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102B1 -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 Google Patents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102B1
KR101325102B1 KR1020110142578A KR20110142578A KR101325102B1 KR 101325102 B1 KR101325102 B1 KR 101325102B1 KR 1020110142578 A KR1020110142578 A KR 1020110142578A KR 20110142578 A KR20110142578 A KR 20110142578A KR 101325102 B1 KR101325102 B1 KR 10132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ight
plate
adjus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493A (ko
Inventor
오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지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지무브
Priority to KR102011014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1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련자의 키나 장애 정도에 따라 높이 조절시 조절볼트를 이완시킨 다음 상판이나 조절대 등을 누름에 따라 완충기가 완충작용과 함께 높이 조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면서도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기를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동식 액츄에이터에 비하여 전원소비가 없으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훈련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 보호대가 노브를 이완시킨 다음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쉽게 위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의 상태나 장애 정도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무릎보호대의 위치 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EASILY STANDING PRONE STANDER}
본 발명은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훈련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가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을 이용하여 높이조절과 완충작용이 함께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조절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프론 스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 등으로 재활이 필요한 경우, 특히 하지의 근력을 강화시키거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한 재활 치료용 보조대로서 기립 훈련기라고 많이 알려진 프론 스탠더(PRONE STANDER)가 이용된다.
프론 스탠더는, 하지 근육이 약하거나 마비 등으로 인하여 하지(Lower Limbs)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장애인이 프론 스탠더에 지지하여 서 있게 함으로써, 근력 강화와 근육이나 골격 등의 변형을 예방하게 한다.
이러한 프론 스탠더는, 도 1과 같이, 캐스터(11)와 발판(12)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 이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 세워진 한쌍의 지지대(20), 각 지지대(2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절대(30), 상지(Upper Limbs)의 지지각도에 맞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대(30)에 힌지고정된 상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절대(30) 사이에는 훈련자의 무릎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무릎지지대(31)와, 체간 부분과 허리나 골반 등을 순차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지지대(32,33)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제외한 구조목이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동 방식의 지지수단(3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4)은 한쌍의 지지대(20)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미도시됨)에 장착되어, 한쌍의 지지대(20)를 동시에 잡아당겨 회전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에는 조절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30)에는 이 조절홈(21)에 끼워져서 안내되는 조절나사(35)가 볼트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프론 스탠더는, 훈련자의 발을 발판(12) 위에 고정시킨 후 보조자가 훈련자를 들어 상판(40)에 받혀지게 한 다음, 훈련자의 상태에 따라 상판(40)의 각도라든가 무릎지지대(31)와 다른 제1 및 제2지지대(32,33)의 각도를 조절하여 기립훈련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프론 스탠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훈련자의 키나 장애 정도에 따라 지지대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으로서, 전동식 액츄에이터를 채용하였다. 이는 액츄에이터가 고가이기 때문에 프론 스탠더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 전동식 액츄에이터로 동작시키다 보니 원하는 위치까지 높이 조절을 하는 등의 조절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완충 작용이 없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훈련자로 하여금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충격으로 가해질 우려가 있었다. 기존방식은 발판위에 액츄에이터가 부착되다 보니 샌달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올바른 발의 위치를 맞출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훈련자의 키나 장애 정도에 따라 높이 조절시 조절볼트를 이완시킨 다음 상판이나 조절대 등을 누름에 따라 완충기가 완충작용과 함께 높이 조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하면서도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기를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전동식 액츄에이터에 비하여 전원소비가 없으면서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훈련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 보호대가 노브를 이완시킨 다음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쉽게 위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의 상태나 장애 정도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무릎보호대의 위치 조절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 프론 스탠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는, 기립훈련용으로 이용되는 프론 스탠더에 있어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판이 설치되고, 이 회전판 위에는 발판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발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 위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쌍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에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장착된 완충기에 의해 완충되면서 높이 조절되는 조절대; 일단이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에 고정된 사이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조절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조절 및 좌우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무릎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대는 상기 조절대와 요철결합되어 상하로 높이조절되고, 이 요철결합되는 부분과 나란하게 상하로 루터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에는 이 루터홈을 따라 움직이며 조절높이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조절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기는 유압-스프링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릎지지대는, 상기 조절대 사이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에 상하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조절부재; 및 상기 상하조절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폭조절이 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은, 기둥 형상의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외주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하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블럭이 좌우폭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고정노브에 의해 체결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으로서 기존의 전동식 액츄에이터를 대신하여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과 같은 완충기로 대체함으로써, 전동식 액츄에이터에 비하여 그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전동식 액츄에이터의 구입비용은 개당 약 80,100원이고, 완충기는 개당 약 10,000원 가량의 구입비용이 듬).
2)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절볼트를 이완시킨 다음 완충기가 압축되도록 손으로 누르면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구든지 쉽고 간편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3) 완충기가 이처럼 높이 조절시 뿐만 아니라 그 차체로서 완충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훈련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 등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4) 무릎을 감싸 보호하는 무릎보호대가 상하로 높이 조절 뿐만 아니라 좌우로 폭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훈련자마다 다른 무릎 위치에 맞게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5) 손으로도 쉽게 조절볼트를 돌려서 무릎보호대의 상하 및 좌우 폭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론 스탠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500"은 조절대의 상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훈련자의 상체 부분을 지지해 주는 상판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 스탠더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위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대(200), 지지대(200)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대(300), 프론 스탠더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320), 그리고 이 조절대(300)에 상하높이 및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무릎지지대(4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조절대(300)는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310)를 구비하여 높이 조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프론 스탠더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이때, 캐스터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여 훈련자의 하중을 견디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윗면에 회전판(130)이 구비된다. 회전판(130)은 경첩(13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맞닿은 상태에서 위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판(130)은 후술하게 될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30)에는 윗면에 발판(120)이 구비된다. 발판(120)은 훈련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훈련자가 발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샌들(121)이 더 구비된다.
지지대(200)는 상기 회전판(130)의 윗면에 한쌍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이들 지지대(200)는 상기 발판(1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위치하게 장착된다. 특히, 이 지지대(200)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하로 요홈 단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요홈(미도시됨)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요홈에는 후술하게 될 조절대(300)가 요철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조절대(300)가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에는 이러한 가이드요홈과 나란하게 루터홈(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200)는 한쌍이 구비되며, 후술하게 될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동시에 회전판(130)을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사이부재(321)가 구비된다. 사이부재(321)는 한쌍의 지지대(20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조절대(300)는 각 지지대(200)와 마주보는 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요철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조절대(300)가 지지대(20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때에 지지대(2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조절대(300)에는 손을 사용하여 이완과 체결이 가능한 조절볼트(300a)가 구비된다. 조절볼트(300a)는 상기 루터홈(210)을 통해 지지대(2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조절볼트(300a)는 이완시 조절대(30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체결시 그 위치에서 지지대(200)와 조절대(300)를 압착하여 조절대(3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각 조절대(300)에는 완충기(310)가 장착된다. 완충기(310)는 조절대(300)와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일단이 회전판(1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대(3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완충기(310)는 상기 조절볼트(300a)를 이완시켜 높이조절을 위해 조절대(300)를 아래로 누르는 경우라든가 상판(500) 등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등에 대하여 완충효과와 함께 급격한 높이조절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기(310)는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이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쌍의 조절대(300)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330)가 구비된다. 지지플레이트(330)는 조절대(300)와의 간격 유지와 함께 훈련자의 체간 부분이라든가 골반 부분 등을 지지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지지블럭(331,332)을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액츄에이터(320)는 일단이 지지대(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된다. 이때, 지지대(200)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대(200)를 연결시켜 주는 사이부재(321)에 액츄에이터(320)의 일단이 장착된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320)는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사이부재(32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이 액츄에이터(320)의 신축작용에 의해 각도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간섭을 없앨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츄에이터(320)는 훈련자의 자세 등을 고려하여 신축시킴에 따라 사이부재(321)를 앞으로 당기거나 반대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이부재(321)로 연결된 한쌍의 지지대(200)가 강제로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 지지대(200)를 지지해 주는 회전판(130)이 회전하면서 지지대(200)와 조절대(30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2 및 도 4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훈련자가 프론 스탠더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이처럼 각도 조절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동식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릎지지대(400)는, 상하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10), 실제 상하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상하조절부재(420), 그리고 이 상하조절부재(420)에 좌우로 폭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무릎 부분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블럭(430)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410)은 양면에 각각 가이드홈(411)이 형성되어 상하조절부재(420)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10)은 통상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각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가이드홈(411)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이드 레일(41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330)의 배면에 상하로 고정설치된다.
상하조절부재(420)는, 상기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되는 승강플레이트(421) 및 이 승강플레이트(421)의 승강위치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한쌍의 지지브라켓(422)으로 구성된다.
승강플레이트(421)는 상기 한쌍의 지지블럭(430)이 좌우로 나란하게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하며, 특히, 각 지지블럭(430)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가로방향으로 가이드구멍(421a)이 형성된다.
상기 각 지지브라켓(422)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된 판체로 일면이 상기 승강플레이트(421)에 고정된다. 이때, 타면은 서로 마주보되, 그 사이 간격이 상기 가이드 레일(410)이 끼워져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서로 마주 보는 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홈(4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노브(422a)가 구비된다. 이들 고정노브(422a)는 지지브라켓(422)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면서 서로 동축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410)을 가압하여 상하조절부재(420)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블럭(430)은 실질적으로 훈련자의 무릎 부분을 감싸주도록 구성된 블럭체로서, 통상적으로 프론 스탠더에서 많이 이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지지블럭(430)에는 폭조절을 위한 고정노브(430a)가 구비된다. 고정노브(430a)는 상기 가이드구멍(421a)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블럭(430)에 나사체결되게 되는데, 승강플레이트(42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노브로 체결을 이완시킨 다음 가이드구멍(421a)을 따라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무릎지지대(400)는, 고정노브(422a)를 이완시켜 지지브라켓(422)이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승강플레이트(421)가 훈련자의 무릎 높이에 맞게 조절한 다음 다시 이 고정노브(422a)를 체결한다. 그리고, 고정노브(430a)를 이완시킨 다음 훈련자의 무릎 위치에 맞게 지지블럭(430)를 좌우로 위치조절한 다음, 다시 이 고정노브(430a)를 체결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압-스프링 방식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를 이용하여 조절대가 아래로 눌릴 때에 급격하게 눌리지 않게 하면서도 완충작용을 함께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완충기는 기존의 전동식 액츄에이터에 비하여 저렴하여 제조단가를 낯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발판
121 : 샌들
200 : 지지대
210 : 루터홈
300 : 조절대
300a : 조절볼트
310 : 완충기
320 : 액츄에이터
330 : 지지플레이트
400 : 무릎보호대
410 : 가이드 레일
411 : 가이드홈
420 : 상하조절부재
421 : 승강플레이트
421a : 가이드구멍
422 : 지지브라켓
422a, 430a : 고정노브
430 : 지지블럭

Claims (6)

  1. 기립훈련용으로 이용되는 프론 스탠더에 있어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판(130)이 설치되고, 이 회전판(130) 위에는 발판(120)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발판(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판(130) 위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쌍의 지지대(200);
    상기 각 지지대(200)에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130)에 일단이 장착된 완충기(310)에 의해 완충되면서 높이 조절되는 조절대(300);
    일단이 상기 한쌍의 지지대(200) 사이에 고정된 사이부재(321)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130)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액츄에이터(320); 및
    상기 조절대(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높이 조절 및 좌우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무릎지지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무릎지지대(400)는,
    상기 조절대(300) 사이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330)에 상하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410);
    상기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하조절부재(420); 및
    상기 상하조절부재(420)의 전면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으로 폭조절이 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블럭(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조절대(300)와 요철결합되어 상하로 높이조절되고, 이 요철결합되는 부분과 나란하게 상하로 루터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300)에는 이 루터홈(210)을 따라 움직이며 조절높이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조절볼트(300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310)는 유압-스프링 또는 가스-스프링 방식의 완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410)은, 기둥 형상의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외주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가이드홈(4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조절부재(420)는,
    상기 가이드 레일(410)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블럭(430)이 좌우폭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가이드구멍(421a)이 형성된 승강플레이트(421);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421)의 배면에 상기 가이드 레일(41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고정노브(422a)에 의해 체결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4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4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KR1020110142578A 2011-12-26 2011-12-26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KR10132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78A KR101325102B1 (ko) 2011-12-26 2011-12-26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78A KR101325102B1 (ko) 2011-12-26 2011-12-26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93A KR20130074493A (ko) 2013-07-04
KR101325102B1 true KR101325102B1 (ko) 2013-11-06

Family

ID=4898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78A KR101325102B1 (ko) 2011-12-26 2011-12-26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34B1 (ko) * 2015-03-13 2016-08-31 (주)맨엔텔 상지와 하지 슬라이딩에 의한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
KR101739221B1 (ko) 2016-02-25 2017-05-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리 스트레칭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62A (ja) * 1994-01-18 1995-08-15 Nova Technol Inc 医療用ベッド及び患者移送方法
KR20030045313A (ko) * 2001-12-03 2003-06-11 이은 물리치료용 기립운동구
KR20080006323U (ko) * 2007-06-14 2008-12-18 (주)유진메디케어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62A (ja) * 1994-01-18 1995-08-15 Nova Technol Inc 医療用ベッド及び患者移送方法
KR20030045313A (ko) * 2001-12-03 2003-06-11 이은 물리치료용 기립운동구
KR20080006323U (ko) * 2007-06-14 2008-12-18 (주)유진메디케어 장애인용 스탠딩 테이블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34B1 (ko) * 2015-03-13 2016-08-31 (주)맨엔텔 상지와 하지 슬라이딩에 의한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
KR101739221B1 (ko) 2016-02-25 2017-05-2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리 스트레칭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493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59919B (zh) 一种实时可测下肢康健训练装置
CN105709373A (zh) 一种手脚两用式健身器
KR101325102B1 (ko) 조절이 용이한 프론 스탠더
CN111728841B (zh) 一种具有远红外治疗功能的骨科脊柱矫正按摩装置
CN109908554B (zh) 一种武术训练用可自主升降的韧带拉伸器
CN110141462A (zh) 一种内科病人用康复训练装置
CN210301633U (zh) 一种拉伸功能美腿架及按摩椅架
KR101318768B1 (ko) 프론 스탠더
CN105769509B (zh) 一种站立式下肢运动康复装置
CN211067633U (zh) 一种骨科治疗用腿部承托装置
EP2346581B1 (en) Exercise apparatus
CN204932732U (zh) 一种多工位肢体运动康复训练机
CN215274317U (zh) 一种多功能下肢训练装置
CN215231919U (zh) 一种下肢训练设备用腿长调节装置
CN111603358B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器械
CN2612361Y (zh) 复健器材
CN115228047B (zh) 一种脊柱损伤引起的截瘫用康复装置
CN113367937A (zh) 一种下肢康复训练装置及系统
KR100622433B1 (ko) 운동용 베드의 승강조절장치
CN111513980A (zh) 一种拉伸功能美腿架及按摩椅架
CN211750842U (zh) 一种腿部医疗康复训练装置
CN219354563U (zh) 一种被动式康复训练学习装置
CN214512523U (zh) 一种体育训练用压腿训练装置
CN213852973U (zh) 一种骨科临床用腿部拉伸装置
KR102191984B1 (ko)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