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475A - 전기 고온수기 - Google Patents
전기 고온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3475A KR20220103475A KR1020210006108A KR20210006108A KR20220103475A KR 20220103475 A KR20220103475 A KR 20220103475A KR 1020210006108 A KR1020210006108 A KR 1020210006108A KR 20210006108 A KR20210006108 A KR 20210006108A KR 20220103475 A KR20220103475 A KR 202201034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urified water
- temperature
- unit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3—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electro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고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다수의 층을 형성하며,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되어 각 층에 저장되는 정수를 각각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 및 배출하는 저장탱크; 상기 정수를 가열하는 다수개의 히팅부재;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정수 및 고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여과 처리된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 회수, 재공급 및 방출하는 공급 제어부; 상기 공급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배출되도록 이송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배출 제어부;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를 토출하는 토출노즐;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와 상기 공급 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의 토출 여부 및 토출량을 제어하는 추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고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수의 추출시에도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온수의 온도가 떨어진다 하더라도 설정 온도로의 회복 속도가 빠르며, 고온수의 온도 변화없이 연속적으로 추출이 가능한 전기 고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고온수기는, 커피전문점이나 편의점 등과 같은 영업장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직수의 물을 대략 92℃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가열된 고온수를 추출하여도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계속 일정하게 유지시켜 일정량의 고온수가 계속적으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고온수기는 일정량의 고온수를 추출하는 경우, 저장된 온수의 온도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한정적으로 고온수를 추출할 수밖에 없고, 다량의 고온수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일정의 고온수 추출 후, 재가열에 의한 고온수의 생성이 이루어지기까지 대기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기 고온수기는 하나의 저장탱크에 저장된 온수 전체를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고온수의 추출시 저온의 물이 공급되면서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고온수의 온도가 내려가는 열평형 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재가열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다수의 이용자들이 있는 경우에는 장시간 대기하여 사용해야만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영업장에서는 적어도 두 대 이상의 전기 고온수기를 배치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 고온수기는 성능 대비 고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소형의 영업장에서는 전기 고온수기를 사용하기에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고온수의 추출시에도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온수의 온도가 떨어져도 설정온도로의 회복 시간이 짧으며, 고온수의 온도 변화없이 연속적으로 추출이 가능한 전기 고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부피에서도 많은 양의 고온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정량 추출이 가능하고, PCB 제어에 의해 순간 소비전력을 2kw로 낮추어 전력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고온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다수의 층을 형성하며,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되어 각 층에 저장되는 정수를 각각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저장탱크; 상기 다수의 층에 각각 저장되는 정수를 가열하는 다수개의 히팅부재;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정수 및 고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여과 처리된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회수되는 정수, 또는 수증기를 재공급하거나, 방출하는 공급 제어부; 상기 저장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배출되도록 이송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 제어부; 상기 배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를 토출하는 토출노즐; 상기 저장탱크에 장착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와 상기 공급 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의 토출 여부 및 토출량을 제어하는 추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탱크는, 전방으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외부탱크; 상기 외부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는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및 제2저장부를 형성하는 제1분할판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탱크에 삽입시 제3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분할판이 형성되는 내부탱크; 및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여과 처리하여 정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정수를 상기 공급 제어부로 공급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는 각각 제1 내지 제3온도센서와 제1 내지 제3수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히팅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모두 설정된 온도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히팅부재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 중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만이 설정 온도 보다 낮거나, 상기 제2 및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히팅부재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정수를 공급받는 공급포트;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출 제어부로 이송하는 공급 분배부; 상기 공급 분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공급부; 상기 정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 및 회수되는 정수, 고온수, 또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회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 분배부는, 상기 공급포트와 라인부재로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받은 정수의 이송 위치를 결정하는 정수 유입부와, 상기 정수 유입부의 하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상기 정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정수 공급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정수 이송부와, 상기 정수 유입부의 상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배출 제어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정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 제어부는, 상기 추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입된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일측부에 연결되며, 저온의 정수를 상기 배출부측으로 제공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고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부로 제공하는 고온수 이송부로 구성된 배출 분배부; 상기 공급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온의 정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저온의 정수를 상기 냉수 배출부측으로 제공하는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온수를 흡입하여 상기 고온수 이송부로 공급하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온수의 추출시에도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온수의 온도가 떨어져도 설정온도로의 회복 시간이 짧으며, 고온수의 온도 변화없이 연속적으로 추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부피에서도 많은 양의 고온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정량 추출이 가능하고, PCB 제어에 의해 순간 소비전력을 2kw로 낮추어 전력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고온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고온수기의 저장탱크의 전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고온수기의 저장탱크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이 결합된 상태의 전기 고온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고온수기의 저장탱크의 전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고온수기의 저장탱크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이 결합된 상태의 전기 고온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고온수기는 약10℃의 물을 92℃의 고온수로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가열이 완료된 고온수를 추출하여도 저장된 고온수의 온도를 계속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최대 10ℓ 까지 정량 추출할 수 있으며, 낮은 순간 소비전력으로도 다량의 고온수 추출이 가능함은 물론, 4ℓ의 물을 1kw히터로 가열하므로 단시간에 설정온도로 가열이 가능한 것으로, 저장탱크(100), 히터부재(210), 온도센서(220), 수위센서(230), 회수포트(240), 공급 제어부(300), 배출 제어부(400), 토츨노즐(500) 및 케이싱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탱크(100)는 내부 공간을 다수의 층을 형성하며,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되어 각 층에 저장되는 정수를 각각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탱크(110), 내부탱크(130), 컨트롤 패널(140) 및 필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탱크(110)는 내부로 내부탱크(130)가 결합되면서 정수의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관통되게 구성되고, 그 상부로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재(210)와, 정수의 온도 및 수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20) 및 수위센서(230)가 결합되는 상부커버(12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커버(120)에는 내부에 저장되는 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를 초과하거나, 고온수의 생성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발생하는 경우, 초과 수위에 위치하는 정수, 또는 수증기를 후술할 공급 제어부(300)의 회수밸브(330)로 이송시키는 회수포트(240)가 더 구성된다. 이대, 회수포트(240)는 호스와 같은 라인부재를 통해 회수밸브(330)와 연결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탱크(110)의 내부 공간은 내부탱크(130)의 결합시 수직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로 분할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외부탱크(110)는 전방부로 가열이 완료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고온수 배출구(112)는 제1저장부(102)의 하측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고온수의 배출시 제1저장부(102)에 저장되는 고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외부탱크(110)의 전방부에는 필터부재(150)를 통해 여과 처리된 정수, 또는 가열된 고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동하는 배출 제어부(400)와, 이 배출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정수, 또는 고온수를 배출하는 토출노즐(500)이 장착된다.
아울러, 외부탱크(110)의 후방측 하단부에는 필터부재(150)에 의해 여과 처리된 정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정수를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로 공급하는 공급 제어부(300)가 결합된다. 이때, 공급 제어부(300)는 후술할 개폐밸브(322)가 외부탱크(110)와 연결되어 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부탱크(100)의 후방부에는 수도관, 또는 수도호스 등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공급되고, 공급된 수돗물을 여과 처리하는 필터부재(150)가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부재(150)는 케이싱부(600)의 후방부에 장착되며, 하단부가 호스 등과 같은 라인부재를 통해 공급 제어부(300)의 공급포트(302)와 연결된다.
내부탱크(130)는 외부탱크(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를 형성하고, 이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서 각각 정수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102)를 형성하는 제1내부탱크(132)와, 제2저장부(104)를 형성하는 제2내부탱크(134)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탱크(130)는 제1 및 제2내부탱크(132, 134)를 분할하는 중간부에 제1분할판(138a)이 형성되며, 내부탱크(130)의 바닥면을 이루고 제3내부탱크(136)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2분할판(138b)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분할판(138a, 138b)에는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형성되며, 전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는 온도센서(220)가 관통하고, 후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는 히터부재(210)가 관통되어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저장되는 정수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분할판(138b)은 제3저장부(106)의 상부면을 이루며, 내부탱크(130)가 외부탱크(110)에 결합이 이루어질 때, 내부탱크(130)의 하부 외측으로 제3저장부(106)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및 제2저장부(102, 104)는 내부탱크(130)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제3저장부(106)는 제2분할판(138b)과 외부탱크(110)의 바닥면을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내부탱크(130)는 그 상단부가 전술한 상부커버(12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컨트롤 패널(140)은 외부탱크(110)의 후방측 외면에 장착되며, 후술할 케이싱부(600)의 추출 제어부(64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온도센서(220) 및 수위센서(23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히터부재(21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140)은 수위센서(23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공급 제어부(300)의 구성요소 중, 공급 분배부(310)의 정수 유입부(312),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320) 및 개폐밸브(322)의 구동 여부 및 개폐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히터부재(210)는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히터부재(212, 214, 216)로 구성되며, 컨트롤 패널(140)의 제어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하여 해당 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거나, 동시에 모두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온도센서(22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컨트롤 패널(140)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히터부재(212, 214)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신호는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모두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92℃)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제1 및 제2히터부재(212, 214)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저장된 정수 중 제2저장부(104)에 저장된 정수만이 설정 온도 보다 낮거나, 제2 및 제3저장부(104, 106)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히터부재(214)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 패널(140)은 온도센서(22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최대 2kw의 소비 전력으로 히터부재(210)가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온도센서(220)는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저장된 정수, 또는 가열된 고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 및 히터부재(210)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 패널(140)로 전송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102)에 위치하는 제1온도센서(222)와, 제2저장부(104)에 위치하는 제2온도센서(224) 및 제3저장부에 위치하는 제3온도센서(226)로 구성된다.
또한, 수위센서(230)는 제1 내지 제3저장부(102, 104, 106)에 저장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 패널(140)로 전송하는 것으로, 제1저장부(102)에 위치하며, 정수의 수위에 대한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센서(232)와, 제2저장부(104)에 위치하는 제2수위센서(234) 및 제3저장부에 위치하는 제3수위센서(2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컨트롤 패널(140)은 제1수위센서(23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히터부재(210) 및 공급 제어부(3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제2수위센서(234)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공급 제어부(300)의 구동만을 정지시키고, 히터부재(21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제3수위센서(236)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히터부재(21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공급 제어부(300)는 컨트롤 패널(140)의 제어에 의해 필터부재(150)를 통과하면서 여과 처리된 정수를 저장탱크(100)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회수포트(240)로부터 회수되는 정수, 또는 수증기를 재공급하거나,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공급포트(302), 공급 분배부(310),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320), 회수밸브(330) 및 정수 공급부(340)로 구성된다.
공급포트(302)는 컨트롤 패널(140)의 하부 일면에 장착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필터부재(150)와 연결되어 여과 처리된 정수를 공급 분배부(310)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 분배부(310)는 컨트롤 패널(140)의 하부에 장착되되, 공급포트(302)와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이 공급포트(302)와 라인부재로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컨트롤 패널(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받은 정수의 이송 위치를 결정하는 정수 유입부(312)와, 정수 유입부(312)의 하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정수 공급부(340)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정수 공급부(34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정수 이송부(314)와, 정수 유입부(312)의 상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후술할 배출 제어부(400)의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420)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배출 제어부(400)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정수 이송부(316)로 구성된다.
이때, 컨트롤 패널(140)은 후술할 추출 제어부(640)로부터 정수 유입부(312)의 개폐 위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1 및 제2정수 유입부(314, 316)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정수 공급부(340)의 일측부에 배관 등을 통해 연결 구성되며, 컨트롤 패널(140)의 제어에 의해 정수 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의 정수에 대한 공급량 및 공급여부를 제어한다.
아울러,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320)는 일단부에 외부탱크(110)와 연결되고, 공급되는 정수를 외부탱크(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부 중 제3저장부(106)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도록 작동하는 개폐밸브(322)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회수밸브(330)는 개폐밸브(322)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회수포트(240)와 라인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회수되는 매체, 즉 한계 수위를 초과한 정수 또는 고온수나, 고온수 생성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수밸브(330)는 유입된 매체를 개폐밸브(322)측으로 이송시켜 외부탱크(110)의 내부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방출밸브(332)를 통해 외부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배출 제어부(400)는 외부탱크(110)의 전방부에 배출 브라켓(402)을 통해 장착되어, 제1저장부(102)에 저장되는 고온수를 공급받아 토출노즐(500)측으로 이송하거나, 전술한 제2정수 이송부(316)와 연결되어 저온의 정수를 토출노즐(500)측으로 이송하는 구성요소로서, 배출 분배부(410),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420), 워터펌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 분배부(410)는 배출 브라켓(402)의 일측부에 장착되며,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가 유입되어 추출 제어부(6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입된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412)와, 이 배출부(412)의 일측부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420)와 연결되어 저온의 정수를 배출부(412)측으로 제공하는 냉수 배출부(414)와, 배출부(412)의 타측부에 연결되되, 냉수 배출부(414)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라인부재를 통해 워터펌프(430)와 연결되어 고온수를 공급받아 배출부(412)로 제공하는 고온수 이송부(416)로 구성된다.
이때, 배출부(412)는 추출 제어부(640)의 제어에 의해 냉수 배출부(414), 또는 고온수 이송부(416) 중 어느 하나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420)는 제2정수 이송부(316)와 연결되어 저온의 정수를 공급받으며, 추출 제어부(640)의 제어에 따라 공급받은 저온의 정수를 냉수 배출부(414)측으로 정량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워터펌프(430)는 라인부재를 통해 고온수 배출구(112) 및 고온수 이송부(416)와 각각 연결되고, 제1저장부(102)에 저장된 고온수를 흡입하여 고온수 이송부(416)로 제공하는 것으로, 추출 제어부(640)의 제어에 따라 흡입 여부 및 흡입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때, 워터펌프(430)는 고온수 이송부(416)와 연결되는 배출포트(432)가 구성된다.
토출노즐(500)은 배출 분배부(410)의 배출부(412)와 라인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정량 토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케이싱부(600)의 전방 케이싱(630)에 결합되는 노즐 브라켓(510)과, 노즐 브라켓(510)에 장착되며, 배출부(412)와 연결되고 추출 제어부(640)의 제어에 따라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정량 토출하는 노즐부재(520)로 구성된다.
케이싱부(600)는 저장탱크(100) 및 이 저장탱크(1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며, 고온수의 추출량 및 추출 여부를 제어하는 추출 제어부(640)가 장착되는 것으로, 밀폐 케이싱(610), 상부 케이싱(620), 전방 케이싱(630), 추출 제어부(640), 수집 케이싱(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폐 케이싱(610)은 케이싱부(600)의 측면을 형성하며, 저장탱크(100) 및 이 저장탱크(1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이 내장되고, 후방으로 필터부재(150)가 장착된다.
상부 케이싱(620)은 밀폐 케이싱(610)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히터부재(210)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기를 방출하는 방열홈(622)이 형성된다.
전방 케이싱(630)은 밀폐 케이싱(610) 및 상부 케이싱(620)의 전방부에 결합되고, 토출노즐(500)이 장착되되, 토출노즐(500)의 노즐부재(520)와 배출 분배부(410)의 배출부(412)를 연결하는 라인부재가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방 케이싱(630)에는 상부로 추출 제어부(640)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수집 케이싱(660)은 밀폐 케이싱(610)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며, 그 상부면으로 외부탱크(110)가 안착되고, 전방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집되는 저온의 정수 및 고온수는 사용자가 추출받은 이후의 잔여분일 수 있다.
추출 제어부(640)는 배출 제어부(400) 및 토출노즐(500)의 구동 여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제어부(400)의 구성요소 중, 배출 분배부(410)의 배출부(412),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420), 워터펌프(430)의 구동 및 개폐량에 대한 작동 제어와 토출노즐(500)의 노즐부재(520)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추출 제어부(64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고온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공급량에 대한 설정하는 조작수단(650)이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수단(650)은 공급량 설정 뿐만 아니라, 고온수의 설정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저장탱크
102: 제1저장부
104: 제2저장부 106: 제3저장부
110: 외부탱크 112: 고온수 배출구
120: 상부커버 130: 내부탱크
132: 제1내부탱크 134: 제2내부탱크
136: 제3내부탱크 138a: 제1분할판
138b: 제2분할판 140: 컨트롤 패널
150: 필터부재 210; 히터부재
212: 제1히터부재 214: 제2히터부재
216: 제3히터부재 220: 온도센서
222: 제1온도센서 224: 제2온도센서
226: 제3온도센서 230: 수위센서
232: 제1수위센서 234: 제2수위센서
236: 제3수위센서 240: 회수포트
300: 공급 제어부 302: 공급포트
310: 공급 분배부 312: 정수 유입부
314: 제1정수 이송부 316: 제2정수 이송부
320: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 322: 개폐밸브
330: 회수밸브 332: 방출밸브
340: 정수 공급부 400: 배출 제어부
402: 배출 브라켓 410: 배출 분배부
412: 배출부 414: 냉수 배출부
416: 고온수 이송부 420: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
430; 워터펌프 432: 배출포트
500: 토출노즐 510: 노즐 브라켓
520: 노즐부재 600: 케이싱부
610: 밀폐 케이싱 620: 상부 케이싱
622: 방열홈 630: 전방 케이싱
640: 추출 제어부 650: 조작수단
660: 수집 케이싱
104: 제2저장부 106: 제3저장부
110: 외부탱크 112: 고온수 배출구
120: 상부커버 130: 내부탱크
132: 제1내부탱크 134: 제2내부탱크
136: 제3내부탱크 138a: 제1분할판
138b: 제2분할판 140: 컨트롤 패널
150: 필터부재 210; 히터부재
212: 제1히터부재 214: 제2히터부재
216: 제3히터부재 220: 온도센서
222: 제1온도센서 224: 제2온도센서
226: 제3온도센서 230: 수위센서
232: 제1수위센서 234: 제2수위센서
236: 제3수위센서 240: 회수포트
300: 공급 제어부 302: 공급포트
310: 공급 분배부 312: 정수 유입부
314: 제1정수 이송부 316: 제2정수 이송부
320: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 322: 개폐밸브
330: 회수밸브 332: 방출밸브
340: 정수 공급부 400: 배출 제어부
402: 배출 브라켓 410: 배출 분배부
412: 배출부 414: 냉수 배출부
416: 고온수 이송부 420: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
430; 워터펌프 432: 배출포트
500: 토출노즐 510: 노즐 브라켓
520: 노즐부재 600: 케이싱부
610: 밀폐 케이싱 620: 상부 케이싱
622: 방열홈 630: 전방 케이싱
640: 추출 제어부 650: 조작수단
660: 수집 케이싱
Claims (7)
- 내부 공간을 다수의 층을 형성하며,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게 구성되어 각 층에 저장되는 정수를 각각 가열하여 고온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온수를 배출하는 저장탱크;
상기 다수의 층에 각각 저장되는 정수를 가열하는 다수개의 히팅부재;
상기 고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정수 및 고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여과 처리된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회수되는 정수, 또는 수증기를 재공급하거나, 방출하는 공급 제어부;
상기 저장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공급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배출되도록 이송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온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 제어부;
상기 배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를 토출하는 토출노즐;
상기 저장탱크에 장착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와 상기 공급 제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정수, 또는 고온수의 토출 여부 및 토출량을 제어하는 추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전방으로 고온수를 배출하는 고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외부탱크;
상기 외부탱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저장된 정수를 가열하는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제1 및 제2저장부를 형성하는 제1분할판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탱크에 삽입시 제3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분할판이 형성되는 내부탱크; 및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는 각각 제1 내지 제3온도센서와 제1 내지 제3수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히팅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히팅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모두 설정된 온도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히팅부재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 중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정수만이 설정 온도 보다 낮거나, 상기 제2 및 제3저장부에 저장된 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히팅부재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정수를 공급받는 공급포트;
상기 공급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출 제어부로 이송하는 공급 분배부;
상기 공급 분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공급받는 정수 공급부;
상기 정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후방 솔레노이드 밸브; 및
회수되는 정수, 고온수, 또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회수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분배부는,
상기 공급포트와 라인부재로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받은 정수의 이송 위치를 결정하는 정수 유입부와,
상기 정수 유입부의 하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상기 정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정수 공급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정수 이송부와,
상기 정수 유입부의 상부 일면에 연결되며, 라인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배출 제어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정수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제어부는,
상기 추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입된 저온의 정수, 또는 고온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일측부에 연결되며, 저온의 정수를 상기 배출부측으로 제공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고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배출부로 제공하는 고온수 이송부로 구성된 배출 분배부;
상기 공급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저온의 정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저온의 정수를 상기 냉수 배출부측으로 제공하는 전방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고온수를 흡입하여 상기 고온수 이송부로 공급하는 워터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고온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108A KR102545046B1 (ko) | 2021-01-15 | 2021-01-15 | 전기 고온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6108A KR102545046B1 (ko) | 2021-01-15 | 2021-01-15 | 전기 고온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3475A true KR20220103475A (ko) | 2022-07-22 |
KR102545046B1 KR102545046B1 (ko) | 2023-06-20 |
Family
ID=8260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6108A KR102545046B1 (ko) | 2021-01-15 | 2021-01-15 | 전기 고온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504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084Y2 (ko) * | 1985-12-17 | 1990-01-24 | ||
JP2004069264A (ja) * | 2002-08-09 | 2004-03-04 | Hoshizaki Electric Co Ltd | 湯供給装置 |
JP2013177146A (ja) * | 2012-02-28 | 2013-09-09 | Kubota Corp | 飲料供給装置 |
KR20150025785A (ko) | 2013-08-30 | 2015-03-11 | 주식회사 에이아이텍 | 직수형 전기 순간온수기 |
KR20180014604A (ko) * | 2016-08-01 | 2018-02-09 | 이스타 주식회사 | 대용량 전기온수기 |
-
2021
- 2021-01-15 KR KR1020210006108A patent/KR1025450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084Y2 (ko) * | 1985-12-17 | 1990-01-24 | ||
JP2004069264A (ja) * | 2002-08-09 | 2004-03-04 | Hoshizaki Electric Co Ltd | 湯供給装置 |
JP2013177146A (ja) * | 2012-02-28 | 2013-09-09 | Kubota Corp | 飲料供給装置 |
KR20150025785A (ko) | 2013-08-30 | 2015-03-11 | 주식회사 에이아이텍 | 직수형 전기 순간온수기 |
KR20180014604A (ko) * | 2016-08-01 | 2018-02-09 | 이스타 주식회사 | 대용량 전기온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5046B1 (ko) | 202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5964B2 (en) | Steam cooking appliance | |
JP5441440B2 (ja) | 温水器 | |
US4593169A (en) | Water heater | |
KR102057487B1 (ko) | 직수형 인덕션 간편조리기기 | |
CN209744353U (zh) | 真空式蒸汽和热水复合锅炉 | |
GB2468002A (en) | Grey water heat recovery apparatus | |
KR20220103475A (ko) | 전기 고온수기 | |
CN103637706B (zh) | 一种具有消毒及加热作用的工作餐存储箱 | |
KR101497069B1 (ko) | 에스프레소 머신의 추출그룹헤드 예열장치 | |
JP3488039B2 (ja) | 蒸気発生器の缶水排出装置 | |
CN204043175U (zh) | 带预热的蒸馏式即热开水器 | |
CN107374364A (zh) | 平衡水箱及具有其的饮水器 | |
CN105937806A (zh) | 可分散制热的热水垫的控制方法 | |
CN213588063U (zh) | 一种双进水速热饮水机 | |
CN109924877A (zh) | 一种即热式无断流大通量节能混合加热系统饮水机 | |
CN109682057A (zh) | 一种预加热净水器的加热方法 | |
KR101177378B1 (ko) |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 |
CN212546615U (zh) | 一种平衡水箱加热系统及饮水机 | |
CN211484066U (zh) | 管线饮水机和饮水系统 | |
CN210204448U (zh) | 一种即热式出水装置及茶吧机 | |
CN209610837U (zh) | 速热饮水机 | |
KR102050669B1 (ko) | 무압 증기발생장치 | |
JPH0674923B2 (ja) | 大能力給湯装置 | |
CN203749182U (zh) | 节能无蒸气热水饭箱 | |
KR20200032968A (ko) | 독립 제어부를 구비한 온수 히팅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