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595A -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595A
KR20220098595A KR1020210000456A KR20210000456A KR20220098595A KR 20220098595 A KR20220098595 A KR 20220098595A KR 1020210000456 A KR1020210000456 A KR 1020210000456A KR 20210000456 A KR20210000456 A KR 20210000456A KR 20220098595 A KR20220098595 A KR 2022009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fermented
psoriasis
present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태
고봉수
김유빈
김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0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595A/ko
Publication of KR2022009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발효물은 건선 유발에 관여하는 IL6 및 Stat3 시그널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각질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며, 건선 동물모델에 경구투여시 건선 병변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화장품 또는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Psoriasis comprising deer antler fermentation produc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이다. 세계 인구의 약 3%가 건선환자이며 국내에서도 전 인구의 2% 정도가 해당된다. 건선은 조직학적으로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특징으로 갖는 것으로써, 그 원인이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아 유전학적 및 면역학적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건선의 병변을 일시적으로 사라지게 하는 방법만이 있을 뿐, 재발을 완전히 막는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아 건선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피부질환 치료제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고, 그 오남용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며, 최근 개발되고 있는 면역조절제의 경우, 표적이 되는 특정부분에만 작용하여 안전하게 면역억제 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었던 항체 제제들이 면역장애, 감염, 암 등의 예상치 못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효과적인 건선 치료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Paul, Carle F.,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0.2 (2003): 211-216.).
한편, 녹용(Cornu cervi pantotrichum, antler)은 사슴과에 속하는 매화록, 마록 및 동속 근연 동물의 털이 밀생되고 골질화되지 않은 어린 뿔로 매년 재생되는 연골조직을 말하며, 각질화되지 않은 것은 녹용이고, 각질화된 것은 녹각이라 하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및 일본 등의 동양권 국가들에서는 녹용을 오래전부터 최고의 보혈 강장제로 널리 사용해 왔으며, 그 성상과 효능에 관해서는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수록되어 있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따르면, 녹용은 몸의 기력을 북돋고, 뇌 기능을 강화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효능이 있는 녹용을 섭취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녹용을 발효시켜 흡수율 및 효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녹용 발효물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용 발효물이 건선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966747 B KR 10-1997060 B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발효물은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추출물은 녹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선 예방 또는 개선은 각질세포의 세포 과증식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선 예방 또는 개선은 IL6 또는 Stat3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발효물은 건선 유발에 관여하는 IL6 및 Stat3 시그널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각질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며, 건선 동물모델에 투여시 건선 병변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화장품 또는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건선 동물모델에 대한 실험 설계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건선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의 건선 개선 효능을 PASI 점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으로,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증식과 진피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며, 인구의 1 내지 2%의 빈도로 나타난다. 건선은 피부에 있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성이 증가되어 그 결과 분비된 면역 물질이 피부의 각질세포를 자극하여 각질세포의 과다한 증식과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피부 세포가 빠르게 자라나기 때문에 피부 위에 비듬 같은 각질이 겹겹이 쌓여서 보이게 된다. 그 외에도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약물, 피부자극, 건조, 상기도 염증,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건선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증명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각질세포의 세포 증식은 면역 물질에 의해 자극받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면역 물질은 사이토카인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IL6일 수 있다.
상기 IL6은 피부의 면역반응에 관여하여 외부의 자극에 의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염증 반응은 피부 상처 치유와 관련된 단백질인 Stat3의 활성과도 연관이 있으며, 상기 Stat3의 과활성으로 인해 피부 상처 치유 효과에 의한 피부 세포 증식이 계속되면서 피부 세포가 필요 이상으로 증식되어 각질이 생겨나고 건선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IL6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IL6의 활성 감소는 Stat3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녹용 발효물"은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기탁번호: KCCM12712P],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기탁번호: KCCM12711P]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SST-9960[기탁번호: KCCM 11402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발효방법으로 발효된 것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녹용 추출물은 추출 원재료인 녹용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녹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녹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열수추출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80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의 물에서 0.5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시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로 열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즉 녹용 분말을 냉수 또는 실온의 물에 희석하여 혼합한 희석액에서 녹용의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냉수 또는 실온의 물을 이용하여 녹용 성분을 추출하는 경우 발효와 별도로 추출할 수도 있고,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여 발효되는 과정에서 녹용으로부터 녹용의 성분이 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의 알코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먼저 알코올 추출물에 함유된 알코올을 기화시켜 알코올 함량을 낮춘 농축액 또는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시킨 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녹용 추출물은 넓은 의미로는 녹용 분말을 물에 희석한 희석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서 녹용 열수 추출물 또는 녹용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에 비하여, 녹용 물 희석액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다소 낮지만, 발효시키지 않은 녹용 추출물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녹용 추출물에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균주의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또는 무기질 등의 유산균 영양원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균주 영양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배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필요한 영양원만을 개별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 추출물, 또는 녹용 추출물과 균주 영양원의 혼합물은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가열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녹용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추출 후 다른 농축 과정이 없을 경우 1 내지 15 중량%이고, 이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농축 또는 건조한 후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균주 자체로 첨가되거나 배양액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균주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농축한 농축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발효 균주, 특히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가 1×106 내지 1×109 cfu/mL, 바람직하게는 1×106 내지 1×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7 내지 1×108 cfu/mL 농도로 함유된 배양액을 상기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한 상기 "녹용 발효물"은, (1) 녹용 추출물을 발효용 트레이에 넣고,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 배양액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 0.3 내지 3.0 중량부를 가한 후, (2) 20 내지 40℃에서 18 내지 96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9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72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특히, (3) 상기 발효 이후에 2 내지 10℃에서 5 내지 24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킨 후, (4) 2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3℃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통풍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발효물을 저온 숙성시키는 경우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녹용 발효물"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녹용 발효물, 또는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아닌 다른 균주에 의해 발효 및 제조된 녹용 발효물에 비해 영양 성분 함량이 더 증강될 뿐만 아니라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더 증진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발효를 위한 균주 중에서 유산균은 녹용 추출물에서의 생육도가 우수하므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등을 비롯한 타 균주에 비해 발효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녹용 발효물은 미생물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물일 수 있고,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일 수도 있다.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은 발효물을 멸균하여 사균체를 포함하게 할 수도 있고,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제거한 여액 또는 원심분리 상등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는 녹용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을 미생물이 증식하면서 생체 내에서 이용하기 용이한 성분으로 생물전환시키거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신규의 활성 성분이 생성되기 때문으로 예상되며, 단순한 균주 자체가 부가되어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현저히 상승된 것이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액상의 발효물을 그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예방"이란, 상기 건선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건선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시험예에서는, M5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가시킨 각질세포에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처리한 후 IL6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대조군 대비 IL6가 감소한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시험예에서는 M5를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을 증가시킨 각질세포에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처리한 후 Stat3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 M5를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활성화된 Stat3(pStat3)가 증가한 반면, 녹용 발효물 처리군에서는 pStat3가 감소한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녹용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상기 녹용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녹용 발효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할 수 있고,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 발효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로 제조하거나, 추출한 후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건선에 대하여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용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m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세포 생존율은 우수하나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인 비트로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건선 개선 또는 치료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도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과 함께 건선에 대하여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녹용 발효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녹용 발효물", "건선"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선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약학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m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세포 생존율은 우수하나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건선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인 비트로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건선 개선 또는 치료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도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용 발효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 내지 10g/㎏이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녹차 발효물", "건선"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녹용 발효물은 건선에 대하여 효과적인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한 임의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녹용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500 ㎍/m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세포 생존율은 우수하나 건선 개선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건선 개선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조성물 내에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건선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제형 및 제품 안정성을 가지며 경제성 면에서도 최적의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녹용 발효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건선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목욕제,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로션, 크림, 에센스, 아스트린젠트, 유액, 젤, 립스틱,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클렌져, 팩, 마사지제,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및 메이크업베이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식물성유, 왁스, 전분, 셀룰로오스,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산화아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형이 파우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등의 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녹용 열수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녹용을 정선, 수세 후 분쇄기로 균일하게 분쇄하여 평균입자크기 300 ㎛의 녹용 분말을 제조하여 냉장보관하면서 이용하였다.
상기 녹용 분말 및 10 배 중량의 증류수를 환류추출기에 넣고 100 ℃, 3시간 동안 2회 추출한 후, 방냉하고 감압농축하여 녹용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녹용 열수 추출물의 당도는 1.6 브릭스(brix)이고, 환원당 함량은 0.24%, 단백질 함량은 0.31%였다.
제조예 2: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분말 및 4 배 중량의 5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3일 동안 실온에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의 당도는 1.7브릭스였다.
제조예 3: 녹용 물 희석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분말이 2.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혼합하여 녹용 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4 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 또는 제조예 3의 녹용 물 희석액을 121 ℃, 1.5기압, 15분간 멸균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의 유산균을 각각 MRS 브로스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준비한 각각의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발효물을 얻었다.
구분 균주명 기탁번호
실시예 1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KCCM12712P
실시예 2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KCCM12711P
실시예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4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을 121 ℃, 1.5기압, 15분간 멸균하였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ST-9960[기탁번호 : KCCM 11420P] 균주를 LB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 ℃에서 2일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1×108 CFU/mL)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30 ℃에서 3일 동안 교반속도 100 rpm의 호기 조건으로 배양하여 발효물을 얻었다.
비교예: 녹용 열수 추출물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을 하기 시험에서의 비교예로 이용하였다.
시험예 1: 녹용 추출물에서의 균주의 발효특성 - 생균수 변화
녹용 추출물에서의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종 후 12 및 24시간째에 생균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녹용 추출물을 4 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1×108 CFU/mL)을 0.5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생리식염수 9 mL에 희석하고 잘 섞은 후 단계별로 희석한 다음 0.1 mL을 취하여 anaerobic jar (BBL Gas Pak Anaerobic System)를 이용하여 최대한 혐기적인 상태로 보관하여 37 ℃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고, 그 평균 집락 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배양액 당 colony를 산출하였다.
구분 생균수(CFU/mL)
발효 전 발효 후(제조예 1) 발효 후(제조예 2) 발효 후(제조예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ST-9962
5.0×105 7.2×107 6.8×107 3.3×107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SST-9961 5.0×105 2.6×107 2.2×107 1.0×107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ST-9960
5.0×105 0.8×107 0.6×107 0.4×10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 기질로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것과 제조예 2의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사용한 것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제조예 3의 녹용 물 희석액을 사용한 것에서는 발효 후 생균수가 제조예 1 및 2의 생균수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또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배양액의 생균수가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배양액의 생균수보다 훨씬(약 3배)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녹용 추출물에서의 생육도의 비교
본 발명의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에 대하여 녹용 추출물에서의 균주 생육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2배, 4배, 10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을 0.5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한 후 균주의 생육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 Mecasys co., Ltd., Korea)로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육도(OD600)
희석 전 2배 희석 4배 희석 10배 희석
실시예 1(SST-9962) 0.597 1.112 1.624 0.784
실시예 2(SST-9961) 0.612 1.256 1.823 0.767
실시예 3(SST-9960) 0.609 0.615 0.224 0.110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대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의 생육도 및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의 생육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대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생육도는 SST-9962 균주 및 SST-9961 균주의 생육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SST-9962 균주 및 SST-9961 균주의 경우 희석 전, 2배 희석 또는 10 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비하여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서 생육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경우 희석 전 또는 2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서 생육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3: 녹용 발효물의 세포독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 발효물이 HaCaT keratinocyte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37 ℃, 5% CO2 조건 하에서,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주를 각각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및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Gibco BRL사, 미국)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배양한 HaCaT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 또는 10 mL 배양접시에 1×105 CFU/mL로 분주하고 24 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염증 유발 인자, 녹용 발효물을 모두 첨가하지 않은 것이고, 실험군은 상기 각각의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 발효물(10, 50, 100, 200, 500 ㎍/mL)을 첨가한 것이다. 상기 대조군과 실험군은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녹용 발효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각각의 세포를 회수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용액(0.05 ㎎/mL 농도)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환원반응을 유도한 다음,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를 각각 웰에 200 ㎕씩 넣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 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구분 세포 생존율(%)
시료 처리농도(㎍/mL)
10 50 100 200 500
대조군 (무처리군) 100
실시예 1 113.1 115.3 113.5 99.7 94.9
실시예 2 108.6 112.5 110.2 101.2 95.4
실시예 3 108.7 111.1 109.9 102.4 95.8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이 500 ㎍/mL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녹용 발효물의 M5 유도 사이토카인 감소 효과 확인 - 1
사이토카인인 IL-6는 염증 반응을 통해 건선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녹용 발효물의 사이토카인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aCaT 세포에 M5 (IL22, IL1a, TNF-α, Oncostatin M, IL17A; J Immunol 2010, 184:5263-5270)를 처리하였다. 이후, 녹용 발효물(50 ㎍/mL 또는 100 ㎍/mL)을 처리한 후 IL-6의 수준을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서, 대조군은 M5만 처리한 것이고, 실험군은 각각의 세포에 M5를 처리한 후,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 발효물, 또는 비교예의 녹용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다.
시료 (㎍/mL) IL6
(% of 대조군)
무처리군 18.2±0.6
대조군 (M5) 100
실시예 1 50 56.7±0.4
100 41.1±0.7
실시예 2 50 62.2±0.8
100 49.0±0.9
실시예 3 50 71.3±1.2
100 62.2±0.7
비교예 50 89.1±2.7
100 78.5±0.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 M5를 처리한 경우 사이토카인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M5 처리 후 녹용 발효물을 처리한 경우 IL6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IL6 감소를 통한 건선 치료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녹용 발효물의 Stat3 활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시험예 4의 결과에서 M5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서 pStat3의 활성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Stat3가 인산화되어 활성화되면 이에 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Stat3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60mm 배양접시에 HaCaT 세포를 5×105 CFU/mL로 분주한 뒤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5 및 녹용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고 PBS로 세척한 후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단백질 샘플은 분석이 진행되기 전까지 -70 ℃에 보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단백질 정량은 BCA 어세이를 사용하였으며 10% SDS-PAGE 겔에 30μg의 단백질을 로딩하여 100V, 2시간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블로팅 멤브레인(nitrocellulose blotting membrane)으로 이동시켰다. 한 시간 동안 5% 탈지유로 반응을 정지시킨 후, pSTAT3와 Stat3 항체를 4℃에서 18시간 반응 시켰으며, TBS-T 용액(0.2% Tween 20 함유한 TBS)으로 10분씩, 3번 세척 후 2차 항체 anti-rabbit IgG HRP linked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10분씩, 3번 세척하고 ECL 키트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수준을 수치화한 후, 상대적 밴드 밀도(% of 대조군)로 계산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에서, 대조군은 M5 및 녹용 발효물을 모두 처리하지 않은 것이고, 실험군은 각각의 세포에 M5를 처리한 후,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 발효물, 또는 비교예의 녹용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다.
시료 (㎍/mL) pStat3
(% of 대조군)
대조군 (무처리군) -
M5 처리군 100
실시예 1 50 8.7±0.3
100 4.1±0.4
실시예 2 50 10.2±0.9
100 7.0±0.3
실시예 3 50 14.3±1.1
100 11.2±0.7
비교예 50 56.1±3.4
100 31.5±2.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서 M5 처리에 의해 확연히 증가한 pStat3의 활성이 녹용 발효물의 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녹용 발효물이 건선과 같은 IL-6 또는 Stat3 관련 염증성 질환에 대하여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각질세포의 과증식 억제 효과 확인 - 1
건선의 대표적 증상 중 하나로 각질세포의 과증식이 알려져 있다.
HaCaT 세포에서 IL-6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과증식을 녹용 발효물이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를 MTT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5 ×105 CFU/mL로 접종하고, 37℃ 및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무혈청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을 더 배양하여 G0/G1 상의 세포주기로 평형화시켰다. 상기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녹용 발효물(10, 50, 100, 200, 500 ㎍/mL)을 처리한 후, IL-6 25 ng/㎖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각 웰에 0.5 ㎎/㎖의 MTT 용액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하기 위하여, DMSO를 웰 당 500 ㎕씩 첨가하여 쉐이커 위에서 5분간 흔들어 주었다. 이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를 처리한 HaCaT 세포의 생존율을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 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생존율(% of 대조군)
시료 처리농도(㎍/mL)
10 50 100 200 500
대조군 (무처리군) 100
IL-6 처리군 126.7±12.3
실시예 1 120.3 111.7 103.2 102.6 100.3
실시예 2 122.5 115.6 106.3 104.5 102.6
실시예 3 123.9 119.8 111.8 108.5 106.8
비교예 124.2 122.5 118.6 116.4 114.9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 IL-6 처리 시, 세포의 과증식이 유발되었으나,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전처리한 경우, 세포 증식율이 감소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건선의 병변 중 하나인 각질 세포의 과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하,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들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4~42 :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2의 유산균 대신 하기 표 8의 유산균으로 대체하여 녹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7의 유산균들은 누룩, 김치 등의 전통식품 및 시판 요구르트로부터 분리한 것으로, 출원인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던 균주들이다. 하기 균주명은 각 균주의 학명의 약어, 또는 이에 자체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구분 균주명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실시예 5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실시예 9 Lactobacillus plantarum LP-4
실시예 10 Lactobacillus plantarum LP-5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실시예 14 Lactobacillus sakei LS-4
실시예 15 Lactobacillus sakei LS-5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실시예 17 Lactobacillus arizonensis LA-2
실시예 18 Lactobacillus johnsonii LJ
실시예 19 Lactobacillus pentosus LPE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실시예 24 Pediococcus pentosaceus PP-1
실시예 25 Pediococcus pentosaceus PP-2
실시예 26 Pediococcus pentosaceus PP-3
실시예 27 Pediococcus pentosaceus PP-4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실시예 29 Pediococcus pentosaceus PP-6
실시예 30 Pediococcus pentosaceus PP-7
실시예 31 Pediococcus pentosaceus PP-8
실시예 32 Pediococcus pentosaceus PP-9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실시예 34 Pediococcus pentosaceus PP-11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실시예 37 Enterococcus raffinosus ER-2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실시예 42 Aerococcus urinaeequi AU
시험예 7: 녹용 발효물의 M5 유도 사이토카인 감소 효과 확인 - 2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들의 HaCaT 세포 내 M5 유도 IL-6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9는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100 ㎍/mL로 처리한 후 HaCaT 세포에서의 IL-6 수준을 각각 수치화한 후, 상대적 밴드 밀도(% of 대조군)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 균주 IL-6
(% of 대조군)
무처리군 - 18.2±0.6
대조군 100
비교예 - 78.5±±0.5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50.2±2.6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50.4±1.4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51.1±1.7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54.4±1.8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56.1±0.9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60.6±1.6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58.3±1.9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67.5±2.3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52.4±0.4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51.6±0.6
실시예 34 Weissella confusa WC 59.4±1.8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66.7±2.5
상기 표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이 비교예에 비해 HaCaT 세포에서 IL-6의 발현을 더욱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의 경우에도 각질형성세포 내에서 IL-6발현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8: 각질세포의 과증식 억제 효과 확인 - 2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들의 IL-6에 의해 유도된 HaCaT 세포의 과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험예 6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10은 IL-6 25 ng/㎖ 및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100 ㎍/mL로 처리한 후 HaCaT 세포의 생존율을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분 균주 세포 생존율
(% of 대조군)
대조군 (무처리군) - 100
IL-6 처리군 - 126.7±12.3
비교예 - 118.6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107.2±1.2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106.4±1.6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108.1±1.3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109.4±1.5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110.1±0.6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113.6±1.1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115.3±1.7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112.5±2.2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107.4±0.3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109.6±0.7
실시예 34 Weissella confusa WC 112.4±1.4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114.7±2.3
상기 표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이 비교예에 비해 HaCaT 세포의 과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의 경우에도 각질형성세포의 과증식 억제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9: 녹용 추출물에서의 기타 유산균들의 생육도
실시예 1 및 2의 유산균 이외의 다른 유산균들도 녹용 추출물(4배 희석)에서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상기 시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유산균 생육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균주명 생육도(O.D. 600nm)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1.623
실시예 5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1.522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1.526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1.700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1.550
실시예 9 Lactobacillus plantarum LP-4 1.646
실시예 10 Lactobacillus plantarum LP-5 1.544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1.695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1.584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1.676
실시예 14 Lactobacillus sakei LS-4 1.584
실시예 15 Lactobacillus sakei LS-5 1.637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1.649
실시예 17 Lactobacillus arizonensis LA-2 1.530
실시예 18 Lactobacillus johnsonii LJ 1.851
실시예 19 Lactobacillus pentosus LPE 1.570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1.564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1.595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1.563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1.643
실시예 24 Pediococcus pentosaceus PP-1 1.635
실시예 25 Pediococcus pentosaceus PP-2 1.631
실시예 26 Pediococcus pentosaceus PP-3 1.618
실시예 27 Pediococcus pentosaceus PP-4 1.602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1.560
실시예 29 Pediococcus pentosaceus PP-6 1.560
실시예 30 Pediococcus pentosaceus PP-7 1.524
실시예 31 Pediococcus pentosaceus PP-8 1.516
실시예 32 Pediococcus pentosaceus PP-9 1.548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1.515
실시예 34 Pediococcus pentosaceus PP-11 1.537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1.918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1.792
실시예 37 Enterococcus raffinosus ER-2 1.518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1.606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1.710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1.654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1.574
실시예 42 Aerococcus urinaeequi AU 1.546
상기 표 11을 살펴보면, 녹용 발효물의 유산균 생육도(OD600)는 1.515 ~ 1.918 범위로 나타나, 유산균들이 녹용 추출물 내에서 매우 높은 생육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0: 녹용 발효물의 발효특성 - pH 변화
유산균의 종류 및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pH는 시료 10 mL을 취한 후 pH meter(Seven Compact,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균주명 0 시간 24 시간
실시예 2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6.42 5.28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6.42 5.40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6.42 5.22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6.41 5.38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6.42 5.47
실시예 17 Lactobacillus johnsonii LJ 6.42 5.50
실시예 18 Lactobacillus pentosus LPE 6.42 5.46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6.42 5.41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6.42 5.51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6.41 5.42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6.42 5.45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6.42 5.49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6.42 5.44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6.42 5.47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6.42 5.64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6.42 5.58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6.42 5.65
상기 표 12를 살펴보면, 유산균 별로 pH 변화를 비교하면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및 Lactobacillus plantarum LP-2가 다른 균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유산균이 동일할 경우 기질로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 제조예 2의 녹용 에탄올 추출물, 제조예 3의 녹용 물 희석액을 사용하는 배양액의 pH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제조예 3의 경우 나머지에 비해 24 시간째의 pH가 다소 높았다.
<동물실험>
실험동물: 암컷 BALB/c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건선 동물모델 제조: 8주령 암컷 BALB/c 마우스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한 후 제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24시간 후 이미퀴모드 크림(AldaraTM, 3M Pharmaceuticals, 미국)을 7일 동안 매일 제모된 등 피부에 62.5 ㎎씩 도포하여 건선 유사 피부를 유도하였다. 이미퀴모드 크림을 마지막으로 도포한 다음 날에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시료 투여: 경구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시험물질을 실험 시작부터 실험 종료일까지 강제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횟수 및 시각은 1회/일, 7일,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후 5시간 후 투여하였다. 투여액량은 가장 최근에 측정한 체중을 기준으로 10 ㎖/㎏의 투여액량으로 계산하였다.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건선 치료제로 알려진 칼시포트리올을 사용하였으며, 5 mg/kg으로 4주간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 과정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각 시험군의 구성은 하기 표 13과 같다.
시험군 동물수(마리) 시료 투여
G1 정상대조군 10 생리식염수 경구투여
G2 IMQ 대조군 10 IMQ, 생리식염수 경구투여
G3 IMQ + 실시예 1 10 IMQ, 실시예 1의 시료 200 mg/kg/day 경구투여
G4 IMQ + 실시예 2 10 IMQ, 실시예 2의 시료 200 mg/kg/day 경구투여
G5 IMQ + 실시예 3 10 IMQ, 실시예 3의 시료 200 mg/kg/day 경구투여
G6 IMQ + 비교예 10 IMQ, 비교예의 시료 200 mg/kg/day 경구투여
G7 IMQ + 칼시포트리올 10 IMQ, 칼시포트리올 5 mg/kg/day 국소도포
* G1: 정상대조군, G2: 유도 대조군, G3~5: 유도 시험군, G6: 유도 비교군, G7: 양성대조군
* IMQ(imiquimod)
시험예 11: 녹용 발효물의 항건선 효과 확인
건선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발효물이 건선으로 인한 피부 두께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등 피부 조직을 절개한 후 디지털 캘리퍼(Mitutoyo, Japan)를 이용해 각 실험동물의 등 피부 조직 및 홍반의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4 및 표 1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두께(mm)
0일 2일 4일 6일
G1 정상대조군 0.21±0.02 0.20±0.01 0.20±0.02 0.20±0.01
G2 IMQ 대조군 0.21±0.01 0.24±0.02 0.32±0.03 0.43±0.03
G3 IMQ+실시예 1 0.21±0.01 0.22±0.02 0.25±0.01 0.33±0.00
G4 IMQ+실시예 2 0.21±0.00 0.22±0.02 0.26±0.02 0.34±0.01
G5 IMQ+실시예 3 0.21±0.00 0.23±0.02 0.27±0.02 0.36±0.02
G6 IMQ+비교예 0.21±0.02 0.25±0.02 0.29±0.02 0.39±0.03
G7 IMQ+칼시포트리올 0.21±0.01 0.21±0.01 0.24±0.02 0.26±0.01
구분 실험 종료 후 홍반 두께(㎛)
G1 정상대조군 17.8±0.6
G2 IMQ 대조군 69.7±2.1
G3 IMQ+실시예 1 37.6±1.3
G4 IMQ+실시예 2 41.7±2.5
G5 IMQ+실시예 3 48.6±3.1
G6 IMQ+비교예 56.8±2.6
G7 IMQ+칼시포트리올 25.6±1.3
상기 표 14 및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발효물을 투여한 G3~G5 실험군은 G2(대조군) 및 G6(비교군)에 비해 등 피부 두께 및 홍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9: PASI 점수를 통한 건선 개선 효능 평가
녹용 발효물의 건선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건선 병변의 중증도를 등 피부의 두께(thickness), 홍반(erythema), 그리고 인설(scales)에 대해 PASI 지표(http://pasi.corti.li, ver 1.7.1)에 따라 0점 내지 4점으로 평가하여(0: 없음, 1: 약함, 2: 보통, 3: 두드러짐, 및 4: 매우 두드러짐),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발효물을 투여한 G3~G5 실험군은 G2(대조군) 및 G6(비교군)에 비해 등 피부의 두께, 홍반 및 인설 각각의 수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하면, 건선의 주요 증상중 하나인 각질세포의 과형성 및 염증반응에 대해 시험관내 및 동물실험모델에서 녹용 발효물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HaCaT 세포에서 녹용 발효물에 의해 각질세포의 과증식이 감소함을 확인하여 건선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IL6와 Stat3의 인산화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여 염증반응 매개 건선의 개선 또는 치료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IMQ로 유도한 건선 동물모델에서 녹용 발효물에 의해 피부의 건선 병변의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건선 관련 증상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건선에 대한 개선 및 치료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상기 건선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녹용 발효물을 가지고 하기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제조예 4 내지 6에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조예>
제조예 4. 식품의 제조
제조예 4-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4-2.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3.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의약품의 제조
제조예 5-1. 산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2. 정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3. 캅셀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5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4. 액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6. 화장품의 제조
제조예 6-1.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하기 표 16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6-1
(중량%)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L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6-2.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하기 표 17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6-2
(중량%)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L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6-3. 영양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하기 표 18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6-3
(중량%)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L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6-4. 마사지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하기 표 19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마사지크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6-4
(중량%)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L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6-5. 마스크팩용 유액의 제조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하기 표 20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유액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제조예6-5
(중량%)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L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 발효물은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 추출물은 녹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 예방 또는 개선은 각질세포의 과증식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선 예방 또는 개선은 IL6의 활성 감소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8.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00456A 2021-01-04 2021-01-04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8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6A KR20220098595A (ko) 2021-01-04 2021-01-04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56A KR20220098595A (ko) 2021-01-04 2021-01-04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595A true KR20220098595A (ko) 2022-07-12

Family

ID=8241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456A KR20220098595A (ko) 2021-01-04 2021-01-04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5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47B1 (ko) 2018-01-22 2019-04-08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97060B1 (ko) 2018-01-02 2019-07-08 주식회사 허브앤솔루션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60B1 (ko) 2018-01-02 2019-07-08 주식회사 허브앤솔루션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66747B1 (ko) 2018-01-22 2019-04-08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47966B1 (ko) 녹용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8595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532713B1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2020523299A (ja) 後発酵茶由来の新規なケンペロール系化合物を含む抗炎症組成物
JP7071406B2 (ja) 新規なクエルセチン系化合物を含む抗炎症組成物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20220126621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362B1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665B1 (ko) 그람음성구균 녹농균에 대해 항생제와 상승적 항균효과를 가지는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 및 이의 용도
KR20130058388A (ko) 발효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220126505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9483A (ko) 메이스리그난 또는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손상 개선용 조성물
KR20230127927A (ko) 면역증강 효능이 증대된 녹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104955B1 (ko) 세토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2929A (ko) 고본 뿌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2472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27374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