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516A -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 Google Patents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516A
KR20220103516A KR1020210006220A KR20210006220A KR20220103516A KR 20220103516 A KR20220103516 A KR 20220103516A KR 1020210006220 A KR1020210006220 A KR 1020210006220A KR 20210006220 A KR20210006220 A KR 20210006220A KR 20220103516 A KR20220103516 A KR 2022010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thtub
unit
water
air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450B1 (ko
Inventor
김동욱
권유정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45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3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욕조가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 형성되며, 공기흡입부가 흡입하는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배출구를 통해 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서 몸체부의 타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에어커튼 분사부; 및 본체부의 상면의 타측에 형성되며, 에어커튼 분사부가 분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커튼 흡입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욕조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 및 욕조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FUNCTIONAL BATHTUB WITH AIR CURTAIN AND HEATER FUNCTION}
본 발명은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욕 중 체온을 유지하고, 목욕 후 신체 건조가 가능하여 욕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자의 경우 신체의 청결을 위해 씻는 것을 본인 스스로 해결할 능력이 부족하므로 일반 입욕시설을 이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자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의 실내에 설치된 욕조 등을 이용하여 목욕을 한다. 그런데, 일반 주택의 실내에 설치된 욕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거동이 불편한 자 스스로 이동하여 목욕하기 어렵고,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도 실내 욕조의 구조상 목욕하기에 매우 불편하며, 신체 건강한 일반인들에 비해 목욕 시간이 더 길어진다.
목욕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피부에 묻어 있는 물들이 기화하면서 체내 열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체온이 내려가므로, 신체 기능이 떨어지는 약자들에게 감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동이 어려운 노약자나 신체가 불편한 지체부자유인이 욕조에서 목욕하는 동안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고 욕조 내 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반 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5056호 (10.07.2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목욕 과정에서 체온을 유지하고 욕조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목욕 후 신체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욕조 내부의 물을 재사용하기 위해, 물의 정화 및 순환이 가능한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욕조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부가 흡입하는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타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에어커튼 분사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분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커튼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욕조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욕조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배출하는 공기 및 상기 분사구가 분사하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열교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욕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욕조의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상기 열교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히팅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욕조의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 상기 분사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상기 에어커튼 분사부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배출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배출하는 공기 및 상기 분사구가 분사하는 물의 양적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량 감지 센서; 및 상기 유량 감지 센서가 감지한 양적 정보에 따라 상기 펌프와 상기 에어펌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 및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를 연결하는 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면과 욕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게 상기 욕조의 물이 빠지도록 구성되는 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회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를 포함하며, 상기 스키머는, 유입된 물이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에 담수된 물에 혼합된 부유물질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경사지게 세워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에어커튼 분사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 흡입부가 공기를 흡입하므로,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욕조 내부에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욕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욕조 내부의 열 손실이 감소하여 체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히팅부가 구비되어 급수관의 물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분사구를 통해 욕조에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욕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더라도 욕조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 분사부의 각도조절부재가 공기배출구의 배출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욕 후 신체를 건조할 때 에어커튼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를 변경하여 원하는 신체 위치를 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에 적용된 스키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의 히팅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측”, “후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2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2에 도시된 좌표계에서 후측에서 전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왼쪽과 오른쪽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평 방향”이라는 용어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직 방향”이라는 용어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 및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는 본체부(100), 공기흡입부(200), 에어커튼 분사부(300), 에어커튼 흡입부(40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 및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내부는 물이 저장되는 욕조를 형성한다.
상기 욕조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물질, 예를 들면 아크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는 열경화성 복합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SMC(Sheet Molding Compounds)욕조가 일 예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욕조의 하면에는 고무 소재의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는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소재의 패드는 욕조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분사구(110), 급수관(111), 흡입구(120), 회수관(121) 및 펌프(150)를 포함한다.
분사구(110)는 본체부(100)의 욕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구(110)는 물을 분사하며, 이를 위해 분사구(110)는 일 단이 급수관(111)과 연결된다.
급수관(111)은 타 단이 후술될 히팅부(500)와 연결되어 분사구(110)에 물을 공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흡입구(120)는 본체부(100)의 욕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20)는 욕조의 물을 흡입하며, 이를 위해 회수관(121)의 일 단은 흡입구(120)에 연결된다.
회수관(121)은 흡입구(120)를 통하여 욕조의 물을 회수하며, 회수관(121)의 타 단은 후술될 스키머(600)에 연결되어 회수된 물이 정화된다. 스키머(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펌프(150)는 흡입구(120)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분사구(110)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의 욕조에 담긴 물은, 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상기 물은 회수관(121)을 통하여 펌프(150)로 보내지며, 펌프(150)에 의해 양수된 물은 다시 급수관(111)을 경유하여 분사구(110)를 통하여 욕조로 분사된다.
이때 분사구(110)는 분사노즐(미도시)를 구비하여 급수관(111)을 통해 공급된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생성한 기포수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때 펌프(150)가 제공하는 압력은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부(100)는 히팅부(500)를 포함한다.
히팅부(500)는 열교환기(530)를 구비하여, 에어커튼 분사부(300)가 배출하는 공기와 분사구(110)가 분사하는 물을 가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내벽면과 욕조 사이에 틈(16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에어커튼 분사부(300)의 하측에 형성된다. 틈(160)은 에어커튼 분사부(3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욕조의 물이 빠지게 구비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틈(160)은 에어커튼 흡입부(4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에어커튼 흡입부(4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틈(160)의 하면에는 회수관(121)과 연결되는 배출관(미도시)이 관통형성 된다. 틈(160)에 유입된 물은 사기 배출관을 통하여 회수관(121)과 연결되어 후술할 스키머(600)에 유입된다.
본체부(100)에 형성된 욕조는 하면에 배수관(170)을 구비한다.
배수관(170)에 의하여 상기 욕조와 외부가 연통되며, 상기 연통에 의해 상기 욕조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공기흡입부(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된다. 도 2에 표시된 좌표계에 의하면 본체부(100)의 상기 측벽은 본체부(100)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네 개의 측면 중 전방 측을 의미한다.
공기흡입부(200)는 흡입공(210), 관(220) 및 팬(221)을 포함한다.
공기흡입부(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며, 흡입된 상기 공기는 후술할 관(220)을 통해 후술할 에어커튼 분사부(30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흡입공(210)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할 관(220)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데, 흡입공(210) 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관(220)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후술할 에어커튼 흡입부(4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관(22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 내부에서 전측, 하측 및 후측을 거치도록 형성된다.
관(220)은 후술할 에어커튼 분사부(300)의 공기배출구(310)에서 공기를 배출하도록 외부와 연통되며, 배출된 상기 공기는 후술할 에어커튼 흡입부(400)를 통하여 관에 흡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팬(221)은 관 내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221)은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팬(221)은 관(22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일정방향이 되도록 회전한다.
에어커튼 분사부(300)는 공기배출구(310), 에어펌프(320) 및 각도조절부재(330)를 포함한다.
에어커튼 분사부(300)는 본체부(100)의 일면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때 일면은 도 2에 표시된 좌표계를 참고하면, 본체부(100)의 측면 중 전방 측을 의미한다.
에어커튼 분사부(300)는 공기흡입부(200)가 흡입한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배출구(310)를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상기 공기는 본체부(100)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여 배출된다.
공기배출구(310)는 본체부(100)의 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타면은 본체부(100)의 측면 중 후면 측을 의미한다.
에어펌프(320)는 공기배출구(310)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한다. 이때 에어펌프(320)가 제공하는 압력은 후술할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각도조절부재(330)는 공기배출구(310)가 배출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구(310)의 배출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비된다. 공기배출구(310)는 각도조절부재(33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310)는 각도조절부재(3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배출구(310)가 배출하는 공기가 에어커튼 흡입부(400)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에어커튼 흡입부(400)는 본체부(100)의 타면의 상측에 형성된다.
에어커튼 흡입부(400)는 에어커튼 분사부(300)가 배출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커튼 분사부(300)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 흡입부(400)가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욕조 상부에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욕조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차단되어, 사용자가 목욕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330)로 인해 공기배출구(310)의 공기 배출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목욕 후 신체를 건조할 때 에어커튼 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각도를 변경시켜 신체 건조에 상기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지지부(700)는 본체부(100)의 하면의 좌측 및 우측에 함몰 형성된다.
지지부(700)는 본체부(100)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지면(地面)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지지부(700)는 회동하여 지면(地面)을 지지하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70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재(미도시), 힌지축공(미도시), 힌지축(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70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지지부(700)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자가 본체부(100)의 내부 욕조에서 물에 빠질 위험이 없고, 간병인 또한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더 수월하게 사용자의 목욕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지지부(700)는 지면(地面)과 맞닿는 일 단에 지지부(7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소재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체부(100)의 욕조의 내측면 중 후면에는 하측에 발받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받침부재는 상기 후면에 함몰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발받침부재는, 상기 발받침부재에 구비된 회전 유닛에 의해 상기 욕조의 내측면 중 후면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70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욕조를 상기 일정 각도로 세우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발받침부재에 발을 받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체부(100)는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퀴부는 몸체부(100)의 양 측면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퀴부는 본체부(100)의 전측에 형성되는 앞바퀴와 본체부(100)의 후측에 형성되는 뒷바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바퀴부(150)는 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를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흡입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측면 중 전방 측에 형성된다. 도시된 바 없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공기흡입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방 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200)는 흡입공(210), 관(220) 및 팬(221)을 포함한다.
공기흡입부(200)의 내부 공간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에 의해, 공기가 공기흡입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공(210)은 본체부(100)의 측벽, 즉 본체부(100)의 측면 중 정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후술할 관(220)으로 흡입한다. 이때, 흡입공(210) 가까이에 위치한 팬(221)이 회전하여 상기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220)은 공기가 유동되도록 공기배출구(310)와 에어커튼 분사부(300) 사이에 경로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에 적용된 스키머(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키머(600)는 몸체부(100)에 설치되며 회수관(121)의 타 단과 연결된다. 스키머(600)는 욕조 내부의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부유물질을 제거한다.
스키머(600)는 저장조(610) 및 거름망(620)을 포함한다.
저장조(610)는 스키머(600)에 유입된 물이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거름망(620)은 저장조(610)의 내부 공간에 담수된 물에 혼합된 부유 물질을 거르도록 구비된다.
거름망(620)은 저장조(610)의 내부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유 물질을 거르기 위해 측면에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걸름홀들이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욕조가 청결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스키머(600)를 통해 여과된 물은 펌프(150)와 열교환기(530)을 거쳐 급수관(111)으로 흐른다.
후술한 바와 같이 히팅부(500)의 열교환기(510)로 인하여 급수관(111)의 물의 온도를 높힐 수 있으므로 분사구(110)를 통하여 욕조에 온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목욕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더라도 욕조의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의 히팅부(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는 온도 제어를 위한 구성으로 히팅부(500)를 포함한다. 히팅부(500)는 하부 구성으로 히팅제어부(510), 센서부(520) 및 열교환기(530)를 포함한다.
히팅제어부(510) 및 센서부(520)는 정보의 입력, 출력, 연산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팅제어부(510) 및 센서부(5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히팅부(500)를 구성하는 히팅제어부(510), 센서부(520) 및 열교환기(530)는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열교환기(530), 히팅제어부(510) 및 센서부(520)에 각각 구비되는 모듈들 또한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에 의해, 전원(미도시)으로부터 히팅부(500)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히팅제어부(510)는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정보는 열교환기(53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제어 정보에 의해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히팅제어부(510)는 센서부(5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히팅제어부(510)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에 따라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의 온도가 조절되는 동안, 센서부(520)는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520)는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의 온도가 조절되는 동안, 본체부(100)의 욕조의 물에 관한 임의의 정보(이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부(520)가 감지하는 상태 정보는 물의 온도 정보뿐만 아니라 욕조의 수위 정보, 욕조의 습도 정보 등일 수 있다.
도시된 바 없으나, 센서부(520)는 온도 센서 모듈, 수위 센서 모듈 및 습도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온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욕조 내의 물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이하 온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수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욕조 내의 수위와 관련된 정보(이하 "수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수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습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욕조 내의 습도와 관련된 정보(이하 "습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습도 센서 모듈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 모듈, 수위 센서 모듈 및 습도 센서 모듈이 해당 정보를 감지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열교환기(530)는 히팅제어부(530)의 제어 정보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 받아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물의 온도와 에어커튼 흡입부(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의 욕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센서부(520)가 감지하는데,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거나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히팅제어부(510)를 통해 열교환기(5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욕조의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히팅제어부(510)를 통해 열교환기(5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물을 가열시키도록 한다.
이로 인해, 항상 고온의 온도를 유지하는 물이 급수관을 통해 분사구로 분사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욕 과정에서 체온 저하로 인한 감기나 기타 질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부(520)가 열교환기(5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물의 온도 값은 약 36℃ ~ 38℃가 적절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10)는 에어커튼 분사부(300)가 분사하는 공기와 분사구(110)가 분사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30)는 유량 감지 센서(140)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펌프(150) 및 에어펌프(320)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량 감지 센서(140)는 에어커튼 분사부(300)가 공기를 분사하는 동안 공기 및 분사구(110)가 분사하는 물에 관한 정보를 감지한다.
도시된 바 없으나, 유량 감지 센서(140)는 유량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유량 센서 모듈은 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유량 센서 모듈이 유량 정보를 감지하는 방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량 감지 센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150) 및 에어펌프(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사구(110)에서 분사하는 물의 양 또는 에어커튼 분사부(300)가 분사하는 공기의 양이 더 필요한 경우 펌프(150) 또는 에어펌프(3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물 또는 분사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분사하는 물 또는 분사하는 공기의 양은 상기 유량 센서 모듈이 감지한 양적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커튼 분사부(30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분사되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목욕 후 신체 건조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100: 본체부 110: 분사구
111: 급수관 120: 흡입구
121: 회수관 130: 제어부
140: 유량 감지 센서 150: 펌프
160: 틈 170: 배수관
200: 공기흡입부 210: 흡입공
220: 관 221: 팬
300: 에어커튼 분사부 310: 공기배출구
320: 에어펌프 330: 각도조절부재
400: 에어커튼 흡입부 500: 히팅부
510: 히팅제어부 520: 센서부
530: 열교환기 600: 스키머
610: 저장조 620: 거름망
700: 지지부

Claims (10)

  1.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욕조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부가 흡입하는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일면의 상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타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에어커튼 분사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면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분사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커튼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욕조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욕조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배출하는 공기 및 상기 분사구가 분사하는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열교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욕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욕조의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상기 열교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히팅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욕조의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
    상기 분사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물을 흡입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는,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배출하는 공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가 배출하는 공기 및 상기 분사구가 분사하는 물의 양적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유량 감지 센서; 및
    상기 유량 감지 센서가 감지한 양적 정보에 따라 상기 펌프와 상기 에어펌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 및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와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를 연결하는 관을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면과 욕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커튼 분사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게 상기 욕조의 물이 빠지도록 구성되는 틈을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회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를 포함하며,
    상기 스키머는,
    유입된 물이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에 담수된 물에 혼합된 부유물질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경사지게 세워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KR1020210006220A 2021-01-15 2021-01-15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KR102517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20A KR102517450B1 (ko) 2021-01-15 2021-01-15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20A KR102517450B1 (ko) 2021-01-15 2021-01-15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516A true KR20220103516A (ko) 2022-07-22
KR102517450B1 KR102517450B1 (ko) 2023-04-03

Family

ID=8260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20A KR102517450B1 (ko) 2021-01-15 2021-01-15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4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085A (ja) * 1992-02-05 1993-08-24 Aprica Kassai Inc 入浴装置
KR0185056B1 (ko) 1996-04-26 1999-04-15 김광호 반응 시간을 증가시킨 수직형 확산로
KR200290494Y1 (ko) * 2002-07-09 2002-09-28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고성능 방음벽을 구비한 월풀 욕조
JP2004041736A (ja) * 2002-07-12 2004-02-12 Pontificia Universidad Catolica Del Peru 新生児用人工覆い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100010541U (ko) * 2009-04-17 2010-10-27 홍종혁 자동 온도 조절 및 수질 정화 욕조
KR20150085885A (ko) * 2014-01-17 2015-07-27 한종윤 유아용 욕조
KR102181789B1 (ko) * 2020-02-25 2020-11-24 김병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장치가 마련된 에어커튼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085A (ja) * 1992-02-05 1993-08-24 Aprica Kassai Inc 入浴装置
KR0185056B1 (ko) 1996-04-26 1999-04-15 김광호 반응 시간을 증가시킨 수직형 확산로
KR200290494Y1 (ko) * 2002-07-09 2002-09-28 주식회사 이화하이테크 고성능 방음벽을 구비한 월풀 욕조
JP2004041736A (ja) * 2002-07-12 2004-02-12 Pontificia Universidad Catolica Del Peru 新生児用人工覆い
KR200349584Y1 (ko) * 2004-02-23 2004-05-06 류동훈 욕조용 공기분사장치
KR20100010541U (ko) * 2009-04-17 2010-10-27 홍종혁 자동 온도 조절 및 수질 정화 욕조
KR20150085885A (ko) * 2014-01-17 2015-07-27 한종윤 유아용 욕조
KR102181789B1 (ko) * 2020-02-25 2020-11-24 김병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장치가 마련된 에어커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450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655B1 (ko) 펫 드라이 룸
KR900001415B1 (ko) 증기사우나
US11559171B2 (en)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CN207400683U (zh) 一种超声波雾化理疗按摩浴缸
KR102517450B1 (ko) 에어커튼과 히터기능을 구비하는 기능식 욕조
JP2006333976A (ja) 足用シャワー・乾燥装置
JP2000055397A (ja) サウナ装置
KR102214955B1 (ko) 분무수단이 구비되는 야외용 먼지털이장치
JPH0928755A (ja) スチームサウナ装置
KR102500911B1 (ko) 소독용액 분무장치
JP3133808B2 (ja) 循環浴槽の噴射装置
JPH0345725Y2 (ko)
KR20170116444A (ko) 입욕제 투입장치가 구비된 월풀욕조
JP2002153537A (ja) 足温浴器
JP2568420Y2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CN208877242U (zh) 一种坐便器用的坐浴器
KR200296474Y1 (ko) 휴대용 좌욕기
JP2822429B2 (ja) 気泡発生浴槽
JPS6026541B2 (ja) 足浴槽組込式家庭用サウナ室
JP2556663Y2 (ja) 浴槽の肩当て用シャワー装置
JP2010075419A (ja) 浴槽シャワー装置
JP2003038373A (ja) 洗い場床暖房機能付き気泡浴槽装置
JP2001129047A (ja) 人体洗浄装置
KR200380623Y1 (ko) 각탕장치
KR20190139503A (ko) 자동 헤어워시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