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378B1 -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378B1
KR101177378B1 KR1020110146510A KR20110146510A KR101177378B1 KR 101177378 B1 KR101177378 B1 KR 101177378B1 KR 1020110146510 A KR1020110146510 A KR 1020110146510A KR 20110146510 A KR20110146510 A KR 20110146510A KR 101177378 B1 KR101177378 B1 KR 10117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eat
heat storage
tempera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곤
김하림
백두성
Original Assignee
이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곤 filed Critical 이희곤
Priority to KR102011014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다수의 집광판이 구비되는 집열부와,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난방수를 1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소용량의 제1축열조와,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온수를 2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는 대용량의 제2축열조와, 상기 제1축열조 및 상기 제2축열조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난방수 또는 상기 2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온수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보일러와, 상기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 또는 상기 제2축열조와 상기 집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일러와 상기 제1축열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1차 공급온도 및 상기 2차 공급온도가 기설정되며,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HEATING SYSTEM USING SOLAR HEAT}
본 발명은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용량의 난방수용 축열로에 태양열을 전달하여,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난방수를 보일러로 공급하여 태양열에 의한 난방을 이룸과 아울러, 축열로에 저장된 난방수의 온도가 미달인 경우에는 보일러만을 이용해 난방을 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 난방을 하거나 욕실 등에 공급하는 장치이며, 그 종류로는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전기보일러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고유가 시대에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겸용하는 보일러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종래의 태양열 난방장치는, 태양열을 흡수하기 위한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으로부터 태양열을 전달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열 교환 방식에 의해 가열하며, 가열된 난방수 및 온수를 보일러로 공급하기 위한 축열조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열조는 수용된 물은 열 교환에 의해 가열된 후, 보일러로 공급되는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태양열 난방 시스템은 1.2t~1.5t의 축열조를 사용 하였으나, 종래의 축열조는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하고 있어, 겨울철 등 일조량이 적을 때에는 난방 온도도달 및 난방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축열된 열량을 난방에 활용시에도 약40~50도 까지만 활용이 가능하였다. 즉, 난방수의 환수온도 보다 낮을 때 까지만 활용 가능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005호(2011년06월22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태양열을 이용하면서도 축열용 탱크를 설치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축열 및 난방할 수 있는 태양열 복합 난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용량을 갖는 난방수용 축열조에 태양열을 전달하여, 열교환에 의해 기설정된 급수온도로 가열된 난방수를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일조량이 적은 경우에도 난방수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열조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기설정된 급수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축열조에 저장된 난방수를 이용해 태양열에 의한 난방을 하고, 축열조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기설정된 급수온도 이하인 경우에, 보일러의 에너지로만 난방을 함으로써, 태양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다수의 집광판이 구비되는 집열부와,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난방수를 1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소용량의 제1축열조와,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온수를 2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는 대용량의 제2축열조와, 상기 제1축열조 및 상기 제2축열조로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난방수 또는 상기 2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온수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보일러와, 상기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 또는 상기 제2축열조와 상기 집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일러와 상기 제1축열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1차 공급온도 및 상기 2차 공급온도가 기설정되며,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집열부와 연결되며,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제2축열조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개폐밸브 및,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보일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보일러 간에는 상기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수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축열조와 상기 보일러 사이에는 상기 보일러로 상기 온수를 각각 전달하기 위한 온수 배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의 내부에는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인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는 상기 난방수가 급속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축열조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일러에는 상기 난방수를 실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순환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난방수의 온도보다 상기 제1축열조의 상기 난방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2개폐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일러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 및 상기 제2축열조에는 상기 태양열과 열교환을 마치고 온도가 상승한 온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로부터 비교적 낮은 온도의 난방수 및 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제1회수관과 제2회수관(13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에는 상기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급관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2공급관을 개방시켜 상기 제2축열조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급관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공급관을 개방시켜 상기 제1축열조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용량을 갖는 난방수용 축열조에 태양열을 전달하여, 열교환에 의해 기설정된 급수온도로 가열된 난방수를 보일러로 공급함으로써, 일조량이 적은 경우에도 난방수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축열조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기설정된 급수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축열조에 저장된 난방수를 이용해 태양열에 의한 난방을 하고, 축열조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기설정된 급수온도 이하인 경우에, 보일러의 에너지로만 난방을 함으로써, 태양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일러에 사용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의 제어기의 연결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의 제어기의 연결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은, 집열부(100)와, 제1축열조(200)와, 제2축열조(300)와, 보일러(400)와, 개폐부(500) 및, 제어기(7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200) 및 상기 제2축열조(300)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6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집열부(100)는 옥외에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열을 흡수하기 위한 다수의 집광판(110)들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집광판(110)들에서 흡수된 태양열이 후술 될 제1축열조(200)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열부(100)는 집광판(110)을 24mㅂ 설치함으로써, 1mㅂ당 1day 열 생산 능력(2,000kcal~2,400kcal)을 갖는다.
그리고, 24mㅂ는 48,000Kcal~57,600kcal로 1mㅂ/1h당 90kcal 열량(한국에너지기기 산업진흥회 난방테스트)을 갖는다.
즉, 42mㅂ을 난방할 때 시간당 필요 열량은 3,780 kcal이며, 태양열로 전체 난방 시 12h~15h 난방가능 하다.
제1축열조(200)는, 금속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축열조(200)는 전술한 집광판(110)으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된다.
상기 제1축열조(200)의 내부에는, 급수된 난방수를 1차 공급온도(예: 60~80ㅀ)로 가열하기 위해 제1열교환기(210)가 구비된다.
상기 1차 공급온도라 함은, 후술 될 보일러(400)로 공급되어 난방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1축열조(200)는 적은 태양열을 가지고도 난방수를 급속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후술 될 제2축열조(300)보다 작은 용량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축열조(200)는 기존에 사용되는 축열조에 비해 2:3의 비율로 작게 제작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축열조(200)는 450~550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열교환기(210)는, 제1축열조(20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진공관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축열조(200)에는 내부 공간부로 난방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수구(부호 미도시)와, 난방수를 후술 될 보일러(400)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부호 미도시)와, 후술 될 제1공급관(120) 및 제1회수관(120')이 연결되는 별도의 배관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200)에는 후술 될 보일러(400)로 난방수를 전달하기 위한 난방수 배관(2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방수 배관(230)에는 후술 될 제2개폐밸브(52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축열조(200)의 내부에는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온도를 후술 될 제어기(700)로 인가하기 위한 온도센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축열조(300)는, 금속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축열조(300)는 전술한 집광판(110)으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상기 제2축열조(300)의 내부에는 급수된 난방수를 2차 공급온도(예: 90ㅀ 이상)로 가열하기 위해 제2열교환기(310)가 구비된다.
상기 2차 공급온도는, 후술 될 보일러(400)로 공급되어 온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2축열조(300)는 전술한 제1축열조(200)보다 더 큰 용량을 가지는데, 상기 제2축열조(300)는 650~750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2열교환기(310)는, 제2축열조(300)의 내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진공관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열조(200)에는 내부 공간부로 온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급수구(부호 미도시)와, 온수를 후술 될 보일러(400)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부호 미도시)와, 후술 될 제1공급관(120) 및 제1회수관(120')이 연결되는 별도의 배관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축열조(300)에는 후술 될 보일러(400)로 온수를 전달하기 위한 온수 배관(3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축열조(200) 및 제2축열조에는 태양열과 열교환을 마치고 온도가 상승한 온수를 제1열교환기(210)와 제2열교환기(310)에 각각 전달하기 위해,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13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축열조(200) 및 제2축열조에는 제1열교환기(210)와 상기 제2열교환기(310)로부터 비교적 낮은 온도의 난방수 및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제1회수관(120')과 제2회수관(13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관(120)과 제2공급관(130)에는, 후술 될 제1개폐밸브(510)가 설치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진다.
즉, 제1회수관(120')과 제2회수관(130')을 통해 회수되는 난방수 및 온수가 후술 될 제1열교환기(210) 및 제2열교환기(310)를 통과하는 경우, 집열된 태양열과의 열교환에 의해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보일러(400)는, 제1축열조(200) 및 제2축열조(300)와 각각 연결되며, 기설정된 공급온도에 도달한 난방수 또는 온수가 후술 될 제2개폐밸브(520)의 개폐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400)에는 전술한 난방수 배관(230) 및 온수 배관(320))으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수 및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실내의 온돌 등에 배근되는 순환관(410)과, 상기 순환관(410) 상에 설치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펌프(4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400)에는 전원이 연결되며, 별도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일러(400)는, 1차 공급온도로 가열된 난방수가 공급되며, 상기 공급되는 난방수를 일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이때, 상기 난방수는 난방에 필요한 온도에 근접하게 가열된 상태가 되므로, 보일러의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개폐부(500)는,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제1축열조(200) 또는 제2축열조와 집열부(10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일러(400)와 상기 제1축열조(20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500)는 제1개폐밸브(510) 및 제2개폐밸브(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개폐밸브(510)는, 집열부(100)와 연결되며, 난방수의 1차 공급온도에 따라 제1축열조(200)와 제2축열조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난방수가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제2축열조(300)의 제2공급관(13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난방수가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제2공급관(130)을 개방시키고 제1공급관(120)을 폐쇄시킬 수 있다.
제2개폐밸브(520)는, 난방수 배관(230) 상에 설치되며, 난방수가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난방수 배관(230)을 개방시켜 제1축열조(200)와 보일러(40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보일러(400)의 순환관(410)을 따라 순환되는 난방수의 온도가 제1축열조(200)에 저장된 난방수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개폐밸브(520)를 제어하여 난방수 배관(23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일러(400)의 순환관(410)을 따라 이동하는 난방수에 의해 제1축열조(200)에 저장된 난방수의 온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제어기(700)는, 도 2에서처럼 1차 공급온도 및 상기 2차 공급온도가 기설정되며,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따라 제1개폐밸브(510) 및 제2개폐밸브(5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700)는 순환관(41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난방수의 온도보다 상기 제1축열조(200)의 상기 난방수 온도가 낮은 경우, 제2개폐밸브(520)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기(700)는 보일러(400)를 구동시켜 난방수가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축열로(200)에 저장된 난방수가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기는 제2개폐밸브(520) 개방시켜 상기 보일러로 난방수를 공급한다.
즉, 상기 제2개폐밸브(520)에 의해 난방수 배관(230)이 폐쇄되므로, 보일러(400)의 순환관(410)을 따라 이동하는 난방수는 제1축열조(200)의 난방수와 섞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510)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급관(120)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2공급관(130)을 개방시켜 상기 제2축열조(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난방수가 1차 공급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510)를 제어하여 제2공급관(130)을 폐쇄시키고, 제1공급관(120)을 개방시켜 상기 제1축열조(200)로 전달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소용량을 갖는 난방수용 제1축열조(200)에 태양열을 전달하여, 열교환에 의해 1차 급수온도로 가열된 난방수를 보일러(400)로 공급함으로써, 일조량이 적은 경우(겨울철 등)에도 난방수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축열조(200)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2차 급수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제1축열조(200)에 저장된 난방수를 이용해 태양열에 의한 난방을 하고, 제1축열조(200)에 저장되는 난방수가 1차 급수온도 이하(예: 40ㅀ 이하)인 경우에, 보일러(400)의 에너지로만 난방을 함으로써, 태양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일러(400)에 사용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집열부 110: 집광판
120: 제1공급관 120': 제1회수관
130: 제2공급관 130': 제2회수관
200: 제1축열조 210: 제1열교환기
220: 온도센서 230: 난방수 배관
300: 제2축열조 310: 제2열교환기
320: 온수 배관 400: 보일러
410: 순환관 420: 펌프
500: 개폐부 510: 제1개폐밸브
520: 제2개폐밸브 600: 급수부
700: 제어기

Claims (9)

  1. 다수의 집광판이 구비되는 집열부와,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난방수를 1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는 소용량의 제1축열조와,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집열부로부터 태양열이 전달되며, 급수되는 온수를 2차 공급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는 대용량의 제2축열조와, 상기 제1축열조 및 상기 제2축열조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난방수 또는 상기 2차 공급온도에 도달한 상기 온수가 선택적으로 전달되는 보일러와, 상기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 또는 상기 제2축열조와 상기 집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일러와 상기 제1축열조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1차 공급온도 및 상기 2차 공급온도가 기설정되며,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집열부와 연결되며,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제2축열조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개폐밸브 및,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따라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보일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열조는, 상기 난방수가 급속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축열조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며,
    상기 보일러에는, 상기 난방수를 실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이 구비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순환관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난방수의 온도보다 상기 제1축열조의 상기 난방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제2개폐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일러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열조와 상기 보일러 간에는,
    상기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난방수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제2축열조와 상기 보일러 사이에는,
    상기 보일러로 상기 온수를 각각 전달하기 위한 온수 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열조의 내부에는,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인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열조 및 상기 제2축열조에는,
    상기 태양열과 열교환을 마치고 온도가 상승한 온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제1공급관과 제2공급관 및,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로부터 비교적 낮은 온도의 난방수 및 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제1회수관과 제2회수관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에는,
    상기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공급관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2공급관을 개방시켜 상기 제2축열조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난방수가 상기 1차 공급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에, 상기 제1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공급관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공급관을 개방시켜 상기 제1축열조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20110146510A 2011-12-29 2011-12-29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11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10A KR101177378B1 (ko) 2011-12-29 2011-12-29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10A KR101177378B1 (ko) 2011-12-29 2011-12-29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378B1 true KR101177378B1 (ko) 2012-08-27

Family

ID=4688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510A KR101177378B1 (ko) 2011-12-29 2011-12-29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3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89B1 (ko) * 2012-10-05 2014-06-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축열조를 구비한 태양열 축열 시스템
CN105783099A (zh) * 2016-05-09 2016-07-20 河北工业大学 具有加热室内空气功能的蓄能炕
KR20220132122A (ko) *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하늘바람 태양열 예열기를 적용한 주택용 고효율 태양열 집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04Y1 (ko) 2000-07-14 2001-01-15 최진민 전기보일러
KR200445815Y1 (ko) 2009-03-03 2009-09-01 조성구 태양열 급탕난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04Y1 (ko) 2000-07-14 2001-01-15 최진민 전기보일러
KR200445815Y1 (ko) 2009-03-03 2009-09-01 조성구 태양열 급탕난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89B1 (ko) * 2012-10-05 2014-06-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축열조를 구비한 태양열 축열 시스템
CN105783099A (zh) * 2016-05-09 2016-07-20 河北工业大学 具有加热室内空气功能的蓄能炕
CN105783099B (zh) * 2016-05-09 2018-05-08 河北工业大学 具有加热室内空气功能的蓄能炕
KR20220132122A (ko) * 2021-03-23 2022-09-30 주식회사 하늘바람 태양열 예열기를 적용한 주택용 고효율 태양열 집열시스템
KR102462637B1 (ko) * 2021-03-23 2022-11-0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열 예열기를 적용한 주택용 고효율 태양열 집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540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CN103017245A (zh) 一种多能源集成热水系统
KR10117737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1045005B1 (ko) 태양열 복합 난방장치
CN204404560U (zh) 一种分体式太阳能与空气源热泵复合系统
CN203177284U (zh) 地热源与燃气组合式供暖供热系统
CN208443046U (zh) 高效空气能热水器
KR101322555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시스템
CN201569159U (zh) 过流即热液体加热装置及采用该装置的暖热两用机
CN209386397U (zh) 一种基于太阳能辅助加热的石墨烯电采暖系统
KR10084963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일러
CN106979547A (zh) 一种多能源集成热水系统
KR101577352B1 (ko) 열사이펀향상을 위한 보조열원장치를 갖는 분리형 자연순환식 태양열 온수장치 및 그에 따른 운전제어방법
CN203177294U (zh) 一种光板太阳能与燃气组合式供暖供热系统
CN203797763U (zh) 太阳能、电能、燃烧介质互补的采暖和生活热水供给装置
CN209325908U (zh) 地源热泵与太阳能相结合的生活热水制备系统
JP5317810B2 (ja) 温水器
KR200430872Y1 (ko) 열교환식 전기보일러
CN203274298U (zh) 一种分体式非承压太阳能热水器
CN109210606A (zh) 一种基于太阳能辅助加热的石墨烯电采暖系统
CN203177287U (zh) 真空管太阳能、地热、燃气互补组合式供暖供热系统
CN102878721A (zh) 太阳能地源热组合式碳零排放制热制冷系统
KR101240451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및 온수공급 시스템
CN203349355U (zh) 用于采暖系统的空气能水暖机
CN202149475U (zh) 热管蒸汽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