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236A -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 Google Patents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236A
KR20220093236A KR1020227019822A KR20227019822A KR20220093236A KR 20220093236 A KR20220093236 A KR 20220093236A KR 1020227019822 A KR1020227019822 A KR 1020227019822A KR 20227019822 A KR20227019822 A KR 20227019822A KR 20220093236 A KR20220093236 A KR 2022009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liner
heat
cooler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이톤 알렉산더
라훌 뮬린티
다렌 존 리스
미코 유하니 팀페리
크리스토퍼 토마스 웨이크햄
Original Assignee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9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0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a single mode of operation not covered by groups F25B1/00 - F25B21/00, e.g. using selective radiation effect
    • F25B23/006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a single mode of operation not covered by groups F25B1/00 - F25B21/00, e.g. using selective radiation effect boiling coo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8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능동적 온도 제어 시스템을 가지는 쿨러 용기가 제공된다. 능동적 온도 제어 시스템은 액체 용기(예: 소다 캔, 맥주 캔 등과 같은 금속 캔)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챔버를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작동된다.

Description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본 출원과 함께 출원된 출원 데이터 시트에서 외국 또는 국내 우선권 주장이 확인된 모든 출원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쿨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용기(예를 들어, 캔)를 수용하여 금속 캔과 그 내용물을 냉각할 수 있는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에 관한 것이다.
많은 음료(예를 들어, 소다, 맥주)는 개별 소비(예를 들어, 파티, 피크닉, 야외 행사 등)를 위해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에 포장된다. 이러한 음료는 종종 냉각 또는 냉장된 상태(예를 들어, 캔을 냉장고 내부에 넣거나, 쿨러 내부와 같은 얼음 위에 둠으로써)에서 소비된다. 그러나, 캔이 냉장고 밖으로 꺼내지거나 얼음으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가 캔을 잡고 있는 손의 열과 주변 공기 노출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캔과 음료의 온도가 변한다. 유연하거나 변형 가능한 직물 또는 발포체(일반적으로 "쿠지(koozie)"라고 함)로 만들어진 절연 슬리브는 캔(예를 들어, 소다 캔, 맥주 캔)을 안에 넣어 용기 내부의 음료를 열적으로 절연하고 오랜 기간 동안 차갑게 유지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쿠지는 음료를 장기간 차갑게 유지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전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용기(예를 들어, 캔)를 내부에 수용하여 금속 캔 및 그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을 냉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개별 휴대용 쿨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별 휴대용 쿨러는 쿨러의 챔버(chamber)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일 금속 용기(예를 들어, 소다 캔, 맥주 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쿨러는 금속 캔 및/또는 그 내용물을 오랜기간(예를 들어, 1/2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등)동안 냉각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쿨러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용기(예를 들어, 캔)를 수용하여 금속 캔 및 그 내용물을 냉각할 수 있는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지므로 금속 캔 및/또는 그 내용물을 원하는 온도 또는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능동적 온도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개별 휴대용 쿨러 용기가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능동적 온도 제어 시스템은 금속 용기 또는 캔을 수용하는 쿨러의 베셀(vessel)의 챔버를 냉각하도록 작동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용기가 제공된다. 용기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의 베이스와 내주벽에 의해 정의되는 챔버를 가진다. 또한, 용기는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능동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과, 미리 정해진 온도 또는 온도 범위로 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전 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챔버는 그 안에 금속 용기(예를 들어, 알루미늄 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며, 온도 제어 시스템은 금속 용기와 그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의 온도를 장기간(예를 들어, 1/2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등)동안 미리 결정된 온도 또는 미리 결정된 온도 범위에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하도록 작동하게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용기는 회로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전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원격 전자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폰)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쿨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쿨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쿨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쿨러 용기와 원격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쿨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쿨러")를 도시한다. 쿨러(100)는 개방된 상단부와 폐쇄된 하단부와 이를 통하는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갖는 절연된 원통형 베셀(10, vessel)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셀(10)은 내주벽(예를 들어, 내부 원통형 벽)으로부터 갭에 의해 이격된 외주벽(예를 들어, 외부 원통형 벽)을 가지는 이중벽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갭은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갭은 절연 재료(예를 들어, 발포체)로 채워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갭은 진공 하에 있을 수 있다. 유리하게, 내주벽은 외주벽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예를 들어, 쿨러(100)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의 열이 내주벽으로 전달되지 않아 쿨러 내의 금속 캔 및 그 내용물로의 열 전달을 억제함). 다른 구현예에서, 베셀(10, vessel)은 단일벽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셀(10)는 열적 절연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다른 폴리머 재료, 다른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쿨러(100)는 선택적으로 라이너(20)의 챔버 내로 삽입된 음료 용기와 열적으로 연통하는(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 내주 라이너(20, inner peripheral liner)("라이너")를 가질 수 있다. 라이너(20)는 선택적으로 베셀(10)의 내주벽(예를 들어, 내부 원통형 벽)과 접촉할 것이다. 라이너(20)는 실질적으로 베셀(10)의 상단부까지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라이너(20)는 베셀(10)과 실질적으로 같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라이너(20)는 개방된 상단부로부터 폐쇄된 하단부까지 관통하는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이너(20)의 하단에 있는 개구는 베셀(10)의 하단에 있는 개구와 정렬된다(예를 들어, 동일한 폭을 갖고, 동일한 직경을 가짐).
라이너(20)는 높은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라이너(20)는 내부에 금속 캔(200, 예를 들어, 소다 캔, 맥주 캔 등)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의 챔버를 정의한다. 챔버는 65.5mm ± 2mm의 공칭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챔버는 다른 크기의 음료 용기를 수용하는 다른 적절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쿨러는 선택적으로 챔버의 바닥에 배치된 열 전도성 슬러그(30)("슬러그")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는 베셀(10)의 개방단의 방향을 향하는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슬러그(30)의 볼록한 형상은 일단 베셀(10)에 삽입되면 금속 캔(200)의 오목한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슬러그(30)가 금속 캔(200)의 오목한 베이스의 전체 영역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하며, 이는 유리하도록 슬러그(30)와 금속 캔(200) 사이의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예를 들어, 금속 캔(200)을 냉각시키기 위해 금속 캔(200)으로부터 슬러그(30)로의 열 전달).
일 구현예에서, 슬러그(30)는 라이너(20)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와 라이너(20)는 함께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러그(30)와 라이너(20)는 일체(monolithic)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단일편(single piece), 이음매 없는 단일편으로 제조 또는 성형됨). 슬러그(30)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는 라이너(20)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슬러그(30)의 적어도 일부는 라이너(20) 및/또는 베셀(10)의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러그(30)는 라이너(20) 및/또는 베셀(10)의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슬러그(30)의 하단부는 열전 소자(40, 예를 들어, 펠티에 소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열전 소자(40)는 슬러그(30)와 접촉하지만 라이너(20)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전 소자(40)는 슬러그(30)와 라이너(20)에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러그(30)는 배제되고 열전 소자(40)는 라이너(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열전 소자(40)는 복수(multiple)의 열전 소자일 수 있다. 열전 소자(40)의 바닥은 선택적으로 히트 싱크(50)와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히트 싱크(5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예를 들어, 복수의) 핀을 가질 수 있다.
베셀(10) 아래의 하우징은 열전 소자(40), 회로, 배터리(60)(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팬(7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캐비티(cavity)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캐비티와 캐비티 외부 환경 사이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80, vent openings)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온도 설정점(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 미리 결정된 온도 또는 온도 범위)에서 금속 캔 및 그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하기 위해 열전 소자(40) 및/또는 팬(70)을 작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원격 전자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등)와 (예를 들어, 무선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회로는 원격 전자 장치로부터 온도 설정점을 수신하고,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온도 설정점에서 금속 캔 및 그 내용물(예: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열전 소자(40) 및/또는 팬(70)을 작동시킨다.
작동 시, 사용자는 라이너(20)와 금속 캔(200) 사이의 열적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캔(200)의 외벽이 라이너(20)에 근접(예를 들어, 인접, 접촉)하도록 금속 캔(200)(예를 들어, 탄산음료 캔, 맥주 캔)을 라이너(20)의 챔버에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캔(200)은 슬러그(30)가 금속 캔(200)의 오목한 베이스에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회로는 슬러그(30)와 라이너(20)(예를 들어, 라이너(20)와 열 접촉하는 슬러그(30)를 통해)로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해 열전 소자(40)를 작동시킨다(예를 들어, 금속 캔(200)이 라이너(20)의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때 자동으로 작동함). 라이너(20)와 슬러그(30)는 금속 캔(200)으로부터 열을 끌어내고, 이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로부터 열을 끌어내어 금속 캔(200) 및/또는 음료를 냉각시킨다. 열을 발산시키기 위해 상기 열은 열전 소자(40)에 의해 히트 싱크(50)로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히트 싱크(50)로부터 열을 발산하기 위해 히트 싱크(50)를 지나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팬(70)을 작동한다. 상기 공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80)를 통해 캐비티 내로 그리고 히트 싱크(50)의 적어도 일부 위로 끌어들여져 히트 싱크로부터 열을 제거하고 가열된 공기는 팬(70)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80)를 통해 캐비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유리하게, 쿨러(100)는 금속 캔(200)의 온도를 오랜기간(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A)("쿨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쿨러(100A)의 일부 특징은 도 1의 쿨러(100)의 특징과 유사하다. 따라서, 쿨러(100A)의 각 구성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번호는 번호 식별에 "A"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도 1에서 쿨러(100)의 대응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의 쿨러(100)의 다양한 특징에 대한 구조와 설명은 아래에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2에서의 쿨러(100A)의 대응하는 특징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쿨러(100A)는 열전 소자(40A)의 바닥측이 열전 소자(40A) 아래의 열전달 블록(50A)과 열 접촉(예를 들어, 직접 접촉)된다는 점에서 쿨러(100)와 상이하다. 열전달 블록(50A)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열전달 블록(50A)은 다른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열전달 블록(50A)은 열전 소자(40A)와 같은 공간에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접촉 면적을 가짐). 다른 구현예에서, 열전달 블록(50A)은 열전 소자(40A)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 블록(50A)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열전달 블록(50A)은 열전 소자(40A)의 작동으로 인한 열 변동을 완충하기 위해 엔클로저(enclosure) 내부에 둘러싸인 상 변화 재료(PCM, Phase Change Material)를 가질 수 있다.
쿨러(100A)는 히트 파이프(65A)의 한 부분에서 열전달 블록(50A)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하는(예를 들어, 열 접촉하는, 직접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65A)를 선택적으로 가진다. 일 구현예에서, 히트 파이프(65A)와 열전달 블록(50A)은 함께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히트 파이프(65A)와 열전달 블록(50A)은 단일편(예를 들어, 일체로 된(monolithic), 단일 이음매 없는 부분으로서 성형되거나 제조된)이다. 히트 파이프(65A)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히트 파이프(65A)는 내부의 위킹 구조(wicking structure)와 신속한 열 전달을 위한 열 전달 유체를 가지는 중공의 히트 파이프일 수 있다. 히트 파이프(65A)는 히트 파이프(65A)의 다른 부분에서 히트 싱크(68A)의 적어도 일부와 선택적으로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 상태에 있다. 히트 싱크(68A)는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을 가진다. 일 구현예에서, 열전달 블록(50A), 히트 파이프(65A) 및 히트 싱크(68A)는 단일 구조(예를 들어, 일체로 된(monolithic), 단일 이음매 없는 부분)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열전달 블록(50A), 히트 파이프(65A) 및 히트 싱크(68A)는 서로 열적으로 연통하는(예를 들어, 열 접촉하는, 직접 접촉하는) 개별 구성요소일 수 있다. 쿨러(100A)는 히트 싱크(68A)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한(예를 들어, 핀에 근접한) 팬(70A)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파이프(65A)는 일반적으로 베셀(10A)의 바닥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베셀기(10)의 외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행하지만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히트 파이프(65A)는 베셀(10)의 바닥 및/또는 측면을 따라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100A)는 베셀(10), 히트 파이프(65A), 히트 싱크(68A) 및 팬(70A) 주위에 배치된 외부 엔클로저 또는 베셀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엔클로저는 용기(100A)의 전자 장치(예를 들어, 회로, 배터리, 센서 등)를 수용할 수 있는 베셀(10) 아래의 하우징과 캐비티를 정의할 수 있다.
작동 시, 사용자는 라이너(20A)와 금속 캔(200) 사이의 열적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캔(200)의 외벽이 라이너(20A)에 근접(예를 들어, 인접, 접촉)하도록 금속 캔(200)(예를 들어, 탄산음료 캔, 맥주 캔)을 용기(100A)의 라이너(20A)의 챔버에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캔(200)은 슬러그(30A)가 금속 캔(200)의 오목한 베이스에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회로는 슬러그(30A)와 라이너(20A)(예를 들어, 라이너(20A)와 열 접촉하는 슬러그(30A)를 통해)로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해 열전 소자(40A)를 작동시킨다(예를 들어, 금속 캔(200)이 라이너(20A)의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때 자동으로 작동함). 라이너(20A)와 슬러그(30A)는 금속 캔(200)으로부터 열을 끌어내고, 이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로부터 열을 끌어내어 금속 캔(200) 및/또는 음료를 냉각시킨다. 상기 열은 열전 소자(40A)에 의해 열전달 블록(50A)으로 전달되고, 열전달 블록(50A)은 히트 파이프(65A)로 열을 전달한다. 히트 파이프(65A)는 상기 열을 히트 싱크(68A)에 전달하여 발산시킨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히트 싱크(68A)로부터 열을 발산하기 위해 히트 싱크(68A)를 지나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팬(70A)을 작동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는 히트 싱크(68A)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해 용기(100A)의 외부 엔클로저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를 통해 히트 싱크(68A)의 적어도 일부 위로 끌어 당겨지고, 가열된 공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를 통해 팬(70A)에 의해 엔클로저로부터 배출된다. 유리하게, 쿨러(100A)는 오랜기간(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 동안 금속 캔(200)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B)("쿨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쿨러(100B)의 일부 특징은 도 1의 쿨러(100)의 특징과 유사하다. 따라서, 쿨러(100B)의 각 구성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번호는 번호 식별에 "B"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도 1에서 쿨러(100)의 대응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의 쿨러(100)의 다양한 특징에 대한 구조와 설명은 아래에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3에서의 쿨러(100B)의 대응하는 특징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쿨러(100B)는 열전 소자(40B)와 히트 싱크(50B)가 용기(100B) 상부의 링에 있다는 점에서 냉각기(100)와 상이하다. 링은 용기(100B)의 상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링은 용기(100B)의 나사산 부분(95B)과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나사산 부분(90B)을 가질 수 있다). 나사산 부분(95B)은 라이너(20B)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용기(100B)는 팬(70B),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60B) 및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회로, 센서 등)를 수용하는 베셀(10B) 아래의 캐비티를 정의하는 외부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하우징은 베셀(10B)의 외부 표면과 외부 하우징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갭을 정의할 수 있으며, 갭은 용기(100B)의 상부를 향한 공기 유동 경로(80B)를 제공한다.
링이 용기(100B)의 상부에 부착될 때, 열전 소자(40B)의 한 측면은 라이너(20B)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될 수 있다(예를 들어, 나사 연결 90B, 95B를 통해). 히트 싱크(50B)는 열전 소자(40B)의 반대쪽과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전 소자(40B)는 서로 접촉하는 용기(100B)의 상부와 링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용기 상부의 전기적 접촉은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라인을 통해 베셀(10B) 아래의 회로 및/또는 배터리(60B)와 연결할 수 있다.
작동 시, 사용자는 라이너(20B)와 금속 캔(200) 사이의 열적 연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금속 캔(200)의 외벽이 라이너(20B)의 내부 표면(22B)에 근접(예를 들어, 인접, 접촉)하도록 금속 캔(200)(예를 들어, 탄산음료 캔, 맥주 캔)을 용기(100B)의 라이너(20B)의 챔버에 삽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캔(200)은 슬러그(30B)가 금속 캔(200)의 오목한 베이스에 접촉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링은 캔(200)이 챔버에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 용기(100B)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회로는 라이너(20B)로부터(그리고, 라이너(20B)를 통해 슬러그(30B)로부터) 열을 끌어내기 위해 열전 소자(40B)를 작동시킨다(예를 들어, 금속 캔(200)이 라이너(20B)의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때 자동으로 작동함). 라이너(20B)와 슬러그(30B)는 금속 캔(200)으로부터 열을 끌어내고, 이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로부터 열을 끌어내어 금속 캔(200) 및/또는 음료를 냉각시킨다. 상기 열은 열전 소자(40B)에 의해 히트 싱크(50B)로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용기(100B)의 외부 하우징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를 통해 공기를 끌어들이고, 상기 공기가 용기(100B)의 상부를 향해 공기 유동 경로(80B)를 따라 흐르도록 팬(70B)을 작동시킨다. 공기는 히트 싱크(50B)로부터 열을 발산하기 위해 히트 싱크(50B)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유동하고 용기(100B)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구의 외부로 흐른다. 일 구현예에서, 배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B)의 상부에서 정의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배기구는 용기(100B)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유리하게, 쿨러(100B)는 오랜기간(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 동안 금속 캔(200)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용기(100, 100A, 100B)를 참조하면, 회로는 금속 캔(200) 및/또는 그 안의 음료를 요구되는 온도(예를 들어, 온도 설정점)로 냉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열전 소자(40, 40A, 40B)를 작동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요구되는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이다(예를 들어, 회로와 통신하는 용기(100, 100A, 100B)의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구현예에서, 요구되는 온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는 용기(100, 100A, 100B)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는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원격 전자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용기(100, 100A, 100B)는 회로와 통신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가질 수 있으며, 회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감지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열전 소자(40, 40A, 40B) 및 팬(70, 70A, 70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작동시킨다. 센서는 라이너(20, 20A, 20B) 및/또는 슬러그(30, 30A, 30B) 및/또는 음료 용기(200) 및/또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압력 센서, 접촉 센서, 근접 센서, 부하 센서, 또는 용기(100, 100A, 100B)의 챔버에서 금속 용기(예를 들어, 금속 캔)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 60B)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배터리(60, 60B)는 전원 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용기(100, 100A, 100B)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재충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용기(100, 100A, 100B)는 전원 베이스 상의 전기적 접점에 접촉하여 전원 베이스로부터 배터리(60, 60B)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기 접점을 바닥에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배터리(60, 60B)는 용기(100, 100A, 100B)가 베이스 상에 배치될 때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통해 무선으로 재충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용기(100, 100A, 100B)의 회로는 전원 베이스에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 100A, 100B)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가질 수 있고, 전원 케이블의 다른 쪽 단부는 전원(예를 들어, 벽 소켓 등에)에 연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배터리(60, 60B)는 제거 가능한 팩에 있을 수 있고, 배터리(60, 60B)가 다른 팩으로 교체 및/또는 재충전되도록 허용하여 쿨러 용기(100, 100A, 100B)가 확장된 온도 제어 성능을 가질 수 있게 허용한다.
도 5는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C)("쿨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쿨러(100C)의 일부 특징은 도 1의 쿨러(100)의 특징과 유사하다. 따라서, 쿨러(100C)의 각 구성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 참조번호는 번호 식별에 "C"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면 도 1에서 쿨러(100)의 대응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의 쿨러(100)의 다양한 특징에 대한 구조와 설명은 아래에 설명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 5에서의 쿨러(100C)의 대응하는 특징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쿨러(100C)는 개방된 상단부와 폐쇄된 하단부와 이를 통하는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갖는 절연된 원통형 베셀(10C, 예를 들어, 외부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셀(10C)은 내주벽(예를 들어, 내부 원통형 벽)으로부터 갭에 의해 이격된 외주벽(예를 들어, 외부 원통형 벽)을 가지는 이중벽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갭은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갭은 절연 재료(예를 들어, 발포체)로 채워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갭은 진공 하에 있을 수 있다. 유리하게, 내주벽은 외주벽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예를 들어, 쿨러(100C)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의 열이 내주벽으로 전달되지 않아 내주벽과 외주벽 사이의 열 전달을 억제함). 다른 구현예에서, 베셀(10C, vessel)은 단일벽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셀(10C)는 열적 절연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다른 폴리머 재료, 다른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베셀(10C)은 내부에 챔버를 정의하고 내주 라이너(20C)("라이너")는 베셀(10C)의 내주벽과 열적으로 연통하도록(예를 들어, 열 접촉하여, 직접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라이너(20C)는 실질적으로 베셀(10C)의 상단부까지(예를 들어, 상단부 바로 아래, 예를 들어 내주벽의 높이 또는 그 사이 높이의 70% 또는 80% 또는 90%까지)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라이너(20C)는 베셀(10C)과 실질적으로 같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라이너(20C)는 개방된 상단부로부터 폐쇄된 하단부(21C)까지 연장될 수 있다. 라이너(20C)의 라이너 벽(22C)의 적어도 일부는 리브 형상(ribb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라이너(20C)는 높은 열전도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라이너(20C)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너(20C)는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라이너(20C)는 음료 용기(2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의 챔버를 정의한다. 음료 용기(25)는 라이너(20C)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음료 용기(25)는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음료 용기(25)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음료 용기(25)는 베셀(10C)과 라이너(20C)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음료 용기(25)는 베셀(10C)의 림(rim)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립(lip) 또는 숄더(26, shoulder)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음료 용기(25)의 상단벽이 베셀(10C)의 벽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일 구현예에서, 음료 용기(25)는 예를 들어 세척될 수 있도록 베셀(10C) 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음료 용기(25)는 라이너(20C)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쿨러(100C)는 선택적으로 베셀(10C)의 바닥에 있는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열 전도성 슬러그(30C)("슬러그")를 가질 수 있고, 라이너(20C)와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직접 접촉)하는 상태에 있다. 일 구현예에서, 슬러그(30C)는 라이너(20C)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예를 들어, 열 접촉, 직접 접촉)하는 상태에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C)와 라이너(20C)는 함께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러그(30C)와 라이너(20C)는 일체(monolithic)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단일편(single piece), 이음매 없는 단일편으로 제조 또는 성형됨). 슬러그(30C)는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C)는 라이너(20C)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러그(30C)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슬러그(30C)의 적어도 일부는 베셀(10C)의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러그(30C)는 베셀(10C)의 개구(예를 들어, 중앙 개구)를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슬러그(30C)의 하단부는 열전 소자(40, 예를 들어, 펠티에 소자)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열전 소자(40C)는 슬러그(30C)와 접촉하지만 라이너(20)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러그(30)는 배제되고 열전 소자(40C)는 라이너(20C)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열전 소자(40C)는 복수(multiple)의 열전 소자일 수 있다. 열전 소자(40C)의 바닥은 선택적으로 히트 싱크(50)와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히트 싱크(50C)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예를 들어, 복수의) 핀을 가질 수 있다.
베셀(10) 아래의 하우징은 열전 소자(40C), 회로(EM), 배터리(60C)(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와 팬(70C)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캐비티(90)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캐비티(90)와 캐비티 외부 환경 사이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흡입 개구(82)와 배출 개구(84)(예를 들어, 평평한 구조물(85)와 같은 디바이더에 의해 분리됨)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80C, vent openings)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EM)는 온도 설정점(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 미리 결정된 온도)에서 음료 용기(25)와 그 내용물(예: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하기 위해 열전 소자(40C) 및/또는 팬(70C)을 작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회로(EM)는 원격 전자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워치 등)와 (예를 들어, 무선으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회로(EM)는 원격 전자 장치로부터 온도 설정점을 수신하고, 아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온도 설정점에서 음료 용기(25)와 그 내용물(예: 음료)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열전 소자(40C) 및/또는 팬(70C)을 작동시킨다.
작동 시, 사용자는 음료 용기(25)에 음료를 따를 수 있다. 음료 용기(25)가 제거 가능하다면, 사용자는 용기(25)가 라이너(20C)와 열적으로 연통하도록 베셀(10C) 내로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음료를 따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회로는 슬러그(30C)와 라이너(20C)로부터(예를 들어, 라이너(20C)와 열적 접촉되는 슬러그(30B)를 통해) 열을 끌어내기 위해 열전 소자(40C)를 작동시킨다(예를 들어, 음료 용기(25)가 라이너(20C)의 챔버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때 자동으로 작동함). 라이너(20C)와 슬러그(30C)는 음료 용기(25)로부터 열을 끌어내고, 이는 내용물(예를 들어, 음료)로부터 열을 끌어내어 음료 용기(25) 및/또는 음료를 냉각시킨다. 상기 열은 열전 소자(40C)에 의해 히트 싱크(50C)로 전달되어 방출된다. 선택적으로, 회로는 히트 싱크(50C)로부터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히트 싱크(50C)를 지나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팬(70C)을 작동시킨다. 상기 공기는 하나 또는 이상의 흡입 개구(82)를 통해 캐비티(90) 내로 그리고 히트 싱크(50C)의 적어도 일부 위로 끌어들여져 히트 싱크로부터 열을 제거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는 팬(70)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 개구(84)를 통해 캐비티(9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유리하게, 쿨러(100C)는 오랜기간(예를 들어,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등) 동안 음료 용기(25)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라이너(20C)의 리브부(22C)는 (예를 들어, 차가운) 슬러그(30C)로부터 라이너(20C)와 음료 용기(25) 사이(예를 들어, 용기(25)의 상단 중앙 부근)의 주요 열 인터페이스까지 더 긴 열 브리지(예를 들어, 경로)를 제공한다. 열전 소자(40C)가 비활성화될 때, 이 더 긴 경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데워지기 시작함에 따라 열전 소자(40C)의 차가운 면이 음료의 가열을 억제(예를 들어, 방지)한다. 따라서, 라이너(20C)의 리브부(22C)는 음료 용기(25)에서 차가운 음료 온도를 더 오래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여기에 설명된 장치(예를 들어,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 100A, 100B, 100C))를 위한(예를 들어, 그 안에 통합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회로(EM)(예를 들어, 제어 회로,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CU), 컴퓨터 프로세서(들) 등)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S1-Sn)(예를 들어, 온도 센서, 배터리 충전 센서, 부하 센서, 무선 주파수 식별 또는 RFID 리더 등)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회로(EM)는 베셀(10, 10A, 10B, 10C) 아래의 캐비티에 수용될 수 있다. 회로(EM)는 열전 소자(40, 40A, 40B, 40C)와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저장 장치(PS)(예를 들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배터리에 의해 열전 소자에 제공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60, 60B, 60C))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열 또는 냉각 소자(HC)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지침)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예를 들어, 열전소자를 작동하여 가열 모드 및/또는 냉각 모드, 전원 끄기, 전원 켜기, 출력 가변 등).
선택적으로, 회로(EM)는 WiFi, 광대역 네트워크 및/또는 블루투스(BT)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자 장치(ED)(예: 휴대폰, PDA,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전자 시계와 같은 모바일 전자 장치), c) 클라우드(CL)을 통해, 또는 d)의 유닛(예를 들어, 용기 베셀(10)의 본체에), 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1)와 통신(예들 들어, 감지된 온도와 같은 정보를 전송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사용자 지침 또는 온도 설정점과 같은 정보 수신: a)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수신기 및/또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 100A, 100B, 100C)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지침)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쿨러 용기 어셈블리(100, 100A, 100B, 100C)에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서 제시되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여기에 설명된 신규한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개시 내용은 용기(100, 100A, 100B, 100C)에 삽입되는 금속 용기를 언급하지만, 금속 용기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재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라스틱 물병과 같은)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위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배터리(60, 60B, 60C), 열전 소자(40, 40A, 40B, 40C), 팬(70, 70B, 70C))는 단수로 설명될 수 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이 복수의 그러한 구성요소의 사용을 고려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도면이 단면도를 보여주지만, 당업자는 컨테이너(100, 100A, 100B, 100C)의 폼 팩터가 일 실시예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도면에 도시된 단면을 회전시킴으로써 정의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용기(100, 100A, 100B, 100C)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본 개시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에 속하는 그러한 형태 또는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정의될 뿐입니다.
특정 측면, 실시예 또는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재료들, 특성들 또는 그룹들은 그것과 호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이러 저러한 섹션들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측면,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도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첨부된 청구 범위, 요약 및 도면 포함) 및/또는 그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들은, 이러한 특징 및/또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배제하는 조합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수반되는 청구항, 요약 및 도면 포함)의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임의의 방법 또는 프로세스 또는 단계 또는 이들의 신규한 조합으로 확장된다.
더욱이, 개별 구현예의 맥락에서 본 개시에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또한 단일 구현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구현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여러 구현예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의 경우에, 특징들은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조합으로부터 잘려나갈 수 있고,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서 청구될 수 있다.
더욱이, 명세서의 작동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특정 순서로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작동들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작동들이 수행될 필요는 없고, 그러한 모든 작동들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묘사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작동들은 예시적인 방법들과 프로세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작동들은, 설명된 작동들 이전에, 이후에, 동시에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작동들은 다른 구현예들 내에 재배치되거나 재배열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시 및/또는 개시된 프로세스들에서 취해진 실제 단계들은 도면에 도시된 것들과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특정 단계는 제거될 수 있고 다른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속성들은 다른 방식들로 결합되어 부가적인 실시예들을 형성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구현예들 내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구현예에서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된 컴포넌트들과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제품으로 통합되거나 여러 제품들로 패키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해, 특정 측면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반드시 그러한 모든 이점들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다른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고서도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의 그룹들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본 개시가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할 수 있다" 등의 조건부 언어들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거나 사용된 문맥 내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은 그러하지 않지만, 특정 실시예가 특정의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부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어떤식으로든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거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트의 유무에 관계없이 결정을 위한 로직을 반드시 포함한다거가, 이러한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단계들이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그 안에서 수행되어야하는지 여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X, Y 및 Z 중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와 같은 결합어는 항목, 용어 등이 X, Y, 또는 Z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맥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구체예가 X 중 적어도 하나, Y 중 적어도 하나 및 Z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략", "약",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와 같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명시된 값, 양 또는 특성에 가까운 값, 양 또는 특성을 나타내거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 "대략", "약",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는 언급된 양의 10% 미만, 5% 미만, 1% 미만, 0.1% 미만 및 0.01% 미만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양태에서, 용어 "일반적으로 평행한" 및 "실질적으로 평행한"은 15°, 10°, 5°, 3°, 1° 또는 0.1° 이하만큼 정확히 평행한 값, 양 또는 특성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본 섹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특정 개시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섹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제시되거나 미래에 제시된 바와 같이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청구 범위의 언어는 청구 범위에 사용된 언어에 기초하여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또는 출원 절차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예는 비-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
10, 10A, 10B, 10C : 베셀
20, 20A, 20B, 20C : 라이너
22B : 내부 표면
22C : 라이너 벽
25 : 음료 용기
30, 30A, 30B, 30C : 슬러그
40, 40A, 40B, 40C : 열전 소자
50, 50B, 50C : 히트 싱크
50A : 열전달 블록
60, 60B, 60C : 배터리
65A : 히트 파이프
68A : 히트 싱크
70, 70A, 70B, 70C : 팬
80, 80C : 통기구
80B : 공기 유동 경로
82 : 흡입 개구
84 : 배출 개구
85 : 평평한 구조물
90 : 캐비티
90B : 나사산 부분
95B : 나사산 부분
100, 100A, 100B, 100C : 쿨러
200 : 금속 캔

Claims (16)

  1.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용기로서,
    내부에 액체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가지는 용기 본체(상기 용기 본체는 절연 베셀(vessel) 및 상기 절연 베셀의 내부 표면과 열적으로 연통하는 높은 열 전도성을 가지는 내부 라이너(liner)를 가지며, 상기 내부 라이너는 상기 챔버를 정의함);를 포함하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상기 내부 라이너의 적어도 일부와 열적으로 연통하는 일측을 갖는 열전 소자,
    상기 열전 소자의 타측과 열적으로 연통하는 히트 싱크,
    상기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측으로 또는 상측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 팬, 및
    상기 열전 소자 및 상기 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열전 소자를 작동시켜 라이너로부터 열을 끌어내고,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차례로 액체로부터 열을 끌어내는 작동에 의해 액체 용기 및/또는 그 안의 액체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지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열을 히트 싱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팬은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상기 열을 분산시키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열된 공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기구(vent openings)를 통해 용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쿨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쿨러 용기.
  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와 열적으로 연통하는 열 전도성 슬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러그는 상기 베셀의 바닥벽에 있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쿨러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그는 상기 챔버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액체 용기의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쿨러 용기.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그는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베이스의 오목 형상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쿨러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히트 싱크를 열적으로 연통시키는 히트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쿨러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히트파이프 사이에 열전달 블록을 더 포함하는, 쿨러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링에 있는, 쿨러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유동하여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열을 발산시키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향해 유동 경로를 따라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작동하는, 쿨러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적어도 일부는 리브 형상을 가지는, 쿨러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는 금속 캔인, 쿨러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는 유리로 만들어진 음료 용기인, 쿨러 용기.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그 및 상기 라이너는 단일편(single piece)인, 쿨러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베셀은 이중벽 구조의 한 쌍의 벽들 사이에 갭(gap)을 가지는 이중벽의 절열된 베셀인, 쿨러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갭이 진공 하에 있는, 쿨러 용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원격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쿨러 용기.
KR1020227019822A 2019-11-12 2020-11-09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KR20220093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34151P 2019-11-12 2019-11-12
US62/934,151 2019-11-12
PCT/US2020/059689 WO2021096807A1 (en) 2019-11-12 2020-11-09 Cooler device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236A true KR20220093236A (ko) 2022-07-05

Family

ID=7364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822A KR20220093236A (ko) 2019-11-12 2020-11-09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65679B2 (ko)
EP (1) EP4058744A1 (ko)
JP (1) JP2023500403A (ko)
KR (1) KR20220093236A (ko)
CN (1) CN114746708A (ko)
AU (1) AU2020384487A1 (ko)
CA (1) CA3160124A1 (ko)
WO (1) WO2021096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0213B2 (en) 2010-11-02 2018-07-03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and food containers
US11950726B2 (en) 2010-11-02 2024-04-09 Ember Technologies, Inc. Drinkware contain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20220381508A1 (en) * 2021-05-28 2022-12-01 Grad Aps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0953A (en) 1936-08-05 1940-08-13 Ohio Citizens Trust Company Suction cleaner
US3310953A (en) * 1965-10-23 1967-03-28 Joseph M Rait Portable refrigerator for beverage containers and the like
US5572872A (en) * 1994-08-15 1996-11-12 Hlavacek; Robert A. Liquid cooling,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JPH08170869A (ja) 1994-12-15 1996-07-02 Tokyo Yogyo Co Ltd 冷温水器
FR2759774B1 (fr) * 1997-02-19 1999-04-09 Jcm System Dispositif de rechauffage/refroidissement d'un liquide, notamment d'une boisson
US20130221013A1 (en) 1997-04-07 2013-08-29 J. Bruce Kolowich Thermal receptacle with phase change material
JP2001201233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保温・保冷装置
JP3979531B2 (ja) 2003-04-15 2007-09-19 日本ブロアー株式会社 電子冷却装置
US7089749B1 (en) * 2003-08-20 2006-08-15 Robin Contino Thermoelectrically heated/cooled cupholder system
JP2008150056A (ja) 2006-12-14 2008-07-03 Tatsuji Hirata 携帯飲料用容器
US20090049845A1 (en) * 2007-05-30 2009-02-26 Mcstravick David Medical travel pack with cooling system
DE102009023761B4 (de) * 2009-06-03 2012-11-22 Johann Loder 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fließfähigen Substanzen
ES2372458B1 (es) * 2010-07-07 2012-12-10 Sociedad Anónima Damm Dispositivo de enfriado de bebidas.
US10010213B2 (en) 2010-11-02 2018-07-03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and food containers
WO2014166867A1 (en) * 2013-04-08 2014-10-16 Carlsberg Breweries A/S A system for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and a method of externally cooling a beverage holder
DE102015106882B3 (de) 2015-05-04 2016-08-11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Getränkehalter und Getränkebehälter
KR101693990B1 (ko) 2015-05-18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의 냉온장 장치
US9581384B1 (en) * 2016-01-19 2017-02-28 Magni-Power Company Portable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s using heat transfer devices
WO2017137774A2 (en) * 2016-02-10 2017-08-17 Kaelo Technology Ltd Apparatus for cooling bottled beverages
GB201602402D0 (en) * 2016-02-10 2016-03-23 Kaezen Ltd Cooling device
WO2017192396A1 (en) 2016-05-02 2017-11-09 Ember Technologies, Inc. Heated or cooled drinkware
JP6795908B2 (ja) 2016-05-12 2020-12-02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搬送容器
WO2017197026A1 (en) 2016-05-12 2017-11-16 Ember Technologies, Inc. Drinkware and plateware and active temperature control module for same
US10408507B2 (en) * 2016-08-18 2019-09-10 John William VanTubergen, JR. Solar drink holder system and method
US9995529B1 (en) 2016-12-08 2018-06-12 Nova Laboratories Temperature-regulating containment system
DE102017100647B4 (de) * 2017-01-13 2022-09-01 Kukki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auen eines gefrorenen Getränks in einer Glastrinkflasche
CN207299604U (zh) 2017-09-30 2018-05-01 厦门帕尔帖电子科技有限公司 冷热器和用于冷热器的杯子
US11529021B2 (en) 2018-01-31 2022-12-20 Ember Technologies, Inc. Actively heated or cooled drinkware container
KR20210057128A (ko) 2018-09-10 2021-05-20 엠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냉 음료 컨테이너 및 냉 음료 분배 시스템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8495A1 (en) 2022-08-25
WO2021096807A1 (en) 2021-05-20
CN114746708A (zh) 2022-07-12
EP4058744A1 (en) 2022-09-21
AU2020384487A1 (en) 2022-05-19
US11965679B2 (en) 2024-04-23
CA3160124A1 (en) 2021-05-20
JP2023500403A (ja)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3236A (ko) 능동적 온도 제어 기능을 가진 쿨러
US10989466B2 (en) Portable cooler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11466919B2 (en) Portable cooler
US10464731B2 (en) Temperature controlled transport enclosure with tracking technology utilizing thermoelectric devices
US11162716B2 (en) Portable cooler
US20190008317A1 (en) Heated or cooled portable drinkware
US10244892B2 (en) Liquid container and module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liquid in container
CN109476411B (zh) 运输装置
CN108814199A (zh) 一种水杯
CN111480030A (zh) 低温储存容器封闭件
EP4368082A3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and chil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KR200492764Y1 (ko) 음료냉각장치
US11668508B2 (en) Portable cooler
US20220381508A1 (e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US20040065109A1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US20190226728A1 (en) Thermo-electric beverage container
US20200146477A1 (en) Plateware with active temperature control
US20230400233A1 (e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WO2023096816A1 (en) Portable container with cooling or hea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