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605A - 충전 소켓 - Google Patents

충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605A
KR20220105605A KR1020220007903A KR20220007903A KR20220105605A KR 20220105605 A KR20220105605 A KR 20220105605A KR 1020220007903 A KR1020220007903 A KR 1020220007903A KR 20220007903 A KR20220007903 A KR 20220007903A KR 20220105605 A KR20220105605 A KR 2022010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ocket
position limiting
terminal
charging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렌이 두 (로니)
팡유에 주 (제이슨)
카이수안 지앙 (에반)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충전 소켓을 제공하며, 소켓 본체에는 충전 플러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부, 배터리 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환 단부, 및 충전 단부 및 전환 단부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통되는 단자 수용 공동이 제공되며, 전환 단부에는 어댑터 플러그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어댑터 플러그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합 설치 홈이 제공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충전 소켓에서, 단자 수용 공동에 장착된 충전 단자가 수리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단지 어댑터 플러그만이 소켓 본체 상에 배치된 정합 설치 홈로부터 인출되도록 요구되며, 이로써 충전 단자와 배터리 팩 사이의 연결의 제거가 완료되며, 이는 분해 및 조립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는 간단하고, 작업 효율을 개선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충전 소켓 {CHARGING SOCKET}
본 출원은 충전기(charger) 기술 분야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에너지 및 환경에 대한 압박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및 환경 보호의 개념이 다양한 분야에 침투되었다. 자동차 산업의 경우, 종래의 연료 엔진 차량들 및 가스 엔진 차량들과 비교하여, 전력원으로서 전력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 차량들은 이들의 청결 및 환경 보호의 특성들로 인해 광범위한 실제 스테이지들에 점진적으로 진입했다. 전기 차량들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기 차량의 사용 동안 배터리를 빈번하게 충전할 필요가 있다. 전기 차량은 내부 배터리에 연결된 충전 소켓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전력 플러그를 차량 내부측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소켓에 플러그결합(plug)하는 것이 편리하다. 종래 기술에서, 충전 소켓의 전력 코드는 연결 단자 상에 직접 리벳팅되며, 이는 전력 코드 및 연결 단자가 분해될 수 없게 하고, 충전 소켓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고 충전 소켓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우발적으로 손상되고 이어서 충전 소켓의 연결 단자가 수리 및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유지 보수 비용이 높다.
본 출원의 목적은, 충전 소켓의 분해 및 조립이 어렵고, 그리고 충전 소켓의 연결 단자가 수리 및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연결 단자 및 전력 코드가 분해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은 종래 기술의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충전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 의해 채택되는 기술적 해결책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는 충전 소켓이며, 소켓 본체에는 충전 플러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부, 배터리 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환 단부, 및 충전 단부 및 전환 단부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통되는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며, 전환 단부에는 어댑터 플러그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어댑터 플러그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합 설치 홈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소켓 본체에는 정합 설치 홈에 위치되고 정합 설치 홈에서의 어댑터 플러그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구성요소(position limiting component)가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구성요소는 소켓 본체에 돌출되게 배열되고 정합 설치 홈의 최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위치 제한 구조를 포함하고, 어댑터 플러그의 주변 측벽은 소켓 본체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그리고 제1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어댑터 플러그의 최하부 표면에 돌출되게 배열된 제2 위치 제한 구조를 에워싼다.
실시예에서, 밀봉 링이 위치 제한 영역에 제공되고, 밀봉 링은 제1 위치 제한 구조와 제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은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하고, 충전 단자는 소켓 본체의 단자 수용 공동에 배열되고, 충전 단자의 일 단부는 충전 플러그의 정합 단자와 연결되고, 충전 단자의 다른 단부는 어댑터 플러그와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은 소켓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어댑터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어댑터 플러그는 소켓 본체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러그는 어댑터 하우징 및 어댑터 하우징 상에 배열된 전환 단자를 포함하고, 전환 단자의 일 단부는 충전 단자에 연결되고, 전환 단자의 다른 단부는 배터리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어댑터 하우징의 최하부 표면에는 충전 단자에 의해 통과되고 어댑터 단자에 의해 축 방향으로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천공 홀(piercing hole)이 제공되고, 제1 천공 홀의 형상은 전환 단자의 단면의 형상에 적응된다.
실시예에서, 어댑터 하우징의 최상부 표면에는 전환 단자에 의해 통과되고 배터리 팩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천공 홀이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은 소켓 본체를 어댑터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맞물림 조립체는 어댑터 하우징의 측벽 상에 배열된 맞물림 프레임 및 맞물림 프레임 상에 삽입된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소켓 본체에는 체결 프레임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예비 홈(reserved groove)이 제공되고, 예비 홈은 정합 설치 홈과 연통하도록 배열되고, 잠금 부재는 예비 홈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배열되고, 어댑터 하우징의 표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된 제1 맞물림 돌출부와 상호 맞물린다.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돌출부가 맞물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잠금 부재는 포지셔닝 돌출부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홀딩 시트를 포함하며; 홀딩 시트는 제1 홀딩 아암 및 제1 홀딩 아암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제2 홀딩 아암을 포함하고, 포지셔닝 돌출부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홀딩 영역은 제1 홀딩 아암과 제2 홀딩 아암 사이에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는 제1 홀딩 아암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제1 후크를 더 포함하며, 제1 후크 및 제1 맞물림 돌출부는 서로 맞물린다.
실시예에서, 맞물림 프레임에는 잠금 부재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이 제공되고, 복수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홀딩 아암의 표면에는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에 적응된 위치 제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맞물림 프레임에는 인접한 2개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 사이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2 맞물림 돌출부가 제공되며, 제1 홀딩 아암의 표면에는 제2 맞물림 돌출부와 스냅 연결되는 제2 후크가 돌출 형성된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유익한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충전 소켓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고, 소켓 본체에는 충전 플러그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부, 배터리 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환 단부, 및 충전 단부 및 전환 단부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통되는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며, 소켓 본체의 전환 단부에는 어댑터 플러그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어댑터 플러그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합 설치 홈이 제공되고; 충전 소켓 상에 배터리 팩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플러그의 추가를 통해, 그리고 정합 설치 홈을 통한 소켓 본체와 어댑터 플러그의 플러그 결합 가능 연결, 및 충전 플러그와 충전 소켓의 충전 단부의 외부 연결 그리고 배터리 팩과 어댑터 플러그(이는 소켓 본체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됨)의 연결을 사용하여, 단자 수용 공동에 장착된 충전 단자가 수리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단지 어댑터 플러그만이 소켓 본체 상에 배치된 정합 설치 홈로부터 인출되도록 요구되며, 이로써 충전 단자와 배터리 팩 사이의 연결의 제거가 완료되며, 이는 분해 및 조립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는 간단하고, 작업 효율을 개선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더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될 필요가 있는 도면들이 아래에서 간략하게 소개될 것이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본 출원의 단지 일부 실시예들일 뿐이며, 다른 도면들이 또한, 이러한 도면들에 기반하여, 창의적인 노동 없이 당업자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분해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어댑터 플러그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어댑터 플러그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어댑터 하우징의 제1 입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 소켓의 어댑터 하우징의 제2 입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어댑터 플러그의 어댑터 하우징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클램핑 조립체의 잠금 부재의 입체 구조도이다.
이들 중, 도면들에서의 참조 부호들은 다음과 같다:
1-충전 소켓; 2-소켓 본체; 21-충전 단부; 22-전환 단부; 221-정합 설치 홈; 222-예비 홈; 223-제1 위치 제한 구조; 23-단자 수용 공동; 24-충전 단자; 3-어댑터 플러그; 31-어댑터 하우징; 311-제2 위치 제한 구조; 312-위치 제한 영역; 3121-밀봉 링; 313-제1 천공 홀; 314-제2 천공 홀; 315-제1 맞물림 돌출부; 32-전환 단자; 4- 맞물림 조립체; 41-맞물림 프레임; 411-포지셔닝 돌출부; 412-위치 제한 안내 레일; 413-제2 맞물림 돌출부; 42-잠금 부재; 421-홀딩 시트; 4211-제1 홀딩 아암; 42111-위치 제한 홈; 42112-제2 후크; 4212-제2 홀딩 아암; 422-제1 후크.
본 출원의 해결될 기술적 문제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유익한 효과들을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은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은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정" 되거나 또는 "배열"되는 것으로 지칭될 때, 이 요소는 다른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요소 상에 간접적으로 있을 수 있고;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 것으로 지칭될 때, 이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요소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길이", "폭",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수직", "수평", "최상부", "최하부", "내부", "외부" 등과 같은 용어들에 의해 표시된 배향들 또는 위치 관계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들 또는 위치 관계들에 기반하며, 이는 본 출원의 설명 및 설명의 단순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표시된 디바이스 또는 요소가 특정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배향으로 구성 및 동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배향들 또는 위치 관계들은 본 출원의 제한으로서 이해될 수 없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라는 용어들은 설명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표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의 암시적 표시 또는 상대적 중요성의 표시 또는 암시로서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규정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달리 명시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초과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 충전 소켓(1)은 소켓 본체(2)를 포함한다. 소켓 본체(2)에는 충전 플러그에 외부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부(21), 배터리 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환 단부(22), 및 충전 단부(21) 및 전환 단부(22)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통되는 단자 수용 공동(23)이 제공된다. 소켓 본체(2)의 전환 단부(22)에는 어댑터 플러그(3)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어댑터 플러그(3)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합 설치 홈(221)이 제공된다. 충전 소켓(1) 상에 배터리 팩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어댑터 플러그(3)의 추가, 정합 설치 홈(221)을 통한 소켓 본체(2)와 어댑터 플러그(3)의 플러그 결합 가능 연결을 통해, 그리고 충전 플러그와 충전 소켓(1)의 충전 단부(21)의 외부 연결 그리고 배터리 팩과 어댑터 플러그(3)(이는 소켓 본체(2)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됨)의 연결을 사용하여, 단자 수용 공동(23)에 장착된 충전 단자(24)가 수리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단지 어댑터 플러그(3)만이 소켓 본체(2) 상에 배치된 정합 설치 홈(22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요구되며, 이로써 충전 단자(24)와 배터리 팩 사이의 연결의 제거가 완료되며, 이는 분해 및 조립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는 간단하고, 작업 효율을 개선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충전 소켓(1)의 특정 구현으로서, 충전 소켓(1)은 소켓 본체(2)의 단자 수용 공동(23)에 배열된 충전 단자(24)를 더 포함한다. 충전 단자(24)의 일 단부는 충전 플러그의 정합 단자에 연결되고, 충전 단자(24)의 다른 단부는 어댑터 플러그(3)에 연결된다. 충전 단자(24)의 충전 플러그의 정합 단자로의 플러그 결합 가능 연결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충전 소켓(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팩에 전달됨으로써, 전기 에너지 송신을 실현한다. 충전 소켓(1)은 소켓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어댑터 플러그(3)를 더 포함하고, 어댑터 플러그(3)는 소켓 본체(2)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다. 단자 수용 공동(23)에 장착된 충전 단자(24)를 수리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단지 어댑터 플러그(3)만이 소켓 본체(2) 상에 배치된 정합 설치 홈(221)으로부터 인출될 필요가 있고, 그에 의해 충전 단자(24)와 배터리 팩 사이에서의 연결의 제거가 완료되며, 이는 분해 및 조립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프로세스는 간단하고, 작업 효율을 개선하며,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1)의 어댑터 플러그(3)는 소켓 본체(2)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 어댑터 하우징(31) 및 어댑터 하우징(31) 상에 제공되는 전환 단자(32)를 포함한다. 전환 단자(32)의 일 단부는 충전 단자(24)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환 단자(3)의 다른 단부는 배터리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플러그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전환 단자(32)를 통해 배터리 팩에 송신되어, 전력 송신을 실현한다.
도 4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어댑터 하우징(31)의 최하부 표면에는 충전 단자(24)가 통과하고 축 방향으로 전환 단자(32)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천공 홀(313)이 제공된다. 충전 단자(24)의 일 단부는 제1 천공 홀(313)을 통과하고, 축 방향으로 전환 단자(32)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1 천공 홀(313)의 형상은 전환 단자(32)의 단면의 형상에 적응되며, 이는 전환 단자(32)와 충전 단자(24)의 플러그 결합 가능 연결의 프로세스 동안 위치 제한의 기능을 달성하며, 이에 의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어댑터 하우징(31)의 최상부 표면에는 전환 단자(32)가 통과하여 배터리 팩에 연결되는 제2 천공 홀(314)이 제공되며, 전환 단자(32)의 단부는 제2 천공 홀(314)을 통과하고, 배터리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충전 소켓(1)의 소켓 본체(2)에는 정합 설치 홈(221)에 위치되고 정합 설치 홈에서 어댑터 플러그(3)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구성요소가 제공되어, 소켓 본체(2)와 어댑터 플러그(3) 사이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되며, 전력 전송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충전 단자(24)와 전환 단자(32) 사이의 연결에 대한 손상은 정합 설치 홈(221)에서 소켓 본체(2)에 대한 어댑터 플러그(3)의 변위로 인해 방지되며, 이로써, 충전 소켓(1)의 제품 신뢰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위치 제한 구조의 특정 구조는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위치 제한 구성요소는 소켓 본체(2)에 돌출되게 배열되고 정합 설치 홈(221)의 최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위치 제한 구조(223)를 포함하고; 어댑터 플러그(3)의 주변 측벽은 소켓 본체(2)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제1 위치 제한 구조(223)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영역(312)을 형성하기 위해서 어댑터 플러그(3)의 최하부 표면에 돌출되게 배열된 제2 위치 제한 구조(311)를 에워싸고; 제1 위치 제한 구조(223)는 어댑터 플러그(3)의 위치 제한 영역(312) 내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어댑터 플러그(3)는 소켓 본체(2)의 미리 설정된 포지션에 정확하게 맞물리게 되고, 그에 의해, 충전 소켓(1)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밀봉 링(3121)이 위치 제한 영역(312)에 제공되고, 밀봉 링(3121)이 제1 위치 제한 구조(223)와 제2 위치 제한 구조(311) 사이에 제공되며, 이는 한편으로, 충전 소켓(1)의 보호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며, 충전 소켓을 통해 물 또는 먼지 등이 어댑터 하우징(31)에 진입하거나 또는 제1 천공 홀(313)을 통해 소켓 본체(2)의 단자 수용 공동(23) 내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충전 소켓을 통해 충전 소켓(1)의 내부 구조들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제품 신뢰성이 개선되고; 한편으로, 제1 위치 제한 구조(223)와 제2 위치 제한 구조(311)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어서, 소켓 본체(2)와 어댑터 플러그(3) 사이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충전 소켓(1)의 특정 구현으로서, 충전 소켓(1)은 어댑터 플러그(3)와 소켓 본체(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패스너들(fasteners)을 더 포함하며, 소켓 본체(2)에는 정합 설치 홈(221)의 원주 측벽 상에 간격을 두고 위치된 복수의 연결 홀들이 제공되며, 어댑터 하우징(31)에는 연결 홀들에 대응하는 고정 홀들이 제공되고, 패스너들은 고정 홀들을 통과하고 연결 홀들에 나사식으로 연결된다. 패스너들의 특정 구조는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패스너들은 스크류들이며, 패스너들은 어댑터 하우징(31) 상의 고정 홀들을 통과하고, 소켓 본체(2) 상에 어댑터 플러그(3)를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해 소켓 본체(2) 상의 연결 홀들에 나사 식으로 연결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충전 소켓(1)의 다른 특정 구현으로서, 충전 소켓(1)은 소켓 본체(2)를 어댑터 플러그(3)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조립체(4)를 더 포함한다. 맞물림 조립체(4)의 특정 구조는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맞물림 조립체(4)는 어댑터 하우징(31)의 측벽 상에 배열된 맞물림 프레임(41) 및 맞물림 프레임(41) 상에 삽입된 잠금 부재(42)를 포함한다. 맞물림 프레임(41) 상에 잠금 부재(42)를 삽입함으로써, 어댑터 플러그(3)는 소켓 본체(2)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소켓 본체(2)에는, 맞물림 프레임(41)이 배치되는 예비 홈(222)이 제공되고, 예비 홈(222)은 정합 설치 홈(221)과 연통하게 배열되고, 잠금 부재(42)는 예비 홈(222)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배열되고, 그리고 어댑터 하우징(31)의 표면 상에 돌출되게 배열된 제1 맞물림 돌출부(315)와 상호 맞물림되고, 그리고 어댑터 플러그(3)는 잠금 부재(42)와 제1 맞물림 돌출부(315) 사이의 버클 연결을 통해 소켓 본체(2)의 정합 설치 홈(221)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도 4, 도 5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러그(3)의 맞물림 프레임(41)에는 포지셔닝 돌출부(411)가 제공되고, 잠금 부재(42)는 포지셔닝 돌출부(411)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홀딩 시트(421)를 포함하며, 홀딩 시트(421)는 제1 홀딩 아암(4211) 및 제1 홀딩 아암(4211)으로부터 이격된 제2 홀딩 아암(4212)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돌출부(411)가 끼워맞춤되는 홀딩 영역이 제1 홀딩 아암(4211)과 제2 홀딩 아암(4212) 사이에 제공되고, 포지셔닝 돌출부(411)는 포지셔닝 돌출부(411)를 홀딩 시트(421)에 끼워맞춤함으로써 형성된 홀딩 영역에 클램핑되고, 그리고 잠금 부재(42)는 홀딩 프레임(41)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견고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장착되어, 어댑터 플러그(3)와 소켓 본체(2)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잠금 부재(42)는 제1 홀딩 아암(42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제1 후크(422)를 더 포함하고, 제1 후크(422) 및 제1 맞물림 돌출부(315)는 서로 맞 물리고, 어댑터 플러그(3)는 잠금 부재(42)의 제1 후크(422)와 제1 맞물림 돌출부(315) 사이의 맞물림 연결을 통해 소켓 본체(2)의 정합 설치 홈(221)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잠금 부재(42)는 홀딩 시트(421) 상에 제공된 가압 구조를 더 포함하고, 가압 구조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분이 제공되고, 가압 구조의 표면 상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 부분은 조작자의 손과 잠금 부재(42)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동작이 더 노동력을 절감하며, 이는 충전 소켓(1)의 어댑터 플러그(3)의 조립 및 분해에 유익하다. 미끄럼 방지 부분의 특정 구조는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미끄럼 방지 부분은 가압 구조의 표면 상에 돌출된 미끄럼 방지 돌출부이며, 이는 간단한 구조를 갖고 생산되기 쉽다.
도 4, 도 6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러그(3)의 홀딩 프레임(41)에는 잠금 부재(42)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412)이 제공되고, 복수의 위치 제한 가이드 레일들(4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잠금 부재(42)의 제1 홀딩 아암(4211)의 표면은 오목해지고(recessed),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412)에 적응된 위치 제한 홈(42111)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412) 및 위치 제한 홈(42111)의 상호 협력으로 인한 위치 제한 기능은 잠금 부재(42)의 조립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설치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하여서, 잠금 부재(42)의 홀딩 시트(421)는 홀딩 프레임(41)상에 미리 설정된 포지션에서 잠금 부재(42)를 견고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장착하기 위해 포지셔닝 돌출부(411)를 정확하게 클램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어댑터 플러그(3)와 소켓 본체(2)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선택적으로, 홀딩 프레임(41)에는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412) 중 인접한 2개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고 잠금 부재(42)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2 맞물림 돌출부(413)가 제공되며, 제1 홀딩 아암(4211)의 표면에는 제2 맞물림 돌출부(413)와 스냅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2 후크(42112)가 돌출 형성되며, 제2 맞물림 돌출부(413)와 제2 후크(42112) 사이의 스냅 연결은 잠금 부재(42)와 맞물림 프레임(41)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을 추가로 개선하여, 어댑터 플러그(3)가 소켓 본체(2)의 정합 설치 홈(221)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위의 설명은 이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만을 설명했으며, 이 실시예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한 대체 및 개선은 이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5)

  1. 충전 소켓으로서,
    상기 충전 소켓은 소켓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 본체에는 충전 플러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부, 배터리 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환 단부, 및 상기 충전 단부 및 상기 전환 단부와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통되는 단자 수용 공동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 단부에는 어댑터 플러그를 장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 플러그와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정합 설치 홈이 제공되는,
    충전 소켓.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에는, 상기 정합 설치 홈에 위치되고 상기 정합 설치 홈에서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구성요소(position limiting component)가 제공되는,
    충전 소켓.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구성요소는 상기 소켓 본체에 돌출되게 배열되고 상기 정합 설치 홈의 최하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위치 제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주변 측벽은 상기 소켓 본체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위치 제한 구조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위치 제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어댑터 플러그의 최하부 표면에 돌출되게 배열된 제2 위치 제한 구조를 에워싸는,
    충전 소켓.
  4. 제3 항에 있어서,
    밀봉 링이 상기 위치 제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제1 위치 제한 구조와 상기 제2 위치 제한 구조 사이에 배열되는,
    충전 소켓.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소켓은 충전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단자는 상기 소켓 본체의 상기 단자 수용 공동에 배열되고, 상기 충전 단자의 일 단부는 상기 충전 플러그의 정합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충전 단자의 다른 단부는 상기 어댑터 플러그와 연결되는,
    충전 소켓.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소켓은 상기 소켓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어댑터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플러그는 상기 소켓 본체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 소켓.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플러그는 어댑터 하우징 및 상기 어댑터 하우징 상에 배열된 전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자의 일 단부는 상기 충전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전환 단자의 다른 단부는 상기 배터리 팩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소켓.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최하부 표면에는, 상기 충전 단자에 의해 통과되고 상기 어댑터 단자에 의해 축 방향으로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천공 홀(first piercing hole)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천공 홀의 형상은 상기 전환 단자의 단면의 형상에 적응되는,
    충전 소켓.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최상부 표면에는, 상기 전환 단자에 의해 통과되고 상기 배터리 팩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천공 홀이 제공되는,
    충전 소켓.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소켓은 상기 소켓 본체를 상기 어댑터 플러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조립체는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측벽 상에 배열된 맞물림 프레임 및 상기 맞물림 프레임 상에 삽입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충전 소켓.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본체에는 상기 맞물림 프레임에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예비 홈이 제공되고, 상기 예비 홈은 상기 정합 설치 홈과 연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예비 홈에 플러그 결합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어댑터 하우징의 표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된 제1 맞물림 돌출부와 상호 맞물리는,
    충전 소켓.
  12. 제11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돌출부가 상기 맞물림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포지셔닝 돌출부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된 홀딩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시트는 제1 홀딩 아암 및 제1 홀딩 아암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제2 홀딩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돌출부에 의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홀딩 영역은 상기 제1 홀딩 아암과 상기 제2 홀딩 아암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 소켓.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제1 홀딩 아암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제1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1 맞물림 돌출부는 서로 맞물리는,
    충전 소켓.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프레임에는 상기 잠금 부재의 이동 방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이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홀딩 아암의 표면에는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에 적응된 위치 제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충전 소켓.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프레임에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위치 제한 안내 레일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잠금 부재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2 맞물림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홀딩 아암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맞물림 돌출부와 스냅 연결되는 제2 후크가 돌출 형성되는,
    충전 소켓.
KR1020220007903A 2021-01-20 2022-01-19 충전 소켓 KR202201056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156630.3U CN214625472U (zh) 2021-01-20 2021-01-20 一种充电插座
CN202120156630.3 2021-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605A true KR20220105605A (ko) 2022-07-27

Family

ID=7843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903A KR20220105605A (ko) 2021-01-20 2022-01-19 충전 소켓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27245A1 (ko)
JP (1) JP2022112011A (ko)
KR (1) KR20220105605A (ko)
CN (1) CN214625472U (ko)
DE (1) DE102022101062A1 (ko)
FR (1) FR3118911A1 (ko)
GB (1) GB26052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9409B2 (en) * 2021-02-04 2024-03-05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harging inle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4280B1 (en) * 2009-03-04 2010-09-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harge receptacle for plug-in electric vehicle
JP2013178943A (ja) * 2012-02-28 2013-09-09 Tokai Rika Co Ltd 充電インレット
DE202013012354U1 (de) * 2013-09-30 2016-06-09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Trennmodul für Ladesteckdose
US10988041B2 (en) * 2019-03-27 2021-04-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ble heat exchanger for a power connector
CN209993846U (zh) * 2019-07-17 2020-01-24 深圳市沃尔新能源电气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式充电插座
CN211045849U (zh) * 2020-01-13 2020-07-17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装的电动汽车用直流充电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12011A (ja) 2022-08-01
FR3118911A1 (fr) 2022-07-22
DE102022101062A1 (de) 2022-07-21
US20220227245A1 (en) 2022-07-21
CN214625472U (zh) 2021-11-05
GB2605252A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29100A (zh) 换电连接器
KR20220105605A (ko) 충전 소켓
KR102490609B1 (ko)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CN218867535U (zh) 一种便于插拔的连接器
CN214754335U (zh) 转接头
US20220231453A1 (en)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socket, and charging socket
CN213694467U (zh) 一种适配器壳体及电源适配器
CN211126215U (zh) 换电连接器
CN108814413B (zh) 手持式吸尘器
KR20220156261A (ko) 자동차 충전 커넥터
CN217672250U (zh) 换电接口、换电装置及车辆
CN214900000U (zh) 一种便捷式接线盒
CN112736567B (zh) 一种电磁自吸式快换连接器
CN218732087U (zh) 平面可位移式直流连接器及电池模组
CN218958150U (zh) 一种组合式接插件
CN214874262U (zh) 一种用于固定充电插座的安装支架组件及充电插座组件
CN220914906U (zh) 配电盒和车辆
CN218677783U (zh) 一种插座及连接器
CN212625952U (zh) 电池连接头的防尘结构及便携式换电电动车
CN221041459U (zh) 一种连接结构、电池模组以及用电设备
CN220440068U (zh) 一种插座及插接件
CN221024037U (zh) 一种用于电动自行车的可快速拆装的蓄电池
CN220731832U (zh) 一种连接器、电池及用电设备
CN115458859B (zh) 电池模组和电子设备
CN214124232U (zh) 一种机器人机械臂快速插接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