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887A - 피부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887A
KR20220097887A KR1020227013938A KR20227013938A KR20220097887A KR 20220097887 A KR20220097887 A KR 20220097887A KR 1020227013938 A KR1020227013938 A KR 1020227013938A KR 20227013938 A KR20227013938 A KR 20227013938A KR 20220097887 A KR20220097887 A KR 2022009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eatment
mass
compositi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하치야
샤론 스트루윙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A61Q9/04Depilator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18/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with open-end cryogenic probe, e.g. for spraying fluid directly on tissue or via a tissue-contacting porous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using additional gas becomin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2Inhalators with activated or ionised fluids, e.g. electrohydrodynamic [EHD] or electrostatic devices; Ozone-inhalators with radioactive tagged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5Tattoo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53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e.g. charging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9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or with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 A) 및 그 다음 단계 B) 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종래의 단계 A) 후에 상기 단계 B) 가 피부에 적용되면, 상기 단계 A) 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발적, 및 부종과 같은 피부 질환이 완화되고, 이러한 질환이 보다 빨리 사라지게 되며, 미용 또는 피부과 치료를 받은 사람의 삶의 질 (QOL) 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피부 치료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피부 표피 시술 동안 발생하는 화학적 박리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피부 표피에 대한 화학적 박리, 미세피부박리, 마이크로니들링, 레이저 치료, 문신 처리 등과 같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반점, 주근깨, 주름을 덜 눈에 띄게 하고, 피부에 색 처리를 하기 위한 미용 또는 피부과 치료가 널리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는 피부의 표피에서도 각질층 (horny layer) 뿐만 아니라 과립층 (granular layer), 가시층 (spinous layer) 및/또는 기저층 (basal layer) 에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치료 후 10일 내지 4주 동안 염증, 발적, 부종 등의 피부 질환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치료를 받는 사람들은 자극된 피부 상태가 크게 개선될 때까지 공개적인 외출을 주저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 A) 및 그 다음 단계 B)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A)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섬유 침적물 (fiber deposit) 을 함유하는 필름 (film) 을 형성하는 단계.
도면들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정전기적 분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정전기적 분무 장치를 사용하여 정전기적 분무 방법이 수행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 미용 또는 피부과 치료 후 피부 질환의 경우 살균제 또는 항염증제 등의 적용 및 유사한 처리가 수행되지만, 질환 개선을 위해서는 약 10일 내지 4주가 소요된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전술된 미용 또는 피부 시술 후 신속한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수단을 연구하여, 섬유 침적물을 함유한 필름을 형성 (단계 B) 하여 미용 또는 피부 시술 (단계 A) 후의 피부를 치료하면, 염증, 발적, 및 부종 등의 질환이 완화되고, 이들 다운타임이 보다 빠르게 사라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단계 A) 의 피부 치료 후,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면 (단계 B), 염증, 발적 및 부종 등의 질환이 완화되고, 이들 질환은 보다 빨리 사라지며, 미용 또는 피부과 치료를 받은 사람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QOL) 이 크게 개선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 A) 및 그 다음 단계 B)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섬유 침적물 (fiber deposit) 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나노섬유로 만들어진 필름을 상처 부위에 도포하는 수단, 상기 필름을 화장용 시트로 사용하는 수단, 및 상기 필름을 건강한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수단 (JP-A-2005-290610, JP-A-2008-179629, WO 2001/12139 등) 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계 A) 에서와 같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표피로 피부에 필름이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 및 필름이 이러한 피부에 적용될 때 어떤 효과가 나타날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단계 A) 는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피부의 표피는 피부의 표면,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및 기저층을 지칭한다. 표피의 세포 구성요소들은 각질 세포, 과립 세포, 가시 세포 및 기저 세포 뿐만 아니라 소량의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및 메르켈 세포를 포함한다.
단계 A) 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표피층 중에서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들 층들의 처리는 염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계 A) 는 과립층, 가시층,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두 진피까지 연장되는 표피 처리를 포함한다.
표피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표피에 존재하는 세포를 물리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수단, 표피에 존재하는 세포를 화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수단, 표피에 존재하는 세포에 대해 물리적 자극 및 화학적 처리를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의 구체적인 예들은 화학적 박리, 알칼리 클렌징 처리, 탈모제 왁싱, 피부박리, 미세피부박리, 마이크로니들링, 고주파 마이크로니들링, 레이저 처리, IPL 처리, 한랭요법 (냉각 처리), 문신 처리, 문신 제거, 여드름 처리, LED 처리, 효소 마스크 처리 및 혈장 섬유아세포 (plasma fibroblast)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화학적 박리란 표피를 글리코산, 락트산, 살리실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베이커-고든 용액 (Baker-Gordon's solution), 페놀 등과 같은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처리하는 표피의 화학적 처리이다. 화학적 박리는 여드름, 반점, 일광화상 반점, 주름 등을 제거하거나 모호하게 한다고 한다. 화학적 박리 조성물이 적용된 후, 표피에서 염증, 발적 등이 발생한다.
알칼리 클렌징 처리는 표피의 pH 를 약 5.6 에서 약 12 로 빠르게 변화시키는 화학적 처리이다. 이러한 처리는 여드름, 반점, 주름 등을 제거하거나 모호하게 한다고 한다. 이러한 알칼리성 처리는 표피에서 염증, 발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탈모제 왁싱은 탈모 수단 중 하나로서, 탈모하고자 하는 부위에 왁스를 바른 후 응고된 왁스를 벗겨냄으로써 모발을 제거하는 처리이다. 응고된 왁스를 벗겨낼 때, 물리적 자극은 표피에서 염증, 발적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박리는 각질제거 기법이며, 피부의 외층들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 기구를 사용한다. 시술 중 피부의 손상된 가장 바깥쪽 층을 제거하기 전에 마취를 이용한 마비가 이용될 것이다. 피부박리는 또한 여드름 흉터, 검버섯, 주름, 전암 피부 패치, 딸기코, 수술 또는 상처로부터의 흉터, 태양 손상, 문신, 불균일한 피부 톤 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미세피부박리는 전체 피부 톤 및 질감을 갱신하기 위한 최소 침습 시술이다. 연마성 표면을 갖는 특수 어플리케이터는 피부의 두꺼운 외층을 부드럽게 갈아서 그것을 재생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것은 미세선, 주름, 과색소침적, 검버섯, 갈색 반점, 넓어진 모공, 블랙헤드, 여드름, 여드름 흉터, 스트레치 마크, 칙칙한 피부 색, 고르지 않은 피부 색조 및 질감, 기미, 태양 손상, 및 기타 피부 관련 염려 및 질환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링과 고주파 마이크로니들링 (radio-frequency microneedling) 은 작은 바늘로 피부에 상처를 내어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여드름 흉터 개선과 피부 재생을 위해 사용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또한 염증, 발적, 통증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레이저 치료는 나노초 펄스 폭을 가진 Q-스위치드 레이저와 같은 특별한 파장 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로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반점과 같은 색소 병변을 개선하고 피부를 젊게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치료는 염증, 발적, 부종 등을 야기할 수 있다.
IPL (intense pulsed light) 치료는 IPL 이라고 불리는 특별한 빛을 피부에 조사하는 광 치료법으로서, 반점, 주근깨, 주름, 여드름 등에 사용된다. 이 치료는 또한 피부의 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한랭요법 (cryotherapy) 은 냉각치료 (cooling treatment) 라고도 한다. 한랭요법에서, 반점, 주근깨, 여드름 등에 대하여 -120℃내지 -196℃의 액체질소가 일정 기간 동안 적용된다. 이 치료는 피부에 염증, 발적, 통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문신 처리는 피부에 색소를 넣어 문자와 그림을 그리는 수단이고, 문신 제거는 이를 제거하는 수단이다. 이들 치료는 또한 염증, 발적, 부종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여드름 치료는 예를 들어, 다음의 단계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안면 단계 1: 딥 클렌징
이 단계는 메이크업을 제거하고 철저한 클렌징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첫 번째 클렌징 후 다시 피부를 깨끗이 하고 얼룩과 기름, 화장품 흔적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확인한다.
안면 단계 2: 스팀 처리
특별한 스팀기 제조기가 몇 분 동안 얼굴에 따뜻한 스팀을 흘린다. 스팀이 실제로 하는 일은 모공 안의 피지로 만들어진 호른 플러그 (horn plug) 와 함께 모공을 부드럽게 하고 얼굴을 더 쉽게 깨끗하게 하는 것이다.
안면 단계 3: 박리 절차
박리 절차는 잠재적으로 모공을 막을 수 있는 죽은 피부 세포 및 조각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단순한 스크럽부터 미세한 피부박리이나 피상적인 화학적 박리까지 박리를 위한 많은 선택지가 있다. 안면 여드름 치료 시 살리실산을 이용한 박리가 흔히 사용된다.
안면 단계 4: 반점 추출
미용사들은 모공 속의 여드름을 없애기 위해 수동으로 깨끗하게 한다. 이는 손가락으로 우호적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여드름 추출기라고 불리는 작은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안면 단계 5: 마스크 착용
추출이 완료되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황은 여드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드름 치료에 황 마스크가 종종 사용된다. 초유성 피부 타입의 경우, 오일 흡수 클레이 마스크가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피부가 염증 여드름이나 추출 액으로부터 약간 붉게 변한 경우 스무딩 마스크가 최상의 선택이다.
안면 단계 6: 화장수 또는 수렴제
마스크가 제거되면, 피부 전체에 화장수나 수렴제를 발라준다.
안면 단계 7: 보습제 및 자외선 차단제
얼굴, 목, 가슴 전체에 온화한 무여드름 보습제를 발라준다. 처리된 부위에 얇은 섬유를 도포한 후 자외선 차단제를 도포한다.
상기 여드름 치료 중 모공 세척과 같은 물리적 클렌징 수단을 사용할 경우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LED 처리는 415-420 nm 의 파장을 갖는 청색 광 및/또는 610-850 nm 의 파장을 갖는 적색 광을 사용한다. 청색 광은 주로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적색 광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LED 치료는 피부에 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효소 마스크 처리는 프로테아제 등을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를 이용한 피부 처리이다. 효소 마스크 처리는 죽은 표피와 독소가 있는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 마스크 치료는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단계 B) 는 상기 단계 A) 후에 수행되며,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B) 에서 형성된 필름은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상기 필름에 포함된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0.01μm 이상 7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직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μm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μ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μm 이하이다. 이러한 얇은 섬유들의 퇴적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B) 에서 형성된 필름의 사용은 단계 A) 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는 염증, 발적 및 부종과 같은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고, 그것들의 치유를 촉진시키며, 피부에 대한 필름의 부착성을 개선시키고, 피부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능력을 개선시킨다.
여기서, 평균 섬유 직경은 섬유의 평균 두께이며, 원 직경과 동일하다. 섬유의 두께는 예를 들면 주사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섬유들을 10,000 배로 관찰하고, 2 차원 이미지에서 결함 (섬유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액적) 을 제외한 10 개의 섬유를 임의로 선택하고, 각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그리고, 그리고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섬유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평균 섬유 직경보다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더 길다. 섬유 길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평균 섬유 직경보다 적어도 100배 더 긴 섬유 길이를 갖는 섬유는 연속 섬유로서 정의되고, 임의의 연속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0.1 g/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m2 이상이다. 더욱이, 그 필름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30 g/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m2 이하이다. 예를 들어, 필름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0.1 g/m2 이상 30 g/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g/m2 이상 20g/m2 이하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필름의 평량을 설정함으로써 필름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B) 는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의 구체적인 예들은 하기 수단들 (1) 내지 (3) 을 포함한다:
(1) 피부에 다음 성분들 (a) 및 (b) 을 포함하는 조성물 X 를 정전기적으로 분무 (electrostatically spraying) 하는 단계: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 및
(b)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 (polymer).
(2)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인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전기방사법 (electrospinning) 으로 부착하는 단계.
(3) 하기 성분들 (c) 및 (d) 를 포함하는 조성물 Z 를 적용하는 단계:
(c) 20℃에서 액체 상태인 오일제 (oil agent) 및 폴리올 (polyo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의 범위이고, 종횡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0 내지 1,000 의 범위인 섬유.
먼저, 수단 (1) 을 설명한다.
상기 수단 (1) 에서 사용되는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정전기적 분무 방법이다. 정전기적 분무법은 양 또는 음의 고전압을 조성물에 인가하여 조성물을 하전시키고, 하전된 조성물을 대상을 향해 분무하는 방법이다. 분무된 조성물은 쿨롱 반발에 의한 소형화를 반복하면서 공간으로 퍼진다. 이 과정 동안 또는 대상에 부착된 후, 휘발성 물질인 용매가 건조되어 대상의 표면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이 형성된다. 이 수단 (1) 은 예를 들어 WO 2018/194143, WO 2018/194140, 및 WO 2019/103974 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수단 (1) 에서 사용되는 조성물 X 에서 함유된 성분 (a) 는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이다.
성분 (a) 로서의 휘발성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휘발성인 물질이다. 전기장에 놓인 조성물 X 가 충분히 하전된 후, 성분 (a) 가 노즐의 선단에서 피부를 향해 방출되도록, 성분 (a) 가 조성물 X 에 혼합되고; 성분 (a) 가 증발함에 따라, 조성물 X 의 전하 밀도가 과도해지고; 성분 (a) 가 쿨롱 반발에 의해 더욱 소형화되면서 더욱 증발되고; 최종적으로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드라이 필름이 피부 상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휘발성 물질의 20℃ 에서의 증기압은 바람직하게는 0.01 kPa 이상 106.66 k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 kPa 이상 66.66 kPa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67 kPa 이상 40.00 kPa 이하,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3 kPa 이상 40.00 kPa 이하이다.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 중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알코올의 예들은 일가 사슬 지방족 알코올, 일가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 및 일가 방향족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가 사슬 지방족 알코올의 예들은, C1-C6 알코올을 포함하고, 일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의 예들은 C4-C6 의 고리형 알코올을 포함하고, 일가 방향족 알코올의 예들은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페닐에틸 알코올, n-프로판올, 및 n-펜탄올을 포함한다. 이들 알코올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 로서의 휘발성 물질 중에서, 케톤의 예들은 디-C1-C4 알킬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포함한다. 이들 케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 로서의 휘발성 물질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부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에탄올을 포함하는 휘발성 물질이다.
성분 (a) 로서의 휘발성 물질은 전하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물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휘발성 물질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함수량은 전하 부여 측면에서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질량% 이상이고; 섬유 형성 특성 측면에서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섬유 형성 특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X 에서 성분 (a)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다. 더욱이, 섬유 형성 특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X 에서 성분 (a)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4 질량% 이하이다. 오일, 폴리올 등이 포함되는 경우, 성분 (a) 의 함량은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 X 에서 성분 (a)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96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94 질량% 이하이다. 더욱이, 조성물 X 가 폴리올 또는 오일을 함유하는 경우, 조성물 X 에서 성분 (a)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이다. 정전기적 분무법을 수행하는 경우, 조성물 X 는 조성물 X 의 휘발성의 관점에서, 성분 (a) 를 이러한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탄올의 양은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다. 더욱이, 에탄올의 양은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양은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 로서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에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이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용해" 라는 용어는 물질이 20℃에서 분산되는 것, 및 분산된 상태가 시각적으로 균일하며, 바람직하게는 시각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함을 의미한다.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 (b) 로서,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중합체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중합체는 크게 수용성 (water-soluble) 섬유 형성 중합체와 수불용성 (water-insoluble) 섬유 형성 중합체로 나뉘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수용성 중합체" 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들을 지칭한다: 1 atm 및 23℃ 의 환경에서 중합체 1 g 이 칭량된 후, 10 g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되고, 그리고 24 시간 경과 후, 0.5 g 이상의 침지된 중합체가 물에 용해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수불용성 중합체" 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들을 지칭한다: 1 atm 및 23℃ 의 환경에서 중합체 1 g 이 칭량된 후, 10 g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되고, 그리고 24 시간 경과 후, 0.5 g 이상의 침지된 중합체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수용성 섬유-형성 중합체의 예들은 뮤코다당류, 예컨대 풀루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폴리-γ-글루탐산, 변성 옥수수 전분, β-글루칸, 글루코-올리고당류, 헤파린 및 케라토 설페이트; 천연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펙틴, 자일란, 리그닌, 글루코만난, 갈락투론산, 사일륨 씨드 검, 타마린드 씨드 검,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대두 수용성 다당류, 알긴산, 카라기난, 라미나란, 한천 (아가로스), 후코이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합성 중합체, 예컨대 부분적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가교제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저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성 나일론, 폴리비닐 피롤리돈 (PVP),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수용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중합체 중에서도, 필름의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풀루란, 및 합성 중합체, 예컨대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저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수용성 나일론,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가 사용되는 경우, 그것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0 이상 3,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상 2,500,000 이하이다.
한편, 불용성 섬유 형성 중합체의 예들은, 필름 형성 후 불용화 가능한 완전 검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형성 후 가교제와 함께 사용되는 가교가능한 부분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N-프로판올에틸렌이민) 그라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비닐아세탈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옥수수 단백질의 주성분);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락트 산 (PLA)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및 폴리메타크릴산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을 포함한다. 이들 수불용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중합체 중에서, 필름 형성 후 불용화될 수 있는 완전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형성 후 가교제와 함께 사용되는 가교가능한 부분 비누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비닐아세탈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및 제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폴리부티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 X 에서의 성분 (b)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이다. 더욱이, 조성물 X 에서의 성분 (b)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X 에서 성분 (b) 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b) 를 조성물 X 에 이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섬유 침적물을 조성하고, 피부 표면을 마스킹하며, 단계 (A) 를 거친 피부의 다양한 피부 상태를 완화시키고, 치유를 촉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조성물 X에서의 성분 (a) 및 성분 (b) 의 함량 비 ((a)/(b)) 는, 정전기적 분무 방법이 수행될 때 성분 (a) 가 충분히 휘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3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25 이하이다.
조성물 X 에서의 에틴올과 성분 (b) 의 함량 비 (에탄올/(b)) 는, 정전기적 분무 방법이 수행될 때 에탄올이 충분히 휘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3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25 이하이다.
조성물 X 는 글리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글리콜의 예들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정전기적 분무법이 수행될 때 성분 (a) 가 충분히 휘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에서의 글리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다.
섬유-형성 특성 및 전도도의 관점에서, 물 함량은 성분 (a) 로서 휘발성 물질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질량% 이상이다.
조성물 X 는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말의 예들은 착색 안료, 증량제 안료, 진주 안료, 및 유기 분말을 포함한다. 피부 표면에 매끄러운 촉감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조성물 X 에서의 분말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는다.
조성물 X 는 상술된 성분들 (a) 및 (b) 만을 포함 할 수도 있거나, 성분들 (a) 및 (b) 에 추가하여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다른 성분의 예들은 오일 제제, 예컨대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20℃에서 상기 언급된 것들 이외의 액체인 폴리올, 예컨대 글리세롤, 계면활성제, UV 보호제, 향미제, 방미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발한 억제제 및 다양한 비타민을 포함한다. 이들 제제의 각각은 각 제제의 의도된 사용에 제한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한 억제제는 향미제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용도와의 병용으로서, 예를 들어, 그것들은 발한 억제제로서의 효과 및 향미제로서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 X 가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 비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수단 (1) 에서, 단계 A) 후에, 조성물 X 는 피부에 직접 정전기적으로 분무되어 피부 표면 상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한다.
정전기적 분무법이 수행되는 경우, 25℃ 에서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인 조성물 X 가 사용된다. 25℃ 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 5,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500 mPa·s 이하이다. 조성물 X 의 25℃ 에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5,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2,000 mPa·s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1,500 mPa·s 이하이다. 이들 범위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 X 의 사용은 정전기적 분무 방법에 의해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다공성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다공성 필름의 형성은 피부의 표면을 마스킹하는 것, 단계 A) 를 거친 피부의 다양한 피부 상태를 완화하는 것, 및 그것들의 치유를 촉진하는 것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조성물 X 의 점도는 E-타입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에서 측정된다. 사용에 적합한 E-타입 점도계의 예들은 Tokyo Keiki inc. 에 의해 제조된 E-타입 점도계를 포함한다. 그 경우에 적합한 로터는 로터 No. 43 이다.
조성물 X 는 정전기적 분무법에 의해 사람의 피부에 직접 분무된다. 정전기적 분무 방법은 정전기적 분무 프로세스에서 정전기적 분무 장치를 사용하여 분무 조성물을 피부에 정전기적으로 분무함으로써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전기적 분무 장치는 분무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 분무 조성물을 방출하기 위한 노즐, 용기에 수용된 분무 조성물을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 및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력 공급기를 구비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정전기적 분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정전기적 분무 장치 (10) 는 저전압 전력 공급기 (11) 를 구비한다. 저전압 전력 공급기 (11) 는 수 V 내지 수십 V 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정전기적 분무 장치 (10) 의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전압 전력 공급기 (11) 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을 포함한다. 또한, 저전압 전력 공급기 (11) 로서 배터리(들)를 사용하는 것은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들) 대신 AC 어댑터 등을 저전압 전력 공급기 (11) 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 는 자신의 피부에 정전기적 분무를 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수단 (2) 가 설명된다.
수단 (2)는 전기방사 (electrospinning) 또는 멜트 블로우 (melt blow) 에 의해 얻어진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인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단 (2) 에서 사용된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인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은, 성분들 (a) 및 (b) 를 포함하는 조성물 X 를 기재 상에 전기방사 또는 멜트블로잉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방사 수단은 또한 정전기적 분무 수단과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방사 동안의 전압 등은 전기방사가 피부에 대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높을 수도 있다. 사용되는 기판은 금속, 수지 등이다. 또한, 멜트 블로우 수단은,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지를 용융시켜, 용융된 수지를 방출하는 한편, 방출 포트 주위에 뜨거운 공기를 또한 토출하여, 전술한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전기방사 또는 멜트 블로우에 의해 얻어진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인 섬유 침적물로 구성된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수단 (1) 또는 (2) 가 사용될 경우, 단계 B) 에서 형성된 필름에 보다 우수한 투명성을 부여하고, 내구성 (내마모성, 신축성 등) 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단계 B) 전 또는 후에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Y 를 도포하는 단계 C) 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Y 는 단계 B) 에서 형성된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점착성 중합체 (adhesive polymer)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조성물 Y 에 포함되는 오일제의 예들은 액상 오일 (20℃에서 액체 상태의 오일) 및 고상 오일 (20℃에서 고체 상태의 오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 오일은 또한 20℃에서 액체 상태의 오일 및 유동성 반고체 상태의 오일을 포함한다. 액체 오일의 예들은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고급 알코올, 실리콘 오일 및 지방산을 포함한다. 이 중, 도포시 평활도,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 측면에서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액체 오일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탄화수소 오일의 예들은 액체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n-옥탄, n-헵탄, 시클로헥산, 경질 이소파라핀, 액체 이소파라핀,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및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한다. 사용성 측면에서, 액체 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액체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n-옥탄, n-헵탄, 및 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고;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 측면에서, 30℃ 에서의 탄화수소 오일의 점도는 1 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Pa·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 측면에서, 액상제 중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수소화 폴리이소부텐의 총 함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며, 그것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30℃ 에서의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Pa·s 이상이다.
여기에서의 점도는 30℃에서 BM-타입 점도계 (Tokyo Keiki inc. 제조, 측정 조건: 로터, No. 1, 60 rpm, 1 분간)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유사한 관점에서, 액상 제제 중 에테르 오일 (예컨대, 세틸-1,3-디메틸부틸 에테르, 디카프릴 에테르, 디라우릴 에테르, 및 디이소스테아릴 에테르) 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에스테르 오일의 예들은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이소옥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세틸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라놀린 아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N-알킬 글리콜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글리세롤 디-2-헵틸운데카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디에틸헥실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C12 -C15) 알킬 벤조에이트,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카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코코에이트, 메틸 카스토레이트, 올레일 올리에이트, 2-헵틸운데실팔미테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2-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메이트, 디-2-헵틸운데실 아디페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2-헥실데실 미리스테이트, 2-헥실데실 팔미테이트, 2-헥실데실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피발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필름을 피부에 밀착시키는 관점에서, 그리고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느낌의 관점에서, 적어도 하나는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C12-C15)알킬 벤조에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는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이, 상기 에스테르 오일로는 상기 에스테르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의 예들은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메도우폼 오일, 피마자 오일, 홍화 오일, 해바라기 오일, 아보카도 오일, 카놀라 오일, 살구 오일, 쌀 배아 오일, 쌀겨 오일을 포함한다.
고급 알코올의 들은 탄소수 12 내지 20의 액상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며, 그 성분으로서 분지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그것의 구체적인 예들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을 포함한다.
액체 실리콘 오일은, 예를 들어, 선형 실리콘, 환형 실리콘, 또는 개질된 실리콘이다. 그것의 예들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페닐-개질된 실리콘, 및 고급 알코올 개질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또한, 20℃에서 고체인 오일 제제 (고체 오일) 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20℃에서 고체인 오일제는 바람직하게는 20℃에서 고체 특성을 나타내고 40℃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이다. 20℃에서 고체인 오일제의 예들은 탄화수소 왁스, 에스테르 왁스,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1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산 에스테르,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개의 선형 지방산을 성분으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실리콘 왁스를 포함한다. 이들 오일 제제의 하나 이상이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왁스는 그것들이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의 예들은,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등의 광물계 왁스; 파라핀, 미정질 왁스, 바셀린 등의 석유계 왁스; Fischer-Tropsch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와 같은 합성 탄화수소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라이스 왁스, 재팬 왁스, 해바라기 왁스, 수소화된 호호바 오일 등의 식물계 왁스; 밀랍 및 고래 왁스와 같은 동물성 왁스; 실리콘 왁스, 불소계 왁스, 합성 밀랍 등의 합성 왁스; 지방산, 고급 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의 예들은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이소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벤질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3개의 직쇄 지방산을 구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예들은 글리세릴 트리라우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트리팔미테이트, 및 글리세릴 트리베헤네이트를 포함한다. 구성 성분으로 14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의 예들은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를 포함한다.
필름의 내마모성, 신축성, 및 유용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Y 에서의 오일 제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18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16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Y 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의 예들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1,3-부탄디올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및 트리글리세롤과 같은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디글리세롤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롤이 더욱 바람직하고; 글리세롤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Y 에서의 폴리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Y 에 사용되는 점착성 중합체는 정전기적 분무에 의해 피부에 형성된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점착성 중합체로서, 일반적으로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의 예들은 고무계 점착성 중합체, 실리콘계 점착성 중합체,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및 우레탄계 점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중합체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점착성 중합체로서, 비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및 양쪽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점착성 중합체는 성분 (b) 로서 상기 중합체 이외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될 점착성 중합체는 필름의 내마모성 및 연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접착성이 우수하다. 점착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JIS K6850 을 참조하여 측정된 1 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N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N 이상의 최대 인장 전단 하중을 갖는 중합체이다. 접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8 N 이상의 최대 인장 전단 하중을 갖는 중합체가 더욱 더 바람직하다. 더욱이, 최대 인장 전단 하중은 바람직하게는 200 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N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 N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고무계 점착성 중합체, 실리콘계 점착성 중합체, 아크릴계 점착성 중합체, 및 우레탄계 점착성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이온성 중합체, 음이온성 중합체, 양이온성 중합체, 및 양쪽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점착성 (adhesiveness) (최대 인장 전단 하중) 은 다음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20 mg의 중합체 용액 (10% 에탄올 용액 또는 포화 용액) 을 1.25 cm x 2.5 cm 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하나의 폴리카보네이트 기재 (표준 시험편, 카르보글라스 폴리쉬 클리어, 10 cm x 2.5 cm x 2.0 mm 에 의해 제조됨) 에 도포하였다. 이 기재는 다른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와 함께 결합되고, 12시간 이상 건조된다. Orientec Co., ltd. 에 의해 제조된 텐실론 UTC-100W 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기재의 양 단부를 5 mm/min 의 인장 속도로 끌어당기고, 최대 인장 전단 하중을 측정하였다.
조성물 Y 가 점착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그것의 함량은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 측면에서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이다. 더욱이, 점착성 중합체의 함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점착성 중합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Y 를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단계 C)) 는 단계 B)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조성물 Y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수단의 예들은, 손가락 등으로 조성물 Y를 피부에 도포하는 수단,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조성물 Y 를 피부에 도포하는 수단 등을 포함한다. 조성물 X 와 조성물 Y 는 상이한 제형(formation)들을 갖는다. 전기방사를 할 조성물 X 와 피부에 도포하기 전 또는 후에 적용할 조성물 Y 는 서로 다른 제형으로 별도로 제형화된다. 조성물 Y 를 정전기적으로 분무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조성물 X 와 동일한 섬유를 포함하는 침적물은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수단 (3) 이 설명된다.
수단 (3) 은 하기 성분들 (c) 및 (d) 를 포함하는 조성물 Z 를 적용하는 단계이다:
(c) 20℃ 에서 액체인 오일 제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의 범위이고, 종횡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0 내지 1,000 의 범위인 섬유.
조성물 Z 에 사용되는 성분 (c) 로서 오일제 및 폴리올의 예들은 상기 기재된 조성물 Y 에 사용되는 오일제 및 폴리올을 포함한다.
즉, 조성물 Z 에 포함되는 오일제의 예들은 액상 오일 (20℃에서 액체 상태의 오일) 및 고상 오일 (20℃에서 고체 상태의 오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들 액체 오일은 또한 액체 상태의 오일 및 20℃에서 유동성 반고체 상태의 오일을 포함한다. 액체 오일의 예들은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고급 알코올, 실리콘 오일, 및 지방산을 포함한다. 이들 중, 도포시 평활도,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 측면에서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액체 오일 중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 에스테르 오일, 고급 알코올, 실리콘 오일, 및 지방산의 구체적인 예들은 또한 조성물 Y에 사용된 예로서 상기 언급된 것들을 포함한다.
필름의 내마모성, 신축성, 및 유용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Z 에서의 오일 제제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18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16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Z 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의 예들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1,3-부탄디올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및 트리글리세롤과 같은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디글리세롤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롤이 더욱 바람직하고; 글리세롤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필름의 내마모성 및 신축성의 관점에서, 조성물 Y 에서의 폴리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Z 가 피부에 도포될 때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조성물 Z 는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Z 에 사용되는 휘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휘발성 실리콘, 휘발성 탄화수소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알코올의 예들은 일가 사슬 지방족 알코올, 일가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 및 일가 방향족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가 사슬 지방족 알코올의 예들은 C1 - C6 알코올을 포함하고, 일가 고리형 알코올의 예들은 C4 - C6 고리형 알코올을 포함하고; 그리고 일가 방향족 알코올의 예들은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을 포함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페닐에틸 알코올, n-프로판올, 및 n-펜탄올을 포함한다. 이들 알코올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예들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사이클릭 실리콘을 포함한다.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Z의 코팅 특성 및 필름의 균일성 관점에서, 조성물 Z에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 질량%이고; 조성물 Z가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의 사용성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조성물 Z가 피부에 도포된 후의 섬유 침적물의 성형성 및 필름의 내구성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Z에 함유된 섬유는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이고, 종횡비(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가 10 내지 1,000인 섬유이다.
성분 (d) 는 형성된 필름 내에 섬유 침적물을 형성하고, 필름에 균일성 및 밀착성을 부여한다. 섬유가 필름 내에 침적물을 형성하는지 여부는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침적물 (deposit)"이란 필름 내에 분산된 섬유가 서로 교차하여 틈을 갖게 된 상태, 및 그 틈에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형성된 필름의 균일성 관점에서, 조성물 Z에 사용된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0.01μm 이상 7μm 이하이다. 또한, 필름의 접착성 및 적합성의 관점에서,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μm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 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μ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μm 이하이다. 섬유 직경은, 예를 들어, 2,000배 또는 5,000배로부터의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하고, 2차원 이미지로부터 결함(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및 섬유의 교차점)을 제외한 100개의 섬유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각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그어,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평균 섬유 직경은 이들 측정값의 산술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형성된 필름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평균 섬유 길이로서의 섬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20 μm 이상 500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μm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μm 이상이고;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μ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0 μm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0 μm 이하이다. 평균 섬유 길이는 예를 들어, 섬유 길이에 따라 250배 또는 750배로부터의 범위의 배율로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하고, 2차원 이미지로부터 결함(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및 섬유의 교차점)을 제외하고 100개의 섬유를 무작위로 선택하고, 각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선을 그어, 섬유 길이를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평균 섬유 길이는 이들 측정된 값들의 산술 평균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되었다.
형성된 필름의 균일성 및 균일한 섬유 침적물의 형성으로 인한 필름 내구성의 관점에서, 섬유의 종횡비(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는 10 이상 1,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다.
조성물 Z에서, 형성된 필름 내에 섬유가 침적물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필름의 균일성 및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균 섬유 직경2)/평균 섬유 함량 (μm2/질량%)의 비는 0.005 내지 7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침적물의 균일성 관점에서,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또한, 필름 내에 섬유 침적물을 충분히 형성하는 관점에서,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이 값, 즉, (평균 섬유 직경2)/평균 섬유 함량 (μm2/질량%) 의 비는 조성물 Z에 함유된 섬유의 누적 길이의 지수이며, 이 수치가 클수록 누적 길이가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분 (d) 로서의 섬유는 섬유-형성 중합체를 다양한 공지된 방사 기법들에 의해 처리하여 얻어진 섬유를 분쇄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섬유-형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또는 용매-가용성 사슬형 중합체이다. 상기 섬유 형성 중합체 중에서, 조성물 Z에서 섬유의 형태를 유지하는 측면에서 수불용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 방법으로서, 섬유 직경이 작은 섬유를 얻는 측면에서 전기방사 방법(전계 방사 방법)이 바람직하다.
성분 (c) 및 (d) 및 휘발성 성분에 추가하여, 조성물 Z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다양한 분말, 폴리올 이외의 보습제, 수용성 중합체, 아미노산, 염료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 Z를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 표면에 고도로 균일한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조성물 Z 를 피부에 도포하는 수단의 예들은 손가락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러, 스펀지 등의 도구를 이용한 코팅을 포함한다. 손으로 도포가능한 범위로서, 20℃에서의 점도는 5 내지 50,000 mPa·s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 단계 A) 로 피부 처리한 후,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형성시키는 처리(단계 B) 를 거치면, 단계 A) 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발적 및 부종 등의 상태가 완화되고, 이들 상태가 더욱 빠르게 사라지며, 미용 또는 피부과 치료를 받은 사람의 삶의 질(QOL)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미용 목적을 위해 수행된다.
전술한 실시양태들에 관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방법, 조성 및 용도를 추가로 개시한다.
<1> 하기와 같이 단계 A) 및 그 다음에 단계 B)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A)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단계 A) 를 거친 피부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2> <1> 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B) 는 하기 성분들 (a) 및 (b) 를 포함하는 조성물 X 를 피부에 정전기적으로 분무하는 단계이다: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 및
b)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
<3> <1> 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B) 는 전기방사 또는 멜트블로잉에 의해 얻어진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범위인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이다.법.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B) 의 전 또는 후에, 단계 C) 를 더 포함한다.
C)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Y 를 적용하는 단계.
<5> <4> 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사용되는 조성물 Y 는 점착성 중합체를 더 포함한다.
<6> <1> 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B) 는 하기 성분들 (c) 및 (d) 를 포함하는 조성물 Z 를 적용하는 것이다.
(c) 20℃에서 액체 상태인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의 범위이고, 종횡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0 내지 1,000 의 범위인 섬유.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A) 는 피부의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이다.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계 A) 는 화학적 박리, 알칼리 클렌징 처리, 탈모제 왁싱, 피부박리, 미세피부박리, 마이크로니들링, 고주파 마이크로니들링, 레이저 처리, IPL 처리, 한랭요법 (냉각 장비), 문신 처리, 문신 제거, 여드름 처리, LED 처리, 효소 마스크 처리 및 혈장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표피 처리이다.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섬유 침적물 (b) 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능을 갖는 중합체 또는 섬유 (d) 를 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수불용성 섬유 형성 중합체이다.
<10>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후에, 하기 성분 (a) 및 (b) 를 포함하는 조성물 X 의 피부에 정전기적으로 분무하는 용도: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 및
b)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
<11>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인 섬유 침적물을 포함하는 필름의 피부에 부착하는 용도.
<12>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후에, 하기 성분 (c) 및 (d) 를 포함하는 조성물 Z 의 피부에 도포하는 용도:
(c) 20℃에서 액체 상태인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의 범위이고, 종횡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0 내지 1,000 의 범위인 섬유.
<13>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피부의 표피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치료 방법.
<14>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피부 표피의 자극 완화용 필름 제조에 있어서의 섬유의 용도.
실시예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화학적 박리 1)
<화학적 박리 1>
TCA 액체(트리클로로아세톤 30 질량%, 살리실산 5 질량%, 정제수 평형)를 산 제형으로 사용하였고, 미백, 즉 프로스팅이 일어날 때까지 (1분 내지 2분) 직경 1cm의 범위에서 왼쪽 팔 안쪽에 5 내지 10회 반복하여 얇게 도포하였다. 2개의 서클러 영역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이어서, 산 제형을 위생 솜으로 피부로부터 닦았다. 이 처리는 화학적 박리를 수행할 자격이 있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치료 후 케어>
화학적 박리 후, 0.3 mL의 DMK 브랜드의 BETA GEL(Danne Montague-King사 제조)을 도포하였다.
상기 GEL을 도포한 후,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침적물을 하기 조건하에서 처리된 영역 중 하나에 도포하였다.
섬유 형성을 위한 용액 A는 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 BM-1, Sekisui Chemical Co., ltd. 제조) 12 질량%, 1,3-부틸렌 글리콜 6.8 질량%, 및 밸런싱 에탄올(99.5%)로 구성된다.
용액 A는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화학적 박리 후 좌측 상부 내부 영역을 덮도록 정전기적으로 분무되었다.
전압: 14.5kV
유속: 0.08 mL/min
노즐에서 피부까지의 거리: 14cm
반복 시간: 10 초
실온: 20℃, 습도: 45% RH
전술한 바와 같이, 오직 BETA GEL만이 다른 처리된 영역에 적용되었고, 섬유 침적물 적용이 있는 영역에는, BETA GEL 및 섬유 침적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케어가 하루 2회 적용되었으며; 케어는 피부의 발적 및 스캡(scab)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되었다.
<결과들>
섬유 침적물 적용이 없는 영역에서는 20일 만에 발적이 사라졌고 스캡이 제거되는 반면, 섬유 침적물 적용이 있는 영역에서는 8일 만에 발적이 사라졌고 스캡이 제거되었다.
실시예 2 (화학적 박리 2)
<화학적 박리 2>
AHA/BHA/레티놀(살리실산 14 질량%, 젖산 14 질량%, 레티놀 14 질량%, 잔부: 정제수)을 산 제형으로 사용하였고, 2 cm x 2 cm 범위의 오른쪽 팔에 도포하였고,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3 개의 정사각형 영역을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산 제형을 위생 솜으로 피부로부터 닦았다. 이러한 처리는 화학적 박리를 수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치료 후 케어>
두 영역에 대하여, BETA GEL의 양을 0.5 mL로 변경하고, 정전기적 분무 시간을 30초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 후 케어를 수행하였다. 섬유 침적물을 두 영역 중 하나에 적용하였다. 1 일 동안 케어를 수행하였고, 24시간 후에 발적이 사라졌고; 따라서 케어를 종료하였다.
<결과들>
치료 6일 후, 오른쪽 팔은 6시간 동안 햇빛에 노출되었다. 그 결과, 어떤 케어 처치 없는 영역에 많은 작은 물집이 형성되었고, 섬유 침적물이 적용되지 않은 BETA GEL 도포만을 갖는 영역에 여러 개의 작은 물집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섬유 침적물이 도포된 곳에 물집은 관찰되지 않았다.
예 3 (알카리 클렌징 처리)
알칼리 세정제로 전처리한 후 효소마스크 처리한 볼에 하기 제조예 1과 같은 시트 제형을 적용한 결과 우수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다. 알칼리 클렌징 처리는 그것을 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시트 제형도 전문가에 의해 적용되었다.
<제조예 1: 시트 제형>
테이블 1 에 나타낸 각 성분을 칭량하고, 그 혼합물을 추진제 믹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섬유 침적물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JP 2020-90097호의 기재에 따라 섬유 침적물 형성용 조성물을 정전기적 방법으로 사용하여 필름을 형성하고, 그 필름을 눈 및 외부 코너 아래 영역을 커버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섬유 침적물로 구성된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트의 섬유 두께(원형 당량 직경)는 700 nm, 평량은 1.3 g/m2, 섬유량은 1.08 g/m2 이었다.
성분 (질량%) 제조예 1
c2 폴리비닐부티랄 *1 12.0
c4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2 0.5
c3 1,3-부틸렌 글리콜 2.0
c1 에탄올 수용액(99.5질량%) 85.5
총계 (질량%) 100.0
테이블 1 의 기호는 다음과 같다.
*1 S-Lec B BM-1 (Sekisui Chemical Co., Ltd.)
*2 Varisoft TA100 (Evonik Japan Co., Ltd.)
실시예 4 : 효소 마스크 처리
효소 마스크 처리로 전처리한 볼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전기적 분무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로 구성된 시트를 도포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다. 효소 마스크 처리는 그렇게 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실시예 5 레이저 처리
레이저 처리로 전처리된 왼쪽 볼에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체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전기적 분무에 의해 도포하였다. 실시예 3 에서 도입된 시트를 눈 주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왼쪽 볼이 오른쪽 볼에 비해 덜 건조되고 자극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저 처리는 그렇게 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가 수행하였으며, 정전기적 분무에 의해 섬유가 침적되었고, 시트는 패널리스트가 직접 적용하였다.
실시예 6 여드름 치료
여드름 치료로 전처리한 턱선과 팔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전기적 분무를 통해 준비된 나노섬유로 구성된 시트를 적용하였다. 실시예 3 에서 도입된 시트를 입의 주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다. 여드름 치료는 그렇게 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정전기적 분무에 의한 섬유 침적 및 시트는 패널리스트에 의해 직접 적용되었다.
실시예 7 마이크로니들링
볼과 눈밑 부위, 턱, 이마 부위에 마이크로니들링 처리를 수행한 후, 정전기적 분무에 의해 나노섬유로 구성된 섬유 침적물을 도포하였다. 실시예 3 에서 도입된 시트를 눈 주변과 입 주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다. 마이크로니들링 처리는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었고, 정전기적 분무에 의한 섬유 침적 및 시트는 패널리스트에 의해 직접 적용되었다.
실시예 8 왁스 처리
눈썹은 왁스로 제거되었다. 실시예 3 에서 도입된 시트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개선 경향이 관찰되었다. 왁스 처리는 그렇게 행하도록 허용된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었다. 시트 또한 전문가가 적용했다.
참조 부호 리스트
10 정전기적 분무 장치
11 저전압 전력 공급기
12 고전압 전력 공급기
13 보조 전기 회로
14 펌프 메커니즘
15 용기
16 노즐
17 파이프라인
18 가요성 파이프
19 전류 제한 저항
20 하우징

Claims (12)

  1. 하기의 단계 A) 및 그 다음에 단계 B) 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A) 상기 피부의 표피를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 를 거친 상기 피부에 섬유 침적물 (fiber deposit) 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는 하기 성분들 (a) 및 (b) 를 포함하는 조성물 X 를 상기 피부에 정전기적으로 분무하는 단계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 및
    b)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는 전기방사 또는 멜트블로잉에 의해 얻어진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인 섬유 침적물로 이루어진 필름을 부착하는 것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전에 또는 후에, 하기 단계 C) 를 더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C)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Y 를 적용하는 단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에서 사용되는 상기 조성물 Y 는 점착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는 하기 성분들 (c) 및 (d) 를 포함하는 조성물 Z 를 적용하는 것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c) 20℃에서 액체 상태인 오일제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d) 평균 섬유 직경이 0.01 내지 7 μm 의 범위이고, 종횡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0 내지 1,000 의 범위인 섬유.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는 상기 피부의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층을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것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는 화학적 박리, 알칼리 클렌징 처리, 탈모제 왁싱, 피부박리, 미세피부박리, 마이크로니들링, 고주파 마이크로니들링, 레이저 처리, IPL 처리, 한랭요법, 문신 처리, 문신 제거, 여드름 처리, LED 처리, 효소 마스크 처리 및 혈장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표피 처리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9.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중합체는 수불용성 섬유-형성 중합체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섬유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수불용성인 섬유-형성 중합체인,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11.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피부의 표피 상에 섬유 침적물을 함유하는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의학적 수술은 배제되는 것인, 피부 치료 방법.
  12.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피부 표피의 자극 완화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섬유의 용도.
KR1020227013938A 2019-10-31 2020-10-30 피부 치료 방법 KR20220097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28734P 2019-10-31 2019-10-31
US62/928,734 2019-10-31
US17/082,522 2020-10-28
US17/082,522 US20210128896A1 (en) 2019-10-31 2020-10-28 Method for treating skin
PCT/US2020/058178 WO2021087239A1 (en) 2019-10-31 2020-10-30 Method for treating sk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887A true KR20220097887A (ko) 2022-07-08

Family

ID=7568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938A KR20220097887A (ko) 2019-10-31 2020-10-30 피부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28896A1 (ko)
EP (1) EP4051214A4 (ko)
JP (2) JP2022545574A (ko)
KR (1) KR20220097887A (ko)
CN (1) CN114615965A (ko)
BR (1) BR112022008231A2 (ko)
TW (1) TW202131904A (ko)
WO (1) WO20210872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001000A (en) * 1999-10-08 2001-04-23 University Of Akron, The Electrospun skin masks and uses thereof
US9572880B2 (en) * 2010-08-27 2017-02-21 Sienna Biopharmaceuticals, Inc. Ultrasound delivery of nanoparticles
EP2758032B1 (en) * 2011-09-21 2021-10-27 Shiseido America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nditions of compromised skin barrier function
SG11201803180PA (en) * 2015-10-19 2018-05-30 Kao Corp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JP6140877B2 (ja) * 2015-11-12 2017-05-31 花王株式会社 被膜形成装置
JP6618404B2 (ja) * 2016-03-29 2019-12-11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保湿化粧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3545941B1 (en) * 2016-11-22 2021-10-13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for cosmetic preparation
JP6509403B2 (ja) * 2017-04-19 2019-05-08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方法
CN107412037A (zh) * 2017-04-26 2017-12-01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皮肤美白方案及其应用
JP7222651B2 (ja) * 2017-10-12 2023-02-15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固形化粧料
JP7083263B2 (ja) * 2018-03-28 2022-06-10 株式会社コーセー メイクアップ保護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28896A1 (en) 2021-05-06
CN114615965A (zh) 2022-06-10
EP4051214A4 (en) 2024-04-03
EP4051214A1 (en) 2022-09-07
WO2021087239A1 (en) 2021-05-06
JP2022545574A (ja) 2022-10-27
TW202131904A (zh) 2021-09-01
BR112022008231A2 (pt) 2022-07-12
JP2023123705A (ja)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0054B2 (ja) 被膜の製造方法
JP6843020B2 (ja) 被膜の製造方法
JP6966455B2 (ja) 侵襲的且つ非侵襲的な処置上のスキンケア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Monheit The Jessner's+ TCA peel: a medium-depth chemical peel
US7179477B2 (en) Cosmetic dermabrasion treatment system
JP7216484B2 (ja) 紫外線防御被膜の製造方法
US20070154502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microdermabrasion
EP1539003A1 (en) Microdermabrasion composition and kit
US20070154419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chemical peel procedure
JP7216485B2 (ja) 化粧被膜の製造方法
US7025976B2 (en) Microdermabrasion
Matarasso et al. Cutaneous resurfacing
US20070166252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tattoo removal
US20210128896A1 (en) Method for treating skin
Fintsi Exoderm—a novel, phenol-based peeling method resulting in improved safety
US20070154442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hair removal procedure
US7976854B2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skin cancer treatment
JP7227701B2 (ja) 紫外線防御被膜の製造方法
RU2253437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TWI786558B (zh) 使用奈米纖維用於修復皮膚的方法
US20070249714A1 (en) Method of treating skin requiring fractional resurfacing treatment
Cervantes et al. Superficial Peeling
Sethi PREPARING THE PATIENT FOR THE GLYCOLIC ACID PEEL
Peeling et al. KEY FEATURES
Monheit et al. Medium depth chemical pe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