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333A -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333A
KR20220103333A KR1020210005796A KR20210005796A KR20220103333A KR 20220103333 A KR20220103333 A KR 20220103333A KR 1020210005796 A KR1020210005796 A KR 1020210005796A KR 20210005796 A KR20210005796 A KR 20210005796A KR 20220103333 A KR20220103333 A KR 20220103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nu3402
lactobacillus
dead cells
lactobacillus johnsonii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993B1 (ko
Inventor
오세종
김응석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또는 이의 배양여액을 포함함으로써 체중, 간 조직에서의 중성지방의 함량, 지방조직에서의 중성지방의 함량 및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을 감소시키며,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액내 포도당 및 인슐린 증가를 억제하고,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또는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지방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주로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 등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viable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주요한 보건 상의 문제가 되고 있다. 세계보건 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 이상의 성인은 과체중이고, 이들 중 3억 명은 임상적으로 비만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심혈관 질환, 뇌졸중, 인슐린 내성, 당뇨병, 간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호흡기 질환 및 기타 중증 질환 등에 대한 주요한 위험 인자이고, 유방암 및 결장암을 포함한 일부 암에 대한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체 건강에 대한 영향 이외에, 비만은 우울증, 식이장애 및 낮은 자긍심을 초래하여 삶의 질 및 정신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가운데, 높은 에너지 부하를 갖는 식품 섭취의 꾸준한 증가 및 적은 운동과 연관된 사회적 변화들은 비만 및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성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저칼로리 다이어트와 운동에 기초한 전통적인 치료는 비만 제어에 있어서 그다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일시적인 체중 손실을 초래할 뿐이다. 이에, 우수한 항 비만 효과를 갖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2011883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균주의 사균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균주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균주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혈당 조절, 또는 혈중중성지방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2.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위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acetyl-CoA oxidase (ACOX),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 uncoupling protein 1 (UCP1), PPARγ 및 Cidea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혈당 조절, 또는 혈중중성지방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위 5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7. 위 5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acetyl-CoA oxidase (ACOX),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 uncoupling protein 1 (UCP1), PPARγ 및 Cidea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은 체중, 간 조직에서의 중성지방의 함량, 지방조직에서의 중성지방의 함량 및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을 감소시키며,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액내 포도당 및 인슐린 증가를 억제하고,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또는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지방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주로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계통학적 분류를 보여주는 계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장내 부착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식이 종류 또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 유무에 따라 식이 섭취량에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른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라 지방 조직 및 간 조직의 무게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라 혈액 및 조직 내 중성지방함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라 혈당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라 혈액내 인슐린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가 제거된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배양 조건배지의 처리에 따라 3T3-L1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투여에 따라 부고환 지방조직(eWAT)과 서혜부 백색지방(iWAT)에서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고,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경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의 처리에 따라 3T3-L1 지방세포에서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고,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의 처리에 따라 PPARγ의 전사 활성이 증가하고, UCP1 promoter와 PPARγ promoter의 활성이 증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에 의한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PPARγ 경로를 통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또는 이의 조건배지의 처리에 따라 지방조직이나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copy number와 CS 활성이 증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처리에 의한 쥐의 직장 온도가 증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균주의 사균체를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균주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16S rRNA 염기서열을 갖는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되어 수탁번호 KCCM12892P로 등록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담즙산 내성)을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가져 위를 통과할 때 사멸되지 않고 장내 도달이 가능하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장관점막에서 일시적으로 집락을 형성하여 병원성 세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장의 투과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는 우수한 장부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가열처리를 통해 사멸시킨 균체이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생균의 건조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균주의 사균체는 50 ℃ 내지 110 ℃, 60 ℃ 내지 100 ℃, 또는 70 ℃ 내지 90 ℃에서 가열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방 조직 및 간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조직 및 혈액 내 중성지방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혈액 내 포도당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FAS, ACC, SREBP1c)의 발현을 억제하고,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ACOX, CPT1, PGC1α)와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UCP1, PPARγ, Cide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미토콘드리아의 DNA copy number와 citrate synth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는 직장의 온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예방"은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질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 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농축 배양액, 또는 배양액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가 제거된 배양여액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의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가 제거된 배양여액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사균체를 배양한 배양액에서 사균체를 제거한 여액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가 제거된 배양여액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균주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에 열을 가해 사균화시킨 배양액에서 사균체를 제거한 여액일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간염, 간경화, 동맥경화,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대사성 질환은 비만에 의해 유발되는 대사성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또는 이의 배양여액은 체중 감소, 지방 조직 및 간 조직의 무게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조직 및 혈액 내 중성지방함량 감소 효과, 혈액 내 포도당 및 인슐린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을 억제하는 효과,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FAS, ACC, SREBP1c)의 발현 억제 효과,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ACOX, CPT1, PGC1α)와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예컨대, UCP1, PPARγ, Cidea)의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며, 미토콘드리아의 DNA copy number와 citrate synthase 활성 증가 효과, 및 직장의 온도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또는 이의 배양여액은 대사성 질환, 예컨대, 비만, 당뇨병(예컨대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혈중 지질 이상, 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고혈당 등의 대사 이상 증상의 완화 및 개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또는 이의 배양여액은 고지방식이에 따른 간 조직의 중성지방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지방간은 지방의 과도한 섭취나 내인적 간내 지방합성 증가 또는 그 배출이 감소되는 등의 원인으로 간 조직 내의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지방의 과도한 섭취에 의한 비알콜성 지방간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일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혈당 조절, 또는 혈중중성지방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 및 대사성 질환은 전술한 바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공 식품 및 건강 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말토스, 슈크로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 첨가제는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의 분리 및 동정
생후 2개월 이내 유아분변을 시료로 사용하여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를 0.004%의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이 함유된 MRS agar 배지(Difco, 미국)에 도말평판법(streak plate)으로 도말한 후 혐기상태(이산화탄소 5 ~ 15%)에서 37℃,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주 중에서 노란색 집락을 띄는 균주들을 분리하고 그람염색, 카탈라아제 및 옥시다아제 테스트, 가스 형성, 당 이용능 등을 조사하여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를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로 명명하였다.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의 배지에서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징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모양 간균 (막대형)
운동성 없음
포자생성 없음
그람 염색 양성
카탈라제 음성
생육온도 및 시간 37, 20~48시간
산소 요구도 통성 혐기성
또한, 선별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서열번호 1로 나타내었다. 염기서열 분석은 바이오닉스에 의뢰 분석하였으며, NCBI blast search를 통해서 서열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본 발명의 균주 JNU3402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의 16S rDNA와 99%의 서열 상동성을 보였고, 이를 통해 분리된 균주 JNU3402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이 분리된 균주를 2020년 12월 09일자로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수탁번호 KCCM12892P로 기탁하였다.
2.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평가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 균주를 MRS broth에 18시간 2차 계대 배양한 후 원심분리(2,000 rpm, 20분) 한 다음 멸균 생리식염수로 3회 반복해서 수세하여 본 평가에 사용하였다.
내산성 평가를 위해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을 제조하여 HCl로 pH를 2.0와 2.5로 각각 조정한 MRS broth에 pepsin(Sigma Co., USA)을 1,000 unit/mL 이 되도록 첨가하여 내산성 측정용 배지로 사용하였다. 초기 균수가 107 cfu/ml 정도가 되도록 0.05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에 현탁시킨 후 배지에 접종하였다. 37℃에서 2시간 진탕배양기에서 배양시킨 후 집락수를 계산하여 내산성을 평가하였다. 내산성 평가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균주는 pH 2.5에서 1시간 처리했을 때에도 107 수준을 유지하여 우수한 내산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 참조).
pH 생균수 (CFU/mL)
초기 균수 4.3 x 107
대조군 (pH 7.0) 1시간 후 균수 4.7 x 107
2시간 후 균수 3.4 x 107
pH 2.5 처리 군 1시간 후 균수 2.79 x 107
2시간 후 균수 8.1 x 106
pH 2.0 처리 군 1시간 후 균수 1.42 x 106
2시간 후 균수 5.6 x 106
또한, 내담즙성 평가를 위해 MRS 배지에 여과 제균된 oxgall(Difco, USA) 용액을 oxgall 함량으로 0.5% (w/v)가 되도록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내산성 평가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유산균 현탁액을 배지에 접종하여 37°C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0.5% oxgall 농도에서도 생육을 할 수 있고, 높은 증식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접종 후 24시간이 경과한 때의 균수는 초기 접종시 균수 대비 200%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3 참조).
0.5% oxgall 처리 후 생균수
(CFU/mL)
초기 접종 균수 1.62 x 106
24시간 후 균수 4.1 x 106
48시간 후 균수 5.8 x 107
3.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의 장내 부착성 평가
Monolayer를 형성한 장 상피세포(HT-29)를 PBS 버퍼로 5회 세척하고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RPMI 1640 배지를 첨가하였다. JNU3402 균주를 1~2 X 1010 CFU/mL 의 농도가 되도록 RPMI 에 현탁한 다음 well-plate에 접종하고 5% CO2 존재 하에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부착되지 않은 유산균의 제거와 세척을 위하여 3분씩 200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PBS 버퍼를 사용하여 3회 세척을 실시하였다. 세척이 완료된 후 0.2% Trypsin-EDTA를 분주하여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떼어내고 peptone 수를 이용하여 연속희석법으로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 장내 부착활성이 높은 Lactobacillus GG 균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JNU3402 균주는 Lactobacillus GG 균과 유사한 장상피세포 부착활성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은 장내 부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4.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 및 그의 배양여액 제조
1)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NV-LJ3402) 제조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수탁번호 KCCM12892P) 균주를 MRS broth (BD,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OD 600 = 1.0 x 108 cfu/mL로 조정하였다. 조정된 배양액을 80 ℃에서 15 분간 가열하여 사균화시켰다. MRS 한천 플레이트(BD,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를 이용해 박테리아 콜로니가 사멸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2)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를 포함하지 않는 사균체 배양여액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 NV-LJ3402-CM) 제조
전술한 조정된 배양액을 80 ℃에서 15 분간 가열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를 사균화시킨 후, 4,000 g의 속도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사균체가 없는 상층배양액만 분리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제조하였다.
5.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체중 변화 분석
생후 6주 된 C57BL/6J 실험 쥐 21 마리(무게 19-20 g, 중앙 동물 연구소, 대전, 대한민국)를 1주간 적응시킨 후 7주부터 일반식이(Normal diet, ND) (16% of total calories from fat, LabDiet, St. Louis, MO, USA) 또는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 (45% of total calories from fat, Research Diets Inc., New Brunswick, NJ, USA)을 섭취하도록 하여 비만 질환을 유도하였다(표 4 참조).
Figure pat00001
그 후, 200μl의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또는 PBS를 14주 동안 매일 마우스에게 경구투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나 PBS를 투여하는 14주 동안 각 대조군과 실험군의 식이 섭취량을 0, 8, 10, 14 주차에 주 3회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식이 섭취량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3,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대조군과 실험군의 체중을 2주에 1회 측정한 결과, 일반식이 그룹인 대조군 1에 비해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의 체중은 49% 증가하였다. 한편,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고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그룹인 실험군 1의 체중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대조군 2에 비해 약 10% 감소하였다(도 4,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6.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지방 및 간 조직 무게 변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실험군 1의 간, 서혜부 백색지방(iWAT), 부고환 백색지방(eWAT), 갈색지방조직(BAT)의 무게가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각각 16%, 29%, 26%, 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7.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조직 및 혈액 내 중성지방의 변화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가 혈액 및 조직 내 중성지방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TG quantification kit (SCG Biomax, Seoul, Korea)를 사용하여 각 조직에서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그룹인 실험군 1의 혈액에서 중성지방함량이 49% 감소하였다. 또한 간 조직과 지방 조직에서 중성지방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그룹인 실험군 1에서 중성지방함량이 각각 38%, 23% 감소하였다(도 6,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8.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혈액 내 포도당 및 인슐린의 변화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액내 포도당 및 인슐린 증가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당측정기를 사용하여 혈액 내 포도당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인슐린 ELISA kit (ALPCO, Windham, NH, USA)를 사용하여 혈액 내 인슐린 수치를 측정하였다. 공복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대조군 및 실험군의 쥐는 12 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그룹인 실험군 1의 쥐에서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이 각각 43%, 27% 감소하였다(도 7,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또한 혈액 내 인슐린 함량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한 그룹인 실험예 1의 쥐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그룹인 대조군 2의 쥐 대비 5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8, ND: 대조군1,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9.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의 처리에 따른 3T3-L1 지방세포의 지질축적 변화
지방세포 내 지질축적에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배양 조건배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3T3-L1 지방세포에서 Oil-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가열한 MRS broth를 대조군 배지로 사용하여 처리한 조건(con)에 비교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NV-LJ3402-CM)를 24, 36, 48 시간 처리하였을 때 3T3-L1 지방세포의 지질 축적은 각 22%, 46%, 61% 감소하였다(도 9). 지방세포의 지질축적의 통계적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0.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 또는 이의 조건배지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1)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고지방식이 쥐에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 했을 때 지방 조직 내 지질축적 및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 조절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쥐의 부고환과 서혜부 백색지방에서 RT-qPCR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Trizol 시약 (Invitrogen, Waltham, MA, USA)을 사용하여 3T3-L1 세포 및 지방조직(WAT)에서 총 RNA를 분리하고,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M-MLV) 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Madison WIS, USA)를 사용하여 총 RNA 1g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RT-qPCR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36B4 mRNA 발현으로 정규화하였다. PCR 산물의 상대적인 정량화는2-△△Ct 방법을 사용하여 표적 유전자와 36B4 유전자 사이의 Ct 값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아래 표 5는 PCR용 프라이머 서열을 나타낸다.
유전자 센스 프라이머(5'→3') 안티센스 프라이머(5'→3')
fatty acid synthase(FAS) AGATCCTGGAACGAGAACACGAT
(서열번호 2)
GAGACGTGTCACTCCTGGACTTG
(서열번호 3)
acetyl-CoA carboxylase (ACC) GTATGTTCGAAGGGCTTACATTG
(서열번호 4)
TGGGCAGCATGAACTGAAATT
(서열번호 5)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ACTGTGACCTCACAGGTCCA
(서열번호 6)
GGCAGTTTGTCTGTGTCCACA
(서열번호 7)
acetyl-CoA oxidase (ACOX) TCGAGGCTTGGAAACCACTG
(서열번호 8)
TCGAGTGATGAGCTGAGCC
(서열번호 9)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ACTCCTGGAAGAAGAAGTTC
(서열번호 10)
TAGGGTCCGATTGATCTTTG
(서열번호 1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 GAGACTTTGGAGGCCAGCA
(서열번호 12)
CGCCATCCCTTAGTTCACTGG
(서열번호 13)
uncoupling protein 1 (UCP1) GGAGGTGTGGCAGTGTTC
(서열번호 14)
TCTGTGGTGGCTATAACTCTG
(서열번호 15)
PPARγ GAAGACCACTCGCATTCCTT
(서열번호 16)
GAAGGTTCTTCATGAGGCCTG
(서열번호 17)
Cidea ATCACAACTGGCCTGGTTACG
(서열번호 18)
TACTACCCGGTGTCCATTTCT
(서열번호 19)
36B4 AGATGCAGCAGATCCGCAT
(서열번호 20)
ATATGAGGCAGCAGTTTCTCCAG
(서열번호 21)
D-loop AATCTACCATCCTCCGTG
(서열번호 22)
GACTAATGATTCTTCACCGT
(서열번호 23)
GAPDH GTTGTCTCCTGCGACTTCA
(서열번호 24)
GGTGGTCCAGGGTTTCTTA
(서열번호 25)
그 결과,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한 그룹인 실험군 1의 부고환 지방조직(eWAT)에서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의 발현이 각각 40%, 32%, 51%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etyl-CoA oxidase (ACOX),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의 발현은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한 그룹인 실험군 1에서 각각 1.8 배, 1.9 배, 2.3 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도 10,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또한,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와 비교하여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한 그룹인 실험군 1의 서혜부 백색지방(iWAT)에서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ncoupling protein 1 (UCP1), PPARγ, Cidea의 발현이 각각 2.6 배, 4.5 배, 2.2 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도 10,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2) 사균체 조건배지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전술한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지방 조직 내 지질축적 및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 조절 결과와 마찬가지로, 3T3-L1 지방세포에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NV-LJ3402-CM)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con)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NV-LJ3402-CM)를 처리하였을 때 지질축적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FAS, ACC, SREBP1c의 발현이 각각 50%, 51%, 48%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베타 산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COX, CPT1, PGC1α의 발현은 3.4 배, 2 배, 2 배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세포 갈색화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 PPARγ, Cidea의 발현은 2.3 배, 1.7 배, 1.9 배 증가하였다(도 11). 유전자 발현의 통계적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1.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에 의한 PPARγ의 전사활성 증가
PPARγ는 지방조직 내 지질대사의 주조절자로써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과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의 PPARγ 전사 활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HEK293T 세포에서 reporter gene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PARγ response element (PPRE)만 함유한 reporter에서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처리했을 때,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처리하지 않은 조건(도 12의 PPARγ)에 비해 PPARγ의 전사 활성이 약 2.3 배 증가하였으며, 표적유전자인 UCP1 promoter와 PPARγ promoter의 활성은 각각 2 배, 2.2 배 증가하였다(도 12).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에 의한 PPARγ의 표적유전자의 발현 증가가 PPARγ 활성증가를 통해 일어나는 것인지 조사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에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와 함께 PPARγ antagonist인 GW9662를 처리하여 PPARγ 표적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도 13 con)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처리(도 13 NV LJ3402-CM)하였을 때 PPARγ, UCP1, ACOX의 발현이 각 약 2.2 배, 2.1 배, 3.1 배 증가하였다(도 13). 한편,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PPARγ antagonist인 GW9662와 함께 처리한 조건(도 13 GW9662 + NV LJ3402-CM)에서는 세 유전자의 발현이 모두 감소하였다(도 13). 상기 결과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에 의한 에너지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PPARγ 경로를 통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12.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 또는 이의 조건배지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함량 및 활성 변화
지방세포 내 에너지대사는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열 생성 반응은 UCP1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다. 지방조직과 3T3-L1 지방세포에서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copy number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qPCR를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DNA 함량을 측정하였고, citrate synthase (CS) activity assay kit (BioVision, Milpitas, CA, USA)를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 쥐의 서혜부와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copy number는 고지방식이 그룹인 대조군 2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처리한 그룹인 실험군 1에서 각각 1.6 배, 1.3배 증가하였으며 CS 활성은 각각 2.9 배, 2.2 배 증가하였다(도 14,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또한, 3T3-L1 지방세포에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 조건배지를 처리(도 14 NV-LJ3402-CM)한 결과 대조군(도 14 con)과 비교하여 미토콘드리아 DNA copy number는 1.9 배 증가하였으며 CS 활성은 4.3 배 증가하였다(도 14).
13.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사균체에 의한 직장 온도 증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및 UCP1 발현 증가로 인해 열 생성 반응이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쥐의 직장 온도를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 쥐 그룹인 대조군2와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사균체를 경구투여한 쥐 그룹인 실험군 1을 4 ℃ 에 노출시킨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직장 온도를 측정한 결과, 저온 노출 4시간과 6시간 경과하였을 때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를 경구투여한 쥐의 직장 온도가 고지방식이 쥐의 직장 온도보다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HFD: 대조군2, HFD+NV-LJ3402: 실험군1).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892P 20201209
<11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0> Non-viable 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130> 20P11046 <160> 2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4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JNU3402 <400> 1 gcagtcgagc gagcttgcct agatgatttt ggtgcttgca ctaaatgaaa ctagatacaa 60 gcgagcggcg gacgggtgag taacacgtgg gtaacctgcc caagagactg ggataacacc 120 tggaaacaga tgctaatacc ggataacaac actagacgca tgtctagagt ttgaaagatg 180 gttctgctat cactcttgga tggacctgcg gtgcattagc tagttggtaa ggtaacggct 240 taccaaggca atgatgcata gccgagttga gagactgatc ggccacattg ggactgagac 300 acggcccaaa ctcctacggg aggcagcagt agggaatctt ccacaatgga cgaaagtctg 360 atggagcaac gccgcgtgag tgaagaaggg tttcggctcg taaagctctg ttggtagtga 420 agaaagatag aggtagtaac tggcctttat ttgacggtaa ttacttagaa agtcacggct 480 aac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aggtggcaag cgttgtccgg atttattggg 540 cgtaaagcga gtgcaggcgg ttcaataagt ctgatgtgaa agccttcggc tcaaccggag 600 aattgcatca gaaactgttg aacttgagtg cagaagagga gagtggaact ccatgtgtag 660 cggtggaatg cgtagatata tggaagaaca ccagtggcga aggcggctct ctggtctgca 720 actgacgctg aggctcgaaa gcatgggtag cgaacaggat tagataccct ggtagtccat 780 gccgtaaacg atgagtgcta agtgttggga ggtttccgcc tctcagtgct gcagctaacg 840 cattaagcac tccgcctggg gagtacgacc gcaaggttga aactcaaagg aattgacggg 900 ggcccgcaca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960 gtcttgacat ccagtgcaaa cctaagagat taggtgttcc cttcggggac gctgagacag 1020 gtggtgcatg gc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1080 gcaacccttg tcattagttg ccatcattaa gttgggcact ctaatgagac tgccggtgac 1140 aaaccggagg aaggtgggga tgacgtcaag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1200 acgtgctaca atggacggta caacgagaag cgaacctgcg aaggcaagcg gatctcttaa 1260 agccgttctc agttcggact gtaggctgca actcgcctac acgaagctgg aatcgctagt 1320 aatcgcggat cagcacgccg cggtgaatac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1380 caccatgaga gtctgtaaca cccaaagccg gtgggataac ctttatagga gtcagccgtc 1440 taa 1443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tty acid synthase sense primer <400> 2 agatcctgga acgagaacac gat 23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tty acid synthase antisense primer <400> 3 gagacgtgtc actcctggac ttg 23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yl-CoA carboxylase sense primer <400> 4 gtatgttcga agggcttaca ttg 23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yl-CoA carboxylase antisense primer <400> 5 tgggcagcat gaactgaaat t 21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ense primer <400> 6 actgtgacct cacaggtcca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antisense primer <400> 7 ggcagtttgt ctgtgtccac a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yl-CoA oxidase sense primer <400> 8 tcgaggcttg gaaaccactg 20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etyl-CoA oxidase antisense primer <400> 9 tcgagtgatg agctgagcc 19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sense primer <400> 10 actcctggaa gaagaagtt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antisense primer <400> 11 tagggtccga ttgatctttg 20 <210> 1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sense primer <400> 12 gagactttgg aggccagca 19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 antisense primer <400> 13 cgccatccct tagttcactg g 21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coupling protein 1 sense primer <400> 14 ggaggtgtgg cagtgttc 18 <210> 1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coupling protein 1 antisense primer <400> 15 tctgtggtgg ctataactct g 21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 gamma sense primer <400> 16 gaagaccact cgcattcctt 20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 gamma antisense primer <400> 17 gaaggttctt catgaggcct g 21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idea sense primer <400> 18 atcacaactg gcctggttac g 21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idea antisense primer <400> 19 tactacccgg tgtccatttc t 21 <210> 2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6B4 sense primer <400> 20 agatgcagca gatccgcat 19 <210> 2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6B4 antisense primer <400> 21 atatgaggca gcagtttctc cag 23 <210> 2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loop sense primer <400> 22 aatctaccat cctccgtg 18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loop antisense primer <400> 23 gactaatgat tcttcaccgt 20 <210> 2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sense primer <400> 24 gttgtctcct gcgacttca 19 <210> 2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antisense primer <400> 25 ggtggtccag ggtttctta 19

Claims (7)

  1.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2.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acetyl-CoA oxidase (ACOX),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 uncoupling protein 1 (UCP1), PPARγ 및 Cidea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nsonii) JNU3402(수탁번호 KCCM12892P)의 사균체 또는 상기 사균체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혈당 조절, 또는 혈중중성지방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혈당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CoA carboxylase (ACC)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acetyl-CoA oxidase (ACOX),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α (PGC1αα), uncoupling protein 1 (UCP1), PPARγ 및 Cidea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210005796A 2021-01-15 2021-01-1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6A KR102570993B1 (ko) 2021-01-15 2021-01-1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96A KR102570993B1 (ko) 2021-01-15 2021-01-1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33A true KR20220103333A (ko) 2022-07-22
KR102570993B1 KR102570993B1 (ko) 2023-08-24

Family

ID=8260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796A KR102570993B1 (ko) 2021-01-15 2021-01-15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1621A (zh) * 2021-08-31 2021-11-09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靶向奶山羊CIDEa基因的小干扰RNA及其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058A (ko) * 2002-08-09 2004-02-14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미생물
KR20100010015A (ko) * 2008-07-21 2010-01-29 신현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존소니 hfi 108 균주
KR20130067429A (ko) * 2011-12-14 2013-06-2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기능 개선과 고인슐린혈증, 고혈당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을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90067527A (ko) * 2017-12-07 2019-06-17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비만, 당뇨와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11883B1 (ko) 2017-12-26 2019-08-20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63551B1 (ko) * 2020-04-21 2020-10-07 (주) 에이투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g-k2 또는 atg-k6를 함유하는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058A (ko) * 2002-08-09 2004-02-14 (주)바이오니아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미생물
KR20100010015A (ko) * 2008-07-21 2010-01-29 신현길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존소니 hfi 108 균주
KR20130067429A (ko) * 2011-12-14 2013-06-2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기능 개선과 고인슐린혈증, 고혈당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을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90067527A (ko) * 2017-12-07 2019-06-17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비만, 당뇨와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11883B1 (ko) 2017-12-26 2019-08-20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항비만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63551B1 (ko) * 2020-04-21 2020-10-07 (주) 에이투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tg-k2 또는 atg-k6를 함유하는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1621A (zh) * 2021-08-31 2021-11-09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靶向奶山羊CIDEa基因的小干扰RNA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993B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983B2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Lactobacillus reuteri GMNL-89 in treating type 2 diabetes
JP6630388B2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tci378、およびそれを用いた脂肪の減少および胃腸機能の改善における使用
US9737577B2 (en)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preparation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6033B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KR102151666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11278579B2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metho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using the same
KR102297271B1 (ko) 당뇨 및 고지혈증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nbm 17-4 균주
KR102249260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JP2009142266A (ja) 新規乳酸菌
JP2023519233A (ja) 肝機能改善または脂肪蓄積抑制の微生物、及びその用途
KR102570993B1 (ko)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의 사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4671B1 (ko) 락토바실러스 존스니 jnu340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238836B1 (ko)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TW201609120A (zh) 含乳酸菌之腸道屏障功能促進劑
KR20120039381A (ko) 장내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99838B1 (ko) 체지방 감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
KR2018011617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0894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3956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nchbl-004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이용한 비만, 당뇨 또는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76576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297276B1 (ko) 당뇨 및 고지혈증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nbm 7-1 균주
US12005090B2 (en) Probiotic composition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and use of at least one of such strains
AU2023255046B2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when use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