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452A -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452A
KR20220098452A KR1020210000192A KR20210000192A KR20220098452A KR 20220098452 A KR20220098452 A KR 20220098452A KR 1020210000192 A KR1020210000192 A KR 1020210000192A KR 20210000192 A KR20210000192 A KR 20210000192A KR 20220098452 A KR20220098452 A KR 2022009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lm
fragrance
present
mask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덕용
정민창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엠씨
Priority to KR102021000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452A/ko
Publication of KR2022009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는,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부여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 상기 발향부 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부; 및 상기 발향부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에서 향기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되 그 향기가 오래 지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Mask patch and Mas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부여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를 포함하여 발향 기능을 갖는 디자인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신종 감염병, 황사 및 미세먼지 등이 피할 수 없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현대인들에게 마스크(mask, 외부 유해 물질 등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호흡용 보호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장시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호흡이나 습기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마스크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게 하는 발향 물질 들을 마스크에 부착하여 사용하려는 여러 가지 시도 들이 있었으나, 종래의 발향 패치는 패치의 발향 소재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향이 너무 빨리 휘발되어 사용자에게 장시간 발향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치에 로고나 특정 형상 등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여도, 소재 표면이 평평하지 못하거나 소재에 인쇄되기 적합한 잉크가 없어 인쇄의 질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9289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되 그 향기가 오래 지속 가능하도록 전면에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면 필름에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또는 상표 등의 디자인을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감 등을 부여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 표현이 가능한 마스크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패치는,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부여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1); 상기 발향부(1) 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1)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부(2); 및 상기 발향부(1)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1)에서 향기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향부(1)는, 부직포, 타이벡, 종이 원단, 펠트지, 섬유 시트 및 면직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향부(1)는, 천연향료 및 인공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2)는, 실리콘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부(3)는, 상기 필름부가 상기 발향부와 접하는 면의 이면이 되는 전면에 디자인(4)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자인(4)은,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문양, 문자, 로고(logo), 심볼(symbol) 또는 상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부(3)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되 그 향기가 오래 지속 가능하면서도, 전면 필름에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또는 상표 등의 디자인을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감 등을 부여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 표현이 가능한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는,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부여하는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1); 상기 발향부(1) 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1)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부(2); 및 상기 발향부(1)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1)에서 향기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향부(1)는, 부직포, 타이벡, 종이 원단, 펠트지, 섬유 시트 및 면직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향 성분을 흡착 가능한 공지의 소재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발향부(1)는, 천연향료 및 인공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향 성분은, 상기 발향 소재에 도포 또는 분사의 형태로 흡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향 성분이 소재에 흡착 또는 흡수되어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2)는, 실리콘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패치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접착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 성분은, 상기 마스크 패치에 소정의 접착력을 부여함으로써 복수 횟수로 탈착 및 재접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부(3)는, 상기 발향부(1)의 전면, 즉 상기 발향부(1)가 상기 접착부(2)와 맞닿는 면의 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 패치는, 발향부(1)가 마스크의 겉면에서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 발향 성분이 너무 빨리 휘발되어 버려 사용자가 패치의 발향 효과를 충분한 시간 동안 향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발향부(1)의 전면에 필름부(3)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발향부(1)에서 발산되는 향기가 오랫동안 은은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필름부(3)는, 발산되는 향기가 너무 빨리 휘발되어 날아가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충분히 긴 시간 동안 호감정을 부여하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름부(3)는, 상기 필름부가 상기 발향부와 접하는 면의 이면이 되는 전면에 디자인(4)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때, 상기 디자인(4)은,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문양, 문자, 로고(logo), 심볼(symbol) 또는 상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자인(4)이 이미지 또는 캐릭터인 경우, 사용자는 선호하는 캐릭터가 그려진 본 발명의 마스크 패치를 마스크에 부착함으로써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선호 및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4)이 로고 또는 상표인 경우, 원하는 로고 또는 상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노출 및 홍보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필름부(3)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및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패치들은, 발향 기능을 하는 소재, 대표적으로 부직포의 겉 표면이 평평하지 못하고 부직포에 인쇄가 가능한 적합한 잉크 소재를 적용하기 어려워, 표면에 디자인을 인쇄하더라도 인쇄의 질이 떨어져 디자인의 시인성이나 식별력이 떨어지며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술한 소재로 이루어진 필름부(3)를 상기 발향부(1) 전면에 도입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필름부(3)는, 상기 소재가 상기 발향부(1)가 마스크 겉면에 전면 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발향부(1)로부터 향기가 너무 빨리 휘발되는 것을 막아주면서도, 고르고 평평한 인쇄 면을 제공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명확한 시인성을 갖는 디자인의 인쇄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되 그 향기가 오래 지속 가능하면서도, 전면 필름에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또는 상표 등의 디자인을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감 등을 부여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 표현이 가능한 마스크 패치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패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마스크 패치(10)의 양태는 전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호감정을 주는 향기를 발산하되 그 향기가 오래 지속 가능하면서도, 전면 필름에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또는 상표 등의 디자인을 인쇄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감 등을 부여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 표현이 가능한 마스크 패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발향부
2: 접착부
3: 필름부
4: 디자인

Claims (8)

  1.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부;
    상기 발향부 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접착부; 및
    상기 발향부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발향부에서 향기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부;
    를 포함하는 마스크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부는, 부직포, 부직포, 타이벡, 종이 원단, 펠트지, 섬유 시트 및 면직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부는, 천연향료 및 인공향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실리콘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상기 필름부가 상기 발향부와 접하는 면의 이면이 되는 전면에 디자인이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은, 이미지(image), 캐릭터(character), 문양, 문자, 로고(logo), 심볼(symbol) 또는 상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및 나일론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 또는 알루미늄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패치.
  8. 제1항에 따른 마스크 패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10000192A 2021-01-04 2021-01-04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20220098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92A KR20220098452A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92A KR20220098452A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52A true KR20220098452A (ko) 2022-07-12

Family

ID=8242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192A KR20220098452A (ko) 2021-01-04 2021-01-04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4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92B1 (ko) 1994-08-08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대전 부재, 대전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892B1 (ko) 1994-08-08 1999-06-15 미따라이 하지메 대전 부재, 대전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105B2 (en) Mask having a scenting means, and method for blocking out unpleasant odors
JPWO2015159344A1 (ja) マスク貼付用シ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KR20220098452A (ko) 마스크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JP2020005884A (ja) 発香シート
KR102236959B1 (ko) 향 발생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95007A (ko) 감광 변색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7950B1 (ko) 향기 발산 기능을 갖춘 안면용 밴드
JPH1189922A (ja) 芳香・消臭シート
JPH0252661A (ja) 脱臭剤若しくは消臭剤発散機能を有するマーク材
JP3238525U (ja) マスク
JP2006212104A (ja) 消臭シート
KR101248920B1 (ko) 골무형 밴드
KR20200141145A (ko) 일회용 향수 손목밴드
KR20220136775A (ko) 피부 저자극 화장 번짐 방지 마스크
KR20030064097A (ko) 향기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2297039A (ja) 期間インジケーター
KR102251572B1 (ko) 지속적인 향기발산이 가능한 의류용 향기발산체
JP3204343U (ja) 帽子装着頭髪消臭剤
US20230389633A1 (en) Face mask
JP7480393B1 (ja) 吸収性物品
KR100248979B1 (ko) 방향성 항균섬유
KR20180002560A (ko) 겨드랑이 패치
JP2004290665A (ja) 吸収性物品
JP2011072606A (ja) 薬剤揮散器
US20220296763A1 (en) Personal Reusable Microdiff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