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069A -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069A
KR20220097069A KR1020200190051A KR20200190051A KR20220097069A KR 20220097069 A KR20220097069 A KR 20220097069A KR 1020200190051 A KR1020200190051 A KR 1020200190051A KR 20200190051 A KR20200190051 A KR 20200190051A KR 20220097069 A KR20220097069 A KR 2022009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box
inner box
outer box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9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 신원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원인팩 filed Critical (주) 신원인팩
Priority to KR102020019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7069A/ko
Publication of KR2022009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8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rawer-and-shell-typ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홍삼, 커피, 차와 같은 일회용 티백의 복수개를 수용하는 내부상자; 및 상기 내부상자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상자를 인출시 걸림수단으로 인해 일부분만 인출시키는 외부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걸림수단으로 인해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어 내부상자에수용되는 물품도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과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PACKING BOX WITH LOCKING MEANS}
본 발명은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걸림수단으로 인해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어 내부상자에 수용되는 물품도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과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보관,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 다양한 포장케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포장케이스는 상품이 보관되는 케이스의 일단부에 커버가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의 상부에서 커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포장케이스의 형태는 원통형이나 사각 박스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재질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골판지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포장케이스가 원통형이나 육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휴대하기 불편하고, 액상 물질을 파우치 형태로 포장한 제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적재 및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포장케이스가 두꺼운 골판지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케이스의 무게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포장케이스가 종이 등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포장케이스가 쉽게 파손되거나, 케이스 커버가 이탈되어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포장케이스가 쉽게 파손되거나, 개폐구조가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포장케이스에 보관되는 상품이 고가의 상품인 경우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884호(발명의 명칭: 슬라이드식 담배케이스, 등록일자: 2004년 01월 14일)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100호(발명의 명칭: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포장상자, 등록일자: 2017년 03월 2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걸림수단으로 인해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어 내부상자에수용되는 물품도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과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는, 홍삼, 커피, 차와 같은 일회용 티백의 복수개를 수용하는 내부상자; 및 상기 내부상자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상자를 인출시 걸림수단으로 인해 일부분만 인출시키는 외부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는,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4측면에 접착되는 접착면과, 상기 제3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닥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상기 지지면 중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면은 상기 바닥면의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상자로부터 인출시 기립으로 인해 걸리게 되면서 상기 내부상자가 상기 외부상자에 일부만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의 상부에 요홈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외부상자로부터 인출시 기립으로 인해 걸리게 되면서 상기 내부상자가 상기 외부상자에 일부만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단면에 접힘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이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제4측면, 제5측면, 제6측면이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연계되는 상기 제3측면의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4측면과 연계되는 상기 제6측면의 사이에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 하부에 복수의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상자를 받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걸림수단으로 인해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빠질 염려가 없어 내부상자에수용되는 물품도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포장 및 운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과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내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외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중 내부상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내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일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내부상자가 외부상자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내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외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중 내부상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내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상자(110), 외부상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부상자(110)는 홍삼, 커피, 차와 같은 일회용 티백의 복수개를 수용한다.
내부상자(110)는 측면(111), 접착면(112), 바닥면(113)으로 구성된다.
측면(111)은 제1측면(111), 제2측면(111), 제3측면(111), 제4측면(111)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측면(111a), 제2측면(111b), 제3측면(111c), 제4측면(111d)은 폭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측면(111a)과 제3측면(111c)은 폭이 동일하고, 제2측면(111b)과 제4측면(111d)은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되, 제1측면(111a)과 제3측면(111c)의 폭은 제2측면(111b)과 제4측면(111d)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측면(111a)과 제3측면(111c)의 상부에 요홈(H1)이 각각 형성된다.
요홈(H1)은 내부상자(110)에 수용한 복수개의 티백을 용이하게 빼내기 위한 용도이다.
접착면(112)은 제1측면(111a)에 연장 형성되어 제1측면(111a)에 대응되는 제4측면(111d)에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접착면(112)은 제1측면(111a)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측면(111a)에 대응되는 제4측면(111d)의 일단 안쪽면에 접착된다.
접착면(112)의 폭은 측면(1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접착면(112)은 접착제,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외부상자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바닥면(113)은 제3측면(111c)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면(113)은 제3측면(111c)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조립시 제1측면(111a)과 제3측면(111c)의 하면을 밀폐시켜 내부상자(110)에 수용되는 복수의 티백의 인출을 차단한다.
바닥면(113)의 일단면에 결합리브(R)가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결합리브(R)는 양측에 소정의 길이인 절제부(R1)가 형성된다.
바닥면(113)을 기준으로 양측에 지지면(113b, 113c)이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지지면(113c)은 제2측면(111b)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면(113b)은 제4측면(111d)에 연결된다.
내부상자(110)의 조립시 결합리브(R)는 제1측면(111a)의 내측에 밀착되게 삽입되는데, 결합리브(R)의 절제부(R1)가 지지면(113b, 113c)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3c')와 결합으로 인해 결합력이 향상된다.
지지면(113b, 113c)은 제2측면(111b)과 제4측면(111d)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어 바닥면(113)을 지지한다.
제2측면(111b)과 제4측면(111d)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면(113b, 113c) 중 제4측면(111d)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면(113b)은 바닥면(113)의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상자(120)로부터 인출시 기립으로 인해 걸리게 되면서 내부상자(110)가 외부상자(120)에 일부만 인출된다.
내부상자(110)는 외부상자(120)의 하면(123)에 걸리게 하여 인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는 별도의 걸림수단없이 내부상자(110)의 지지면(113b, 113c)을 통해 가능한 구조이다.
외부상자(120)는 내부상자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 내부상자(110)가 수용되고, 내부상자(110)를 인출시 걸림수단으로 인해 일부분만 인출시킨다.
외부상자(120)는 상면(121), 측면(122), 하면(123), 접착면(124)으로 구성된다.
상면(121)은 외부상자(120)의 조립시 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측면(122)은 상면(121)의 양단면에 접힘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측면(122a), 제2측면(122b), 제3측면(122c)이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제4측면(122d), 제5측면(122e), 제6측면(122f)이 연계되도록 형성된다.
측면(122)은 상면(121)을 기준으로 제1측면(122a), 제2측면(122b), 제3측면(122c)과 제4측면(122d), 제5측면(122e), 제6측면(122f)으로 구획된다.
제1측면(122a)과 제1측면(122a)과 연계되는 제3측면(122c)의 사이에 구멍(H2)이 형성되고, 제4측면(122d)과 제4측면(122d)과 연계되는 제6측면(122f)의 사이에 구멍(H2)이 형성된다.
구멍(H2)은 외부상자(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상자(110)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외부상자(120)의 내부에서 내부상자(110)를 용이하게 인출시키기는 용도이다.
하면(123)은 상면(121)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제1측면(122a)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면(123)은 제1하면(123a), 제2하면(123b), 제3하면(123c)으로 구성되되, 제1하면(123a)을 기준으로 양단부에 제2하면(123b)과 제3하면(123c)이 접힘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하면(123) 중 제3하면(123c)은 내부상자(110)의 지지면(113b)이 기립되면서 걸리도록 구성되어 내부상자(110)가 외부상자(120)로부터 전체가 인출되는 것이 아닌 일부만 인출되도록 한다.
접착면(124)은 상면(121)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제4측면(122d)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면(123)에 접착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접착면(124)은 제4측면(122d)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면(123)의 일단 안쪽면에 접착된다.
접착면(124)의 폭은 하면(12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접착면(124)은 접착제,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구비되어 외부상자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외부상자(120)는 하부에 복수의 받침돌기(P)가 돌출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외부상자(120)를 받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받침돌기(P)는 제1측면(122a)과 제4측면(122d)의 일단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바닥에 있을지 모를 물이나 흙과 같은 지저분한 것들로부터 청결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복수의 티백을 내부상자(110)에 수용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충격이 약한 유리와 같은 제품이 수용되는데, 복수의 받침돌기(P)로 인해 외부 충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할 수도 있다.
내부상자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은 도 1에 따른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중 내부상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내부상자를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내부상자(210)는 제1측면(211a)과 제3측면(211c)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편(T)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상자(120)로부터 인출시 기립되어 걸리게 된다.
내부상자(110)는 걸림편(T)으로 인해 외부상자(12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일부만 인출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내부상자(210)가 제1측면(211a)과 제3측면(211c)에 형성되는 걸림편(T)으로 인해 외부상자(220)의 제3측면(222c)이나 제6측면(222f)에 걸리게 되어 외부상자(220)에 일부만 인출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내부상자(210)의 지지면과 외부상자(220)의 제3하면을 통해 추가적으로 인출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110 : 내부상자
111 : 측면
112 : 접착면
113 : 바닥면
113b, 113c : 지지면
120 : 외부상자
121 : 상면
122 : 측면
123 : 하면
124 : 접착면
H1: 요홈
H2 : 구멍
P : 받침돌기
R : 결합리브
R1 : 절제부
T : 걸림편

Claims (9)

  1. 홍삼, 커피, 차와 같은 일회용 티백의 복수개를 수용하는 내부상자; 및
    상기 내부상자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부상자를 인출시 걸림수단으로 인해 일부분만 인출시키는 외부상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상자는,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제1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4측면에 접착되는 접착면과,
    상기 제3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상기 지지면 중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지지면은 상기 바닥면의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상자로부터 인출시 기립으로 인해 걸리게 되면서 상기 내부상자가 상기 외부상자에 일부만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의 상부에 요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외부상자로부터 인출시 기립으로 인해 걸리게 되면서 상기 내부상자가 상기 외부상자에 일부만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
    상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단면에 접힘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이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제4측면, 제5측면, 제6측면이 연계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상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면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4측면의 일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연계되는 상기 제3측면의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4측면과 연계되는 상기 제6측면의 사이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는 하부에 복수의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상자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1020200190051A 2020-12-31 2020-12-31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20220097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51A KR20220097069A (ko) 2020-12-31 2020-12-31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51A KR20220097069A (ko) 2020-12-31 2020-12-31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069A true KR20220097069A (ko) 2022-07-07

Family

ID=8239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90051A KR20220097069A (ko) 2020-12-31 2020-12-31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70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160B2 (en) Combined storage apparatus
KR101463269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20220097069A (ko) 걸림수단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KR102130449B1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MX2012011308A (es) Cajon.
KR101003527B1 (ko) 서랍형 포장 박스
KR200496433Y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0736468B1 (ko) 포장용 상자
KR100687922B1 (ko) 포장상자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381612Y1 (ko) 칸막이용 운반 손잡이를 구비한 상자
KR10092271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53474Y1 (ko) 포장용 상자
KR101021196B1 (ko) 수납 케이스
KR200240045Y1 (ko) 농산물용 포장상자
JP7171303B2 (ja) 梱包箱
JP3030871U (ja) 医療用具用梱包箱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102425211B1 (ko) 포장상자
JP2002019848A (ja) 包装構造
JP3490556B2 (ja) 収容箱
JP2005280824A (ja) 組立式箱
KR200395620Y1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