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448A -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448A
KR20220104448A KR1020210006749A KR20210006749A KR20220104448A KR 20220104448 A KR20220104448 A KR 20220104448A KR 1020210006749 A KR1020210006749 A KR 1020210006749A KR 20210006749 A KR20210006749 A KR 20210006749A KR 20220104448 A KR20220104448 A KR 20220104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entral
coupling device
arc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513B1 (ko
Inventor
민경진
이재훈
허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인팩이피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인팩이피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21000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13B1/ko
Priority to PCT/KR2021/019340 priority patent/WO2022154284A1/ko
Publication of KR2022010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형상이며 양단이 개구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링이 각기 형성되며,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탭터미널에 외접하는 호형바디가 형성되고, 호형바디는, 중앙부위에 천공되며 양단 개구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중앙절개홈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절개홈과 중앙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 링에 일단이 근접하되 중앙절개홈 보다 길이가 짧은 사이드절개홈이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양측 사이드절개홈의 중간까지 중앙절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의 내부에 결합되어 탭터미널(수터미널)과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Terminal coupling device for electrode connection}
개시되는 내용은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터미널로 구성된 결합구조에 적용되며, 탭터미널과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 터미널에 구비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대 터미널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된 것들이 있다.
서로 결합되는 터미널은 각각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과 탭터미널(수터미널)로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터미널이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터미널은 일종의 암터미널로서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봉형상의 수터미널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을 다접점 터미널이라고 하는데, 링형상의 선단연결부와 후단연결부 사이를 다수개 연결브릿지가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된다.
연결브릿지는 일반적으로 그 중간부분이 터미널의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정점으로 되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접점 터미널의 예가 미국 특허6,837,756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4-0020102호
개시되는 내용은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과 탭터미널(수터미널)로 구성된 결합구조에 적용되며, 탭터미널과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중공 형상이며 양단이 개구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링이 각기 형성되며,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탭터미널에 외접하는 호형바디가 형성되고, 호형바디는, 중앙부위에 천공되며 양단 개구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중앙절개홈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중앙절개홈과 중앙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 링에 일단이 근접하되 중앙절개홈 보다 길이가 짧은 사이드절개홈이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양측 사이드절개홈의 중간까지 중앙절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절개홈은 중앙절개홈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의 내부에 결합되어 탭터미널(수터미널)과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의 'B-B'선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는,
중공 형상이며 양단이 개구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링(100a,100b)이 각기 형성되며,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탭터미널(300)에 외접하는 호형바디(20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호형바디(200)는 창살형상이면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호형바디(200)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탄력성을 갖게 되고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탭터미널(3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면서 아울러 접촉에 의해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술되고 있는 탭터미널(300)은 봉형상의 전기 플러그로 정의된다.
전기 플러그의 결합구에 본 실시예가 적용된다면 전기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신호선 플러그의 결합구에 본 실시예가 적용된다면 전자신호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다접점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호형바디(200)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격부(260)가 형성되어 양단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격부(260)를 형성함으로써 호형바디(200)는 압축과 복원의 신축률이 향상될 수 있고,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완충공간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호형바디(200)의 중앙부위에 천공되며 양단 개구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중앙절개홈(220)이 다수개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수로 형성된 중앙절개홈(220)과 중앙절개홈(220)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 링(100a,100b)에 일단이 근접하되 중앙절개홈(220) 보다 길이가 짧은 사이드절개홈(240a,240b)이 양측에 각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측 사이드절개홈(240a,240b)의 중간 위치까지 중앙절개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절개홈(220)과 사이드절개홈(240a,240b)은 교호되게 형성된다.
즉, 중앙절개홈(220)이 형성되고 그 옆에 사이드절개홈(240a,240b)이 형성되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양 사이드절개홈(240a,240b)은 중앙절개홈(220)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물론 평행하지 않은 형상으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중앙절개홈(220)이 길게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사이드절개홈(240a,240b)이 각기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중앙절개홈(220)과 중앙절개홈(220) 사이의 면적을 갖는 부위가 상대물인 탭터미널(300)에 접촉되는 호형바디(200)가 되고, 호형바디(200)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다접점 역할을 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절개홈(240a,240b)의 양측에 각기 중앙절개홈(220)이 형성됨으로써 2개의 중앙절개홈(220) 사이의 넓은 면적을 갖는 호형바디(20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렇게 넓은 접촉 면적을 갖는 호형바디(200)가 탭터미널(300)에 접촉됨으로써 접촉성능이 향상되어 허용전류에 유리해지게 된다.
또한 사이드절개홈(240a,240b)이 양측에 각기 형성됨으로써 그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호형바디(200)의 응력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a,100b : 링 200 : 호형바디
220 : 중앙절개홈 240a,240b : 사이드절개홈
260 : 이격부 300 : 탭터미널

Claims (4)

  1. 리셉터클 터미널(암터미널)의 내부에 결합되어 탭터미널(수터미널)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공 형상이며 양단이 개구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링이 각기 형성되며,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탭터미널에 외접하는 호형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바디는
    중앙부위에 천공되며 양단 개구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중앙절개홈이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절개홈과 중앙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며, 양측 링에 일단이 근접하되 중앙절개홈 보다 길이가 짧은 사이드절개홈이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양측 사이드절개홈의 중간까지 중앙절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절개홈과 사이드절개홈은 교호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바디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격부가 형성되어 양단이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절개홈의 중간 위치까지 중앙절개홈(2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KR1020210006749A 2021-01-18 2021-01-18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KR10255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49A KR102550513B1 (ko) 2021-01-18 2021-01-18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PCT/KR2021/019340 WO2022154284A1 (ko) 2021-01-18 2021-12-17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49A KR102550513B1 (ko) 2021-01-18 2021-01-18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48A true KR20220104448A (ko) 2022-07-26
KR102550513B1 KR102550513B1 (ko) 2023-07-04

Family

ID=8244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49A KR102550513B1 (ko) 2021-01-18 2021-01-18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0513B1 (ko)
WO (1) WO2022154284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198A (ja) * 2005-11-25 2007-07-05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JP2010171013A (ja) * 2009-01-20 2010-08-05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電気コネクタ
KR20120029661A (ko) * 2010-09-17 2012-03-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접점 터미널
KR20120004622U (ko) * 2010-12-17 2012-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접점 터미널
KR20140020102A (ko) 2012-08-08 2014-02-18 (주)화인푸드라인 훈제 메추리알을 이용한 동결 제조방법
JP2014236000A (ja) * 2013-05-30 2014-12-15 健和興端子股▲分▼有限公司 弾性金属片、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ス端子
JP2016529675A (ja) * 2013-08-29 2016-09-2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複数のアームを有するコンタクト舌片を備えた大電流用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206098831U (zh) * 2016-07-16 2017-04-12 得意精密电子(苏州)有限公司 套筒式端子及电连接器
JP2019502242A (ja) * 2015-12-15 2019-01-24 アンフェノル−テュッヘル・エレクトロニ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 ラジアルコンタクトソケット
US20190140365A1 (en) * 2017-11-07 2019-05-09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198A (ja) * 2005-11-25 2007-07-05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タクト及びメス端子
JP2010171013A (ja) * 2009-01-20 2010-08-05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bh & Co Kg 電気コネクタ
KR20120029661A (ko) * 2010-09-17 2012-03-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접점 터미널
KR20120004622U (ko) * 2010-12-17 2012-06-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접점 터미널
KR20140020102A (ko) 2012-08-08 2014-02-18 (주)화인푸드라인 훈제 메추리알을 이용한 동결 제조방법
JP2014236000A (ja) * 2013-05-30 2014-12-15 健和興端子股▲分▼有限公司 弾性金属片、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ス端子
JP2016529675A (ja) * 2013-08-29 2016-09-2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複数のアームを有するコンタクト舌片を備えた大電流用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2019502242A (ja) * 2015-12-15 2019-01-24 アンフェノル−テュッヘル・エレクトロニ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 ラジアルコンタクトソケット
CN206098831U (zh) * 2016-07-16 2017-04-12 得意精密电子(苏州)有限公司 套筒式端子及电连接器
US20190140365A1 (en) * 2017-11-07 2019-05-09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284A1 (ko) 2022-07-21
KR102550513B1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0088A (en) Contact construction
JP3965137B2 (ja) 無性接点部材
US731659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mbedded canted coil spring
JP4395351B2 (ja) 特別なリーフ構造を備えたソケット形コンタクトとして構成された電気的な差込接続器
KR940001488A (ko) 겹 두께 날형 전기 단자
CN100574015C (zh) 带有牺牲电弧放电接点的阴端子
KR950034907A (ko) 암형단자 및 이를 사용한 컨넥터
CN101093918A (zh) 阴性端子接头
CN101262100A (zh) 具有触点稳定器的电插座端子
CN201975649U (zh) 多极单头插头和多极单头插口
US20090170381A1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JP2006344474A (ja) 雌端子金具
WO2006069338A3 (en) Connector with improved dual beam contacts
KR20220104448A (ko)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JPS63500971A (ja) 電気接続ソケットの改良
JP2002298968A (ja) コネクタ
KR102597717B1 (ko) 전극 접속용 터미널 결합장치
KR101146496B1 (ko) 다접점 터미널
US7438608B2 (en) Socket connector and female terminal therein
US6065987A (en) Electrical terminal
KR850005028A (ko) 전기 커넥터
CA2364942A1 (en) Switch assembly incorporating contact wedge
WO2000059073A1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with arc arresting portion
US4082410A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tact assemblies therefor
JP2007281834A (ja) 同軸用結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