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024A -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024A
KR20220103024A KR1020210158379A KR20210158379A KR20220103024A KR 20220103024 A KR20220103024 A KR 20220103024A KR 1020210158379 A KR1020210158379 A KR 1020210158379A KR 20210158379 A KR20210158379 A KR 20210158379A KR 20220103024 A KR20220103024 A KR 20220103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purchaser
behavior
self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3/00Alarm indicators, e.g. bells
    • G07G3/003Anti-theft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9/00Shop, bar, bank or like counters
    • A47F9/02Paying counters
    • A47F9/04Check-out counters, e.g. for self-service stores
    • A47F9/046Arrangement of recording means in or on check-out counters
    • A47F9/047Arrangement of recording means in or on check-out counters for recording self-service articles without cashier or assist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3/00Alarm indicators, e.g. bells
    • G07G3/006False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풀 셀프 대응의 결제 단말기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한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는 행동 인식 수단과, 조작 인식 수단과, 부정 검출 수단과, 통보 수단을 구비한다. 행동 인식 수단은 결제 단말기에 대한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한다. 조작 인식 수단은 구매자에 의한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한다. 부정 검출 수단은 구매자의 행동과 당해 구매자에 의한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한다. 통보 수단은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통보한다.

Description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FRAUD RECOGNI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FRAUD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그리고 부정 행위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슈퍼마켓 등의 소매점에서는, 인건비의 삭감, 감염증의 감염 예방 대책 등의 관점에서, 셀프 POS(Point Of Sales) 단말기가 주목받고 있다. 셀프 POS 단말기는, 매상 상품의 등록으로부터 결제까지의 조작을 손님이 스스로 행하도록 한 풀 셀프 대응의 결제 단말기이다. 이 때문에,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016225호 공보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풀 셀프 대응의 결제 단말기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정 행위 인식 장치는 행동 인식 수단과, 조작 인식 수단과, 부정 검출 수단과, 통보 수단을 구비한다. 행동 인식 수단은 결제 단말기에 대한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한다. 조작 인식 수단은 구매자에 의한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한다. 부정 검출 수단은 구매자의 행동과 당해 구매자에 의한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한다. 통보 수단은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통보한다.
도 1은 셀프 POS 단말기가 도입된 점포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셀프 POS 단말기와 카메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어텐던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감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메시지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시계열 버퍼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행동 인식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조작 인식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부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부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부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통보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정 검출부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셀프 POS 단말기(11)가 도입된 점포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셀프 POS 시스템(100)과 부정 행위 인식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셀프 POS 시스템(100)은 복수대의 셀프 POS 단말기(11)와, POS 서버(12)와, 표시 제어 장치(13)와, 어텐던트 단말기(14)와, 통신 네트워크(15)를 구비한다. 복수대의 셀프 POS 단말기(11)와, POS 서버(12)와,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신 네트워크(15)에 접속한다. 어텐던트 단말기(14)는 표시 제어 장치(13)에 접속한다. 통신 네트워크(15)는 전형적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이다. LAN은 유선 LAN이어도 되고, 무선 LAN이어도 된다.
셀프 POS 단말기(11)는 매상 상품의 등록으로부터 결제까지의 조작을 손님이 스스로 행하도록 한 풀 셀프 대응의 결제 단말기이다. 손님은 구매자, 소비자, 고객 등이라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POS 서버(12)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을 일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서버용 컴퓨터이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셀프 POS 단말기(11)마다 감시 화상 SC(도 3을 참조)를 생성하여, 어텐던트 단말기(14)의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시키는 컨트롤러이다. 어텐던트 단말기(14)는 어텐던트라 칭해지는 점원이 각 셀프 POS 단말기(11)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어텐던트 단말기(14)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어텐던트 단말기(14)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복수로 구분하고, 구분별로 다른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를 표시한다. 이러한 셀프 POS 시스템(100)은 종래 주지된 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부정 행위 인식 시스템(200)은 복수의 카메라(21)와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21)는 각각 복수의 셀프 POS 단말기(11)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카메라(21)는, 대응하는 셀프 POS 단말기(11)를 조작하는 손님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행동 인식부(221), 조작 인식부(222), 부정 검출부(223) 및 통보부(224)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행동 인식부(221)는 각 카메라(2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데이터를 기초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능이다. 행동 인식부(221)는 행동 인식 수단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조작 인식부(222)는 표시 제어 장치(13)로부터 어텐던트 단말기(14)에 출력되는 감시 화상 SC의 데이터를 기초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조작을 인식하는 기능이다. 조작 인식부(222)는 조작 인식 수단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부정 검출부(223)는 행동 인식부(221)에 의한 인식 결과와 조작 인식부(222)에 의한 인식 결과를 기초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기능이다. 부정 검출부(223)는 부정 검출 수단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통보부(224)는 부정 검출부(223)에 의해 부정 행위가 검출된 경우에 통보하는 기능이다. 통보는, 예를 들어 어텐던트 단말기(14)로부터 어텐던트에 대하여 행해진다. 통보부(224)는 통보 수단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2는, 셀프 POS 단말기(11)와 카메라(21)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셀프 POS 단말기(11)의 외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프 POS 단말기(11)는 바닥면에 설치된 본체(40)와, 이 본체(40) 옆에 설치된 주머니 포장대(50)를 구비한다. 본체(40)는 그 상부에 터치 패널(41)을 설치하고 있다. 터치 패널(41)은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는 셀프 POS 단말기(11)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각종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터치 센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화면에의 터치 입력을 검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셀프 POS 단말기(11)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통상은 손님이다.
본체(40)는, 주머니 포장대(50)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 중앙부에 바구니대(60)를 마련하고 있다. 바구니대(60)는 매장으로부터 온 손님이 매상 상품을 넣은 바구니 등을 두기 위한 것이다. 손님은 터치 패널(41)의 화면이 보이도록, 도 2에 있어서 본체(40)의 전방측에 서서 작업을 행한다. 이 때문에 손님으로부터 보면, 본체(40)을 사이에 두고 우측에 바구니대(60)가 있고, 좌측에 주머니 포장대(50)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손님이 서는 측을 본체(40)의 정면이라 하고, 주머니 포장대(50)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본체(40)의 좌측이라 하고, 바구니대(60)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본체(40)의 우측이라 하자.
본체(40)는 그 정면에, 스캐너의 판독창(42), 카드 삽입구(43), 영수증 발행구(44), 경화 투입구(45), 경화 불출구(46), 지폐 투입구(47) 및 지폐 불출구(48)를 형성한다. 또한, 본체(40)의 우측면으로부터 외부로 통신 케이블(61)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통신 케이블(61)의 선단에 전자 화폐 매체용의 리더·라이터(62)가 접속되어 있다. 리더·라이터(62)는 본체(40)의 우측면 상부에 마련된 받침대(63)에 놓여 있다.
본체(40)는 그 상면에 표시 폴(64)을 설치하고 있다. 표시 폴(64)은 그 선단부에 예를 들어 청색과 적색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발광부(65)를 구비한다. 표시 폴(64)은 발광부(65)의 발광색에 의해 셀프 POS 단말기(11)의 상태, 예를 들어 대기 중, 동작 중, 호출 중, 에러 중 등을 표시한다.
주머니 포장대(50)는 하우징(51)의 상부에 주머니 보유 지지구(52)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주머니 보유 지지구(52)는 한 쌍의 보유 지지암(53)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보유 지지암(53)으로 점포에 비치된 비닐 봉투 또는 손님이 지참한 쇼핑 주머니, 소위 마이백 등을 보유 지지한다.
이어서, 셀프 POS 단말기(11)와 카메라(21)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21)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서서, 본체(40), 주머니 포장대(50) 및 바구니대(60) 등의 부품과 대치되는 손님을 상방으로부터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선 손님은, 우선 바라본 우측의 바구니대(60)에 매상 상품을 넣은 바구니 등을 놓고, 좌측의 보유 지지암(53)에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 등을 보유 지지시킨다. 이어서, 손님은 터치 패널(41)에 표시되는 가이던스에 따라서, 터치 패널(41)을 조작하여, 셀프 POS 단말기(11)의 이용 개시를 선언한다.
그 후, 손님은 바구니대(60)에 놓인 바구니로부터 매상 상품을 1점씩 손에 든다. 그리고, 그 매상 상품에 바코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님은 그 바코드를 판독창(42)에 대어 스캐너로 판독시킴으로써, 상품 등록을 행한다. 매상 상품에 바코드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손님은 터치 패널(41)을 조작하여 바코드 없는 상품의 리스트로부터 매상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상품 등록을 행한다. 손님은, 등록을 종료한 매상 상품을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 등에 넣는다.
모든 매상 상품을 등록 완료한 손님은, 터치 패널(41)을 조작하여 결제 방법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현금 결제를 선택한 경우에는, 손님은 지폐 투입구(47) 또는 경화 투입구(45)에 지폐 또는 경화를 투입하고, 지폐 불출구(48) 또는 경화 불출구(46)로부터 불출된 거스름돈을 취출한다. 예를 들어 전자 화폐 결제를 선택하면, 손님은 리더·라이터(62)에 전자 화폐 매체를 댄다. 예를 들어 신용 카드 결제를 선택하면, 손님은 카드 삽입구(43)에 신용 카드를 삽입한다. 이렇게 해서, 결제를 종료하면, 손님은 영수증 발행구(44)로부터 발행되는 영수증을 수취하고, 보유 지지암(53)으로부터 빼낸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을 가지고 퇴점한다.
즉 카메라(21)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서 상기와 같이 행동하는 손님의 손의 움직임을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어텐던트 단말기(1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감시 화상 SC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텐던트 단말기(14)의 디스플레이에는, 복수의 셀프 POS 단말기(11) 각각에 대한 감시 화상 SC가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 3은, 그 중 하나의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감시 화상 SC의 일례이다. 다른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감시 화상 SC의 구성도 이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 화상 SC는 계산대 번호란(71), 단말기 상태란(72), 에러 정보란(73), 선언 정보란(74), 명세란(75) 및 합계란(76)을 포함한다.
계산대 번호란(71)은 계산대 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계산대 번호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해서, 각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된 일련의 번호이다. 계산대 번호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단말기 상태란(72)은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상태로서 「대기 중」, 「이용 개시」, 「등록 중」, 「결제 개시」 및 「결제 중」 중 어느 것을 단말기 상태란(72)에 표시한다.
「대기 중」은, 이전의 손님이 결제를 종료하고 나서, 다음 손님의 이용 개시가 선언될 때까지의 상태이다. 「대기 중」의 상태에 있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터치 패널에는, 초기 화상이 표시된다. 초기 화상은, 예를 들어 점포에 비치된 비닐 봉투를 사용할지, 마이백을 사용할지를 손님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터치 버튼을 포함하는 화상이다.
「이용 개시」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선 손님이, 결제를 위한 이용 개시를 선언한 상태이다. 손님은 비닐 봉투를 사용할지 마이백을 사용할지의 선택 조작을 초기 화상에 대하여 행한다. 이 선택 조작이 이용 개시를 선언하는 것으로 된다. 이 선택 조작을 받아,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이용 개시」가 된다.
「등록 중」은, 손님 자신에 의한 매상 상품의 등록 조작을 접수하고 있는 상태이다. 1점째의 매상 상품이 등록되면,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등록 중」이 된다. 이 후, 결제로의 이행이 선언될 때까지,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등록 중」을 유지한다.
「결제 개시」는, 매상 상품의 등록을 종료한 손님이 결제로의 이행을 선언한 상태이다. 「등록 중」의 상태에 있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터치 패널(41)에는, [회계]의 소프트키가 표시되어 있다. 매상 상품의 등록을 종료한 손님은, [회계]의 소프트키를 터치한다. 이 조작이 결제로의 이행 선언이 된다. 이 조작을 받아,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결제 개시」가 된다.
「결제 중」은 현금 결제, 전자 화폐 결제, 신용 카드 결제 등의 결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지폐 투입구(47) 또는 경화 투입구(45)에 지폐 또는 경화가 투입되면,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결제 중」이 된다. 그리고, 결제 처리를 종료하면, 셀프 POS 단말기(11)의 동작 상태는 「대기 중」으로 되돌아간다.
에러 정보란(73)은 셀프 POS 단말기(11)에서 발생한 에러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에러 정보는 통신 에러, 영수증 절취 에러 등이다. 선언 정보란(74)은 손님의 선언 조작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예를 들어, 손님이 마이백을 선택한 경우, 비닐 봉투가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주머니 불필요」가 표시된다.
명세란(75)은 셀프 POS 단말기(11)에서 등록된 매상 상품의 명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명세 정보는, 예를 들어 매상 상품의 상품명, 점수, 금액 등이다. 합계란(76)은 셀프 POS 단말기(11)에서 등록된 매상 상품의 합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란이다. 합계 정보는 합계 점수, 합계 금액, 투입 금액, 거스름돈 등이다.
또한, 감시 화상 SC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항목이 표시되는 란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텍스트 데이터의 항목도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항목의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도 4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의 주요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프로세서(81), 메인 메모리(82), 보조 기억 디바이스(83), 시계(84), 카메라 인터페이스(85), 통신 인터페이스(86) 및 시스템 버스(87)를 구비한다. 시스템 버스(87)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한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프로세서(81)와, 메인 메모리(82), 보조 기억 디바이스(83), 시계(84), 카메라 인터페이스(85) 및 통신 인터페이스(86)를, 시스템 버스(87)로 접속함으로써, 컴퓨터를 구성한다.
프로세서(81)는 상기 컴퓨터의 중추 부분에 상당한다. 프로세서(8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8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메인 메모리(82)는 상기 컴퓨터의 주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메인 메모리(8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 및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82)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인 메모리(8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는, 프로세서(81)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에서 기억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82)는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을, 프로세서(81)에 의해 데이터가 적절히 재기입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한다. 불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다. 휘발성의 메모리 영역은,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83)는 상기 컴퓨터의 보조 기억 부분에 상당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83)로서는, 예를 들어 SSD(Solid State Drive), HDD(Hard Disc Drive) 또는 EEPROM(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주지된 기억 디바이스를 단독으로, 혹은 복수 조합하여 사용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83)는, 프로세서(81)가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프로세서(81)에서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보조 기억 디바이스(83)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메인 메모리(8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83)가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어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8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83)에 인스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을 배신하여, 메인 메모리(82) 또는 보조 기억 디바이스(83)에 인스톨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CD-ROM,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이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고, 또한 장치가 판독 가능하다면, 그 형태는 따지지 않는다.
시계(84)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의 시각 정보원으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서(81)는 시계(84)에 의해 계시되는 시각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일자 및 시각을 취득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85)는 각 카메라(21)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각 카메라(2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데이터는, 카메라 인터페이스(85)를 통해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에 도입된다. 촬상 데이터는 카메라(21)에 대응한 셀프 POS 단말기(11)를 조작하는 손님을 촬영한 데이터이다.
통신 인터페이스(86)는 표시 제어 장치(13)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표시 제어 장치(1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86)를 통해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에 도입된다. 화상 데이터는 셀프 POS 단말기(11)마다 생성되는 감시 화상 SC의 데이터이다.
이러한 구성의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메인 메모리(82)에 있어서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메시지 테이블(821)의 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이 영역에, 도 5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의 메시지 테이블(821)을 형성한다.
도 5는, 메시지 테이블(821)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테이블(821)은 에러 코드 EC와 관련지어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를 기술한 데이터 테이블이다. 에러 코드 EC와, 거기에 관련지어진 메시지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설명 중에서 밝힌다.
또한,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메인 메모리(82)에 있어서의 휘발성 메모리 영역의 일부를 시계열 버퍼(822)의 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이 영역에, 도 6에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의 시계열 버퍼(822)를, 셀프 POS 단말기(11)의 수만큼 형성한다.
도 6은, 시계열 버퍼(822)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열 버퍼(822)는, 셀프 POS 단말기(11)를 식별하는 계산대 번호별로, 스테이터스 ST 또는 에러 코드 EC를 시각 TM이 빠른 순으로 기술하기 위한 영역을 갖는 것이다. 스테이터스 ST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설명 중에서 밝힌다.
그리고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하기 위해서, 전술한 행동 인식부(221), 조작 인식부(222), 부정 검출부(223) 및 통보부(224)로서의 기능을, 프로세서(81)와, 해당 프로세서(81)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한다.
행동 인식부(221), 조작 인식부(222), 부정 검출부(223) 및 통보부(224)로서의 기능은, 셀프 POS 단말기(11)마다 구비되는 기능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1대의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행동 인식부(221), 조작 인식부(222), 부정 검출부(223) 및 통보부(224)로서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른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행동 인식부(221), 조작 인식부(222), 부정 검출부(223) 및 통보부(224)로서의 기능도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행동 인식부(221)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81)는 ACT1로서 손님을 인식할 것을 대기하고 있다. 카메라(21)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서는 손님을 상방으로부터 촬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거기에서 프로세서(81)는 카메라(21)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인물이 선 것을 검출하면, 손님을 인식하였다고 판단한다.
손님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2로서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각 카메라(21)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거기에서 프로세서(81)는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서는 손님을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21)의 식별 정보로부터 셀프 POS 단말기(11)를 특정하고, 그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프로세서(81)는 ACT3으로서 손님의 행동 인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1)는 카메라(21)로 촬영되고 있는 화상으로부터 인물, 즉 손님의 골격을 추정한다. 골격 추정은 딥 러닝 등의 AI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카메라(21)로도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81)는 골격 추정에 의해 얻어진 손의 움직임으로부터, 손님의 취출 행동, 등록 행동, 주머니 포장 행동 또는 퇴점 행동을 인식한다.
취출 행동은 바구니대(60)에 놓인 바구니로부터 매상 상품을 취출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한손 또는 양손의 골격이 본체(40)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매상 상품을 들어 올리는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 프로세서(81)는 취출 행동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등록 행동은 바구니로부터 취출한 매상 상품의 데이터를 셀프 POS 단말기(11)에 등록하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취출 행동을 행한 손의 골격이, 본체(40)의 중앙에서 매상 상품을 판독창(42)에 대는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 프로세서(81)는 등록 행동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혹은, 한손의 골격이 본체(40)의 터치 패널(41)을 조작하는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 프로세서(81)는 등록 행동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주머니 포장 행동은, 등록을 종료한 매상 상품을 주머니 포장대(50)의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 등에 넣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등록 행동을 행한 손의 골격이 본체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매상 상품을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 등에 넣는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 프로세서(81)는 주머니 포장 행동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퇴점 행동은, 결제를 종료한 손님이 셀프 POS 단말기(11)로부터 멀어지는 행동이다. 예를 들어, 결제를 종료한 손님의 손의 골격이 비닐 봉투 또는 마이백 등을 보유 지지암(53)으로부터 분리하는 움직임을 한 후, 카메라(21)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손님을 검지할 수 없게 되면, 프로세서(81)는 퇴점 행동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프로세서(81)는 ACT4 내지 ACT7로서, 취출 행동, 등록 행동, 주머니 포장 행동 또는 퇴점 행동을 인식할 것을 대기한다.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 취출 행동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로서 스테이터스 ST를 “11”로 한다. 등록 행동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5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9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9로서 스테이터스 ST를 “12”로 한다. 주머니 포장 행동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10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0으로서 스테이터스 ST를 “13”으로 한다.
프로세서(81)는 ACT8, ACT9 또는 ACT10의 처리를 종료하면, ACT1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1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12로서, ACT2의 처리로 취득한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스테이터스 ST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ACT4 내지 ACT7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행동 인식부(221)의 기능에 의해,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그 시각 TM과 함께 기술된다. 마찬가지로, 등록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동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2”가 그 시각 TM과 함께 기술된다. 주머니 포장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동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그 시각 TM과 함께 시계열 버퍼(822)에 기술된다.
통상, 손님은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취출 행동, 등록 행동, 주머니 포장 행동을 차례로 반복함으로써, 매상 상품의 데이터를 셀프 POS 단말기(11)에 등록한다. 따라서, 시계열 버퍼(822)에는, 스테이터스 ST가 “11”, “12”, “13”의 순번으로 시계열에 기억되게 된다.
ACT4 내지 ACT7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퇴점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7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1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3으로서 손님의 행동 인식을 종료한다.
행동 인식을 종료한 프로세서(81)는 ACT14로서 스테이터스 ST를 “14”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15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16으로서, ACT2의 처리로 취득한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스테이터스 ST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따라서, 손님이 퇴점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응하는 시계열 버퍼(822)에는,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시각 TM과 함께 기억된다.
이상에서, 프로세서(81)는 행동 인식부(221)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그 후, 다시 카메라(21)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인물이 선 것을 검출하면, 프로세서(81)는 ACT2 내지 ACT16의 처리를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도 8은, 조작 인식부(222)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81)는 ACT21로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이용 개시가 선언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이용 개시가 선언되면, 당해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응한 감시 화상 SC의 단말기 상태란(72)에는 「이용 개시」가 표시된다. 프로세서(81)는 표시 제어 장치(13)를 통해 취득한 감시 화상 SC의 단말기 상태란(72)으로부터 「이용 개시」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을지 확인한다. 「이용 개시」의 문자를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81)는 이용 개시가 선언되었다고 인식한다.
이용 개시가 선언된 것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2로서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감시 화상 SC의 계산대 번호란(71)에는, 계산대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81)는 표시 제어 장치(13)를 통해 취득한 감시 화상 SC의 계산대 번호란(71)으로부터 계산대 번호의 문자를 인식하고, 그 문자를 계산대 번호로서 취득한다.
프로세서(81)는 ACT23으로서 스테이터스 ST를 “21”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24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25로서, ACT22의 처리로 취득한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스테이터스 ST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따라서, 셀프 POS 단말기(11)의 정면에 선 손님이 이용 개시를 위한 선언 조작을 행하면, 당해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응하는 시계열 버퍼(822)에, 우선 스테이터스 ST로서 “21”이 그 시각 TM과 함께 기억된다.
프로세서(81)는 ACT26으로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조작 인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81)는, 표시 제어 장치(13)를 통해 취득한 감시 화상 SC의 문자 인식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의 천이로부터, 상품 등록 조작, 등록 삭제 조작, 결제 개시 조작 또는 결제 종료 조작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는, 명세란(75)에 매상 상품의 상품명, 점수, 금액 등의 명세 정보가 추가되면, 상품 등록 조작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는, 합계란(76)에 표시되어 있는 합계 점수 또는 합계 금액이 감소하면, 등록 삭제 조작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는, 단말기 상태란(72)의 표시가 「결제 개시」로 전환되었을 경우, 결제 개시 조작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1)는, 단말기 상태란(72)의 표시가 「대기 중」으로 전환되었을 경우, 결제 종료 조작이 있었다고 인식한다.
프로세서(81)는 ACT27 내지 ACT30으로서, 상품 등록 조작, 등록 삭제 조작, 결제 개시 조작 또는 결제 종료 조작을 인식할 것을 대기한다. 상품 등록 조작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27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3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31로서 스테이터스 ST를 “22”로 한다. 등록 삭제 조작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28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3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32로서 스테이터스 ST를 “23”으로 한다. 결제 개시 조작을 인식하면, 프로세서(81)는 ACT29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3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33으로서 스테이터스 ST를 “24”로 한다.
프로세서(81)는 ACT31, ACT32 또는 ACT33의 처리를 종료하면, ACT34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34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35로서, ACT22의 처리로 취득한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스테이터스 ST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ACT27 내지 ACT30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의 기능에 의해,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상품 등록 조작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당해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2”가 그 시각 TM과 함께 기술된다. 마찬가지로, 등록 삭제 조작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동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3”이 그 시각 TM과 함께 기술된다. 결제 개시 조작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동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그 시각 TM과 함께 시계열 버퍼(822)에 기술된다.
통상, 손님의 등록 행동에 의해,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상품 등록 조작 또는 등록 삭제 조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시계열 버퍼(822)에는, 등록 행동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ST, 즉 “12” 후에, 상품 등록 조작 또는 등록 삭제 조작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즉 “22” 또는 “23”이 기억된다.
또한, 전체 매상 상품의 주머니 포장 행동을 종료한 손님은, 결제 개시를 선언한다. 따라서, 시계열 버퍼(822)에는, 주머니 포장 행동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ST, 즉 “13” 후에, 결제 개시 조작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즉 “24”가 기억된다.
ACT27 내지 ACT30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결제 종료 조작을 인식한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30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36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36으로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조작 인식을 종료한다.
조작 인식을 종료한 프로세서(81)는 ACT37로서 스테이터스 ST를 “25”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38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39로서, ACT22의 처리로 취득한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스테이터스 ST=25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따라서, 결제가 종료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응하는 시계열 버퍼(822)에는,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시각 TM과 함께 기억된다.
이상에서, 프로세서(81)는 조작 인식부(222)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그 후, 다시 감시 화상 SC의 데이터로부터, 셀프 POS 단말기(11)의 이용 개시 조작을 검출하면, 프로세서(81)는 ACT22 내지 ACT29의 처리를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81)는 ACT41로서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취출 행동이 인식될 것을 대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출 행동이 인식된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는,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다. 프로세서(81)는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것을 검출하면, ACT4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4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42로서 이용 개시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이용 개시 조작이 행해지면, 시계열 버퍼(822)에는, 스테이터스 ST로서 “21”이 기술된다. 거기에서 프로세서(81)는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각 TM으로부터 그 시각을 거슬러 올라가는 방향으로 시계열 버퍼(822)를 검색한다. 그리고, 스테이터스로서 “21”이 기술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면, 프로세서(81)는 이용 개시 조작 후라고 판정한다. 이에 대하여, 스테이터스로서 “14” 또는 “25”를 검출하거나, 시계열 버퍼(822)의 검색을 종료한 경우, 프로세서(81)는 이용 개시 조작 후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용 개시 후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4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4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43으로서 에러 코드 EC를 “91”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44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45로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ACT46으로 진행한다.
한편, 이용 개시 후인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4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한다. 프로세서(81)는 ACT43 내지 ACT45의 처리를 스킵하여, ACT46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용 개시의 선언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셀프 POS 단말기(11)에 있어서, 상품의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그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가 설정된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1”이 기억된다.
이와 같이, 이용 개시 조작을 인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취출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1”이 기억된다. 즉, 에러 코드 EC의 “91”은, 이용 개시의 선언 조작을 행하지 않고 취출 행동을 행한 손님의 행위를 부정 행위 「부정 취출」로서 식별하는 코드이다.
프로세서(81)는 ACT46으로서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주머니 포장 행동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 포장 행동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2”가 기술된다.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2”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81)는 ACT46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47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47로서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취출 행동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다.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81)는 ACT47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4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48로서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퇴점 행동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퇴점 행동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된다.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81)는 ACT48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에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에 있어서, 1점째의 상품의 취출 행동을 행한 손님이, 그 후, 주머니 포장 행동을 행하거나, 다른 상품의 취출 행동을 행하거나, 퇴점 행동을 행할 것을 대기한다.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되면, 프로세서(81)는 ACT4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도 10의 ACT6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61로서 상품 등록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에 있어서 상품 등록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2”가 기술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2”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상품 등록 조작 후라고 인식한다. 프로세서(81)는 ACT61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도 9의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즉,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에 비해,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2”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상품 등록 조작 후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프로세서(81)는 ACT6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6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62로서 등록 삭제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에 있어서 등록 삭제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3”이 기술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3”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등록 삭제 조작 후라고 인식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3”이 기술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등록 삭제 조작 후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등록 삭제 조작 후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6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6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63으로서 에러 코드 EC를 “92”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64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65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도 9의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즉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상품 등록 조작 또는 등록 삭제 조작을 인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주머니 포장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2”가 기억된다. 즉, 에러 코드 EC의 “92”는, 상품 등록 조작을 하지 않은 상품의 주머니 포장 행동을 행한 손님의 행위를 부정 행위 「거짓 등록」으로서 식별하는 코드이다.
한편, 등록 삭제 조작 후인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6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66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66으로서 에러 코드 EC를 “93”으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67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68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3”이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도 9의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즉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등록 삭제 조작을 인식한 후에 주머니 포장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3”이 기억된다. 즉, 에러 코드 EC의 “93”은, 등록 삭제 조작을 한 상품의 주머니 포장 행동을 행한 손님의 행위를 부정 행위 「거짓 취소」로서 식별하는 코드이다.
도 9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되어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도 11의 ACT7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71로서 결제 개시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에 있어서 결제 개시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개시 조작 후라고 인식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개시 조작 후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결제 개시 조작 후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71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7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72로서 결제 종료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에 있어서 결제 종료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종료 조작 후라고 인식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종료 조작 후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결제 종료 조작 후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7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도 9의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즉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결제 개시 후 혹은 결제 종료 후의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71 또는 ACT7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7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73으로서 에러 코드 EC를 “94”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74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75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1”이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그 후, 프로세서(81)는 도 9의 ACT46으로 되돌아간다. 즉 프로세서(81)는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결제 개시 조작 또는 결제 종료 조작을 인식한 후임에도 불구하고, 상품 취출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4”가 기억된다. 즉, 에러 코드 EC의 “94”는, 결제 개시 조작 또는 결제 종료 조작 후에 미등록된 상품을 바구니로부터 취출하는 손님의 행위를 부정 행위 「등록 누락」으로서 식별하는 코드이다.
도 9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ACT46 내지 ACT48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되어 퇴점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48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49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49로서 결제 종료 조작 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인식부(222)에 있어서 결제 종료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된다. 따라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종료 조작 후라고 인식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된 시각 TM보다 하나 전의 시각 TM과 관련지어 스테이터스 ST로서 “25”가 기술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결제 종료 조작 후가 아니라고 인식한다.
결제 종료 조작 후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49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한다. 프로세서(81)는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이에 비해, 결제 종료 조작 후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49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50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50으로서 에러 코드 EC를 “95”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51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52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14”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이와 같이, 결제 종료 조작을 인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퇴점 행동을 인식한 경우에는,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5”가 기억된다. 즉, 에러 코드 EC의 “95”는, 결제 종료 조작 전에 퇴점 행동을 행한 손님의 행위를 부정 행위 「미결제」로서 식별하는 코드이다.
이상에서, 프로세서(81)는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그 후, 다시 취출 행동이 인식되면, 프로세서(81)는 ACT42 내지 ACT52, ACT61 내지 ACT68 및 ACT71 내지 ACT75의 처리를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도 12는, 통보부(224)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81)는 ACT81로서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가 기술되는 것을 대기한다.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가 기술되면, 프로세서(81)는 ACT8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2로서 그 에러 코드 EC가 “91”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러 코드 EC가 “91”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2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3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3으로서 부정 행위 「부정 취출」의 통보를 행한다. 즉 프로세서(81)는 메시지 테이블(821)을 검색하고, 에러 코드 EC가 “91”인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에러 코드 EC로서 “91”이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메시지 데이터와 계산대 번호를 부가한 통보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6)로부터 표시 제어 장치(13)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보 커맨드에 포함되는 계산대 번호로 식별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에, 메시지 데이터의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감시 화상 SC에는, 예를 들어 「계산대 No.X의 계산대에서 부정 취출이 행해졌습니다」라는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텐던트는, 계산대 No.X가 설정된 셀프 POS 단말기(11)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에 대하여, 부정 행위 「부정 취출」이 있었던 것을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에러 코드 EC가 “91”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2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84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4로서 그 에러 코드 EC가 “92”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러 코드 EC가 “92”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5로서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의 통보를 행한다. 즉 프로세서(81)는 메시지 테이블(821)을 검색하여, 에러 코드 EC가 “92”인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에러 코드 EC로서 “92”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메시지 데이터와 계산대 번호를 부가한 통보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6)로부터 표시 제어 장치(13)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보 커맨드에 포함되는 계산대 번호로 식별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에, 메시지 데이터의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감시 화상 SC에는, 예를 들어 「계산대 No.X의 계산대에서 거짓 등록이 행해졌습니다」라는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텐던트는, 계산대 No.X가 설정된 셀프 POS 단말기(11)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에 대하여,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이 있었던 것을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에러 코드 EC가 “92”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86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6으로서 그 에러 코드 EC가 “93”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러 코드 EC가 “93”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6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7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7로서 부정 행위 「거짓 취소」의 통보를 행한다. 즉 프로세서(81)는 메시지 테이블(821)을 검색하여, 에러 코드 EC가 “93”인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에러 코드 EC로서 “93”이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메시지 데이터와 계산대 번호를 부가한 통보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6)로부터 표시 제어 장치(13)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보 커맨드에 포함되는 계산대 번호로 식별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에, 메시지 데이터의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감시 화상 SC에는, 예를 들어 「계산대 No.X의 계산대에서 거짓 취소가 행해졌습니다」라는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텐던트는, 계산대 No.X가 설정된 셀프 POS 단말기(11)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에 대하여, 부정 행위 「거짓 취소」가 있었던 것을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에러 코드 EC가 “93”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6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88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8로서 그 에러 코드 EC가 “94”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러 코드 EC가 “94”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8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89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89로서 부정 행위 「등록 누락」의 통보를 행한다. 즉 프로세서(81)는 메시지 테이블(821)을 검색하여, 에러 코드 EC가 “94”인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에러 코드 EC로서 “94”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메시지 데이터와 계산대 번호를 부가한 통보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6)로부터 표시 제어 장치(13)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보 커맨드에 포함되는 계산대 번호로 식별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에, 메시지 데이터의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감시 화상 SC에는, 예를 들어 「계산대 No.X의 계산대에서 등록 누락이 있었습니다」라는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텐던트는, 계산대 No.X가 설정된 셀프 POS 단말기(11)를 이용하고 있는 손님에 대하여, 부정 행위 「등록 누락」이 있었던 것을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에러 코드 EC가 “94”가 아닌 경우, 프로세서(81)는 ACT88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90으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90으로서 그 에러 코드 EC가 “95”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에러 코드 EC가 “95”인 경우, 프로세서(81)는 ACT90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91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91로서 부정 행위 「미결제」의 통보를 행한다. 즉 프로세서(81)는 메시지 테이블(821)을 검색하여, 에러 코드 EC가 “95”인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에러 코드 EC로서 “95”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메시지 데이터와 계산대 번호를 부가한 통보 커맨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6)로부터 표시 제어 장치(13)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 장치(13)는, 통보 커맨드에 포함되는 계산대 번호로 식별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의 감시 화상 SC에, 메시지 데이터의 텍스트를 표시시킨다. 그 결과, 감시 화상 SC에는, 예를 들어 「계산대 No.X의 계산대는 미결제입니다」라는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텐던트는, 계산대 No.X가 설정된 셀프 POS 단말기(11)를 이용하고 있었던 손님이 부정 행위 「미결제」인 것을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행동 인식부(221)로서, 카메라(21)의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조작 인식부(222)로서, 어텐던트 단말기(14)에 표시되는 감시 화상 SC의 천이에 기초하여, 손님에 의한 셀프 POS 단말기(11)에의 조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부정 검출부(223)로서, 손님의 행동과 당해 손님에 의한 셀프 POS 단말기(11)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조작 인식부(222)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의 수순이,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인식되는 손님의 행동과 모순되는 경우에,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이용 개시의 선언 조작 없이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부정 행위 「부정 취출」을 검출한다. 상품 등록 조작 없이 상품의 주머니 포장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을 검출한다. 등록 삭제 조작 후에 상품의 주머니 포장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부정 행위 「거짓 취소」를 검출한다. 결제 개시 조작 또는 결제 종료 조작 후에 취출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부정 행위 「등록 누락」을 검출한다. 결제 종료 조작 없이 퇴점 행동이 인식되었을 경우에는, 부정 행위 「미결제」를 검출한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통보부(224)로서,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어텐던트 단말기(14)를 이용하여 어텐던트에 대하여 통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손님의 부정 행위를 확인한 어텐던트는, 빠르게 해당하는 손님에게 주의 환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종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부정 행위를 억제하는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인식부(222)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의 수순이,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인식되는 손님의 행동과 모순되는 경우에, 부정 검출부(223)가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부정 검출부(223)에 의한 부정 행위의 검출 기술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인식부(222)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의 횟수가, 행동 인식부(221)에 의해 인식되는 손님의 행동과 모순되는 경우에, 부정 검출부(223)가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모두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을, 조작의 횟수와 손님의 행동으로부터 검출하는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프로세서(81)는 ACT101로서, 결제 개시 조작이 인식될 것을 대기한다. 조작 인식부(222)로서의 기능에 의해 결제 개시 조작이 인식되면,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다. 프로세서(81)는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 것을 확인하면, ACT10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10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02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를 검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11”의 스테이터스 ST의 수, 즉 취출 행동 횟수 Na를 산출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103으로서 “22”의 스테이터스 ST의 수, 즉 상품 등록 횟수 Nb를 산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104로서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손님이 취출 행동에 의해 취출한 상품을 정확하게 셀프 POS 단말기(11)에 등록한 경우에는,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한다. 따라서,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10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이에 비해,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이 행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10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10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05로서 에러 코드 EC를 “92”로 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106으로서 시계(84)에서 계시되고 있는 현재 시각 TM을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107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에, 시각 TM과 에러 코드 EC를 관련지어 기술한다. 이상에서,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도 13에서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취출 행동 횟수 Na와 상품 등록 횟수 Nb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2”가 기술된다. 따라서, 통보부(224)의 기능에 의해,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의 통보가 행해진다.
도 14에 있어서, 프로세서(81)는 ACT111로서, 결제 개시 조작이 인식될 것을 대기한다. 프로세서(81)는 시계열 버퍼(822)에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 것을 확인하면, ACT111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ACT112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12로서, 스테이터스 ST로서 “24”가 기술된 시계열 버퍼(822)를 검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12”의 스테이터스 ST의 수, 즉 등록 행동 횟수 Nc를 산출한다. 또한, 프로세서(81)는 ACT113으로서 “22”의 스테이터스 ST의 수, 즉 상품 등록 횟수 Nd를 산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81)는 ACT114로서 등록 행동 횟수 Nc와 상품 등록 횟수 N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손님이 등록 행동을 정확하게 행하면, 등록 행동 횟수 Nc와 상품 등록 횟수 Nd는 일치한다. 따라서, 등록 행동 횟수 Nc와 상품 등록 횟수 Nd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114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하고,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이에 비해, 손님이, 예를 들어 바코드를 판독창(42)에 대지 않고 등록 행동을 행한 경우에는, 상품 등록 횟수 Nd보다 등록 행동 횟수 Nc가 적어진다. 따라서, 상품 등록 횟수 Nd보다 등록 행동 횟수 Nc가 적은 경우에는, 프로세서(81)는 ACT114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ACT115로 진행한다. 프로세서(81)는 ACT115 내지 ACT117로서, 도 13에 나타낸 ACT105 내지 ACT107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에서, 부정 검출부(223)로서의 기능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도 14에서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등록 횟수 Nd보다 등록 행동 횟수 Nc가 적은 경우에, 시계열 버퍼(822)에 에러 코드 EC로서 “92”가 기술된다. 따라서, 통보부(224)의 기능에 의해, 부정 행위 「거짓 등록」의 통보가 행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1대의 카메라(21)를 배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카메라(21)는 반드시 셀프 POS 단말기(11)마다 배치하지는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2대의 셀프 POS 단말기(11)를 조작하는 손님을 1대의 카메라(21)로 촬영할 수 있다면, 카메라(21)의 대수를 저감시켜도 된다. 단, 그 경우에는, 도 7의 ACT2에 있어서, 영상에 찍히는 인물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셀프 POS 단말기(11)의 계산대 번호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1대의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하여 복수대의 카메라(21)를 배치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셀프 POS 단말기(11)의 사각을 저감시켜, 고정밀도로 손님의 부정 행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보부(224)는 어텐던트 단말기(14)를 통해 어텐던트에 통보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통보처는 어텐던트 단말기(1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부정 행위가 있었던 셀프 POS 단말기(11)를 통보처로 해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발광부(65)가 소정의 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점원에게 부정 행위가 행해지고 있음을 알게 한다. 혹은, 터치 패널(41)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시켜, 손님에게 부정 행위를 검지한 것을 알게 한다. 또한, 점원이 휴대한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표시 또는 음성으로 부정 행위의 경고를 발하게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텐던트 단말기(14)가 표시 제어 장치(13)로서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인식부(222)는 어텐던트 단말기(14)로부터 감시 화상 SC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조작을 인식한다. 혹은, 조작 인식부(222)는 각 셀프 POS 단말기(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예를 들어 라우터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5)로부터 도입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셀프 POS 단말기(11)에 대한 손님의 조작을 인식해도 된다.
부정 행위 인식 장치(22)는, 각 카메라(21)로부터 도입한 촬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손님의 부정 행위가 검출된 경우에, 기록부에 도입한 촬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부정 행위를 검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1: 셀프 POS 단말기
12: POS 서버
13: 표시 제어 장치
14: 어텐던트 단말기
15: 통신 네트워크
21: 카메라
22: 부정 행위 인식 장치
40: 본체
41: 터치 패널
42: 판독창
50: 주머니 포장대
81: 프로세서
82: 메인 메모리
83: 보조 기억 디바이스
84: 시계
85: 카메라 인터페이스
86: 통신 인터페이스
87: 시스템 버스
100: 셀프 POS 시스템
200: 부정 행위 인식 시스템
221: 행동 인식부
222: 조작 인식부
223: 부정 검출부
224: 통보부

Claims (7)

  1. 결제 단말기에 대한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행동 인식 수단과,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상기 구매자의 행동과 당해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부정 검출 수단과,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구비하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검출 수단은, 상기 조작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의 수순이, 상기 행동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상기 구매자의 행동과 모순되는 경우에,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검출 수단은, 상기 조작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조작의 횟수가, 상기 행동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는 상기 구매자의 행동과 모순되는 경우에,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인식 수단은, 상기 결제 단말기의 부품의 위치와, 상기 결제 단말기에 대치한 상기 구매자의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식 수단은,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에 따라서 천이하는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하는 부정 행위 인식 장치.
  6. 부정 행위 인식 장치의 컴퓨터에,
    결제 단말기에 대한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기능,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하는 기능,
    상기 구매자의 행동과 당해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기능, 및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통보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7. 부정 행위 인식 장치가,
    결제 단말기에 대한 구매자의 행동을 인식하고,
    상기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을 인식하고,
    상기 구매자의 행동과 당해 구매자에 의한 상기 결제 단말기에의 조작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자의 부정 행위를 검출하는, 부정 행위 인식 방법.
KR1020210158379A 2021-01-14 2021-11-17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KR20220103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4259 2021-01-14
JP2021004259A JP2022108991A (ja) 2021-01-14 2021-01-14 不正行為認識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不正行為認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024A true KR20220103024A (ko) 2022-07-21

Family

ID=7918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379A KR20220103024A (ko) 2021-01-14 2021-11-17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04651B2 (ko)
EP (1) EP4029412A1 (ko)
JP (1) JP2022108991A (ko)
KR (1) KR20220103024A (ko)
CN (1) CN1147649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7238B2 (en) * 2018-06-25 2021-05-25 Shopify Inc. Capturing transactional context
JP2022126371A (ja) * 2021-02-18 2022-08-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データ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225A (ja) 2017-07-07 2019-01-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9244B2 (en) * 2007-03-06 2016-02-23 Verint Systems Inc. Event detection based on video metadata
US20110063108A1 (en) * 2009-09-16 2011-03-17 Seiko Epson Corporation Store Surveillance System, Alarm Device, Control Method for a Store Surveillance System, and a Program
US20110087535A1 (en) * 2009-10-14 2011-04-14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program
US9218580B2 (en) 2010-12-30 2015-1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tecting retail shrinkage using behavioral analytics
US8498903B2 (en) * 2011-09-29 2013-07-30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ecurity check at a checkout terminal
US9564031B2 (en) 2012-12-21 2017-02-07 Joshua Migdal Verification of fraudulent activities at a self-checkout terminal
US9870565B2 (en) * 2014-01-07 2018-01-16 Joshua Migdal Fraudulent activity detection at a barcode scanner by verifying visual signatures
JP6870669B2 (ja) 2018-08-30 2021-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精算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6225A (ja) 2017-07-07 2019-01-3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4651B2 (en) 2023-07-18
EP4029412A1 (en) 2022-07-20
US20230297989A1 (en) 2023-09-21
CN114764962A (zh) 2022-07-19
JP2022108991A (ja) 2022-07-27
US20220222644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166B2 (ja) 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4874166B2 (ja) 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18005265A (ja) 決済処理装置
KR20220103024A (ko) 부정 행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부정 행위 인식 방법
EP3364356A1 (en) Checkout system
JP4675724B2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4828183B2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KR20230014627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프로그램
US20220230182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07072560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4116647B2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07072561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KR20230077629A (ko) 결제자 감시 장치 및 그 프로그램, 결제자 감시 방법
US20220284434A1 (en) Fraudulent act recogni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fraudulent act recognition method
JP2012050754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22472A1 (en) Fraudulent act recognition device,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fraudulent act recognition method
JP2020160930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073031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11198389A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23141730A (ja) 不正行為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4109369A1 (en) Self-service checkout device and program
US20230259944A1 (en) Monitoring apparatus, settlement apparatus, and programs
JP4116646B2 (ja) 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24047355A (ja) 商品登録装置及びそのプロクラム、監視装置
JP2023089895A (ja) 不正行為推定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不正行為推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