징 및 치수로 제한되지 않는다. 숙련된 독자는 또한 위에서 논의된 특징(및 치수)이 포괄적인 것이 아니며, 상이한 특징 및/또는 치수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포함하다" 및 "함유하다"라는 단어와 이들의 변형은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며, 다른 모이어티, 첨가제, 구성 요소, 정수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문맥에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수 표현은 복수 표현을 포함한다. 특히, 단복수 표현이 없는 경우, 명세서는 문맥에서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단수뿐만 아니라 복수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품"이라는 단어는 모놀리식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 부품 구조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징, 정수, 특징, 화합물, 화학적 모이어티 또는 기는 양립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다른 측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 포함),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는 그러한 특징 중 적어도 일부가 및/또는 단계는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의 세부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의 신규 또는 신규 조합(첨부된 청구범위, 요약 및 도면 포함), 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신규 또는 임의의 신규 조합,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 단계의 신규 조합으로 확장된다.
독자는 본 출원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제출되고 본 명세서와 함께 공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모든 논문 및 문서에 주의해야 하며, 그러한 모든 문서 및 문서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55)

  1.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로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과 카테터의 원위단에서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에서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는 미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이며,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른,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볼록 원뿔형 섹션인,
    안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은 오목 원뿔형 섹션인,
    안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대 직경일 수 있는,
    안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과 일치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소 직경은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는,
    안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 너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제어되는,
    안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안내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free-wheel mechanism)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안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의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림(rim)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수단은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지며,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는,
    안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의 길이가 다른,
    안내 장치.
  16.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 사이의 모서리는 곡선인,
    안내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하는,
    안내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21. 안내 와이어가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로서, 상기 안내 장치는: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비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도록 구성된 미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상기 근위단을 넘어서부터 제어되는,
    안내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지며,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는,
    안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의 길이가 다른,
    안내 장치.
  24. 제22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 사이의 모서리는 곡선인,
    안내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하는,
    안내 장치.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28. 제27항이 제22항을 인용할 때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안내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free-wheel mechanism)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안내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의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림(rim)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 장치.
  35. 안내 와이어 삽입되는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로서, 상기 안내 장치는: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는 테이퍼형 구성품;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으로부터 신장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 신장하도록 구성된 미는 수단; 그리고
    상기 안내 장치를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에 상기 커넥터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자유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이동은 상기 미는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혈관 카테터의 근위단을 넘어서부터 제어가능한,
    안내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에 연결가능한 본체 및 상기 카테터에 연결하기 위한 자유 회전 링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링은 상기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안내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상기 본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의 상기 자유 회전 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림(rim)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미는 수단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안내 장치.
  40. 제35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수단은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복수의 변(side)을 가지며, 상기 미는 수단의 단면은 4개의 변을 가질 수 있는,
    안내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의 길이가 다른,
    안내 장치.
  43. 제41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변들 사이의 모서리는 곡선인,
    안내 장치.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제1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의 일부와 부합하는,
    안내 장치.
  46. 제35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보어를 포함하는,
    안내 장치.
  47. 제46항이 제41항을 인용할 때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내부 보어의 원주의 일부와 부합하는 제2 만곡 변을 포함하는,
    안내 장치.
  48. 제2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제1 섹션, 제2 섹션 및 제3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섹션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3 섹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섹션은 상기 제2 섹션과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섹션은 실린더이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섹션은 원뿔형이며, 상기 제2 섹션의 테이퍼는 제3 섹션의 테이퍼와 다른,
    안내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볼록 원뿔형 섹션인,
    안내 장치.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은 오목 원뿔형 섹션인,
    안내 장치.
  51.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의 근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근위단과 일치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직경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대 직경일 수 있는,
    안내 장치.
  52. 제4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원위단과 일치하고,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최소 직경은 상기 제3 섹션의 원위단과 일치할 수 있는,
    안내 장치.
  53. 제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 수단에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안내 와이어 부분이 사용 중에 작업자에게 가시적으로 남아 있도록, 상기 미는 수단이 배치되는,
    안내 장치.
  54.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내 장치; 그리고
    혈관 카테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장치의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은 상기 혈관 카테터의 보어를 통과하고 상기 혈관 카테터의 원위단으로부터 신장하도록 구성되는,
    키트.
  55. 제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내 장치;
    안내 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의 상기 구멍은 상기 테이퍼형 구성품이 상기 안내 와이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와이어가 통과하는 통로를 허용하는,
    키트.

KR1020227019578A 2019-11-26 2020-11-24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KR202201061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7184.2 2019-11-26
GBGB1917184.2A GB201917184D0 (en) 2019-11-26 2019-11-26 Guiding device for a vascular catheter
PCT/GB2020/052985 WO2021105658A2 (en) 2019-11-26 2020-11-24 Guiding device for a vascular cath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146A true KR20220106146A (ko) 2022-07-28

Family

ID=6913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578A KR20220106146A (ko) 2019-11-26 2020-11-24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01146A1 (ko)
EP (1) EP4065205A2 (ko)
JP (1) JP2023505072A (ko)
KR (1) KR20220106146A (ko)
CN (1) CN115023258A (ko)
BR (1) BR112022010211A2 (ko)
GB (1) GB201917184D0 (ko)
WO (1) WO20211056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9194A1 (en) 2017-01-06 2018-07-12 Incept, Llc Thromboresistant coatings for aneurysm treatment devices
CA3095844A1 (en) 2018-05-01 2019-11-07 Incep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US11395665B2 (en) 2018-05-01 2022-07-26 Incep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obstructive material, from an intravascular site
WO2020010310A1 (en) 2018-07-06 2020-01-09 Imperative Care, Inc. Sealed neurovascular extendable catheter
US11471582B2 (en) 2018-07-06 2022-10-18 Incept, Llc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11766539B2 (en) 2019-03-29 2023-09-26 Incept, Ll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EP4044906A4 (en) 2019-10-15 2023-05-24 Imperative Care, Inc. MULTIVARIABLE ATTACK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259821B2 (en) 2019-12-18 2022-03-01 Imperative Care, Inc. Aspiration system with accelerated response
US11553935B2 (en) 2019-12-18 2023-01-17 Imperative Care, Inc. Sterile field clot capture module for use in thrombectomy system
CN113365687A (zh) 2019-12-18 2021-09-07 因普瑞缇夫护理公司 治疗静脉血栓栓塞疾病的方法和系统
EP4117762A4 (en) 2020-03-10 2024-05-08 Imperative Care Inc NEUROVASCULAR CATHETER WITH INCREASED FLEX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2144A (en) * 1997-03-31 1998-08-11 Cathco, Inc. Stent delivery catheter system
US7744585B2 (en) * 2004-09-29 2010-06-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with directed flow design
US8048032B2 (en) * 2006-05-03 2011-11-01 Vascular Solutions, Inc. Coaxial guide catheter for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US8062316B2 (en) * 2008-04-23 2011-11-22 Avinger, Inc.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boring through blocked vascular passages
CN105662668B (zh) * 2016-01-14 2018-06-26 江苏大学 一种锥形球囊
CN108355226A (zh) * 2018-01-30 2018-08-03 张利勇 一种用于血管介入治疗的微导管
CN111712292B (zh) * 2018-02-14 2022-04-29 泰利福生命科学有限公司 引导延伸导管
US11491313B2 (en) * 2018-02-20 2022-11-08 Crossliner, Inc. Guide catheter extension system with a delivery micro-catheter configured to facilitate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P2021523793A (ja) * 2018-05-17 2021-09-09 ルート92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oute 92 Medical, Inc. 吸引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5658A3 (en) 2021-07-29
WO2021105658A2 (en) 2021-06-03
GB201917184D0 (en) 2020-01-08
BR112022010211A2 (pt) 2022-09-06
US20230001146A1 (en) 2023-01-05
JP2023505072A (ja) 2023-02-08
EP4065205A2 (en) 2022-10-05
CN115023258A (zh)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6146A (ko) 혈관 카테터용 안내 장치
JP6639545B2 (ja) 進入及び追跡用迅速交換拡張器を持つ頸動脈シース並びに使用方法
EP0702535B1 (en) Prosthesis delivery system with dilating tip
EP3332830B1 (en) Guide extension catheter
US6599254B2 (en) Multi-feature steerable guidewire for vascular systems
EP1490141B1 (en) Catheter and guide wire exchange system
US7963987B2 (en) Sequential implant delivery system
US20090264865A1 (en) Insertion assisting tool for catheter, catheter assembly, and catheter set
US5957911A (en) Left coronary guiding catheter
US20080039784A1 (en) Multi-Lumen Catheter System
EP1391217A1 (en) Over-the-wire catheter having a slidable instrument for gripping a guidewire
JP2014532540A (ja) 複数の並行ガイドワイヤを有する医療用ガイドワイヤシステム
JP7155269B2 (ja) 案内伸長カテーテル
US20100204708A1 (en) Carotid guiding catheter (sheath) for carotid percutaneous intervention/stenting with internal fixation device to prevent migration of the Carotid guiding catheter (sheath)
EP3088036B1 (en) Balloon catheter
EP3448489A1 (en) Devices for assisting with advancement of cathet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613713B2 (en) Wire guide having variable flexibilit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10077789A1 (en) Usable-length-selectable catheter to treat vascular pathologies
JPWO2020037063A5 (ko)
US5460614A (en) Guidewire trapping catheter
US11712539B2 (en) Devices for assisting with advancement of cathet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19307676U (zh) 一种辅助冠脉支架通过的头端及柔韧膨大入口的延伸导管
JP2024504704A (ja) ガイドワイヤに沿った非外傷性カテーテル挿入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12170472A (ja) カテーテル及び血管内の狭窄部の治療方法
IES83263Y1 (en) Catheter and guide wire exchang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