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558A - 영업 지역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업 지역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558A
KR20220103558A KR1020210006347A KR20210006347A KR20220103558A KR 20220103558 A KR20220103558 A KR 20220103558A KR 1020210006347 A KR1020210006347 A KR 1020210006347A KR 20210006347 A KR20210006347 A KR 20210006347A KR 20220103558 A KR20220103558 A KR 2022010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area
area
business
addres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903B1 (ko
Inventor
조순희
강호상
Original Assignee
(주)맥스바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스바이저 filed Critical (주)맥스바이저
Priority to KR102021000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영업 지역 관리 서버에 의해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영업 지역 관리 서버의 영업 지역 설정부에 의해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자동으로 그리고/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업 지역 관리 서버의 영업 지역 추천부에 의해 가맹본부 및/도는 가맹점 사업자에게 영업 지역을 추천할 수 있다. 영업 지역 관리 서버의 표시부에 의해, 영업 지역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 기존 가맹점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 그리고/또는 추천 영업 지역 등을 브랜드별로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업 지역 관리 방법{A METHOD FOR MANAGING A BUSINESS DISTRICT}
본 발명은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가맹점 별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추천하고,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또는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업 지역이란 가맹본부가 가맹점에게 배타적이고 독점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상권의 지역적 범위이다. 가맹본부와 가맹점은 가맹계약시 서로 합의하여 영업 지역을 설정하며, 가맹계약서에 설정된 영업 지역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가맹계약기간 중에, 가맹점은 영업 지역 내에서만 상품 또는 용역을 판매할 수 있으며, 가맹본부는 가맹점의 영업 지역 안에서 자신의 직영점을 설치하거나 유사한 업종의 가맹점을 설치할 수 없다.
영업 지역은 그 설정 단계부터 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등까지 다양하게 고려되어, 매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에 맞추어서 영업지역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외식업의 영업 지역의 경우, 주거 인구 밀집도가 낮으면 반경 500 m ~ 1 km 정도로 설정되며, 주거 인구 밀집도가 높으면 100 m ~ 300 m 정도로 촘촘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가맹본부와 가맹점이 가맹계약서에 영업 지역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가맹계약서에 영업 지역을 기재하였다 하더라도, 전산화를 통한 통합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복수의 가맹점들의 영업지역을 설정 및/또는 보호하는 것이 힘든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영업 지역을 반경 몇 m/km 이내로 설정하고 있고, 도로를 따라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업 지역의 경계가 모호하다. 사실상 상당부분 외식업종에서는 가맹계약서상 영업지역 설정은 그 의미가 상실되었다고 보는 이들이 많아졌다.
영업 지역이 가맹점에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영업 지역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영업 지역을 보호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가맹본부 입장에서는 전략 출점지를 분석/확보하고 신규 가맹점 모집을 위해서 영업 지역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전산화를 통해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산화를 통해 다수의 가맹점 별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또는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고려하여 신규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영업지역 정보(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등)를 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을 고려하여 영업 지역을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업 지역 관리 서버에 의해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영업 지역을 수신받아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추가 예에 따르면,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영업 지역이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기설정된 영업 지역의 가맹점 단말에게 영업 지역에 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추가 예에 따르면,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 내의 도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도로를 따라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 설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수요층 인구 수, 상권 및 임대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 및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포인트들의 합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를 기준으로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선택된 서브 영역은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지 않으며,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면적들의 합은 미리 결정된 총 면적 이상인, 단계;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을 영업 지역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은 영업 지역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업 지역을 추천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지역 이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역을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수요층 인구 수, 상권 및 임대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 포인트들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인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추천 영업 지역으로서 저장하고 지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영업 지역은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일 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을 브랜드별로 지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고려하여 신규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영업지역 정보(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등)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산화를 통해 영업 지역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보호하면서 신규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을 고려하여 영업 지역을 추천함으로써, 가맹점 사업자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해줄 수 있으며, 가맹본부는 전략 출점지를 분석/확보할 수 있고 신규 가맹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고려하여 신규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영업지역 또는 새로운 영업지역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영업지역 정보(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등)를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도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라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추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라 영업 지역을 추천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업 지역 관리 서버(1)는 영업 지역 설정부(10), 저장부(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업 지역 설정부(10)는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는 주소 입력부(11),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 반경 입력부(13), 지도 화면 분할부(14) 및 도로 인식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입력부(11)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주소(A)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소(A)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맹점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주소 입력부(11)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브랜드명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의 사용자는 가맹본부 또는 가맹점 사업자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원하는 영업 지역을 수신 받아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반경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주소(A)와 반경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원,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에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에서 원하는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반경 입력부(13)는 상기 주소(A)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은 브랜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카페에 대해서는 300 m로 설정되고, Y 약국에 대해서는 2 k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은 지역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브랜드에 대해, 인구 밀집도가 높은 서울에 대해서는 300 m로 설정되고, 인구 밀집도가 낮은 제주에 대해서는 1 km 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은 가맹본부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2 x 2, 3 x 3, 8 x 8, 16 x 16 등으로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도로들을 따라 지도 화면을 불균등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도 6a 참고).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한 후,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각각의 서브 영역 내의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및/또는 임대료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포인트들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때, 선택된 서브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해야 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브랜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카페에 대해서는 100 p로 설정되고, Y 약국에 대해서는 200 p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가맹본부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지 않으면서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총 면적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면적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면적은 브랜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카페에 대해서는 360,000
Figure pat00001
로 설정되고, Y 약국에 대해서는 16
Figure pat00002
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면적은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면적은 가맹본부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로 인식부(15)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 내의 도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도로를 따라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경 입력부(13)가 상기 주소(A)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면, 상기 도로 인식부(15)는 인식된 도로를 따라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수정할 수 있다(도 5c 참고).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는 기존 가맹점들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 및/또는 신규 영업지 위치(즉, 주소(A))를 다른 가맹점들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가맹점들(X1, X2, X3)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들(X1, X2 및 X2)을 주소(A)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R1 또는 R2)을 기존 가맹점들(X1, X2, X3)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들(X1, X2 및 X2)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과 다른 가맹점들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브랜드별로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에 브랜드명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의 표시부(40)는 사용자가 입력한 브랜드의 가맹점들의 저장된 영업 지역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는 신규 가맹점의 주소(A)가 기존 가맹점의 영업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기존 가맹점의 화면에 이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인근 대리점 개설은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표시부(40)를 통해 이 사실을 알림으로써 기존 가맹점에게 사전 통지할 수 있으며, 기존 가맹점과 신규 가맹점 간의 협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관리 서버(1)는 영업 지역 추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업 지역 추천부(20)는 가맹본부 또는 가맹점 사업자에게 영업 지역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영업 지역 추천부(20)는 지역 입력부(21) 및 지도 화면 분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입력부(21)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지역 이름(B)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역 이름(B)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지역 입력부(21)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브랜드명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상기 지역(B)을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상기 지역(B)을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2 x 2, 3 x 3, 8 x 8, 16 x 16 등으로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도로들을 따라 지도 화면을 불균등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도 8 참고).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한 후,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각각의 서브 영역 내의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및/또는 임대료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 그룹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그룹의 서브 영역들은 연속적이며(즉,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그룹의 서브 영역들의 포인트들의 합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브랜드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카페에 대해서는 100 p로 설정되고, Y 약국에 대해서는 200 p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가맹본부에 의해 설정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서브 영역들은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 그룹을 추천 영업 지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영업 지역 추천부(20)에 의해 설정된 추천 영업 지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추천부(20)에 의해 설정된 추천 영업 지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추천부(20)에 의해 설정된 추천 영업 지역을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추천부(20)에 의해 설정된 추천 영업 지역과 다른 가맹점들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브랜드별로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도 8 참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에 원하는 지역 및/또는 브랜드명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의 표시부(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지역 및/또는 브랜드의 추천 영업 지역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관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에 의해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 간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영업 지역 설정부(10)의 주소 입력부(11)에 의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표시부(40)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된 주소(A) 및 상기 주소(A) 부근에서 기설정된 영업 지역들(X1, X2, X3)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S21)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총 3 가지로,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에 의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원하는 영업 지역을 수신 받아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옵션 a), 반경 입력부(13)에 의해 상기 주소(A)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옵션 b), 그리고 지도 화면 분할부(14)에 의해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방법(옵션 c)이 있다.
사용자(가맹본부 및/또는 가맹점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상기 3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S211).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상기 3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들을 서로 비교한 후,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옵션들(a-c)은 가맹본부 및/또는 가맹점 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옵션 a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S212)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영업 지역 입력부(12)에 의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원하는 영업 지역을 수신 받아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주소(A)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을 갖는 원 형태로 영업 지역(R1)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영업 지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에서 원하는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지도 화면의 도로를 따라서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영업 지역(R2)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옵션 b가 선택된 경우, 반경 입력부(13)에 의해 상기 주소와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S213)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은 브랜드 별로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입력부(13)는 사용자 단말(2)로부터 수신한 주소(A)와 미리 결정된 반경(R)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R3)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소와 반경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업 지역(R3)은 기설정된 영업 지역(X1)과 겹칠 수 있다(도 5a의 SR 영역).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존 가맹점(예를 들어, F1)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예를 들어, X1) 내에 새로운 가맹점이 입점하거나, 새로운 가맹점의 영업 지역(예를 들어, R3)이 기존 가맹점(F1)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X1)을 침범하는 것은 법적으로 불가하다. 다만, 점포 밀집 지역(예를 들어, 종로)의 경우, 새로운 가맹점이 기존 가맹점의 동의를 얻는 조건 하에서 이를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경 입력부(13)는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소와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업 지역에서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여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소(A)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소(A)와 미리 결정된 반경(R)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업 지역에서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부분(도 5a의 SR)을 제외하여 영업 지역(R3')을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반경 입력부(13)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주소와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반경 입력부(13)는 상기 주소와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업 지역이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친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2)과 상기 기설정된 영업 지역의 가맹점 단말에게 영업 지역에 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도로 인식부(15)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 내의 도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도로를 따라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경 입력부(13)가 상기 주소(A)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면(예를 들어, 도 5a의 R3 또는 도 5b의 R3'), 상기 도로 인식부(15)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 내의 도로를 인식하며, 인식된 도로를 따라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 인식부(15)는 상기 반경 입력부(13)가 설정한 원형(또는 다각형) 형태의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가장 가까운 도로와 매칭시켜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업 지역의 경계선이 도로를 따라 형성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수정된 경계선을 이용하여 영업 지역(R3'')이 설정될 수 있다. 가맹점 사업자의 영업 지역의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 도로 인식부(15)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도 5c의 R3'')의 면적은 반경 입력부(13)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도 5a의 R3 또는 도 5b의 R3')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인식부(15)가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수정하면, 영업 지역의 경계가 좀 더 명확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옵션 c가 선택된 경우,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에 의해,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S214)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2 x 2, 3 x 3, 8 x 8, 16 x 16 등으로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도로들을 따라 지도 화면을 불균등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a는 지도 화면 분할부(14)에 의해, 주소(A) 부근의 지도 화면을 도로들을 따라 불균등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들(S1 내지 S23)이 생성된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주소(A)를 포함하는 서브 영역(S12)을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주소(A)를 포함하는 서브 영역(S12)에 추가하여, 서브 영역(S12)과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서브 영역들(S7, S11, S12)을 선택하여 영업 지역으로 설정하거나, 서브 영역들(S6, S11, S12, S16, S17)을 선택하여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S1-S23)을 생성한 후,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각각의 서브 영역 내의 주거 인구, 유동 인구,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및/또는 임대료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상기 주소(A) 부근의 지역에 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에 2 p(포인트), S2에 5 p, S3에 10 p, ... S7에 20 p, ... , S23에 2 p를 부여할 수 있다. 임대료가 높은 경우 포인트는 낮아지고, 유동 인구가 많으면 포인트는 높아지는 등의 방식으로, 포인트가 높은 서브 영역일수록 가맹점을 내기 좋은 곳임을 나타낼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포인트들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영역들을 영업 지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서브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주소(A)를 포함해야 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브랜드 별로 그리고/또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총 포인트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그룹을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가 100 p 인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영역들(S2, S6-S8, S11-S13, S16)의 제1 그룹(R4)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선택된 서브 영역들(S2, S6-S8, S11-S13, S16)의 포인트들의 합(5 + 5 + 3 + 20 + 15 + 16 + 20 + 20 = 104 p)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100p 이상이다.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서브 영역들(S3, S6-S8, S12, S13, S17)의 제2 그룹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선택된 서브 영역들(S3, S6-S8, S12, S13, S17)의 포인트들의 합(10 + 5 + 20 + 20 + 15 + 20 + 15 = 105 p)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100p 이상이다.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2 개의 그룹 중 제1 그룹(R4)의 서브 영역들(S2, S6-S8, S11-S13, S16)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제1 그룹(R4)을 영업 지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지 않으면서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총 면적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면적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영역들을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면적은 브랜드 별로 그리고/또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14)는 총 면적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들 중에서 하나의 그룹을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총 면적이 360,000
Figure pat00003
로 설정된 경우, 도 6a에서,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총 면적의 합이 360,000
Figure pat00004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 서브 영역들(S6-S8, S11-S13)의 제1 그룹 또는 연속적인 서브 영역들(S7, S11-S13, S16, S17)의 제2 그룹을 선택할 수 있으며, 2 개의 그룹 중 제1 그룹의 서브 영역들(S6-S8, S11-S13)을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영업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지도 화면 분할부(14)가 분할된 서브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으로, 여러 가지 가능한 서브 영역 조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S21) 후에, 저장부(3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S22)가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표시부(40)에 의해, 상기 영업 지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23)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도 4, 도 5a 내지 도 5c,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을 다른 가맹점들(F1, F2, F3)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X1, X2, X3)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영업 지역 설정부(10)에 의해 설정된 영업 지역과 다른 가맹점들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브랜드별로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업 지역 추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 간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먼저, 지역 입력부(21)에 의해, 사용자 단말(2)로부터 원하는 지역 이름을 수신하는 단계(S71)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가맹점을 내고 싶은 지역 이름(예를 들어, 역삼동, 종로구 등)을 영업 지역 관리 서버(1)의 영업 지역 추천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가맹점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원하는 브랜드명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지도 화면 분할부(22)에 의해, 상기 지역을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S72)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사업자가 원하는 지역이 역삼동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동을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B1 내지 B18)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천 영업 지역이 기존 가맹점들(F1-F4)의 기설정된 영업 지역들(X1-X4)과 겹치지 않도록, 복수의 서브 영역들이 기설정된 영업 지역들(X1-X4)과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도로들을 따라 지도 화면을 불균등하게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였지만,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지도 화면을 2 x 2, 3 x 3, 8 x 8, 16 x 16 등으로 균등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지도 화면 분할부(22)에 의해, 각각의 서브 영역마다 포인트를 부여하는 단계(S73)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각각의 서브 영역 내의 주거 인구, 유동 인구, 수요층 인구 수, 상권, 주변 환경 및/또는 임대료 등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상기 지역에 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각각의 서브 영역에 포인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1에 15 p(포인트), B2에 10p, ... B7에 8p, ... , B18에 12p를 부여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선택된 서브 영역들의 포인트들의 합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이상이 되도록, 연속적인(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는 브랜드 별로 그리고/또는 지역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총 포인트 기준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의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추천 영업 지역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가 80 p 인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영역들(B2, B4, B5)의 제1 그룹(G1)을 선택할 수 있고, 이 때, 선택된 서브 영역들(B2, B4, B5)의 포인트들의 합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80p 이상이다. 지도 화면 분할부(22)는 서브 영역들(B12, B13)의 제2 그룹(G2)을 선택할 수도 있고, 이 때, 선택된 서브 영역들(B12, B13)의 포인트들의 합은 미리 결정된 총 포인트 80p 이상이다.
그 다음, 상기 저장부(30)에 의해, 상기 선택된 서브 영역들(즉, 제1 그룹(G1)의 서브 영역들(B2, B4, B5) 및 제2 그룹(G2)의 서브 영역들(B12, B13))을 추천 영업 지역들로서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40)에 의해 지도 화면에 상기 추천 영업 지역들을 표시하는 단계(S75)가 수행될 수 있다.
가맹본부 또는 가맹점 사업자는 사용자 단말(2)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영업 지역들(G1, G2)을 참고하여 가맹점 위치와 영업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맹본부는 영업 지역 추천부를 이용하여 전략 출점지(즉, 추천 영업 지역)를 분석/확보할 수 있고, 신규 가맹점 모집 및 홍보시에 이러한 전략 출점지를 활용할 수도 있고, 전략 출점지에 자신의 직영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기설정된 영업 지역을 고려하여 신규 가맹점의 영업 지역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영업지역 또는 새로운 영업지역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영업지역 정보(주변 배후 세대의 수요층 인구수, 상권, 주변 환경, 임대료 등등)를 표시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영업 지역 관리 서버에 의해 영업 지역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영업 지역을 지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하는 영업 지역을 수신 받아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영역을 생성하고,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영업 지역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업 지역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업 지역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소가 점포 밀집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영업 지역이 기설정된 영업 지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기설정된 영업 지역의 가맹점 단말에게 영업 지역에 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업 지역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소 및 미리 결정된 반경을 기준으로 영업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지도 화면 내의 도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도로를 따라 영업 지역의 경계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업 지역 관리 방법.
KR1020210006347A 2021-01-15 2021-01-15 가맹본부의 가맹점 별 영업지역을 추출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7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47A KR102571903B1 (ko) 2021-01-15 2021-01-15 가맹본부의 가맹점 별 영업지역을 추출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347A KR102571903B1 (ko) 2021-01-15 2021-01-15 가맹본부의 가맹점 별 영업지역을 추출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58A true KR20220103558A (ko) 2022-07-22
KR102571903B1 KR102571903B1 (ko) 2023-08-30

Family

ID=8260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347A KR102571903B1 (ko) 2021-01-15 2021-01-15 가맹본부의 가맹점 별 영업지역을 추출 및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9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지씨알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10097284A (ko) * 2010-02-25 2011-08-31 한일 후보지 점포의 경제성 평가 방법 및 서버시스템
KR20160115185A (ko) * 2015-03-26 2016-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업점포의 위치 선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지씨알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10097284A (ko) * 2010-02-25 2011-08-31 한일 후보지 점포의 경제성 평가 방법 및 서버시스템
KR20160115185A (ko) * 2015-03-26 2016-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업점포의 위치 선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903B1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5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ta-data
US8195752B2 (en) System for schedul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Reihaneh et al. A multi-start optimization-based heuristic for a food bank distribution problem
US7848953B2 (en) Order fulfillment logic for a field service system
CN105824918A (zh) 一种问卷生成方法及终端
US20150138203A1 (en) Visualizing large graphs
JP2015097119A (ja) マーケティングの総予算及び販売資源の自動指定、及び支出カテゴリに渡る配分
US8346609B2 (en) Method and software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on a web page
US7676376B2 (en) Rate and distribution system
US10587916B2 (en) Analysis of television viewership data for creating electronic content schedules
US2011019115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and Controlling Electronic Displays
CN101184974B (zh) 用于择路和调度的系统和方法
US10728625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graphically displaying television viewership data
KR20220103558A (ko) 영업 지역 관리 방법
US20150120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istribution
KR20210046571A (ko) 복수 매장 관리용 비즈니스 모델 생성 방법
US4633433A (e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maps having two-dimensional roads
US109498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n advertising campaign that incrementally reaches unexposed target viewers
CN111538726A (zh) 基于图形化的信息录入方法及相关设备
CA264825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maps
KR101179216B1 (ko) 온라인 부동산 감정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11930375B (zh) 数据可视化应用开发方法和装置
US20150262100A1 (en) Use of polygon loading area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field dispatch in a telecommunications setting
JP2002334199A (ja) 商圏自動設定システム
JP2003150567A (ja) 重複スケジュール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