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51B1 -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51B1
KR101608751B1 KR1020160003305A KR20160003305A KR101608751B1 KR 101608751 B1 KR101608751 B1 KR 101608751B1 KR 1020160003305 A KR1020160003305 A KR 1020160003305A KR 20160003305 A KR20160003305 A KR 20160003305A KR 101608751 B1 KR101608751 B1 KR 10160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terminals
rod
ho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근
전세웅
Original Assignee
(주)유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유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6000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5/00Butter; Butter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5/12Butter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4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containing thickening substances, eggs or cereal preparations; Milk gels
    • A23C9/1544Non-acidified gels, e.g. custards, creams, desserts, puddings, shakes or foams, containing eggs or thickening or gelling agents other than sugar; Milk products containing natural or microbial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ilk products containing nutrient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과부하에 의한 교체, 불량기기의 교체 및 일정기간 경과분 교체 등을 할 때에 정전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교체작업시 무정전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정전이 되지 않고, 사고로 인한 정전시, 인입선 전체로 인한 정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오결선공사를 예방할 수 있고, 과부하로 인한 변압기 소손을 2차측과부하보호장치에 의해 예방할 수 있으며, 변압기 저압부로 인해 커진 부피를 줄여 자재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Uninterrupted connection to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transformer structure panel}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의 과부하에 의한 교체, 불량기기의 교체 및 일정기간 경과분 교체 등을 할 때에 정전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으로 인한 전기수요급증과 점차적으로 배전선로의 지중화비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가공배전선로는 무정전작업으로 전기사용자들의 불편을 많이 해소하고 있는 반면, 지중화 지역에서는 무정전작업이 쉽지 않아 전기사용의 급증 및 고장으로 인한 변압기 교체가 빈번한 상황에서 전기사용자들의 불편과 정전으로 인한 손실을 부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중화 공급지역은 부하가 집중되는 지역으로 대부분 중요 수요자에게 공급하고 있어 정전 발생시에 전력사용기기의 사용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여 수요자의 불만이 심화되고 공급의 신뢰도도 저하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심한 경우에 각종 전기기기의 망실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피해보상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또한, 지상변압기는 과부하로 인한 교체, 불량기기의 교체, 일정기간 경과분 에 대한 교체 등으로 교체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무정전을 통한 교체 방안이 수립되지 않아 심야시간에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 및 정전시킨 후에 기기의 교체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변압기 내에는 좌·우측 엘보를 구분하여 개폐할 수 있는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 무정전 작업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현재 운영 변압기와 무정전 변압기 사이의 특고압 루프(Loop)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변압기의 무정전 부하절체를 위해서는 저압단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보호커버 등으로 보호되지 않아 상간 단락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76382호는 다회로개폐기 1대에 각 회로별 4회로 개폐기 엘보와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는 체부형 접속으로 4회로 바이패스 케이블 VAN 접속부만 추가 설치하여 2웨이 공사용 개폐기 3대의 기능을 지상용 다회로 개폐기 1대에 통합 수용한 다회로 개폐기에 관한 것이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17133호는 지상변압기의 내부에 고압 엘보 사이에 복수의 엘보스위치를 장착하고, 상기 지상변압기의 2차 저압 붓싱단자를 착탈식 붓싱단자로 구성하며, 상기 지상변압기의 기초대 전면을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저압단자를 붓싱에서 분리할 때에 상별 혼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싱단자에 보호커버를 설치한 무정전교체 지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안들은 무정전작업에 사용되기는 하나, 지상의 가공선로의 변압기 교체작업에 사용될 뿐 지중배전선변압기의 교체시에는 어려움이 많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38278호(2001.07.02.) '지중배전선 변압기의 무정전연결판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통상의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일측에 연결 판넬을 설치하여 무정전변압기차량을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판넬 상에 변압기의 저압부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저압부인입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저압부인입단자를 연결하는 부하절체용개폐기(NFB)를 설치하며, 상기 부하절체용개폐기(NFB)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전기사용가의 수용단자와 연결하는 수용가인입선연결단자와, 상기 수용가인입선연결단자에는 무정전작업시 통상의 무정전변압기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무정전변압기차연결단자를 설치하여 구성한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일측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연결판넬(5)과, 상기 연결판넬(5) 상의 종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와, 상기 각각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를 연결하는 부하절체용 개폐기(2)와, 상기 부하절체용 개폐기(2)에서 인출되는 다수의 분기단자와 연결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3,3',3'',3''')와, 상기 각각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 (3,3',3'',3''')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무정전변압기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무정전 변압기 차량연결단자(4,4',4'',4''')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가 포함된 변압기 함체(H)의 일측에 연결판넬(5)을 조립 고정할 때 조립을 쉽게 하도록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위치고정블럭(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블럭(3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구멍(3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블럭(30)과 대응되는 연결판넬(5)의 대향면에는 블럭삽입구멍(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블럭삽입구멍(40)의 하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50)이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50)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에는 고정로드(60)가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로드(6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회 분절되어 상호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로드(60)의 길이 일부에는 대략 'Γ'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결속로드(64)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고정로드(60)의 일단에는 상기 관통공(5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나사체결되는 분절형 로드헤드(62)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헤드(62)와, 로드헤드(62)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결속로드(64) 사이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고정로드(6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스프링스토퍼(68)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스프링(66)은 상기 로드헤드(62)와 가까운 쪽 가이드브라켓(50)과 스프링스토퍼(68)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단자판(5a)이 별도로 고정되고; 상기 단자판(5a)에는 상기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가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단자판(5a)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판넬(5)에는 사각형상으로 따내어진 단자노출구멍(70)이 형성되고; 저압부 인입단자(1,1',1'',1''')의 단부는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접속단자(5c)를 이루되, 상기 접속단자(5c)는 반경방향을 따라 슬릿처리되어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은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씌워져 표피부(5d)를 구성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 교체작업시 무정전변압기차를 이용하여 정전이 되지 않고, 사고로 인한 정전시, 인입선 전체로 인한 정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오결선 공사를 예방할 수 있고, 과부하로 인한 변압기 소손을 2차측 과부하보호장치에 의해 예방할 수 있으며, 변압기 저압부로 인해 커진 부피를 줄여 자재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의 상세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변압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의 조립예를 보인 요부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의 시건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변압기, 특히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는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특고압부(10)에는 일측에 특고압 지중배전선 인입단자(H1A,H2A,H3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특고압 지중배전선 인입단자(H1A,H2A,H3A)와 연결되면서 대칭으로 형성된 특고압 지중배전선 인출단자(H1B,H2B,H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압부(20)에는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로 구성된 통상의 변압기 일측면에 연결판넬(5)이 정방향으로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5)은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저압부(20)에서 인출되는 각각의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연결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와, 상기 각각의 저압부인입단자(1,1',1'',1''')를 연결하는 부하절체용 개폐기(NFB)(2)와, 상기 부하절체용 개폐기(2)에서 인출된 분기단자가 전기사용가의 수용단자와 연결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3,3',3'',3''')와, 상기 각각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3,3',3'',3''')와 무정전 작업시 통상의 무정전변압기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무정전 변압기 차량연결단자(4,4',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판넬(5)을 이용하게 되면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무정전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전으로 인한 수용가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다.
예컨대, 무정전변압기차량의 단자와 각각의 무정전 변압기 차량연결단자(4,4',4'',4''')를 연결하여 수용가와 전원을 연결한 다음, 부하절체용 개폐기(2)를 차단한 후 저압부(20)의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 및 저압부 인입단자(1,1',1'',1''')와 연결된 연결선을 해체하여 빠른 시간 안에 변압기를 교체하고, 다시 교체된 저압부(20)의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각각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를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차량과 무정전 변압기 차량연결단자(4,4',4'',4''')와 연결된 연결선을 풀어 해체함으로써 공사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변압기의 일측에 연결판넬(5)을 단순히 고정 설치함으로서 교체 및 수리 작업시마다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인력 및 공사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변압기의 2차측 보호장치가 없어 과부하 및 합선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의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나 상기 부하절체용 개폐기(2)를 설치함으로써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변압기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하절체용 개폐기(2)와,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3,3',3'',3''')의 용량은 변압기 및 그지역 수용가의 용량에 따라 증감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과 작용을 기본전제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가 포함된 변압기 함체(H)의 일측에 연결판넬(5)을 조립 고정할 때 조립성을 편리하게 하면서 빠르게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변형된 연결판넬(5) 구조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도 5에 따르면,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위치고정블럭(30)이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위치고정블럭(30)에는 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구멍(32)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위치고정구멍(32)은 양측 표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테이퍼면(34)을 갖고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테이퍼면(34)은 위치고정구멍(32) 보다 큰 반경을 갖고 경사진 면으로서 후술되는 결속로드(64)가 쉽고 정확하게 한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결속로드(64)가 위치고정구멍(32)과 다소 부정확하게 삽입되더라도 상기 테이퍼면(34)이 상기 결속로드(64)를 상기 위치고정구멍(32) 쪽으로 미끄러지게 안내하여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블럭(30)과 대응되는 연결판넬(5)의 대향면에는 블럭삽입구멍(40)이 관통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연결판넬(5)을 상기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위치고정블럭(30)이 상기 블럭삽입구멍(40)을 통해 끼워지면서 상호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럭삽입구멍(40)의 하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50)이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0)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52)에는 고정로드(60)가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로드(6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회 분절되어 상호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로드(60)를 다수개로 분절하여 상호 나사결합되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고정로드(60)의 길이 일부에는 대략 'Γ' 형상의 결속로드(64)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태로 상기 관통공(52)에 끼울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결속로드(64)가 없는 부분을 분절하여 상기 관통공(52)에 끼운 후 분절된 것들을 서로 나사체결하게 되면 도시와 같은 고정로드(6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같은 이유로, 고정로드(60)의 일단에는 나사체결되는 분절형 로드헤드(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드헤드(62)는 상기 관통공(5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관통공(52)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로드헤드(62)와, 로드헤드(62)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결속로드(64) 사이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고정로드(6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스프링스토퍼(6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헤드(62)가 관통공(52)에 끼워질 때 코일스프링(66)도 같이 구비하여, 코일스프링(66)이 로드헤드(62)와 가까운 쪽 가이드브라켓(50)과 스프링스토퍼(68)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상기 코일스프링(66)은 상기 스프링스토퍼(68)를 항상 밀어 내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로드헤드(62)는 상기 가이드브라켓(50)의 바깥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로드(60)는 항상 도시상 오른쪽으로 이동해 있게 되며, 이 상태는 결속로드(64)가 위치고정구멍(32)에 끼워진 상태라면 위치고정블럭(30)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위치고정블럭(30)을 블럭삽입구멍(40)에 끼울 때는 상기 로드헤드(62)를 잡고 당겨 코일스프링(66)을 압축한다.
그러면, 결속로드(64)는 상기 각 블럭삽입구멍(40)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블럭(30)이 삽입되는데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존재하게 되며, 위치고정블럭(30)이 삽입 된 후 당겼던 로드헤드(62)를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66)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고정로드(6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결속로드(64)는 자연스럽게 위치고정구멍(32)에 끼워지면서 위치고정블럭(30)을 결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판넬(5)은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 쉽고 빠르면서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4에서는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저압부 인입단자(1,1',1'',1''')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연결선을 구비하고, 이 연결선을 연결판넬(5)의 하부를 관통시켜 단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렇게 하면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서는 상기 연결판넬(5)이 변압기 함체(H)에 조립 고정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연결판넬(5) 내부에서 쉽고 빠르게 단자가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제공한다.
예컨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단자판(5a)이 별도로 고정되고, 상기 단자판(5a)에는 상기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가 돌출되게 고정된다.
즉, 상기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는 돌출된 부분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전체, 다시 말해 전기 단자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판(5a)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판넬(5)에는 사각형상으로 따내어진 단자노출구멍(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넬(5)이 변압기 함체(H)에 고정되면 상기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 다수개는 상기 단자노출구멍(70)을 통해 상기 연결판넬(5) 내부로 노출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저압부 인입단자(1,1',1'',1''')의 단부는 도 6과 같은 형태로 가공한다.
즉, 저압부 인입단자(1,1',1'',1''')의 단부는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접속단자(5c)를 이루되, 상기 접속단자(5c)는 반경방향을 따라 슬릿처리되어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은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씌워져 표피부(5d)를 구성한 형태를 갖는다.
때문에, 상기 접속단자(5c)는 바깥방향으로 벌어지지 못하고 항상 안쪽으로 오므려 들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며, 상기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가 삽입되면 이를 꽉 물어 안정적인 전기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연결판넬(5)을 조립 고정해 둔 상태에서 상기 접속단자(5c)를 단순히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에 끼우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른 단자간 접속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변압기 함체(H)의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를 보호하기 위해 변압기 함체(H)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DR)의 개폐시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건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변압기 함체(H)는 상기 도어(DR)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중간에 세로방향으로 함체프레임(F)이 존재하는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편의상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상기 시건장치는 상기 함체프레임(F)에 고정되는 고정쇠(100)를 포함하며, 고정쇠(10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DR) 상에는 각각 잠금쇠(200)가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100)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대략 'ㅗ'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수직하게 세워진 부분에는 잠금구멍(1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잠금볼트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함체프레임(F) 상에 견고히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쇠(200)는 하부 일측에 작동공간(210)이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220)이 형성된 대략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설치홈(220)의 개방된 전면은 선단커버(230)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에서, 상기 선단커버(230)의 일부 및 상기 설치홈(220)의 하방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공간(210)까지 연통되는 유동로(24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유동로(240)는 또한 상기 설치홈(220)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쇠(200)의 일측면에는 이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고정볼트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공(250)에는 고정볼트(미도시)가 삽입된 후 상기 도어(DR)의 표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잠금쇠(200)의 선단부 상측에는 배터리(260)가 매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260)는 축전지는 물론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동로(240)에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봉 형상의 래크(270)가 삽입되며, 상기 설치홈(220)에는 피니언(2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피니언(280)은 상기 래크(270)와 치결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피니언(280)의 일측면에는 베벨기어 형태의 종동기어(290)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290)에는 마찬가지로 베벨기어 형태를 갖는 구동기어(300)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300)는 구동모터(310)의 동력을 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10)는 상기 설치홈(22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2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310)는 키박스(320)를 경유하여 스위칭 가능하게 배터리(260)와 배선되는데, 키박스(320)는 통상의 구조이나 3개의 단자를 가지고 있어 키를 꽂고 중립에 두면 커먼단자(common terminal)와 접속되어 전기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전기가 통전되면서 구동모터(3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전기가 통하면서 구동모터(3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때문에, 키박스(320)에 꽂힐 수 있는 키를 소유한 허가된 자만이 도어(DR)를 열 수 있어 보안성이 강화되며, 자동 잠금 기능이 수행되므로 안전성도 향상된다.
2: 부하절체용 개폐기 5: 연결판넬
10: 특고압부 20: 저압부

Claims (1)

  1.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일측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연결판넬(5)과, 상기 연결판넬(5) 상의 종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와, 상기 각각의 저압부 인입단자(1,1',1'',1''')를 연결하는 부하절체용 개폐기(2)와, 상기 부하절체용 개폐기(2)에서 인출되는 다수의 분기단자와 연결되도록 종방향으로 설치한 다수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3,3',3'',3''')와, 상기 각각의 수용가 인입선 연결단자 (3,3',3'',3''')에서 인출되는 단자와 무정전변압기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무정전 변압기 차량연결단자(4,4',4'',4''')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특고압부(10)와 저압부(20)가 포함된 변압기 함체(H)의 일측에 연결판넬(5)을 조립 고정할 때 조립을 쉽게 하도록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위치고정블럭(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블럭(30)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구멍(3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블럭(30)과 대응되는 연결판넬(5)의 대향면에는 블럭삽입구멍(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블럭삽입구멍(40)의 하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50)이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50)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에는 고정로드(60)가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로드(6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회 분절되어 상호 나사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로드(60)의 길이 일부에는 대략 'Γ'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결속로드(64)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고정로드(60)의 일단에는 상기 관통공(5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나사체결되는 분절형 로드헤드(62)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헤드(62)와, 로드헤드(62)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결속로드(64) 사이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고정로드(6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를 이루는 스프링스토퍼(68)가 구비되고; 코일스프링(66)은 상기 로드헤드(62)와 가까운 쪽 가이드브라켓(50)과 스프링스토퍼(68)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압기 함체(H)의 일측면에는 단자판(5a)이 별도로 고정되고; 상기 단자판(5a)에는 저압부 인출단자(X0,X1,X2,X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볼조인트형 연결단자(5b)가 돌출되게 고정되며; 상기 단자판(5a)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판넬(5)에는 사각형상으로 따내어진 단자노출구멍(70)이 형성되고; 저압부 인입단자(1,1',1'',1''')의 단부는 내부가 빈 반구형상의 접속단자(5c)를 이루되, 상기 접속단자(5c)는 반경방향을 따라 슬릿처리되어 분할된 다수의 분할편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표면은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씌워져 표피부(5d)를 구성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0160003305A 2016-01-11 2016-01-11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60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305A KR101608751B1 (ko) 2016-01-11 2016-01-11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305A KR101608751B1 (ko) 2016-01-11 2016-01-11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751B1 true KR101608751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305A KR101608751B1 (ko) 2016-01-11 2016-01-11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97B1 (ko) 2017-02-09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8Y1 (ko) 2001-04-04 2001-10-11 송종용 지중선 변압기의 무정전연결판넬
KR100402892B1 (ko) 2001-11-16 2003-10-22 박현영 오디오 플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8Y1 (ko) 2001-04-04 2001-10-11 송종용 지중선 변압기의 무정전연결판넬
KR100402892B1 (ko) 2001-11-16 2003-10-22 박현영 오디오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97B1 (ko) 2017-02-09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20701B2 (en) Service access point for a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P2600363B1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US7927155B2 (en) Secondary disconnect for circuit breaker drawout system
US20110176258A1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US20180033575A1 (en) Electromechanical circuit breaker for a battery distribution box of a motor vehicle and battery distribution box
KR20130089013A (ko) 배전반 안전장치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608751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200402632Y1 (ko) 변류기 케이스
US5596467A (en) Electrical energy-transforming equipment
US3983460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US20150279542A1 (en) Current converter with interchangeable head
US6893298B2 (en) Device for connecting low-voltage devices
KR101701028B1 (ko) 안전 스위칭 부를 갖는 차단기
KR20150001524U (ko) 플러그 스위치
US9831663B2 (en) Surge prot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KR101854149B1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KR200484888Y1 (ko) 진공전자접촉기의 퓨즈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
KR200238278Y1 (ko) 지중선 변압기의 무정전연결판넬
KR20120107896A (ko) 이탈착 방식의 누전 차단기
KR101841110B1 (ko) 배전반 컨트롤 박스
KR101837131B1 (ko)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KR100734334B1 (ko) 가스절연형 간이수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