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428A -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428A
KR20220098428A KR1020210000140A KR20210000140A KR20220098428A KR 20220098428 A KR20220098428 A KR 20220098428A KR 1020210000140 A KR1020210000140 A KR 1020210000140A KR 20210000140 A KR20210000140 A KR 20210000140A KR 20220098428 A KR20220098428 A KR 2022009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exchanger
displacement value
unit
expa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자
정진관
Original Assignee
김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자 filed Critical 김종자
Priority to KR102021000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428A/ko
Publication of KR2022009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21D39/203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expandable by fluid or e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41Means for controlling fluid parameters, e.g. pressure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가 개시된다.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는, 튜브, 상기 튜브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튜브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지그, 상기 지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지그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의 확관에 따른 변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과 기설정된 기준 변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변위값과 기준 변위값이 일치하면 상기 유체 공급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TUBE EXPANSION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아래의 실시예들은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냉각과 방열을 목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데 쓰이는 장치를 일컫는다. 열교환기는 복수 개의 튜브로 구성되며, 각 튜브에는 유체가 흐르면서 튜브 외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튜브의 외경은 열교환기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며, 이에 따라 튜브의 외경을 확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튜브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의 압력으로 튜브의 외경을 확대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 때, 튜브에 일정 시간 유체압력을 가한 후 개별적으로 튜브의 외경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다량의 튜브의 외경을 확관할 시에는 외경 측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튜브 외경을 미세하게 확대시키고자 할 때에는, 외경 측정 기구의 정확도가 요구되어, 정확도가 낮은 측정 기구를 사용시에 좋은 품질의 튜브를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확관율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고 튜브의 확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를 개시한다.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는, 튜브, 상기 튜브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튜브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지그, 상기 지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지그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의 확관에 따른 변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과 기설정된 기준 변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변위값과 기준 변위값이 일치하면 상기 유체 공급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튜브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튜브가 확관됨에 따라 상기 튜브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의 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상기 출력부에 입력하기 위한 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암부재는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피봇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봇 부재는 상기 지그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암부재의 단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튜브에 접촉되는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튜브 내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출력부에 변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기준 변위값은 0.3mm 내지 0.8mm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는, 복수개의 튜브가 동일한 압력에 의해 확관되고, 일정 외경에 도달하면 압력을 차단함으로써 확관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튜브 확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의 튜브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의 튜브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의 튜브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의 튜브(A)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의 튜브(A)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의 튜브(A) 외경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튜브(A) 내부에 압력을 인가하여 확장시키고, 소정의 외경에 도달하면 압력을 차단하여 튜브(A)의 외경 확관율을 제어할 수 있다.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튜브(A), 유체 공급부(10), 지그(21), 지지부(30), 측정부(41), 출력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튜브(A)는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튜브(A)이다.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에 호환되는 튜브(A)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이며, 바람직하게는 8mm의 직경을 갖는다.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튜브(A)의 외경을 확관할 수 있다. 튜브(A) 외경의 확관 변위값은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0.8mm이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8mm직경을 갖는 튜브(A)를 8.3mm 내지 8.7mm 직경을 갖는 튜브(A)로 확관시킬 수 있다.
유체 공급부(10)는 튜브(A)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튜브(A)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튜브(A)를 확관한다. 유체 공급부(10)는 하우징(11), 덮개부(12), 덮개부(12)의 일측에 형성된 씰링(13), 유체 공급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은 유체 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유체 탱크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와 같은 장치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11)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유체 압력 및 유체 토출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 및 출력부(50) 등이 구비된다. 또는 하우징(11)을 생략하고 펌프와 유체 공급관(14)이 일체로 형성된 형상도 가능하다.
덮개부(12)는 하우징(11)의 앞면에 돌출 형성된다. 덮개부(12)는 원형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덮개부(12)의 내부에는 유체 공급관(14)이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덮개부(12)는 튜브(A)의 양단이 밀봉된 후 고압 유체가 튜브(A) 내부로 공급될 때 하우징(11)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덮개부(12)는 유체가 튜브(A)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체 공급관(14)은 덮개부(12)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유체 공급관(14)의 외경은 튜브(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튜브(A)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체 공급관(14)은 사용자가 제어부(60)를 통해 유체의 토출량 및 압력을 설정하면 설정값에 따라 유체를 외부로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의 압력을 120kpa 내지 130kpa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공급관(14)은 튜브(A)의 외경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유체 공급관(14)을 부착하여 복수 개의 튜브(A)에 동시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씰링(13)은 유체 공급관(14)와 튜브(A)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된다. 씰링(13)은 유체 공급관(14)과 튜브(A) 사이의 유체의 누수를 막고 유체 공급관(14)이 정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씰링(13)은 O링과 같은 형상으로, 유체 공급관(14)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지그(21)는 유체 공급부(10)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지그(21)는 튜브(A)가 삽입되고, 튜브(A)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21)의 형상을 튜브(A)가 삽입 가능한 원통형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그(2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지지부(30)가 복수 개 구비되어 지그(21) 내부에 삽입된 튜브(A)는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지그(21)와 튜브(A)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지지된다.
또한 지그(21)의 표면에는 튜브(A)의 확관시 확관에 따른 변위값을 확인할 수 있는 측정부(41)가 튜브(A)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여기서, 튜브(A)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지그(21) 이외에도 가이드부(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2)는 복수의 슬라이드(221), 지그(2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서 슬라이드에 의해서 지그(21)와의 거리 및 고정력이 조절되는 프레임(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22)의 형상 및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A)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가이드부(2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추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부(30)는 지그(21)의 내부에 복수 개 구비된다. 지지부(30)는 튜브(A)의 외주면 둘레 중 일측 방향에만 설치된다. 지지부(30)는 적어도 중력 방향에 대해서 튜브(A)의 하부에 설치된다. 지지부(30)는 튜브(A)의 표면과 접촉되어 튜브(A)가 지그(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A)는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지그(21)와 튜브(A)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된다.
측정부(41)는 튜브(A)의 직경 방향에 대해서 지지부(30)와 대향되는 반대 방향에 구비된다. 측정부(41)는 튜브(A)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튜브(A)가 확관됨에 따라 튜브(A)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정부(41)는 튜브(A)의 확관에 따른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A)의 확관 이전에 측정부(41)가 튜브(A)의 표면에 설치되고, 그 때의 튜브(A)의 직경(d)에 따른 측정부(41)의 위치가 출력부(50)에 출력된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A)가 확관되었을 때는 지그(21) 및 지지부(30)에 의해서 튜브(A)의 하부 위치는 변동이 없고 상부 위치만 변동되며, 그에 따라 측정부(41)가 상부로 이동하고, 변동된 측정부(41)의 위치가 출력부(50)에 출력된다. 따라서, 측정부(41)의 위치 변화 및 출력부(50)에 출력되는 값을 통해 변위값 및 확관량(d'- d)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41)는 튜브(A)에 접촉되는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측정부(41)는 단부에 탐침(Probe) 또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정부(41)는 출력부(50)와 연결되어 변위값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41)의 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출력부(50)에 입력하기 위한 암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부재(43)는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피봇 부재(44)를 더 구비한다. 피봇 부재(44)는 지그(21)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 암부재(43)를 지지한다. 암부재(43)와 피봇 부재(44)를 구비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측정부(41)의 미세한 변위값도 출력부(5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암부재(43)의 단부와 측정부(41) 사이에는 탄성 부재(42)가 더 구비된다. 탄성 부재(42)는 측정부(41)가 튜브(A)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측정이 끝난 후 원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출력부(50)는 측정부(41)와 연결되고, 측정부(41)에서 측정된 변위값을 외부로 출력한다. 표시 유닛은 유체 공급부(10)의 하우징(11)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유체 공급과 변위값 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측정부(41)와 출력부(50) 사이에 암부재(43) 및 피봇 부재(44)를 구비하지 않고 측정부(41)와 표시 유닛이 직결되어 튜브(A) 직경의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측정부(41)는 튜브(A)와 지그(21) 사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측정부(4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45)를 더 포함하고, 고정 부재(45)에 연결된 측정부(41)와 탄성 부재(42)의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출력부(5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측정부(41)를 비접촉식 센서(46)로 대체하여 튜브(A) 직경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비접촉식 센서(46)는 튜브(A) 둘레를 감싸도록 지그(21) 내부에 설치되고, 튜브(A) 확관 후 외경을 측정하여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센서(46)는 레이저 외경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측정부(41)를 비접촉식 센서(46)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비접촉식 센서(46)와 출력부(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부(50)에 변위값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하우징(11)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튜브(A)를 지그(21)에 고정시킨 후 제어부(60)를 통해 튜브(A)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부(60)를 통해 유체의 토출량 및 압력을 설정하면 설정값에 따라 유체를 외부로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의 압력을 120kpa 내지 130kpa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0)와 출력부(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출력부(50)에 출력된 변위값과 제어부에 기설정된 기준 변위값을 비교하고, 출력된 변위값과 기준 변위값이 일치하면 유체 공급부의 동작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튜브(A)를 확관할 때 일정 외경에 도달하면 압력을 차단함으로써 확관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압력 조절과 확관율 측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튜브(A)의 외경을 측정하는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1)는 복수 개의 튜브(A)를 동시에 확관 가능한 구성을 갖춤으로써 튜브(A)를 대량으로 확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10 유체 공급부
11 하우징
12 덮개부
13 씰링
14 유체 공급관
21 지그
22 가이드부
221 슬라이드
222 프레임
24 개구
30 지지부
41 측정부
42 탄성 부재
43 암부재
44 피봇 부재
45 고정 부재
46 비접촉식 센서
50 출력부
60 제어부
A 튜브

Claims (11)

  1. 튜브;
    상기 튜브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튜브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지그;
    상기 지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가 상기 지그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의 확관에 따른 변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변위값과 기설정된 기준 변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변위값과 기준 변위값이 일치하면 상기 유체 공급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튜브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튜브가 확관됨에 따라 상기 튜브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의 이동에 따른 변위값을 상기 출력부에 입력하기 위한 암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는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피봇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봇 부재는 상기 지그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단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튜브에 접촉되는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형상을 갖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튜브 내부에 설치된 고정 부재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비접촉식 센서인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출력부에 변위값을 출력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변위값은 0.3mm 내지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KR1020210000140A 2021-01-04 2021-01-04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KR2022009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40A KR20220098428A (ko) 2021-01-04 2021-01-04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40A KR20220098428A (ko) 2021-01-04 2021-01-04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28A true KR20220098428A (ko) 2022-07-12

Family

ID=8241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140A KR20220098428A (ko) 2021-01-04 2021-01-04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4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2928A (zh) * 2022-11-24 2022-12-30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三通成型过程中壁厚实时检测控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2928A (zh) * 2022-11-24 2022-12-30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三通成型过程中壁厚实时检测控制装置
CN115532928B (zh) * 2022-11-24 2023-03-03 江苏新恒基特种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三通成型过程中壁厚实时检测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8428A (ko) 열교환기 튜브 확관 장치
JP2020021049A (ja) 可変音響式屈折率分布型レンズのための外部貯蔵部
CN103399388A (zh) 光学元件气囊支撑装置
KR101734466B1 (ko) 파이프 교정용 툴어셈블리
JPS6056427A (ja) 管又は管内のスリ−ブの拡管装置
CN107702864B (zh) 发动机节温器下壳体气密性检测工装
US11835870B2 (en) Temperature conditioning system
KR20180015497A (ko) 모세관 누설 검사장치
JP2018136308A (ja) 気密性試験方法及び装置
JP5217421B2 (ja) シール部材の気密試験装置及びシール部材の気密試験方法
KR101955717B1 (ko) 발사체 적용 기밀시험 방법
CN104502039A (zh) 一种燃气表的气密性检测方法
CN106989688B (zh) 一种前盖壳体毛坯的形变量检具
JPH10252615A (ja) 燃料噴射ノズルの洩れ試験装置
AU2020100754A4 (en) A type of capillary pipe air res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CN107462509B (zh) 一种适用于多规格超低渗岩心的气测渗透率岩心夹持系统
JP2014112042A (ja) 熱交換器の伝熱管漏洩検査治具
JP5622910B1 (ja) 液体吐出ポンプ
JP2017125818A (ja) タンクのリーク検査方法
CN111198058B (zh) 推靠力测试装置
KR101934717B1 (ko) 새들밸브를 이용한 부단수 밸브교체시 시공방법
CN114674499A (zh) 一种超高压阀体的密封性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05081113B (zh) 一种液压胀枪芯轴胀接长度的校准装置及其应用
JP4863453B2 (ja) 突出部付きキャップ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81753B1 (ko) 중수로 연료교환기의 분리기용 밸로우즈 검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