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284B1 -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 Google Patents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284B1
KR100864284B1 KR1020080053088A KR20080053088A KR100864284B1 KR 100864284 B1 KR100864284 B1 KR 100864284B1 KR 1020080053088 A KR1020080053088 A KR 1020080053088A KR 20080053088 A KR20080053088 A KR 20080053088A KR 100864284 B1 KR100864284 B1 KR 10086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onnecting portion
side bushing
straight lin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관성
최경선
백승룡
오영관
홍장수
이성진
윤병수
함영구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102008005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은 수변전설비를 구성하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제작하여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수변전설비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고,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와 한류형 퓨즈, 계기용 변성기, 피뢰기를 포함하는 특고압부의 모든 접속부를 특수 에폭시 또는 EPDM 고무의 고체절연에 의해 완전 차폐하는 한편, 변압기부와 특고압부를 적층구조로 배치하여 수변전설비의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으며,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각 구성요소의 전기적인 접속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완전차폐와 방수기능을 가지는 접속재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방수상태를 유지하고 절연성능의 극대화에 의한 감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저압부는 별도의 독립된 판넬로 제작하여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로 구성된 수변전설비와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저압부를 부하(분전반등)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고 수변전설비와 원거리에서 케이블에 의하여 상호연결가능사용 가능할 수 있게 하여 수변전설비에서 부하(분전반)까지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 소요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한류형 퓨즈, 고체절연

Description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Compact covering type substation using solid isolated}
본 발명은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변전설비를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독립된 객체로 제작하여 각각의 객체 상호 간은 완전 방수 및 차폐구조로 분리 및 연결가능케 함으로써 수변전설비를 설치할 때 수변전설비의 운송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특고압부의 모든 충전부를 고체절연에 의해 절연 및 완전 차폐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적층구조로 하여 수변전설비의 부피 및 설치공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수변전설비는 발전소,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내부에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구분된다.
상기 수변전설비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로 구분되는데, 상기 특고압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압 또는 특별 고압의 전기를 수전하는 기능을 하고, 변압기부는 고압 또는 특별 고압의 전기를 수용가의 부하에 적합하게 감압하는 기능을 하며, 저압부는 저압의 전기를 다수의 부하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기중절연방식의 수변전설비는 수변전설비를 구성하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 등이 서로 간의 절연을 위해 절연거리를 유지해야 하므로 수변전설비의 부피가 커질 뿐더러 중량도 커지기 때문에 수변전설비을 설치할 때 수변전설비를 운반하여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충전부(도체간의 접속포인트)의 외부가 절연처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감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크다.
즉, 수변전설비가 습도가 높은 지하나 옥외에 설치된 경우 특고압부와 변압기부 및 저압부의 누설전류에 의해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수변전설비를 설치하기 전에 수변전설비가 설치될 공간을 방수 처리해야 함은 물론이고 관리자는 수변전설비가 설치된 공간의 습도를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 충전부 밀폐형 수전설비(실용신안출원 제20-2006-19492호)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변압기, 에폭시몰드 카트리지, 케이블접속재(엘보접속재) 등이 연결조립되어 접지가 잡혀있어도 에폭시몰드 카트리지는 절연재임으로 완전차폐가 아닌 부분차폐구조로 상간 절연거리가 필요하다.
또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파워퓨즈유니트가 에폭시몰드 파워퓨즈 카트리지에 내장되고 2차측은 엘보접속재의 케이블 배선방식의 접속구조로 제공되어 케이블 배선에 의해 복잡하다.
또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및 계기용 변성기와 변압기 간이 횡렬의 케이블 배선방식에 의한 접속구조이고, 변압기와 계기용 변성기, 그리고 계기용 변성기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간의 접속 또한 엘보접속재에 의한 케이블 배선으로 접속되어 케이블 배선의 처리 복잡성으로 콤팩트화를 구현하지 못하였다.
즉, 상기한 선원기술은,
첫째, 변압기, 계기용 변성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각 기기 간의 접속연결이 엘보접속재에 의한 케이블 배선방식의 접속으로 케이블 배선의 처리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둘째, 변압기, 계기용 변성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배치구조가 가로방향의 배치구조로 제공되고, 각 기기의 부싱접속부에 엘보접속재로 접속하고 상기 엘보접속재 간을 길게 배선된 케이블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각 기기 간의 공간을 없애지 못하여 공간점유율이 높아 콤팩트화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변전설비의 완전차폐화 실현으로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방수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방수 상태를 유지하여 절연성능의 극대화에 의한 감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특고압 절연부를 외부가 완전차폐된 접속재를 사용한 절연밀폐의 완전차폐 구조로 안전성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한류형 퓨즈가 외부가 완전 차폐된 고체절연물 접속재(에폭시 또는 EPDM 고무) 속에 조립되어 있으며 케이블 배선 접속이 아닌 원터치 방식에 의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계기용 변성기의 부싱접속부에 직접 접속됨으로서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한편, 파워퓨즈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인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및 계기용 변성기가 변압기의 상부에 적층된 병렬적층구조로 콤팩트화가 제공되고, 상호간은 완전차폐형 접속재에 의해 접속됨으로서 케이블 배선의 생략에 의한 구조 간소화 및 현장시공의 용이성, 운반용이성, 완전차폐에 의한 안전성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계기용 변성기, 변압기, 퓨즈내장 접속재, 엘보피뢰기, 케이블접속재 등 모두가 차폐되어 있어, 접지 연결시 등전위를 형성하게 되는 완전차폐로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포함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용 수변전설 비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체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 위에 적층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상부 프레임체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및 한류형 퓨즈와 피뢰기, 계기용 변성기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체와 상부 프레임체가 일체형으로 체결되되,
지중 케이블이 엘보접속재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와 퓨즈내장 ㄱ형접속재가 Y분기 접속재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2차측 부싱접속부와 퓨즈내장 ㄱ형접속재와 접속되지 않은 Y분기 접속재의 다른 하나의 단자는 ㄱ형 피뢰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가 상부접속부와 계기용 변성기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가 접속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와 변압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가 케이블 엘보접속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가 저압접속장치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의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와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포함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용 수변전설비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체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 위에 적층된 상부 프레임체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와 계기용 변성기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체와 상부 프레임체가 일체형으로 체결되되,
지중 케이블이 엘보접속재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와 퓨즈내장 I형접속재가 Y분기 접속재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2차측 부싱접속부와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와 접속되지 않은 Y분기 접속재의 다른 하나의 단자는 ㄱ형 피뢰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가 상기 계기용 변성기 전면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가 접속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와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가 케 이블 엘보접속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가 저압접속장치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엘보접속재는 케이블의 양단에 상기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부싱접속부와 상기 변압기의 1차측 부싱접속부를 절연접속을 위한 엘보접속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와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가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지게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변전설비를 구성하는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수변전설비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압기부와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와 한류형 퓨즈, 계기용 변성기, 피뢰기를 포함하는 특고압부를 적층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수변전설비의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특고압부를 특수 에폭시 또는 EPDM 고무 고체절연에 의해 완전 차폐하는 한편,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각 구성요소의 전기적인 차폐기능을 가지는 접속재를 이용하여 별도의 방수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방수를 유지하며 절연성능을 향상시켜 감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저압부는 별도의 독립된 판넬로 제작하여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로 구성된 수전설비와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저압부를 부하(분전반 등)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고 수변전설비와 원거리에서 케이블에 의하여 상호 간을 연결가능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게 하여 수변전설비에서 부하(분전반)까지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 소요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변전설비는 모든 접속부가 특수 에폭시 또는 EPDM 고무 고체절연에 의해 완전 차폐된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로 구성되는데, 이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는 별도의 프레임체에 의해 독립된 객체로 제작되어 일체형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변전설비를 설치할 때 수변전설비의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특고압부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uto Section Switch)와 피뢰기(Lighting Arrester), 한류형 퓨즈, 계기용 변성기 등을 가지고, 변압기부는 변압기로 이루어지며, 저압부는 통상의 저압 주차단기와 역율 개선용 콘덴서, 배선용 차단기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에 의해 실시예 1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에 대해 설명하고, 도 14 내지 도 19에 의해 실시예 2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에 대해 설명한다.
< 실시예 1 >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체(1)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14)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1) 위에 적층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상부 프레임체(2)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와 계기용 변성기(13)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체(1)와 상부 프레임체(2)가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지중 케이블(16)이 엘보접속재(17)에 의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8)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9)와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의 하부접속부(15-2)와 일측 단자(20-1)로 접속된 Y분기 접속재(20)가 타측 단자(20-2)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Y분기 접속재(20)의 다른 하나의 단자는 ㄱ형 피뢰기(12)에 접속된다.
여기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8)와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9)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대칭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와 계기용 변성기(13)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는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의 상부접속 부(15-1)에 의해 접속되고, 계기용 변성기(13)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와 변압기(14)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4)는 케이블 엘보접속재(25)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는 도 10 내지 도 1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접속부(15-1)에 결합 및 분리 가능케 조립되는 하부접속부(15-2)의 사이 내부에 한류형 퓨즈(15-3)가 조립되되, 상기 한류형 퓨즈(15-3)는 상기 상부접속부(15-1)와 하부접속부(15-2) 각각에 인서트 결합된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에 양측이 접속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의 상기 상부접속부(15-1)의 접속단자는 계기용 변성기(13)의 1차측 부싱접속부(21)와 접속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5-2)는 Y형 분기접속재(20)의 일측 단자(20-1)와 접속되며,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의 타측 단자(20-2)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2차측 부싱접속부(19)와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의 중앙 단자(20-3)는 상기 ㄱ형 피뢰기(12)가 접속된다.
상기 케이블 엘보접속재(25)는 케이블(26)의 양단에 계기용 변성기(13)의 2차측 부싱접속부(23)와 변압기(14)의 1차측 부싱접속부(24)의 절연접속을 위한 엘보접속재(27)(28)를 갖는다.
그리고 변압기(14)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9)는 접속되는 저압접속장치(31)의 케이블(30)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와 상기 계기용 변성기(13)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조립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변압기(14)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 및 계기용 변성기(13) 간의 접속포인트(충전부)가 완전 방수 및 차폐구조로 분리 및 연결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콤팩트화 할 수 있다.
즉,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2차측 부싱접속부(19)에서부터 계기용 변성기(13)의 1차측 부싱접속부(21)에 이르는 한류형 퓨즈(15-3)를 내설한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와 Y분기 접속재(20), ㄱ형피뢰기(12) 등의 연결에 있어서 각각의 개체를 블록형태를 상호 암수결합관계로 조립함으로써 그 자체가 일체화되게 함으로서 어떠한 케이블이나 별도의 도체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최대한 설치공간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체(1a)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14a)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1a) 위에 적층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상부 프레임체(2a)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와 계기용 변성기(13a)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체(1a)와 상부 프레임체(2a)가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지중 케이블(16a)이 엘보접속재(17a)에 의해 고장구간 자동개폐 기(11a)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8a)에 접속되고, 이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9a)와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의 하부접속부(15a-2)와 일측 단자(20a-1)로 접속된 Y분기 접속재(20a)가 타측 단자(20a-2)의해 접속되며, 상기 Y분기 접속재(20a)의 중앙 단자(20a-3)는 ㄱ형피뢰기(12a)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전면의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8a)와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9a)는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지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가 상부접속부(15a-1)에 의해 계기용 변성기(13a) 전면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a)에 직접 접속되고, 계기용 변성기(13a)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a)와 변압기(14a)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4a)는 케이블 엘보접속재(25a)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부접속부(15a-1)에 결합 및 분리 가능케 조립되는 하부접속부(15a-2)의 사이 내부에 한류형 퓨즈(15a-3)가 조립되되, 상기 한류형 퓨즈(15a-3)는 상기 상부접속부(15a-1)와 하부접속부(15a-2) 각각에 인서트 결합된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에 양측이 접속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의 상기 상부접속부(15a-1)의 접속단자는 계기용 변성기(13a)의 1차측 부싱접속부(21a)와 접속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5a-2)는 Y형 분기접속재(20a)의 일측 단자(20a-2)와 접속되며,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a)의 타측 단자(20a-1)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2차측 부싱접속부(19a)와 접속된다.
이때,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a)의 중앙 단자(20a-3)는 상기 ㄱ형 피뢰기(12a)가 접속된다.
여기서 경사지게 접속된 케이블 엘보접속재(25a)는 케이블(26a)의 양단에 계기용 변성기(13a)의 2차측 부싱접속부(23a)와 변압기(14a)의 1차측 부싱접속부(24a)를 절연접속을 위한 엘보접속재(27a)(28a)를 갖는다.
그리고 변압기(14a)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9a)는 접속되는 저압접속장치(31a)의 케이블(30a)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와 상기 계기용 변성기(13a)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조립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좌우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가 제거된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가 제거된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부싱접속부와 계기용 변성기의 부싱접속부 간의 접속 단면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퓨즈내장 ㄱ형접속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퓨즈내장 ㄱ형접속재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의 회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정면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 내의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좌우측면도.
도 1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변전설비 중 상 하부 프레임체가 제거된 특고압부와 변압기부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퓨즈내장 I형접속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하부 프레임체
2, 2a: 상부 프레임체
11, 11a: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13, 13a: 계기용 변성기
14, 14a: 변압기
15: 퓨즈내장 ㄱ형접속재
15a: 퓨즈내장 I형접속재
16, 16a: 지중 케이블
25, 25a: 케이블 엘보접속재
30, 30a: 케이블
31, 31a: 저압접속장치

Claims (10)

  1.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포함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용 수변전설비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체(1)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14)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1) 위에 적층되는 다수의 프레임체로 구축된 상부 프레임체(2)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와 계기용 변성기(13)가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체(1)와 상부 프레임체(2)가 일체형으로 체결되되,
    지중 케이블(16)이 엘보접속재(17)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8)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9)는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의 일측을 접속한 Y분기 접속재(20)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2차측 부싱접속부(19)와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와 접속되지 않은 Y분기 접속재(20)의 다른 하나의 단자는 ㄱ형 피뢰기(12)에 접속되고,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의 타측은 계기용 변성기(13)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와 접속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13)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와 변압기(14)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4)가 케이블 엘보접속재(25)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변압기(14)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9)가 저압접속장치(31)의 케이블(30)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내장 ㄱ형접속재(15)는 상부접속부(15-1)에 결합 및 분리 가능케 조립되는 하부접속부(15-2)의 사이 내부에 한류형 퓨즈(15-3)가 조립되되, 상기 한류형 퓨즈(15-3)는 상기 상부접속부(15-1)와 하부접속부(15-2) 각각에 인서트 결합된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에 양측이 접속 결합되고,
    상기 상부접속부(15-1)의 접속단자는 계기용 변성기(13)의 1차측 부싱접속부(21)와 접속되고, 상기 하부접속부(15-2)는 Y형 분기접속재(20)의 일측 단자(20-1)와 접속되며,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의 타측 단자(20-2)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2차측 부싱접속부(19)와 접속되며,
    상기 Y형 분기접속재(20)의 중앙 단자(20-3)는 상기 ㄱ형 피뢰기(12)가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2차측 부싱접속부(19)에서부터 계기용 변성기(13)의 1차측 부싱접속부(21)에 이르는 한류형 퓨즈(15-3)를 내설한 퓨즈내장 ㄱ 형접속재(15)와 Y분기 접속재(20), ㄱ형 피뢰기(12)는 별도의 케이블이나 도체 없이 상호간이 암수 결합의 블록형태로 상호 조립하고 완전차폐화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의 전면의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와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는 일정간격을 두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대칭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엘보접속재(25)는 케이블(26)의 양단에 상기 계기용 변성기(13)의 2차측 부싱접속부(23)와 상기 변압기(14)의 1차측 부싱접속부(24)의 절연접속을 위한 엘보접속재(27)(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와 상기 계기용 변성기(13)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서 조립된 구조를 갖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7. 특고압부와 변압기부를 포함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용 수변전설비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체(1a) 내에 변압기부를 구성하는 변압기(14a)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체(1a) 위에 적층된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축된 상부 프레임체(2a) 내의 전후에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와 계기용 변성기(13a)가 배치되어, 하부 프레임체(1a)와 상부 프레임체(2a)가 일체형으로 체결되되,
    지중 케이블(16a)이 엘보접속재(17a)에 의해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전면 상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18a)에 접속되고,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전면 하단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19a)와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가 Y분기 접속재(20a)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2차측 부싱접속부(19a)와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와 접속되지 않은 Y분기 접속재(20a)의 다른 하나의 단자는 ㄱ형 피뢰기(12a)에 접속되고,
    상기 퓨즈내장 I형접속재(15a)가 상기 계기용 변성기(13a) 전면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a)에 직접 접속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13a)의 상부면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a)와 상기 변압기(14a)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4a)는 케이블 엘보접속재(25a)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변압기(14a)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9a)는 접속되는 저압접속장치(31a)의 케이블(30a)에 의해 저압 배전반 주차단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엘보접속재(25a)는 케이블(26a)의 양단에 상기 계기용 변성기(13a)의 2차측 부싱접속부(23a)와 상기 변압기(14a)의 1차측 부싱접속부(24a)의 절연접속을 위한 엘보접속재(27a)(28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의 전면의 상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1차측 부싱접속부(21a)와 하부에 일직선으로 위치한 2차측 부싱접속부(23a)가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 지게 배열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자동개폐기(11a)와 상기 계기용 변성기(13a)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서 조립되는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KR1020080053088A 2008-06-05 2008-06-05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KR10086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88A KR100864284B1 (ko) 2008-06-05 2008-06-05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88A KR100864284B1 (ko) 2008-06-05 2008-06-05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284B1 true KR100864284B1 (ko) 2008-10-20

Family

ID=4017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088A KR100864284B1 (ko) 2008-06-05 2008-06-05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215A (ko) * 2021-01-11 2022-07-19 나진덕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604Y1 (ko) * 2006-07-19 2007-02-05 박태규 충전부 밀폐형 수전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604Y1 (ko) * 2006-07-19 2007-02-05 박태규 충전부 밀폐형 수전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215A (ko) * 2021-01-11 2022-07-19 나진덕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KR102523802B1 (ko) * 2021-01-11 2023-04-19 나진덕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5350A1 (en) New autotransformer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2x27.5kv outdoor modularized electric apparatus in electrified railway
US9472926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arrangement
CN201113291Y (zh) 户外共箱式六氟化硫多回路环网柜
CN101150246B (zh) 110kV及以上的模块化变电站及建造方法
CN202068115U (zh) 断路器柜
KR100864285B1 (ko) 고체절연을 이용한 컴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WO2019169950A1 (zh) 铁路供电系统及用于铁路供电系统的户外并联模块化装置
US11799274B2 (en) Tower mounted high voltage switchgear
CN101510671B (zh) 一种互换式全固体绝缘固定开关回路
KR100864284B1 (ko) 고체절연을 이용한 콤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CN107634464A (zh) 移动式变电站
KR100822266B1 (ko) 수변전 장치
CN201813091U (zh) 单相预装箱式变电站
EP4283815A1 (en) Inverter device and inverter system
CN212033521U (zh) 一种互感套管及开关柜
KR101338254B1 (ko) 특고압 수배전반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CN203456777U (zh) 一种采集高压开关柜电压信号的手车
CN203278057U (zh) 智能预装式变电站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200447009Y1 (ko) 피뢰기 일체형 파워 퓨즈 및 이를 구비한 수변전 장치
CN204905742U (zh) 一种中压环网真空断路器柜
CN208352224U (zh) 一种用于固体绝缘断路器的绝缘组件
KR100859326B1 (ko) 수배전반
CN210142801U (zh) 卧式断路器双母线母联间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