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222A -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222A
KR20220100222A KR1020210002385A KR20210002385A KR20220100222A KR 20220100222 A KR20220100222 A KR 20220100222A KR 1020210002385 A KR1020210002385 A KR 1020210002385A KR 20210002385 A KR20210002385 A KR 20210002385A KR 20220100222 A KR20220100222 A KR 2022010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eet
manufacturing
lld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원
Original Assignee
정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원 filed Critical 정진원
Priority to KR102021000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0222A/ko
Publication of KR2022010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를 베이스로 한 이종 소재를 합지함으로써 재활용시 함께 처리될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에 유익한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표면지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LLDPE 소재를 포함하는 제2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Sheet Fo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장봉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E를 베이스로 한 이종 소재를 합지함으로써 재활용시 함께 처리될 수 있어 자원의 재활용에 유익한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필름은 포장용 봉투로 널리 사용되며, 매우 많은 양의 필름형 포장봉투가 생산되기도 하고 그만큼 배출되기도 한다. 여기서 포장봉투로 포장되는 대상물은 식료품, 생활용품 등을 포함하며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포장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장봉투로 사용되는 기존의 합성수지 필름은 물성이 다른 2종의 소재가 합지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포장봉투의 양호한 품질 및 생산성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표면지는 인쇄가 용이하고 인쇄 상태의 색감이 좋은 소재(예를 들어, PET, 나일론 등)를 사용하고 내면은 유연하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있어서 봉투가 터지지 않게 하는 소재(예를 들어, LLDPE)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렇다 보니 재활용할 때 곤란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서로 상이한 소재가 혼재되어 있어 하나의 재활용 사이클을 통해 재활용될 수가 없거나 재활용시 비용이 너무 커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이렇게 합지된 포장봉투는 소각으로 처분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96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454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231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이종 재질의 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포장용 봉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합지된 필름이 함께 동일한 시스템을 통해 재활용 소재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각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는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표면지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LLDPE 소재를 포함하는 제2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필름은 LLDPE 와 LDPE 가 7 : 3 에서 8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접착수단은 LDPE 용융액이 경화되어 접착제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을 롤 형태로 준비하는 제1단계;
LLDPE 소재를 포함하는 제2필름을 준비하는 제3단계;
권취롤을 이용하여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펼쳐가면서 동시에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에 LDPE 용융액을 도포하면서 시트압출기를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합지하여 한장의 시트를 성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필름에는 합지 이전에 소정 문양으로 인쇄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표면지와 이면지를 이루고 있는 소재의 화학적 성질이 같아서 이들을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포장봉투용 시트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경에 유익을 줄 수 있는 포장봉투용 시트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봉투용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장봉투용 시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봉투용 시트는 2장의 필름이 합지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제1필름(10)은 HDPE이며 제2필름(20)은 LLDPE를 포함하는 소재로 되어 있다. 전자는 강도가 높아 표면지로 사용되며, 후자는 연성이 있으며 이면지로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2필름(20)은 LLDPE가 주된 소재이며, 특히 LLDPE 와 LDPE 가 7 : 3 에서 8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제1,2필름(10,20)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접착 내지 합지된다. 제1,2필름(10,20)은 PE(폴리에칠렌)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서 동질성이 있어서 상호 접착이 용이하다. 제1,2필름(10,20)의 각 두께는 종래의 필름과 대등하다. 제1필름의 표면에는 인쇄층(11)이 더해질 수 있다.
제1,2필름(10,20)의 두께와 관련하여는, 제2필름(20)이 제1필름(10)의 두께에 대하여 3 ~ 5배가 바람직하다.
제1,2필름(10,20)을 접착시키고 있는 접착수단은 LDPE이다. LDPE 용융액이 경화되어 접착제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의 시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우선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10)을 준비하는 제1단계가 선행된다. 제1필름(10)은 롤(roll) 형태로 준비된다. 여기서 제1단계는 제1필름(10)의 표면에 소정 문양으로 인쇄를 하는 제2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쇄는 그라비아 인쇄 등 필름에 널리 사용되는 인쇄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LLDPE 소재로 된 제2필름(20)을 준비하는 제3단계가 제1,2단계와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제1필름(10)과 제2필름(20)은 소정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된다.
권취롤을 이용하여 롤형태로 설치된 제1필름(10)과 제2필름(20)을 연속적으로 펼쳐가면서 그 사이에 LDPE 용융액(20')을 개입시키는 제4단계가 시행된다. LDPE 용융액(20')은 나이프 형태의 티다이스(30)에 의해 제1필름(10) 상에 연속적으로 도포된다.
제1필름(10)과 제2필름(20)은 냉각롤(41)을 포함하는 시트압출기(40)를 통과하면서 합지된다. LDPE 용융액(20')은 냉각롤(41)에 의해 냉각되면서 접착작용을 한다.
합지과정에서 LLDPE와 HDPE는 화학적 성질이 같은 것이기 때문에 제1,2필름(10,20)은 동시에 재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수단으로 사용되는 LDPE 용융액(20') 역시 동종 소재로 되어 있어 재활용에 문제가 없으며 접착력도 양호하게 된다.
시트압출기(40)를 통과한 시트는 제5단계를 통해 권취되며 필요에 따라 특정한 봉투로 제작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포장봉투용 시트는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형태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2필름(10,20) 사이에 발포시트(미도시됨)가 더 개입될 수 있다. 발포시트는 완충작용 또는 보온작용을 위한 것이며 에어캡(또는 '뽁뽁이')의 형태로 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필름 11 : 인쇄층
20 : 제2필름 20' : LDPE 용융액
30 : 티다이스 40 : 시트압출기
41 : 냉각롤

Claims (5)

  1. 표면지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제1필름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LLDPE 소재를 포함하는 제2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은 LLDPE 와 LDPE 가 7 : 3 에서 8 : 2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LDPE 용융액이 경화되어 접착제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
  4. HDPE 소재로 된 제1필름을 롤 형태로 준비하는 제1단계;
    LLDPE 소재를 포함하는 제2필름을 준비하는 제3단계;
    권취롤을 이용하여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펼쳐가면서 동시에 상기 제1필름과 제2필름 사이에 접착을 위한 LDPE 용융액을 도포하면서 시트압출기를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합지하여 한장의 시트를 성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용 시트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에는 합지 이전에 소정 문양으로 인쇄를 하는 제2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장봉투용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002385A 2021-01-08 2021-01-08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00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85A KR20220100222A (ko) 2021-01-08 2021-01-08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85A KR20220100222A (ko) 2021-01-08 2021-01-08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22A true KR20220100222A (ko) 2022-07-15

Family

ID=8240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385A KR20220100222A (ko) 2021-01-08 2021-01-08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02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67B1 (ko) * 2022-09-29 2023-08-17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99B1 (ko) 2006-06-26 2007-09-17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이 찢김성 포장지와 이에 이용되는 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546B1 (ko) 2011-08-26 2012-06-13 성보화성 주식회사 포장재용 필름과 시트의 합지장치 및 그에 의한 포장재
KR101332314B1 (ko) 2012-02-02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알루미늄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99B1 (ko) 2006-06-26 2007-09-17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이 찢김성 포장지와 이에 이용되는 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54546B1 (ko) 2011-08-26 2012-06-13 성보화성 주식회사 포장재용 필름과 시트의 합지장치 및 그에 의한 포장재
KR101332314B1 (ko) 2012-02-02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알루미늄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67B1 (ko) * 2022-09-29 2023-08-17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2669B1 (en) Three part high moisture barrier for packages
EP1456026B1 (en) Three part high moisture barrier for packages
MX2012010419A (es) Laminados multicapa reconfigurables, y metodos.
KR102427086B1 (ko) 마스크팩 보관용 파우치
US20050003155A1 (en) Tamper evident flow wrap
MXPA02004087A (es) Material laminado para empaque de cafe con revestimiento curado por energia.
US6902645B2 (en) Three part high moisture barrier for packages
KR20220100222A (ko)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01954B2 (en) Metallized multi-layer structure film for in-mold labels, printed in-mold labels formed from such film and methods of applying the printed labels to an article during the molding of the article
JP4544622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用途
EP1529631A1 (en) Easy tear packaging film
US20090107622A1 (en) Method of producing cut-and-stack labels
US10688754B1 (en) Multifunctional contact clear fill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ubstrates
JP2002123176A (ja) ストレッチラベル
US11584574B1 (en) Recyclable packaging materials
JP6715623B2 (ja) 熱収縮性フィルム積層体
US9266640B2 (en) Retail box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tail boxes
EP3576946B1 (en) Multilayer adhesive material for food contact
NZ525041A (en) Wrapping material comprising a layer of non woven synthetic material and a layer of bubble film
JPH11198155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のラベルを用いたイン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法
US20090301636A1 (en) Cut-and-stack label made from shrink film and related methods
JPH08187828A (ja) 紙系化粧シートの柱状基材への貼着方法
JPH05278183A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用ラミネート袋
JP2001324930A (ja) ストレッチラベル
CA2264969A1 (en) Spice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