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221B1 - 다리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다리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221B1
KR101739221B1 KR1020160022301A KR20160022301A KR101739221B1 KR 101739221 B1 KR101739221 B1 KR 101739221B1 KR 1020160022301 A KR1020160022301 A KR 1020160022301A KR 20160022301 A KR20160022301 A KR 20160022301A KR 101739221 B1 KR101739221 B1 KR 10173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iding tube
fixing pipe
sliding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관과, 상기 고정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관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을 승강시키는 전동액츄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관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회동되는 발판과; 상기 고정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과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둘러싸고, 전면에 조작버튼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구성되어, 종아리 근육의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리 스트레칭 기구{Leg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다리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뭉쳐 있던 종아리 근육을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아리는 사람이 직립보행을 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제일 먼저 받는 부분이자 여성의 각선미를 좌우하는 신체 부위 중 한 곳으로서, 건강을 위해서나 미적인 측면에서도 쌓인 피로를 신속하게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하이힐을 자주 신는 여성들 같은 경우에는 종아리 근육이 뭉쳐서 딱딱해지거나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종아리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들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아리 근육을 주기적으로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발의 앞쪽 부분을 위로 들어 올리게 하여 종아리 근육이나 아킬레스건 등이 스트레칭되도록 하는 기구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것들은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그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들이 있었다.
출원번호:20-2005-0018660 (등록번호:20-0394981, 발명의 명칭 : 종아리 스트레칭 겸용 허리회전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 앞쪽 부분을 전동기구로 들어 올려 뭉쳐 있던 종아리 근육을 자동으로 스트레칭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관과, 상기 고정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관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을 승강시키는 전동액츄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관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회동되는 발판과; 상기 고정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과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둘러싸고, 전면에 조작버튼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컨트롤박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박스는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관은 전방 상측에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지지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에는 상기 발판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봉의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관통홀 주변을 둘러싸도록 고정관 외측면에 설치되는 외벽과; 상기 외벽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에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승강되는 슬라이딩관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롤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외측면 상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됨과 고정관의 외측면 하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되, 상기 고정관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와 하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딩관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전동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관에 설치되는 모터와; 하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외부로 승강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의 저면에는 발판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리 스트레칭 기구는 전동액츄에이터의 조작을 통해 발판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종아리 근육의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관에 설치되는 간단한 구조의 베어링부재에 의해 고정관과 슬라이딩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사용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사용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는 뭉쳐있는 종아리근육이나 아킬레스건 등을 스트레칭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전동액츄에이터(30)와, 상기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4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5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을 둘러싸는 컨트롤박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본 발명을 지탱하는 기본 바닥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관(21)과, 상기 고정관(21)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슬라이딩관(22)과, 상기 고정관(21)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관(2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관(21)은 상기 베이스(1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 사각관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관(21)의 하측에는 수평빔(21a)이 설치되고, 개방된 상단에는 가이드캡(21b)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빔(21a)은 좌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세워져 있는 고정관(21)의 하측 부분에 수평이 되게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캡(21b)은 상기 고정관(21)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이 고정관(2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이 상기 슬라이딩관(22)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가이드캡(21b)은 고정관(21) 내부로 먼지나 작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관(22)이 접촉되어 슬라이딩관(22)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관(22)은 그 전체적인 형태가 아래쪽으로 개구된 'ㄷ'자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관(21)의 내부에 하측 부분이 삽입되고, 고정관(21)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지지관(23)은 상기 고정관(21)의 측면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전동액츄에이터(30)는 더 정확히는 전동 리니어 액츄에이터로서, 일단이 상기 수평빔(21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관(2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이러한 전동액츄에이터(30)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가 일측면에 설치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 내외부로 승강되는 피스톤로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31)는 상기 슬라이딩관(22)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터(31)는 고정관(21), 좀 더 자세히는 상기 고정관(21)에 구비된 수평빔(21a)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32)는 하단이 상기 모터(31)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로드(33)는 상기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32) 내외부로 승강된다. 이러한 피스톤로드(33)는 상단이 상기 슬라이딩관(2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발판(40)은 일측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핀결합과 같은 방식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연결봉(70)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발판(40)은 슬라이딩관(22)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회동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딩관(22)은 전방 상측에 지지편(22a)이 돌출되는데, 이 지지편(22a)은 상기 컨트롤박스(6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61)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70)은 하단이 상기 발판(4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편(2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관(22)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지지편(22a)이 슬롯(6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연결봉(70)이 지지편(22a)에 이끌려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발판(40)의 앞쪽 끝부분을 들어올린다. 이렇게 발판(40)의 전단 부분이 연결봉(70)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발판(40)은 베이스(10)에 연결된 후단 부분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40)의 저면에는 발판(40)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41)가 설치되는데, 이렇게 발판(40)의 전단 부분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발판(40)이 회동하게 되면 각도측정센서(41)에 의해 측정된 발판(40)의 회동각도가 상기 컨트롤박스(60)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40)의 상면 후방에는 발판(40) 위에 올라간 사용자가 발판(40)이 기울어지더라도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봉(42)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부재(50)는 상기 고정관(21)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22)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22)과 고정관(21)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베어링부재(50)는 상기 고정관(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데, 이 베어링부재(50)가 설치되는 고정관(21) 부분에는 관통홀(21c)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베어링부재(50)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고정관(21)에는 베어링부재(50)와 같은 수의 관통홀(21c)이 형성된다. 즉 베어링부재(50)는 상기 고정관(21)의 외측면 상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관(21)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50)와 하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50)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접촉된다. 이렇게 위쪽에 있는 베어링부재(50)와 아래쪽에 있는 베어링부재(50)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슬라이딩관(22)에 접촉되어야만 슬라이딩관(22)의 승강시에 안정적으로 슬라이딩관(22)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베어링부재(50)는 외벽(51)과, 상기 외벽(51)에 설치되는 회전핀(52)과, 상기 외벽(51) 내부에 설치되는 롤베어링(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51)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개방된 후면이 상기 고정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관통홀(21c)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핀(52)은 상기 외벽(5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롤베어링(53)은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외벽(51)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롤베어링(53)은 상기 고정관(21)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승강되는 슬라이딩관(22)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관(22)과 고정관(21)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롤베어링(53)은 수평방향으로 중앙을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외벽(51)에 연결되는 회전핀(5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둘러싼다. 이러한 컨트롤박스(60)는 앞서 기재한 대로 전면 중앙부분에 상기 지지편(22a)이 관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롯(61)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 상측부분에 발판(40)의 회동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버튼(62)과 발판(40)의 회동각도를 상기 각도측정센서(41)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63)가 구비된다.
그리고, 컨트롤박스(60)는 상기 조작버튼(62)과 디스플레이부(63) 바로 밑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6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리 스트레칭 기구의 동작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발판(40) 위에 올라선 다음 컨트롤박스(60)의 조작버튼(62)을 누른다.
조작버튼(62)을 누르면 전동액츄에이터(30)의 모터(31)가 회전을 하여 피스톤로드(33)가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연이어 슬라이딩관(22)이 고정관(21) 내부에서 빠져 나오면서 상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관(22)이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연결봉(70)이 위쪽으로 움직이면서 발판(40)의 앞쪽 부분을 들어 올려 발판(40)이 경사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뭉쳐 있던 종아리 근육이 스트레칭된다.
이때 발판(40)의 경사진 각도를 각도측정센서(41)가 감지하여 컨트롤박스(60)에 전송하고, 이 각도를 디스플레이부(63)가 표시한다.
10: 베이스 20: 지지프레임
21: 고정관 21a: 수평빔
21b: 가이드캡 21c: 관통홀
22: 슬라이딩관 22a: 지지편
23: 지지관 30: 전동액츄에이터
31: 모터 32: 실린더
33: 피스톤로드 40: 발판
41: 각도측정센서 42: 미끄럼 방지봉
50: 베어링부재 51: 외벽
52: 회전핀 53: 롤베어링
60: 컨트롤박스 61: 슬롯
62: 조작버튼 63: 디스플레이부
64: 손잡이

Claims (7)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고정관(21)과, 상기 고정관(21)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관(22)과, 상기 고정관(21)의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관(23)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22)을 승강시키는 전동액츄에이터(30)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연결되어, 슬라이딩관(22)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회동되는 발판(40)과;
    상기 고정관(21)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22)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22)과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둘러싸고, 전면에 조작버튼(62)과 디스플레이부(63)가 구비된 컨트롤박스(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60)는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슬롯(6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관(22)은 전방 상측에 상기 슬롯(61)을 관통하는 지지편(22a)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2a)에는 상기 발판(4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봉(70)의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21)에는 관통홀(21c)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50)는 상기 관통홀(21c) 주변을 둘러싸도록 고정관 외측면에 설치되는 외벽(51)과;
    상기 외벽(5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핀(52)과;
    상기 회전핀(52)에 중앙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승강되는 슬라이딩관(22)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롤베어링(5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50)는 상기 고정관(21)의 외측면 상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됨과 고정관(21)의 외측면 하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되,
    상기 고정관(21)의 상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50)와 하부에 위치한 베어링부재(50)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딩관(22)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액츄에이터(30)는 상기 고정관(21)에 설치되는 모터(31)와;
    하단이 상기 모터(31)에 연결되는 실린더(32)와;
    상기 모터(31)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32) 내외부로 승강되는 피스톤로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의 저면에는 발판(40)의 회동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센서(4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20160022301A 2016-02-25 2016-02-25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173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01A KR101739221B1 (ko) 2016-02-25 2016-02-25 다리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01A KR101739221B1 (ko) 2016-02-25 2016-02-25 다리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221B1 true KR101739221B1 (ko) 2017-05-23

Family

ID=5905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01A KR101739221B1 (ko) 2016-02-25 2016-02-25 다리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68B1 (ko) 2001-08-31 2003-08-14 홍순창 진동 시소운동기구
KR101325102B1 (ko)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68B1 (ko) 2001-08-31 2003-08-14 홍순창 진동 시소운동기구
KR101325102B1 (ko)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74A (ko) * 2021-09-30 2023-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KR102653369B1 (ko) * 2021-09-30 2024-04-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보팅 메커니즘을 이용한 하지 제어능력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150B1 (en) Combined treadmill and seat assembly for physically impaired users and associated method
US9592421B2 (en) Recumbent hand and foot pedal exercise apparatus with seat accommodating a wheelchair
KR102384665B1 (ko) 착석형 트레드밀 및 사용 방법
CN108125773B (zh) 一种踝关节康复训练装置
KR20170053872A (ko) 스마트 하체운동기
KR101171881B1 (ko) 전신운동기구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KR101739221B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0720391B1 (ko) 의자에 앉아서 하는 하체운동기구
KR200404151Y1 (ko) 계단식 스텝퍼
KR101222770B1 (ko) 키크는 운동기구
CN208065672U (zh) 一种韧带拉伸用辅助器材
CN211459498U (zh) 一种按摩椅小腿伸缩机构
KR101908842B1 (ko) 레그 프레스 운동기구
WO2018167540A1 (fr) Dispositif permettant d'adapter un cycloergomètre
KR101182117B1 (ko) 다기능 복합 스트레칭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0436590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0424860Y1 (ko) 보관이 용이한 헬스기구
KR102331912B1 (ko)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KR20220095953A (ko) 윗몸일으키기용 운동보조기구
US11452908B1 (en) Elliptical exercise device
CN212282721U (zh) 一种联动式坐姿小腿训练器
WO2012024812A1 (zh) 登山机
CN211912606U (zh) 一种防拉伤的压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