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050A -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050A
KR20220095050A KR1020210009456A KR20210009456A KR20220095050A KR 20220095050 A KR20220095050 A KR 20220095050A KR 1020210009456 A KR1020210009456 A KR 1020210009456A KR 20210009456 A KR20210009456 A KR 20210009456A KR 20220095050 A KR20220095050 A KR 2022009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attention
management system
st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 맥켄지 더글라스
스콧 무어 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9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0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9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에 마련되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및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수신하고,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며,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판단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DRIVER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여, 운전주의도에 따라 도로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전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차량이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운전해야할 의무가 있다. 차량 운전시에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아지거나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차량 사고 발생 확률이 증가하고, 주변의 다른 차량에도 위협을 가하게 되어 주변 차량의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각종 화물차나 트럭 운전을 하는 경우에 장시간 운전을 하거나 장거리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아지거나 졸음운전을 하기가 쉽다.
따라서,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거나 졸음운전을 하는 등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중량측정소나 휴게소 등의 정차지점으로 안내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5417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고, 운전주의도에 따라 도로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여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지점에 정차하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및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수신하고,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며,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판단부;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는 차량에 마련되는 센서를 통해 차량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는 카메라 또는 생체센서 또는 소리센서 또는 모션센서를 포함하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차량 또는 운전자를 향해 동작할 수 있다.
상태정보는 차량의 흔들림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 또는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클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다고 판단하고,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적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높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정차판단부에는 통신부가 마련되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정차지점과 통신하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할 수 있다.
차량에는 경고부가 마련되며, 정차판단부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경고부를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경고부는 차량의 내부에서 경고등 또는 경고조명 또는 경고음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정차지점은 중량측정소를 포함하며, 중량측정소에서는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정차판단부는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서 정차하지 않도록 또는 중량측정소를 우회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 정차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단계;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는 정차결정단계; 및 모니터링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조절단계;를 포함한다.
정차조절단계 이후에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차조절단계 이후에는,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고, 운전주의도에 따라 도로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여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지점에 정차하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정차지점을 지나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정차지점을 지나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100); 및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수신하고,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며,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판단부(200);를 포함한다. 정차판단부(200)는 차량에 마련되거나, 차량 외부 서버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100)는 차량에서 운전자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데, 운전주의도(100)는 저위험, 중간위험, 고위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저위험, 중간위험, 고위험 등에 해당하는 운전주의도를 수신한 정차판단부(200)는 해당 운전주의도에 따라 운전자가 정차지점에 정차해야하는 빈도 또는 확률을 결정하여 정차빈도 또는 정차확률에 따라 운전자가 정차지점에 정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정차빈도 또는 정차확률은 운전주의도가 낮을수록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졸음운전을 하거나 주의력이 떨어지는 운전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운전자에 비해 정차지점에 더욱 많이 정차함으로써 운전주의도를 높이고, 사고발생을 방지하며,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100)는 차량에 마련되는 센서를 통해 차량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정보는 차량의 흔들림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 또는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100)는 졸음운전이나 심정지 등 운전자가 정상 운전이 불가능ㅎ나 경우 차량이 운전자 상태를 판단해 갓길 같은 안전한 곳으로 차를 자동으로 이동해 정차시키는 DDREM(Departed Driver Rescue&Exit Maneuver)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DDREM 기술은 운전할 수 없는 상태의 운전자를 구출해낸다는 의미로서, 기술적으로 졸음 등으로 차량이 지그재그로 움직인다거나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하지 않고 눈을 자주 감을 때 센서가 이를 감지해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인도하는 시스템이다. DDREM 기술은 DSW(Driver Status Warning; 운전자 상태 경고) 시스템과 DAW(Driver Awareness Warning; 운전 부주의 경고) 시스템, 이 두가지 핵심 기술을 이용하는데, 모니터링부(100)는 차량에 마련되는 센서 및 DSW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의 시선 이탈 여부, 눈 깜빡임 패턴 등을 파악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나 졸음여부와 같은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센서 및 DAW 시스템을 통해 차량이 차선을 넘나들거나 차량의 흔들림과 같은 차량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부(100) 차량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한 이후,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센서는 카메라 또는 생체센서 또는 소리센서 또는 모션센서를 포함하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차량 또는 운전자를 향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100)는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클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다고 판단하고,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적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높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100)는 카메라 또는 생체센서 또는 소리센서 또는 모션센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지, 졸음운전을 하고 있는지 등을 모니터링하고, 카메라 또는 모션센서 등을 통해 차량이 차선을 유지하며 주행중인지, 차량이 흔들리는지 등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차량의 흔들림, 운전자의 주의력, 운전자의 졸음여부 등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정차판단부(200)에는 통신부가 마련되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정차지점과 통신하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할 수 있다. 정차판단부(200)는 차량에 마련되거나 차량 외부서버일 수 있는데, 통신부를 통해 차량과 정차지점간에 통신하여, 정차빈도 또는 정차확률에 따라, 정차지점에서 차량이 정차될수 있도록 하고, 차량도 정차지점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에는 경고부(300)가 마련되며, 정차판단부(200)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경고부(300)를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경고부(300)는 차량의 내부에서 경고등 또는 경고조명 또는 경고음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100)에서 판단한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는 운전주의도 중간위험 이상, 즉, 운전주의도가 중간위험 또는 고위험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내부에서 경고등을 점등하거나 경고조명을 제어함으로서 또는 경고음성을 송출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높히고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의 정차지점을 지나는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정차지점은 중량측정소를 포함하며, 중량측정소에서는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에서 정차판단부(200)는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서 정차하지 않도록 또는 중량측정소를 우회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 정차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거리를 운전하는 화물트럭 운전자의 경우, 일반 운전자보다 장거리,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므로, 운전시에 주의력이 떨어지거나 졸음운전을 하기가 쉽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가 중량측정소에 정차하여 쉬어감으로써 운전주의도를 높힐 수 있다. 특히, 화물트럭은 화물트럭 관련 규정에 부합하는지 정기적인 무게측정 및 검사가 필요한데, 일반도로나 고속도로 등에서 중량측정소를 지나는 경우 무작위로 선택되어 무게측정 및 검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무작위 선택을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 Drivewyze 또는 PrePass와 같은 시스템이 있는데, 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한다면,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에는 중량측정소에서 무작위로 선택될 때까지 중량측정소를 우회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에는 중량측정소에서 무작위로 선택될 때까지 중량측정소를 우회할 가능성이 낮을 것이다. 따라서,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우회확률을 높힘으로써, 복수의 중량측정소에 정차빈도 또는 정차확률을 낮추게 되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우회확률을 낮춤으로써, 복수의 중량측정소에 정차빈도 또는 정차확률을 높히게 된다.
결국 모니터링부(100)에서 판단한 운전주의도 및 정차판단부(200)에서 결정한 정차빈도에 따라 운전자는 중량측정소와 같은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함으로써, 운전주의도가 낮은 운전자는 경고부(300)에서 경고를 받고, 자주 정차하여 휴식을 취하는 등의 방식으로 운전주의도를 높힘으로써 안전한 운전을 하게 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주의도가 높은 운전자는 정차횟수를 줄여줌으로써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단계(S100);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는 정차결정단계(S110); 및 모니터링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조절단계(S120);를 포함한다.
또한, 정차조절단계(S120) 이후에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차조절단계(S120) 이후에는,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하는 안내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모니터링부 200 : 정차판단부
300 : 경고부

Claims (13)

  1. 차량에 마련되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 및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수신하고,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며,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판단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니터링부는 차량에 마련되는 센서를 통해 차량 또는 운전자의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태정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센서는 카메라 또는 생체센서 또는 소리센서 또는 모션센서를 포함하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차량 또는 운전자를 향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태정보는 차량의 흔들림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 또는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모니터링부는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클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낮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다고 판단하고, 차량의 흔들림 정도가 적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높을수록 또는 운전자의 졸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차판단부에는 통신부가 마련되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정차지점과 통신하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에는 경고부가 마련되며, 정차판단부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경고부를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경고부는 차량의 내부에서 경고등 또는 경고조명 또는 경고음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차지점은 중량측정소를 포함하며, 중량측정소에서는 차량이 정차하는 경우 차량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정차판단부는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서 정차하지 않도록 또는 중량측정소를 우회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차량이 중량측정소에 정차하도록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정차빈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의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주의도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단계;
    차량이 도로상에 마련된 복수의 정차지점에 정차해야 하는 정차빈도를 결정하는 정차결정단계; 및
    모니터링단계에서 판단된 운전주의도가 높은 경우 정차빈도를 낮추고,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정차빈도를 높이는 정차조절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정차조절단계 이후에는, 운전자의 운전주의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정차조절단계 이후에는, 운전주의도가 낮은 경우 운전주의도를 차량에서 가장 가까운 정차지점에 전송하거나 해당 정차지점에 차량이 정차하도록 운전자 또는 정차지점에 안내하는 안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210009456A 2020-12-27 2021-01-22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20095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34,459 2020-12-27
US17/134,459 US20220203995A1 (en) 2020-12-27 2020-12-27 Driv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050A true KR20220095050A (ko) 2022-07-06

Family

ID=8211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56A KR20220095050A (ko) 2020-12-27 2021-01-22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03995A1 (ko)
KR (1) KR202200950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171A (ko) 2007-11-26 2009-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및 운전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0118B2 (ja) * 2006-12-12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US20110022298A1 (en) * 2008-04-11 2011-01-27 Volvo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drive plan of a vehicle towards a destination
WO2010151603A1 (en) * 2009-06-23 2010-12-2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rowsy driver detection system
US20170154394A1 (en) * 2014-07-24 2017-06-01 Pulsar Informatics, Inc. Fatigue Optimized Routing & Tracking
KR20170015114A (ko) * 2015-07-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US9778654B2 (en) * 2016-02-24 2017-10-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vanced resting time suggestion
CN108482381A (zh) * 2018-03-27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系统、车辆和车辆控制方法
WO2021010530A1 (ko) * 2019-07-18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전자 휴게 패턴에 따른 휴게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20058495A1 (en) * 2020-08-20 2022-02-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st stop recommend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171A (ko) 2007-11-26 2009-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및 운전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3995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6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CN105324286B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和设备
RU260665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опасного состояния у водител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US9227631B2 (en) Method for safely parking a vehicle in an emergency situation
US910859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E102008049824B4 (de) Verfahren zur Kollisionsvermeidung
KR20170094173A (ko) 차량 제어 디바이스 및 차량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7414541B2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82392A1 (en) Driving fatigue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vehicle
WO2015074460A1 (zh) 一种车辆爆胎分级制动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20210024085A1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9531766A (ja) 警告装置および方法
CN106660482A (zh) 自动停车警告系统
KR20210102540A (ko) 이동체의 위험 상황 알림 방법 및 장치
JP2016181032A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JP2018131202A (ja) 停車時車両制御装置
CN112572456A (zh) 一种驾驶员驾驶行为提醒系统及方法、汽车
KR20220095052A (ko)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00039065A (ko)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8142334A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20080104206A (ko) 차량 단말기에서의 차량 사고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163534A (ja) 交差点進入制御方法及び交差点進入制御システム
KR20220095050A (ko) 운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458287B1 (ko) 택배 트럭 안전제어기
JP5034421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とこれに用いる光ビーコン、車載機及び車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