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215A -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 Google Patents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215A
KR20220101215A KR1020210002994A KR20210002994A KR20220101215A KR 20220101215 A KR20220101215 A KR 20220101215A KR 1020210002994 A KR1020210002994 A KR 1020210002994A KR 20210002994 A KR20210002994 A KR 20210002994A KR 20220101215 A KR20220101215 A KR 2022010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disposed
female terminal
male termin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802B1 (ko
Inventor
나진덕
Original Assignee
나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진덕 filed Critical 나진덕
Priority to KR102021000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고압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연결되는 계기용 변성기와, 계기용 변성기와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와, 변압기와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수용가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케이블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보다 빠른 수변전 설비의 설치와 설치시 발생되는 이물질의 삽입, 정확한 체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POWER SUBSTATION SYSTEM HAVING INSULATED TERMINAL}
본 발명은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재의 원인이 되는 체결불량, 이물의 칩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밀폐형 접속부를 수변전 설비에 관한 것이다.
학교, 빌딩, 아파트 단지, 공장 등과 같이 복수의 전력이 필요한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력회사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수전하여 220V와 같은 저전압으로 변전하는 수변전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변전 설비는 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및 변압기로 구성되며, 변압기에서 저전압으로 변전하여 수용가에 공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수변전 설비의 사고를 원인별로 분석하면 체결불량, 이물의 침입, 절연물의 파손 및 손상, 누수 및 누유, 과전류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한 온도상승, 소음 및 진동, 전압변동, 부식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이러한 원인 중 가장 많은 원인은 체결불량, 이물의 침입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원인은 수변전 설비를 설치 및 관리시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통해 해결될 수도 있으나,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는 특성상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물의 침입은 설치시에는 접속부 등에 이물이 침입하지 않았으나, 사용과정에서 주변 환경에 의해 침입되는 경우가 많고, 이물의 크기가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42413(2008. 06. 24 공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설치기 체결 불량을감소시키고, 사용과정에서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수변전 설비의 설치를 보다 빠르게 하여 설치과정에서 이물이 삽입되는 확률을 줄일 수 있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사용과정에서 접속부와 연결된 케이블이 진동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고압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연결되는 계기용 변성기와, 계기용 변성기와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와, 변압기와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수용가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계기용 변성기 사이에는 한류형 퓨즈가 수용된 일자형 접속재가 배치되고, 일자형 접속재의 일단에는 내부에 한류형 퓨즈과 일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돌기가 형성된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과,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체가 배치된 암터미널이 배치되고, 일자형 접속재의 타단에는 한류형 퓨즈의 타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홈이 형성된 수터미널이 배치되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는 내부에 접속돌기가 형성된 암터미널이 배치되고, 일자형 접속재 일단에 배치된 암터미널과,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암터미널에는 일단과 타단에 상호 연결된 접속홈이 형성된 수터미널이 배치된 'ㄷ'자형 접속재가 결합되며, 계기용 변성기에는 내부에 접속돌기가 형성된 암터미널이 배치되어 일자형 접속재의 타단에 배치된 수터미널과 결합되고, 접속돌기가 접속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암터미널의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의 타측 외면에는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의 내면을 관통하여 한쌍의 슬릿이 이격 형성되고, 탄성체는 슬릿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수터미널은 암터미널하우징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수터미널하우징과, 수터미널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이 암터미널하우징 내면에 삽입시 탄성체를 외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경사부와, 경사부에 형성되어 탄성체를 안착시키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암터미널하우징의 내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실링홈이 형성되고, 실링홈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실링부재는 수터미널하우징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항되는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이 암터미널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 실링부재는 수터미널하우징의 외면에 맞닿아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탄성체는 'n'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의 단부는 슬릿에 삽입되지 않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탄성체의 중앙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절곡부는 암터미널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벌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수터미널하우징의 외면에는 위치설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암터미널하우징의 내면에는 위치설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설정홈이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이 암터미널하우징 내로 삽입시 수터미널하우징의 삽입위치를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변압기는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는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은 하부 프레임 상에 고정되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고압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홀더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하부 프레임에는 일면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이 배치되고, 슬라이딩 레일의 일면에는 케이블홀더가 결합된 홀더베이스가 배치되며,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일면 내측면을 가압플레이트가 배치되고, 가압플레이트에는 홀더베이스 내측면으로 연장블록이 연장형성되며, 연장블록의 일면에는 홀더베이스의 내면과 맞닿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홀더베이스와 연장블록 사이에는 연장블록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구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는 케이블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이용하여 체결됨으로써 보다 빠른 수변전 설비의 설치와 설치시 발생되는 이물질의 삽입, 정확한 체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시 수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체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커넥터 내부에 수커넥터의 삽입시 변형되는 실링부재를 배치하여 설치 후 사용중에 이물질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 화재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홀더를 이동시켜 케이블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수변전 설비를 설치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및 일자형 적속재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결합작동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도시한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분해작동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 및 케이블 홀더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이하 '수변전 설비'라 함)의 사시도인 도 1과 수변전 설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수변전 설비는 고압 케이블(10)과 연결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연결되는 계기용 변성기(200)와, 계기용 변성기(200)와 연결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계기용 변성기(200) 및 변압기(300)는 일반적인 수변전 설비에 사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변압기(300)에는 변합기(300)에서 변환된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수용가 케이블(20)이 연결되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계기용 변성기(200) 사이에는 한류형 퓨즈(411)가 수용된 일자형 접속재(410)가 배치된다.
이러한 일자형 접속재(410)의 일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터미널 (420)이 배치되고, 일자형 접속재(410)의 타단에는 수터미널(440)이 배치된다.
암터미널(420)과 수터미널(440)은 도 2에 도시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및 일자형 접속재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접속돌기(421)와 접속홈(441)이 형성된다.
암터미널(410) 내부의 접속돌기(421)는 일자형 접속재(410) 내부의 한류형 퓨즈(4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암터미널(410)에는 암터미널하우징(422)에는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체(424)가 배치된다.
탄성체(424)는 수터미널(440)이 암터미널(42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수터미널(440)이 암터미널(420) 내부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잠금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접속돌기(421)가 형성된 암터미널(420)이 배치되고, 일자형 접속재(410) 일단에 배치된 암터미널(420)과,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의 암터미널(420)에는 일단과 타단에 상호 연결된 접속홈(441)이 형성된 수터미널(440)이 배치된 'ㄷ'자형 접속재(450)가 결합된다.
따라서 'ㄷ'자형 접속재(450)의 양단의 수터미널(440)과 일자형 접속재(410)의 암터미널(420),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의 암터미널(420)이 각각 결합하여 일자형 접속재(410)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계기용 변성기(200)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돌기(421)가 형성된 암터미널(420)을 배치하여 일자형 접속재(410)의 타단에 배치된 수터미널(440)과 결합시켜 일자형 접속재(410)을 매개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계기용 변성기(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외에도 도 2를 참조하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의 고압 케이블(10)이 체결되는 단자에 수터미널(440)을 배치하고, 고압 케이블(10)에 암터미널(420)을 배치하여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변압기(300)에 수터미널(440)을 배치하여 암터미널(420)을 갖는 수용가 케이블(20)을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계기용 변성기(200)에 변압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터미널(440)을 형성하고, 변압기(300)에 계기용 변성기(200)와 연결하는 수터미널(440)을 형성하여 양단에 암터미널(420)이 형성된 연결케이블(30)을 이용하여 계기용 변성기(200)와 변압기(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요부 사시도인 도 4 및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결합작동도를 도시한 단면도 인 도 5를 참조하면 암터미널(420)의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의 타측 외면에는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을 관통하여 한쌍의 슬릿(426)이 이격 형성되고, 탄성체(424)는 슬릿(4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수터미널(440)은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수터미널하우징(442)과,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422)이 암터미널하우징(442) 내면에 삽입시 탄성체(424)를 외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경사부(444)와, 경사부(444)에 형성되어 탄성체(424)를 안착시키는 안착홈(446)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로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삽입되는 경우 암터미널하우징(422)에 설치된 탄성체(424)는 경사부(444)와 맞닿아 암터미널하우징(422)의 외측으로 변형되며, 수터미널하우징(442)가 지속적으로 삽입되어 탄성체(424)가 경사부(444)에 형성된 안착홈(446)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체(424)는 복원하며 안착홈(446) 사이에 삽입되어 암터미널(420)과 수터미널(440)은 견고하게 체결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은 경사부에 의해 차단되어 터미널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실링홈(427)이 형성되고, 실링홈(427)에는 실링부재(428)가 배치된다. 이러한 실링부재(428)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항되는 방향으로 절개부(428a)가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로 삽입되면 실링부재(428)의 절개부(428a)는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 맞닿아 변형된다. 따라서 암커넥터(420)와 수커넥터(440)는 실링부재(426)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결합하여 외부 이물이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실링부재(426)는 수커넥터(440)를 탄성체(424)방향으로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암커넥터(420)와 수커넥터(4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요부 사시도인 도 4와, 암터미널 및 수터미널의 분해작동도를 도시한 단면도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탄성체(424)는 'n'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체(424)의 단부에는 슬릿(426)에 삽입되지 않도록 절곡된 절곡부(424a)가 형성되어, 탄성체(424)의 중앙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절곡부(424a)가 암터미널하우징(422)의 외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탄성체(424)의 양단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424)의 중앙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안착홈(446)에 삽입된 탄성체(424)는 안착홈(446)에서 이탈되어, 암터미널(420)에 삽입된 수터미널(440)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는 위치설정돌기(449)가 돌출형성되고,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는 위치설정돌기(449)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설정홈(429)이 형성되어,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로 삽입시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삽입위치를 제한하고, 수터미널(440)이 암터미널(4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수변전 설비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인 도 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변압기(300)는 하부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계기용 변성기(200)는 상부 프레임(550)에 설치되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계기용 변성기(200)가 설치된 상기 상부 프레임(550)은 상기 하부 프레임(510) 상에 고정하여 수변전 설비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때, 고압 케이블(10), 연결 케이블(30) 등 케이블이 외부의 접촉, 설치장소의 진동 등에 의하여 요동하는 경우 케이블의 접속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510)의 일측에는 고압 케이블(10)과 연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케이블홀더(540)가 배치된다.
이러한 케이블홀더(540)는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별도로 하부 프레임(5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수변전 설비의 설치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510)에는 일면에 슬라이딩홈(520a)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520)을 배치하고, 슬라이딩 레일(520)의 일면에는 케이블홀더(540)가 결합된 홀더베이스(530)가 배치하여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홀더(5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홀더베이스(530)가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이동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레일(520)의 내부에 슬라이딩홈(520)이 형성된 일면 내측면을 가압플레이트(532)를 배치하고, 가압플레이트(532)에는 홀더베이스(530) 내측면으로 연장블록(534)을 연장형성하며, 연장블록(534)의 일면에는 홀더베이스(530)의 내면과 맞닿는 스프링(536)이 배치할 수 있으며, 홀더베이스(530)와 연장블록(534) 사이에는 연장블록(534)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구(538)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 고압 케이블 20 : 수용가 케이블
30 : 연결 케이블 100 : 고장구간 자동계폐기
200 : 계기용 변성기 300 : 변압기
410 : 일자형 접속재 411 : 한류형 퓨즈
420 : 암터미널 421 : 접속돌기
422 : 암터미널하우징 424 : 탄성체
424a : 절곡부 426 : 슬릿
427 : 실링홈 428 : 실링부재
428a : 절개부 429 : 위치설정홈
440 : 숫터미널 441 : 접속홈
442 : 수터미널하우징 444 : 경사부
446 : 안착홈 449 : 위치설정돌기
450 : ㄷ'자형 접속재 510 : 하부 프레임
520 : 슬라이딩 레일 520a : 슬라이딩홈
530 : 홀더베이스 532 : 가압플레이트
534 : 연장블록 536 : 스프링
538 : 고정구 540 : 케이블홀더
550 : 상부 프레임

Claims (7)

  1. 고압 케이블(10)과 연결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연결되는 계기용 변성기(200);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와 연결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300);
    상기 변압기(300)와 연결되어 저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수용가 케이블(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와 계기용 변성기(200) 사이에는 한류형 퓨즈(411)가 수용된 일자형 접속재(410)가 배치되고,
    상기 일자형 접속재(410)의 일단에는 내부에 상기 한류형 퓨즈(411)과 일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돌기(421)가 형성된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과, 상기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탄성체(424)가 배치된 암터미널(420)이 배치되고,
    상기 일자형 접속재(410)의 타단에는 상기 한류형 퓨즈(411)의 타단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홈(441)이 형성된 수터미널(440)이 배치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에는 내부에 접속돌기(421)가 형성된 암터미널(420)이 배치되고,
    상기 일자형 접속재(410) 일단에 배치된 암터미널(420)과,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의 암터미널(420)에는 일단과 타단에 상호 연결된 접속홈(441)이 형성된 수터미널(440)이 배치된 'ㄷ'자형 접속재(450)가 결합되며,
    상기 계기용 변성기(200)에는 내부에 접속돌기(421)가 형성된 암터미널(420)이 배치되어 상기 일자형 접속재(410)의 타단에 배치된 수터미널(440)과 결합되고, 상기 접속돌기(421)가 상기 접속홈(44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420)의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의 타측 외면에는 상기 중공형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을 관통하여 한쌍의 슬릿(426)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424)는 슬릿(426)에 삽입되며,
    상기 수터미널(440)은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수터미널하우징(442)과,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22)이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42) 내면에 삽입시 상기 탄성체(424)를 외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경사부(444)와, 상기 경사부(444)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424)를 안착시키는 안착홈(44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홈(427)에는 실링부재(428)가 배치되며,
    상기 실링부재(428)는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항되는 방향으로 절개부(428a)가 형성되어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428)는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 맞닿아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24)는 'n'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424)의 단부는 상기 슬릿(426)에 삽입되지 않도록 절곡된 절곡부(424a)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424)의 중앙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절곡부(424a)는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22)의 외면을 따라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외면에는 위치설정돌기(449)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22)의 내면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449)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설정홈(429)이 형성되어,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이 상기 암터미널하우징(422) 내로 삽입시 상기 수터미널하우징(442)의 삽입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300)는 하부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계기용 변성기(200)는 상부 프레임(550)에 설치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00), 계기용 변성기(200)가 설치된 상기 상부 프레임(550)은 상기 하부 프레임(510) 상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5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압 케이블(10)과 상기 연결 케이블(30)을 고정하는 케이블홀더(5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510)에는 일면에 슬라이딩홈(520a)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520)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520)의 일면에는 상기 케이블홀더(540)가 결합된 홀더베이스(530)가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520)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홈(520)이 형성된 일면 내측면을 가압플레이트(532)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532)에는 상기 홀더베이스(530) 내측면으로 연장블록(534)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연장블록(534)의 일면에는 상기 홀더베이스(530)의 내면과 맞닿는 스프링(536)이 배치되고,
    상기 홀더베이스(530)와 상기 연장블록(534) 사이에는 상기 연장블록(534)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구(53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KR1020210002994A 2021-01-11 2021-01-11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KR10252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994A KR102523802B1 (ko) 2021-01-11 2021-01-11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994A KR102523802B1 (ko) 2021-01-11 2021-01-11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215A true KR20220101215A (ko) 2022-07-19
KR102523802B1 KR102523802B1 (ko) 2023-04-19

Family

ID=8260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994A KR102523802B1 (ko) 2021-01-11 2021-01-11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8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148B1 (ko) * 2007-02-15 2007-05-02 주식회사 광명전기 파워휴즈 조합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
KR100842413B1 (ko) 2007-03-28 2008-07-0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KR100864284B1 (ko) * 2008-06-05 2008-10-20 주식회사 평일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KR101070456B1 (ko) * 2011-08-19 2011-10-06 누리정보통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KR20200034128A (ko) * 2018-09-21 2020-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148B1 (ko) * 2007-02-15 2007-05-02 주식회사 광명전기 파워휴즈 조합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
KR100842413B1 (ko) 2007-03-28 2008-07-0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KR100864284B1 (ko) * 2008-06-05 2008-10-20 주식회사 평일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KR101070456B1 (ko) * 2011-08-19 2011-10-06 누리정보통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KR20200034128A (ko) * 2018-09-21 2020-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802B1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68B1 (ko) 고전압용의 스크류 조립식 접속시스템
US4645286A (en) Quick connect power tap system
CA2800118C (en) Adapter coupling for bushing and arrestor
US7938693B2 (en) PE connection for plug connectors
US8961208B2 (en) Electrical wall bushing terminal
US9954322B2 (en) Connection terminal
US10141147B2 (en) Touch safe panel board system
US10283918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3510825A (en) Prefabricated communication line system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US20120161919A1 (en) Safety Fuse Holder Assembly
US3358266A (en) Positive retention disconnectable wire splice
KR20220101215A (ko)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US9368905B2 (en) Potting compound chamber designs for electrical connectors
KR20180003199U (ko) 변압기 부싱의 누설전류 측정용 어댑터
US9312666B1 (en) Panelboard/circuit breaker barrier interface
KR101769399B1 (ko)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JP7185599B2 (ja) 円筒形高圧カットアウトの誤挿入防止カバーおよび高圧配電線路用接地装置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KR101608751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US10014613B2 (en) Potting compound chamber designs for electrical connectors
KR101609306B1 (ko)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KR200252568Y1 (ko) 커넥터
US20220302611A1 (en) Fretting Corrosion-Free In-Line Connection System
KR101841110B1 (ko) 배전반 컨트롤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