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5052A1 - V형 띠철근 조립체 - Google Patents

V형 띠철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5052A1
WO2020185052A1 PCT/KR2020/003598 KR2020003598W WO2020185052A1 WO 2020185052 A1 WO2020185052 A1 WO 2020185052A1 KR 2020003598 W KR2020003598 W KR 2020003598W WO 2020185052 A1 WO2020185052 A1 WO 20201850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aped
belt reinforcement
reinforcement
arc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35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욱 filed Critical 박성욱
Publication of WO20201850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50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22Open cages, e.g. connecting stirrup b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a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that improves field workability by configuring and then integrating a plurality of V-type belt reinforcing bars in a bundle shape, and easy maintenance of spacing and improved reinforcing performance. It is about.
  • Band reinforcement is a reinforcing bar or wire hoop that surrounds the main reinforcing bar, meaning reinforcing bars or wires continuously wound in a circular, square or polygonal shape, and its role is to reinforce the vertical main reinforcing bars of concrete columns, and buckling [ ⁇ : It prevents the phenomenon of b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limit of vertical stress occurring in the column structure.
  • the belt reinforcement is generally arranged in a shape that surrounds each vertical reinforcing bar, but in the case of a column having a wider arrangement interval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or a large number of main bars, auxiliary belt reinforcing bars of various shapes are additionally installed therein.
  • the existing auxiliary belt reinforcement is called a cross tie, and has a bending angle of 90 degrees at one end and 135 degrees at the other end, and the main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to prevent buckling of the main reinforcing bars, thereby increasing the transverse restraint effect of the compressive material.
  • V-shaped (or U-shaped) belt reinforcement plays a role of replacing the existing cross ties (auxiliary belt reinforcement).
  • the 90 degree hook part is released due to the installation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cross ties and the repeated lateral force after installation. This is a configuration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 V-shaped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individually, there is a need for structural improvement that can increase work time and improve workability.
  • Patent No. 10-1913818 (column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V-type belt reinforcement for seismic desig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cludes the existing pillars with reinforced reinforcement inside concrete; A plurality of reinforced main reinforcement bars that are vertically laid outside the existing pillars; Reinforcing band reinforcement reinforc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d main reinforcement bars; A V-shaped fixing par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nt part, and an extended fixing part that is bent upward or downward at the end of the fixing part and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isting column is integrally provided, and the inside of the bent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reinforced main reinforcing bar, and the fixing part V-shaped belt reinforcement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main reinforcement to face the existing pillar; And steam concrete that is cast on the outside of the existing column so that the reinforced main reinforcement and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are buried inside.
  • a technology including a is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an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V-type belt reinforcing bars are combined in a bundle form due to a single medium, and field construct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that can effectively maintain the spacing between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and enhance the reinforcement effect,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due to impact during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shaped belt reinforcement consisting of an anchor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and arranged at intervals so as to have different heights, and a vertical direction connecting all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coupled through the support rod of the.
  • the support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 the support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 ⁇ " shaped ring portion is further formed.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clip that is coupled to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main reinforcement located inside the bent portion.
  • the fixing clip An arc-shaped support part that is bent in an arc shape so that the anchor portions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are se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and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is spread at a certain width so that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rc-shaped support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ead-in guide portion formed with a narrower width, and an elastic actuating portion bent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both sides at the upper center of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 in which V-type belt reinforcing bars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a support rod, so that several V-type belt reinforcing bars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on one main reinforcing bar. It can have an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and can increase the reinforcing effect,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eformation due to impact during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reinforcement and the hoop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reinforcement and the hoop
  • FIG. 4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ber of support bars in the form (A), (B), (C), (D)
  •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suppor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waveform structure
  •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 ⁇ " shaped ring part is further formed on the support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hoop muscl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6
  • FIGS 8 to 9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clip is further coupled to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to 1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otation prevention is further coupled to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type belt reinforcement 100 comprising an anchor portion 120 having a bent portion 110 formed in the center and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110 as shown in FIG. 1. )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s so as to have different heights, and is a vertical support rod 200 connecting all the V-shaped belt reinforcing bars 100; .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applied to the use of the auxiliary belt reinforcement where the main reinforcement 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op reinforcement 2 in the for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reinforcement 1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2.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V-shaped belt reinforcing bars 100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vertically formed support rod 200, several V-shaped reinforcing bars 1 are attached to one main reinforcing bar 1 as shown in FIG. 2 or 3.
  • the belt reinforcement 100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so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work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 the support rod 200 is a medium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V-shaped band reinforcement bars 100,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o be applied as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bonding force and durability between the components.
  • a method in which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upport rod 200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coupling means (not shown), and may be performed through a bonding method such as welding. If the shape of the coupling means is configured to move within the support rod 200, the position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can be immediately adjusted and used in the field.
  • the support rod 200 must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ent portion 110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The reason is that when the support rod 2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110, interference problems occur when the main reinforcing bar (1) and the hoop (2) are combined, and construction quality may be degraded. have.
  • the number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coupled to the support rod 200 is preferably applied in three to six, but it may be more depending on the field conditions and the skill of the operator, as well as the V-shaped
  • the fixed interval of the belt reinforcement 100 may also be made at an uneven interval in addition to the equal interval.
  • FIG. 4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and the number of support rod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limit the shape of the V-shaped belt reinforcing bar 100, an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apply the form.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upport rods 200 is configured in plural, a more robust coupling structure may be obtained.
  • the outwardly curved portion 210 and the inwardly curved portion 220 may be repeatedly formed in a corrugated structure.
  •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s coupled to the outward bent portion 210 so that it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hoop muscle 2, and the inward bent portion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reinforcing bar (1). It can be in the form of becoming.
  •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y additionally fixing the inwardly curved portion 220 through a binding line 230 as necessary.
  •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 ⁇ "-shaped ring part 240 is further formed on the supporting ro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ing part 240 is a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t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ormed part and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op muscle 2 as shown in FIG. 7 to increase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a finger can be put into the inside of the ring part 240 in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serve as a handle. And by suppor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op muscle (2) by the ring portion 240 can prevent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from rotating.
  • the ring part 240 may be formed only in one part, bu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in order to obtain a stable mount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clip 300 that is coupled to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as shown in FIGS. 8 and 9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main reinforcement 1 located inside the bent part 110 I can.
  • the fixing clip 300 is; As shown in Figure 8, as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bent portion 110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based on the main reinforcement 1,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s separated outward. To prevent it.
  •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clip 300 is an arc-shaped support portion 310 that is bent in an arc shape so that the anchor portion 120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s seat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10,
  •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s opened to a certain width so that it can be drawn inward, but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interval of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 310, and th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the upper center of the arc-shaped support part 310 is formed of an elastic operation part 330 that is bent so that elastic deformation can be made to both sides.
  •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 310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anchor portions 120 on both sides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rc-shaped supporting portions 310 is the anchor portion 120 of the coupled portion By making the gap equal or narrower, it is fitted in a form that is strongly adher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xing clip 300.
  • the lead-in guide portion 320 is formed in an open shape under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 310 so that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can be drawn in, but when seated on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 310 In order to prevent, the spacing of the lead-in guide part 32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of the arc-shaped support part 310. In addition, by forming a bent outwardly at the lower end of the lead-in guide part 320, the coupling guide can be stably made.
  • the elastic actuating unit 330 is formed between the arc-shaped support portions 310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a width in which the spacing of the arc-shaped supporting portions 310 can be changed, and as the elastic actuating unit 330 is present, It has a structural advantage of maintaining a strong coupling force by the restoring tension of the arc-shaped support part 310 while allow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rt 310 to be easily performed.
  • the elastic operation unit 330 also functions as a handle, when the fixing clip 300 is press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the elastic operation unit 330 is pressed by hand. Can be easily combined with.
  • the elastic operation unit 330 may be bent by 90 degrees to facilitate the pressing op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rotation of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100) is coupled to the V-type belt reinforcement 100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ures 11 to 12.
  • the rotation preventer 400 is a rotation support consisting of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411 horizontally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and a leg portion 412 bent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411 (410), and a C-type fixed clip portion 420 that is coupled to the V-shaped belt reinforcement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upport 410 is hung to fix the rotating support 410; consists 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형 띠철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V형 띠철근을 다발형태로 구성한 다음 일체화함으로써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간격유지가 용이하고 보강성능이 향상된 V형 띠철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앙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로 구성되는 V형 띠철근이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가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V형 띠철근을 모두 연결하는 수직방향의 지지막대;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V형 띠철근 조립체
본 발명은 V형 띠철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V형 띠철근을 다발형태로 구성한 다음 일체화함으로써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간격유지가 용이하고 보강성능이 향상된 V형 띠철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띠철근은 주철근을 둘러싸는 철근 또는 철선 후프(Hoop)로써,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감긴 철근 또는 철선을 의미하며, 그 역할은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 주철근을 보강하며, 좌굴[座屈: 기둥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수직 응력의 한계점에서 가로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띠철근은 일반적으로 각 수직철근을 모두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나, 상기 수직철근의 배치간격이 넓어지거나 주근 개수가 많은 기둥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다양한 형상의 보조띠철근이 추가 설치된다. 기존의 보조띠철근은 크로스타이라 하여 한쪽 단부는 90도, 다른쪽 단부는 135도의 절곡각을 가져 양측에 주철근이 설치되어 주철근의 좌굴을 방지하여 압축재의 횡구속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V형(또는 U형) 띠철근은 기존의 크로스타이(보조띠철근)를 대신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기존의 크로스타이의 설치단점과 설치 후 반복되는 횡력에 90도 후크부분이 풀리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V형 띠철근은 낱개로 일일이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V형 띠철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913818호(내진 설계용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는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기존 기둥; 상기 기존 기둥의 외부에 수직방향으로 배근되는 복수의 보강 주철근; 상기 복수의 보강 주철근 외부를 감싸도록 배근되는 보강 띠철근; 절곡부의 양측에 정착부가 구비되는 V 형상으로 정착부 단부에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절곡되어 기존 기둥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연장 정착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절곡부의 내측이 보강 주철근의 외측에 밀착되고, 정착부가 기존기둥을 향하도록 상기 보강 주철근에 결합되는 V형 띠철근; 및 상기 보강 주철근 및 V형 띠철근이 내부에 묻히도록 기존 기둥의 외부에 타설되는 증타 콘크리트; 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콘크리트 증타에 의하여 기둥 보강시 기존 기둥 외부에 보강 주철근과 함께 보강 띠철근과 V형 띠철근을 배근하기 위한 기술로서, V형 띠철근의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기술적 암시가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V형 띠철근을 하나의 매개체로 인하여 V형 띠철근이 다발형태로 결합된 조립체를 구성하여, 현장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V형 띠철근 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V형 띠철근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앵커부로 구성되는 V형 띠철근이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가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V형 띠철근을 모두 연결하는 수직방향의 지지막대;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는 V형 띠철근의 절곡부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에는 "∩" 형태의 고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V형 띠철근에 결합되어 절곡부 내측에 위치하는 주철근과의 결합력을 높이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은; 내측에 V형 띠철근의 앵커부가 양측에 각각 안착 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호형지지부와, 상기 호형지지부의 하부에는 V형 띠철근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벌어지되 호형지지부의 간격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인입안내부와, 상기 호형지지부의 상부 중앙에는 양측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는 탄성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막대에 다발형태로 V형 띠철근이 일체로 결합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주철근에 여러 개의 V형 띠철근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어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종래에 비해 시공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V형 띠철근 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V형 띠철근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 조립체를 주철근 및 후프근에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V형 띠철근 조립체를 주철근 및 후프근에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V형 띠철근의 형상 및 지지막대의 개수에 따른 실시예를 (가),(나),(다),(라) 형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막대 형상이 파형구조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막대에 "∩" 형태의 고리부가 더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고리부를 후프근에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에 고정클립이 더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클립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12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에 회동방지대가 더 결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띠철근은 주철근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시공효율성이 크게 저하되었던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 조립체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V형 띠철근 조립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절곡부(110)가 형성되고 절곡부(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앵커부(120)로 구성되는 V형 띠철근(100)이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가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V형 띠철근(100)을 모두 연결하는 수직방향의 지지막대(200);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주철근(1)과 주철근(1)의 바깥 둘레 감싸는 형태의 후프근(2)이 설치된 곳에 보조띠철근의 용도로 적용되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막대(200)에 복수의 V형 띠철근(100)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도 2 또는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철근(1)에 여러 개의 V형 띠철근(100)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시공성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지지막대(200)는 복수의 V형 띠철근(100)을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다양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으나, 구성 간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고려할 때 금속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V형 띠철근(100)이 지지막대(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방법은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용접과 같은 접합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결합수단의 형태가 지지막대(20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현장에서 V형 띠철근(100)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지지막대(200)는 V형 띠철근(100)의 절곡부(110) 외측에 결합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절곡부(110) 내측에 지지막대(200)가 결합되는 형태가 될 경우, 주철근(1) 및 후프근(2)과의 결합시 간섭문제를 발생하게 되고, 시공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막대(200)에 결합되는 V형 띠철근(100)의 개수는 3개 내지 6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조건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이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V형 띠철근(100)의 고정간격 역시 등간격 이외에도 부등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V형 띠철근(100)의 형상 및 지지막대(200)의 개수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V형 띠철근(10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변경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지지막대(200)의 개수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좀 더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막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향굴곡부(210), 내향굴곡부(220)가 파형구조와 같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경우 도면과 같이 V형 띠철근(100)은 외향굴곡부(210)에 결합되어 후프근(2)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내향굴곡부(220)는 주철근(1)에 밀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향굴곡부(220)에는 필요에 따라 결속선(230)을 통해 추가로 고정하여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막대(200)에 "∩" 형태의 고리부(240)가 더 형성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고리부(240)가 V형 띠철근(100)이 결합된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프근(2)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시공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리부(240)의 안쪽으로 손가락을 넣을 수 있어 시공과정에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240)가 후프근(2)의 안쪽과 바깥쪽을 지지해줌으로써 V형 띠철근(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40)는 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지만, 안정적인 거치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V형 띠철근(100)에 결합되어 절곡부(110) 내측에 위치하는 주철근(1)과의 결합력을 높이는 고정클립(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3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철근(1)을 기준으로 V형 띠철근(100)의 절곡부(110)가 감싸는 부분의 반대편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V형 띠철근(100)이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클립(300)의 구성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V형 띠철근(100)의 앵커부(120)가 양측에 각각 안착 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호형지지부(310)와, 상기 호형지지부(310)의 하부에는 V형 띠철근(100)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벌어지되 호형지지부(310)의 간격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인입안내부(320)와, 상기 호형지지부(310)의 상부 중앙에는 양측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는 탄성작동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형지지부(310)는 V형 띠철근(100)의 양측 앵커부(120)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해주는 구성으로서, 양측 호형지지부(310)의 간격은 결합되는 부분의 앵커부(120) 간격보다 같거나 좁게 함으로써, 고정클립(300)의 탄성에 의해 강하게 밀착되는 형태로 끼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입안내부(320)는 호형지지부(310)의 하부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V형 띠철근(100)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되, 호형지지부(310)에 안착 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인입안내부(320)의 간격을 호형지지부(310)의 간격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인입안내부(320)의 하단부에는 바깥쪽으로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작동부(330)는 양측 호형지지부(310) 사이에 형성되어 호형지지부(310)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는 폭을 수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탄성작동부(330)가 존재함에 따라 호형지지부(310)의 탄성 변형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호형지지부(310)의 복원장력에 의해 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을 갖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탄성작동부(330)는 손잡이 기능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클립(300)을 V형 띠철근(100)의 상부에서 누르는 형태로 결합될 때, 탄성작동부(330)를 손으로 누르는 형태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작동부(330)는 누름동작이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90도로 꺽어진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형 띠철근(100)에 회동방지대(400)가 결합되어 V형 띠철근(100)이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방지대(400)는 V형 띠철근(1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걸쳐지는 수평지지부(411) 및 상기 수평지지부(411)의 양단부에 하향절곡되는 다리부(412)로 구성되는 회동지지대(410)와, 상기 회동지지대(410)가 걸쳐진 상태에서 V형 띠철근(100)에 결합되어 회동지지대(410)를 고정하는 C형 고정클립부(420);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수직방향의 주철근(1)과 주철근(1)의 바깥 둘레 감싸는 형태의 후프근(2)이 설치된 곳에 보조띠철근의 용도로 적용되는 V형 띠철근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에 절곡부(110)가 형성되고 절곡부(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앵커부(120)로 구성되는 V형 띠철근(100)이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높이가 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V형 띠철근(100)을 모두 연결하는 수직방향의 지지막대(200);를 통해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막대(200)는 V형 띠철근(100)의 절곡부(110)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막대(200)에는 "∩" 형태를 갖는 한 쌍의 고리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고리부(240);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리부(240)가 후프근(2)의 안쪽과 바깥쪽을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띠철근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형 띠철근(100)에 결합되어 절곡부(110) 내측에 위치하는 주철근(1)과의 결합력을 높이는 고정클립(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띠철근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300)은;
    내측에 V형 띠철근(100)의 앵커부(120)가 양측에 각각 안착 되도록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호형지지부(310)와,
    상기 호형지지부(310)의 하부에는 V형 띠철근(100)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벌어지되 호형지지부(310)의 간격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인입안내부(320)와,
    상기 호형지지부(310)의 상부 중앙에는 양측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어 있는 탄성작동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형 띠철근 조립체.
PCT/KR2020/003598 2019-03-14 2020-03-16 V형 띠철근 조립체 WO20201850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9531 2019-03-14
KR10-2019-0029531 2019-03-14
KR1020190063044A KR102061219B1 (ko) 2019-03-14 2019-05-29 V형 띠철근 조립체
KR10-2019-0063044 2019-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5052A1 true WO2020185052A1 (ko) 2020-09-17

Family

ID=6915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3598 WO2020185052A1 (ko) 2019-03-14 2020-03-16 V형 띠철근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75572B2 (ko)
JP (1) JP6921444B2 (ko)
KR (1) KR102061219B1 (ko)
CN (1) CN111691603B (ko)
WO (1) WO2020185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19B1 (ko) * 2019-03-14 2020-01-02 박성욱 V형 띠철근 조립체
KR102203621B1 (ko) * 2020-04-24 2021-01-15 박성욱 띠철근 풀림 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245B2 (ja) * 2001-08-16 2008-09-17 高周波熱錬株式会社 付着割裂防止筋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
KR100946274B1 (ko) * 2009-06-19 2010-03-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강화용 구조재
US20160319540A1 (en) * 2006-02-13 2016-11-03 3B Construction Solutions Inc. Mechanically secured block assembly systems
KR101802959B1 (ko) * 2017-08-28 2017-11-29 김경숙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102061219B1 (ko) * 2019-03-14 2020-01-02 박성욱 V형 띠철근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7610A (en) * 1921-01-29 1923-06-05 William E White Concrete spacer
US3289378A (en) * 1964-02-10 1966-12-06 Carroll William Jay Reinforcing rod support
US4249354A (en) * 1979-03-05 1981-02-10 Wynn Gayle B Reinforced insulated wall construction
US4463538A (en) * 1982-01-21 1984-08-07 Dragunas Alfred R Reinforcing network for concrete structure
US6637171B1 (en) * 2001-10-17 2003-10-28 Bryan D. Toone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using rebar isolators
US8549813B2 (en) * 2010-12-03 2013-10-08 Richard P. Martter Reinforcing assembly and reinforced structure using a reinforcing assembly
US8220219B2 (en) * 2010-12-03 2012-07-17 Martter Richard P Reinforcing assembly,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such assembly
WO2015147415A1 (ko) * 2014-03-24 2015-10-01 지엘기술 주식회사 띠철근 고정용 클립 또는 띠철근 고정부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수직부재의 내부 띠철근 고정구조
CN204679542U (zh) * 2015-06-01 2015-09-30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桂林供电局 一种便捷式万用表
KR101913818B1 (ko) 2016-09-26 2018-10-31 지엘기술주식회사 내진 설계용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8112015A1 (en) * 2016-12-13 2018-06-21 Christopher Mccarthy Rebar wall set-up bar
KR102004419B1 (ko) * 2017-11-08 2019-07-26 포엠 주식회사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KR102004420B1 (ko) * 2017-11-08 2019-07-26 포엠 주식회사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방법
CN108661241B (zh) * 2018-05-28 2020-05-15 山东建筑大学 一种外套钢板网混凝土柱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245B2 (ja) * 2001-08-16 2008-09-17 高周波熱錬株式会社 付着割裂防止筋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
US20160319540A1 (en) * 2006-02-13 2016-11-03 3B Construction Solutions Inc. Mechanically secured block assembly systems
KR100946274B1 (ko) * 2009-06-19 2010-03-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강화용 구조재
KR101802959B1 (ko) * 2017-08-28 2017-11-29 김경숙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KR102061219B1 (ko) * 2019-03-14 2020-01-02 박성욱 V형 띠철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91603A (zh) 2020-09-22
US20200291654A1 (en) 2020-09-17
US10975572B2 (en) 2021-04-13
JP6921444B2 (ja) 2021-08-18
KR102061219B1 (ko) 2020-01-02
CN111691603B (zh) 2022-04-01
JP2020148086A (ja)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5052A1 (ko) V형 띠철근 조립체
KR101802959B1 (ko) 원터치식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v형 띠철근
WO2011099742A2 (ko) 나선형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철근의 배근구조
KR101430518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에스알 콘크리트말뚝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KR20130071725A (ko) 내진 설계를 위한 시공성이 개선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띠철근 배근 방법
KR20160057747A (ko) 추가반력 도입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띠장
WO2020116749A1 (ko) 조립식 띠철근
CN105401591B (zh) 预埋螺栓波纹套筒安装方法
KR101439867B1 (ko) 콤팩트 텐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430300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CN109680923B (zh) 一种悬挑脚手架底部平台的安装结构和搭建方法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CN109056558B (zh) 一种防止墩顶劈裂的环向加固结构及其铺设方法
WO2018070609A1 (ko) 중공 h빔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085674B1 (ko) 격자지보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340570B1 (ko) 기둥의 단면확대 보강을 위한 철근 선조립 유닛 공법
KR101268375B1 (ko) 임시 결합재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N215947852U (zh) 小跨径混凝土梁固结体系斜拉桥及其阻尼器
CN219365469U (zh) 一种用于钢筋绑扎的防倾覆装置
JP3021833B2 (ja) 斜張橋、特にその塔と斜張索との改良
JP2774066B2 (ja) Pc版からなる床スラブ
KR102311284B1 (ko) 유턴 강연선을 포함하는 에이치형강 및 토압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된 터널시공방법
CN215593977U (zh) 一种桩基钢筋笼骨架固定装置
CN218472715U (zh) 一种线管固定用的排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69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69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