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953A -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953A
KR20220095953A KR1020200188000A KR20200188000A KR20220095953A KR 20220095953 A KR20220095953 A KR 20220095953A KR 1020200188000 A KR1020200188000 A KR 1020200188000A KR 20200188000 A KR20200188000 A KR 20200188000A KR 20220095953 A KR20220095953 A KR 2022009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
exercise
footrest
support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성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8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953A/ko
Publication of KR2022009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혼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발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Exercise aids for sit-ups}
본 발명은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혼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발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윗몸일으키기는 실내/외에서 간편한 동작으로 스트레칭과 복근운동을 중점으로 한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이다.
이러한 윗몸일으키기는 통상적으로 2인 1조로 짝을 정하고 운동을 하는 사람과 발을 잡아주는 사람으로 나뉘거나, 별도의 운동기구 또는 발을 별도로 고정할 대상물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윗몸일으키기 운동시 마다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효율적인 운동을 할 수 없어 별도의 운동기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신체가 누운상태에서 발 또는 발목을 고정할 수 있어 큰 부피를 가지게되어 실내에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기술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매트리스"은 매트리스의 끝단에 발을 걸수 있는 발걸이 끈을 설치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매트리스의 끝단에서 발을 고정할 수 있으나, 운동 중 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매트리스가 들려 원활히 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동 중 발목에 가해지는 힘에 발걸이 끈이 느슨해서 발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1015호(1999.08.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탈부착 가능한 압착판을 통해 고정하며,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여 혼자서도 편리하게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다양한 발 또는 발목에 맞춰 조절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시 운동 횟수를 측정하여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시 발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을 고정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보조하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있어서, 발바닥을 안착되는 발판에 발등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끼움홍에 갑입되는 끼움부재가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압착되는 압착판이 형성된 다수개의 압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판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걸이부재와,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살기 발걸이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 또는 상기 발판에 설치되어 고정하여 상기 발걸이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에는 발바닥의 발볼 또는 전족부가 안착되는 지점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지지부에 일면이 노출되게 구비되고 스위치에 의해 눌린 횟수에 따라 노출된 일면에 운동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측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며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승하강부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일측에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된 제1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상기 제1삽입홈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따르면,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는 공간의 바닥에 탈부착 가능한 압착판을 통해 고정하며, 고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을 고정하여 혼자서도 편리하게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발 또는 발목에 맞춰 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시 발의 변화하는 하중을 통해 운동 횟수를 측정하여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운동횟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윗몸일으키기 운동 시 발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 운동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윗몸일으키 운동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혼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발을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을 고정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보조기구(100)로 발이 안착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를 고정하는 압착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0)는 발바닥을 안착되는 발판(11)에 발등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12)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끼움홈(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발판(1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발걸이부재(13)와, 상기 발판(11)에 설치되어 상기 발걸이부재(13)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부재(14) 및 상기 삽입부재(14) 또는 상기 발판(11)에 설치되어 상기 발걸이부재(13)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15)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5)는 상기 발걸이부재(13)에 상호 접착되는 벨벳(velvet)과 걸이(hook)로 구성되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5)는 상기 삽입부재(14)에 설치되며, 상기 발걸이부재(13)가 삽입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15a)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15a)의 내측면에는 상기 발걸이부재(13)를 고정 또는 압박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걸이부재(13)는 상기 개폐부(15a)에 밀착되는 일면에는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 또는 압박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발걸이부재(13)는 일측에서 회동가능하며, 타측에서 삽입부재(14)에 삽입되어 발의 크기에 맞춰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5)를 통해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발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을 고정하는 한쌍의 슬리퍼로 이루어지거나,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을 고정하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리퍼는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하고 상기 매트릭스는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 상기 발걸이부재(13)를 조절한 후 발등 또는 발목 부분을 편리하게 고정한다.
상기 압착부(2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기 끼움홈(11a)에 삽입되는 끼움부재(21)가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압착되는 압착판(22)이 형성된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압착부(20)는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에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하여 지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어린이, 어른과 같이 체격에 따라 갯수를 조절해 효율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윗몸일으키기 운동시 상기 고정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맞춰 지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위치 및 갯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압착부(20)로 이루어진 상기 운동보조기구(100)를 통해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혼자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에는 발바닥의 발볼 또는 전족부가 안착되는 지점에 설치된 스위치(31)와, 상기 지지부(10)에 일면이 노출되게 구비되고 스위치(31)에 의해 눌린 횟수에 따라 노출된 일면에 운동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32)가 구비된 측정부(3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측정부(30)는 사용자가 잇몸일으키기 운동을 수행 시 하중변화에 의해 발바닥이 상기 발판을 누르는 힘의 변화하게 되어 상기 스위치(31)를 눌러 획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31)의 눌러지는 횟수에 따라 상기 측정부(30)에서 윗몸일으키기 횟수에 따라 카운트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30)는 내부에는 건전지 등의 전력공급수단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외부에는 카운트된 숫자를 초기화 및 전원을 om/off하는 조작 버튼의 간단한 구성의 전자기기나, 상기 스위치(31)가 눌릴 때 횟수를 카운트하는 수동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윗몸인으키기 운동 시 간편하게 운동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가 안착되며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부(4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부(40)는 상기 지지부(10)가 안착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1), 안착판(42), 제1지지부재(43) 및 제2지지부재(4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41)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봉(41a)과 상기 지지봉(41a)의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붕(4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판(42)은 상기 가이드붕(41b)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10)가 안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43)는 일측에 상기 가이드붕(41b)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삽입홈(43a)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4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4)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붕(41b)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상기 제1삽입홈(4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삽입홈(44a)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42)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안착판(42)은 상기 지지부(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붕(41b)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동을 통해 고정되는 발의 높이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대, 상기 제1지지부재(43)와 상기 제2지지부재(44)를 통해 상기 안착판(42)에 고정되는 발의 각도의 높이 및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신체 및 운동방법에 조절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는 윗몸일으키이 운동에 따른 사용상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10)를 지면 또는 상기 안착판(42)에 고정하며, 상기 고정부(12)는 발걸이부재(13)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에 맞춰 간격을 조절시켜 발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는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위치에 따라 위치변경이 용이하며, 상기 압착부(20)을 통해 편리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40)를 사용할 경우, 상기 안착판(42)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10)를 준비한 다음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윗몸일으키이 운동 시 상기 스위치(31) 및 상기 측정부(30)를 통해 운동횟수를 확인할 수 있어 운동횟수에 따라 조절하며 자신의 신체에 맞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10: 지지부 11: 발판
11a: 끼움홈 12: 고정부
13: 발걸이부재 14: 삽입부재
15: 고정부재 15a: 개폐부
20: 압착부 21: 끼움부재
22: 압착판 30: 측정부
31: 스위치 32: 표시부
40: 승하강부 41: 가이드부재
41a: 지지봉 41b: 가이드봉
42: 안착판 43: 제1지지부재
43a: 제1삽입홈 44: 제2지지부재
44:a: 제2삽입홈 100: 운동보조기구

Claims (4)

  1. 발을 고정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보조하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에 있어서,
    발바닥을 안착되는 발판(11)에 발등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12)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끼움홈(11a)이 형성된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상기 끼움홈(11a)에 삽입되는 끼움부재(21)가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압착되는 압착판(22)이 형성된 다수개의 압착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는,
    상기 발판(1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걸이부재(13)와, 상기 발판(11)에 설치되어 살기 발걸이부재(13)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부재(14) 및 상기 삽입부재(14) 또는 상기 발판(11)에 설치되어 상기 발걸이부재(13)를 고정하여 상기 발걸이부재(13)의 길이를 조절하는 고정부재(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에는 발바닥의 발볼 또는 전족부가 안착되는 지점에 설치된 스위치(31)와, 상기 지지부(10)에 일면이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31)가 눌린 횟수에 따라 노출된 일면에 운동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32)가 구비된 측정부(30)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가 안착되며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부(4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승하강부(40)는,
    지면을 지지하는 지지봉(41a)과 상기 지지봉(41a)의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붕(41b)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41)와,
    상기 가이드붕(41b)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며, 상기 지지부(10)가 안착되는 안착판(42)과,
    일측에 상기 가이드붕(41b)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삽입홈(43a)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4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43)와,
    일측이 상기 가이드붕(41b)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상기 제1삽입홈(4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삽입홈(44a)이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안착판(42)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KR1020200188000A 2020-12-30 2020-12-30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KR20220095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00A KR20220095953A (ko) 2020-12-30 2020-12-30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00A KR20220095953A (ko) 2020-12-30 2020-12-30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53A true KR20220095953A (ko) 2022-07-07

Family

ID=8239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00A KR20220095953A (ko) 2020-12-30 2020-12-30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5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015Y1 (ko) 1997-06-27 1999-11-15 장호규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015Y1 (ko) 1997-06-27 1999-11-15 장호규 윗몸일으키기 운동이 가능한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8298B2 (en) Exercise machine and method for use in a supine position
KR100518924B1 (ko) 발바닥 지압겸용 착석식 하체운동기구
US10744362B2 (en) Exercise machine
KR100923868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20190102016A (ko) 착석형 트레드밀 및 사용 방법
US7857742B2 (en) Hip training apparatus
US8827882B2 (en) Proprioception balance and coordination enhancement system
KR100720391B1 (ko)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CN215962012U (zh) 一种用于舞蹈教学的下腰训练装置
CN215839984U (zh) 一种新型康复科用腿部康复装置
KR20220095953A (ko)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JP2001000485A (ja) 足の鍛練装置
KR20100075809A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CN215781233U (zh) 一种垫脚尖运动装置
KR101488502B1 (ko) 안마기능을 갖는 야외용 벤치
CN218106681U (zh) 一种重心调整及视觉反馈训练装置
KR101365934B1 (ko) 발바닥 지압 및 하체운동용 좌식발판
KR20170093347A (ko)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KR101739221B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101637644B (zh) 健身设备
KR200436590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212235223U (zh) 脑瘫患儿康复训练装置
KR101551245B1 (ko) 하체 운동기구
CN219148359U (zh) 一种足部术后行走康复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