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38A -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38A
KR20220096638A KR1020200189260A KR20200189260A KR20220096638A KR 20220096638 A KR20220096638 A KR 20220096638A KR 1020200189260 A KR1020200189260 A KR 1020200189260A KR 20200189260 A KR20200189260 A KR 20200189260A KR 20220096638 A KR20220096638 A KR 2022009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electric pole
pole
reinforcement structure
bind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119B1 (ko
Inventor
김우범
남계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남계희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를 사용하여 전주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d electric po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을 지지하는 전주를 보강하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주(electric pole)는 전신, 전화, 전등 등의 전선을 지지하는 기둥으로서 주로 교류 배선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며, 철근콘크리트주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주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한 단부 전주의 경우, 또는 중간에 위치하나 수평하중을 많이 받는 경우, 지선(supporting wire)을 설치하는데 지선이란 휨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케이블을 말한다.
종래의 지선은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부에 철밴드를 장착하고, 지선의 말단을 연결하여 대각선으로 지면에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즉, 전주가 일측으로부터 받는 장력을 반대측의 지선이 버티는 구조로 지선의 하부와 전주를 이격시켜 설치할 수 밖에 없어 많은 설치공간을 요구하고 통행에 방해가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5352호의 전주용 수직지선장치는 전주를 따라 수직으로 지선을 설치하는 점을 개시하고 있으나, 전주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지선이 설치되는 점에서 전주의 휨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172202호의 경우에도 수직으로 지선이 설치되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주의 휨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유지 관리가 불편한측면이 있다.
따라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하여 전주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전주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2172202호 (2020.10.26)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5352호 (1999.12.06)
본 발명의 목적은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는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는 지면에 하측이 매립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속밴드 중 상부 결속밴드들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외부에 ㄱ형강을 포함하는 보강 트러스 구조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밴드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는,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를 타격하여 매립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머지 보강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상부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트러스와 상기 결속 밴드 중의 상부 결속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에 의하면,
첫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를 사용하여 전주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 밴드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셋째,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수직으로 분절도 가능하므로 전주의 여건에 따라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넷째,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면에 매립하여 더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다.
다섯째, 결속밴드 중 상부 결속밴드들과 보강 트러스 구조를 서로 결합하여 더 큰 보강이 가능하다.
여섯째, 전주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발판용 볼트의 위치와 결속밴드의 위치가 일치할 때 삽입홀을 미리 만들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일곱째, 보강 플레이트와 결속밴드의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K-K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E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J-J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C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K-K선의 단면도, 도 7은 도 1의 D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1의 E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J-J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구조는 보강 플레이트(100) 및 복수의 결속 밴드(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주(P)는 콘크리트(CC)와 보강근(RB)을 포함한다.
보강 플레이트(100)는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라운드 형상을 한 구조물이다. 보강 플레이트(100)는 전주(P)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편의상 전주(P)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싼 것만 도시하였으나 수직으로 분절하여 전주(P) 외주면의 전부를 감싸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00)의 높이는 도면상에는 전주(P) 상부의 일부가 노출되게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보강 플레이트(100)는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00)의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100L)는 지면(P)에 하측이 매립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1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110)가 구비되고, 플랜지(110)끼리 볼트(B) 체결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속 밴드(200)는 전주(P)의 외주면 및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보강 플레이트(100)를 전주(P)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결속 밴드(200) 자체는 전주(P)와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싼 후에 볼트(B) 결합하게 된다.
도 1에는 결속 밴드(200)의 개수가 6개인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속밴드(200) 중 상부 결속밴드들(200U)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210)이 형성되고, 보강 트러스 구조(300)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될 수 있다.
보강 트러스 구조(300)는 상부 결속밴드(200U) 3개와 결합한 것이 도시되어 있고, 결합을 위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쌍ㄱ형강이 상부 결속밴드(200U)와 결합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ㄱ형강들이 상부 결속밴드(200U)와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ㄱ형강들의 타단은 가셋 플레이트(GP)와 볼트(B) 결합한다.
도 4에는 가장 위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도 5에는 중간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도 7에는 아래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와의 결합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결속밴드(200) 중 상부 결속밴드들(200U)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210)이 형성되고, 보강 트러스 구조(300)의 ㄱ형강(310)의 단부와 볼트(B) 결합한다.
보강 트러스 구조(300)가 이용될 경우 보강 플레이트(100)의 높이는 전주(P) 전체의 높이가 아니어도 가능하다. 도 7에는 이러한 예시로 보강 플레이트(100)가 아래에 위치한 상부 결속밴드(200U) 정도까지만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밴드(200)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40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주(P)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발판용 볼트(400)의 위치와 결속밴드(200)의 위치가 일치할 때 이렇게 삽입홀(220)을 미리 만들어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도 8에는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W)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용접(W)으로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를 일체화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주 보강 방법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70을 포함한다.
먼저, 단계 S110은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100L)를 타격하여 매립하는 단계이다.
단계 S120에서는 전주(P)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머지 보강 플레이트(100)를 배치한다.
단계 S130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110)끼리 볼트(B) 체결로 결합한다.
단계 S140은 전주(P)의 외주면 및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200)를 체결하는 단계이며, 결속 밴드(200) 자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볼트(B) 결합할 수 있다.
단계 S150은 도 7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밴드(200)를 용접(W)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로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60은 상부 트러스(300)를 조립하는 단계이고, 단계 S170은 상부 트러스(300)와 결속 밴드(200) 중의 상부 결속 밴드(200U)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 밴드(200)를 사용하여 전주(P)를 보강하므로 지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주(P)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보강 플레이트(100)와 결속 밴드(200)의 사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보강 플레이트
200...결속 밴드
300...보강 트러스

Claims (10)

  1.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라운드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 및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전주와 결속시키고,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전주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절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 중 하단의 보강 플레이트는 지면에 하측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 중 상부 결속밴드들은,
    각각 외면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외부에 ㄱ형강을 포함하는 보강 트러스 구조로 서로 결합하여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밴드는,
    필요에 따라 발판용 볼트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는,
    결합이 완료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구조.
  9.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부 보강 플레이트를 타격하여 매립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나머지 보강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끼리 볼트 체결로 결합하는 단계;
    전주의 외주면 및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상부 트러스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트러스와 상기 결속 밴드 중의 상부 결속 밴드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주 보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 밴드를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결속밴드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보강 방법.
KR1020200189260A 2020-12-31 2020-12-31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KR10251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ko) 2020-12-31 2020-12-31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ko) 2020-12-31 2020-12-31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38A true KR20220096638A (ko) 2022-07-07
KR102518119B1 KR102518119B1 (ko) 2023-04-05

Family

ID=8239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60A KR102518119B1 (ko) 2020-12-31 2020-12-31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1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52A (ko) 1998-05-16 1999-12-06 양우현 전주용 수직지선장치
KR200372775Y1 (ko) * 2004-10-28 2005-01-14 정대용 고정 밴드
JP2005307465A (ja) * 2004-04-19 2005-11-04 Tetsuhiko Aoki 鋼管構造物の補強部材集合体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20160018100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KR20190078143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전주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보강 공법
KR102172202B1 (ko) 2013-09-27 2020-10-30 한국전력공사 지선이 설치된 전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52A (ko) 1998-05-16 1999-12-06 양우현 전주용 수직지선장치
JP2005307465A (ja) * 2004-04-19 2005-11-04 Tetsuhiko Aoki 鋼管構造物の補強部材集合体
KR200372775Y1 (ko) * 2004-10-28 2005-01-14 정대용 고정 밴드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102172202B1 (ko) 2013-09-27 2020-10-30 한국전력공사 지선이 설치된 전주
KR20160018100A (ko) * 2014-08-08 2016-02-17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KR20190078143A (ko) * 2017-12-26 2019-07-04 한국전력공사 전주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보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119B1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5927A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9896859B2 (en) Link-plate connection for monopole reinforcing bars
KR10168439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후방의 다단 억지말뚝을 이용한 지지 구조를 가지는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96638A (ko) 전주 보강 구조 및 방법
KR102400378B1 (ko) 전주용 보강구조
KR20110106642A (ko) 제거식 유턴 앵커용 내하체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KR101038290B1 (ko) 층고절감형 철골보와 pc슬래브의 접합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128659A (ko) Pc기둥 및 pc보를 이용한 램프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20090079167A (ko) 강관 폴의 접합 구조 및 이것에 의해 접합된 강관 폴
WO2020185052A1 (ko) V형 띠철근 조립체
KR20130061537A (ko)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KR100343498B1 (ko) 기둥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강방법
KR20190018299A (ko) 송전철탑 교체용 지지물 및 그 설치방법
US9714520B1 (en) Direct anchorage termination for pole reinforcement
KR101600240B1 (ko) 공작물 방호용 y형 지지물
KR102126907B1 (ko) 지형에 따라 지지구조물의 지지가 용이한 근가장치
KR20090056952A (ko) 강관주 설치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1314058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교통시설물 철주
KR102654499B1 (ko) 보강구조를 갖는 통신주의 시공방법
JPH09317242A (ja) 電柱の支持方法
KR200394568Y1 (ko) 콘크리트 보강재용 유형 와이어 메시
KR20100110962A (ko) 친 환경형 강관 전주 및 그 시공방법
KR200359420Y1 (ko) 전주용 궁지선 금구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