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484A -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484A
KR20220092484A KR1020220077244A KR20220077244A KR20220092484A KR 20220092484 A KR20220092484 A KR 20220092484A KR 1020220077244 A KR1020220077244 A KR 1020220077244A KR 20220077244 A KR20220077244 A KR 20220077244A KR 20220092484 A KR20220092484 A KR 2022009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variable
screen
present disclosur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하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7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2484A/ko
Publication of KR2022009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Character User Interface)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 MENU MODEL OF A CHARACTER USER INTERFACE}
본 개시 내용은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작성된 프로그램 코드에서 메뉴와 관련된 코드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인프레임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레거시 프로그램)는 메뉴 선택을 타이핑 기반으로 수행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 디자인과 프로그램 코드가 복잡하게 엉켜 있어, 메뉴 로직과 프로그램 로직을 분리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웹 환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 등을 이용한 메뉴 선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메인프레임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 코드의 복잡성 등으로 인해 웹 환경으로 전환할 때, 사용자 편의에 기반한 메뉴로 전환하기 어렵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프레임 환경의 프로그램을 웹 환경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 등을 통한 메뉴 선택이 불가능하여, 웹을 사용한다는 느낌을 받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핑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을 마우스 클릭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으로 변환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6140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Character User Interface)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 가능한 변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제 2 화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 변수, 상기 제 1 객체 및 상기 제 2 화면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제 1 프로그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 변수, 상기 제 1 객체 및 상기 제 1 프로그램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 변수에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제 1 참조 변수를 공통 참조 변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통 참조 변수로 인식된 제 1 참조 변수에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참조 변수에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된다고 인식한 경우, 상기 제 1 참조 변수를 상기 메뉴 선택 변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 또는,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와 관련된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간 유사도 값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한 유사도 값이 가장 높은 제 1 단어를 상기 제 1 객체의 메뉴 설명 단어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할 때,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메뉴 설명 단어를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메뉴 선택 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메뉴 선택 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상기 다음 동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 또는,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상기 메뉴 선택 변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상기 다음 동작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상기 서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은: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개발된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 환경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에서 메뉴 선택 변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단말들, 서버들,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서로 호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청구범위에서의 단계들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 이전에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메모리(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컴퓨팅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컴퓨팅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컴퓨터인 클라이언트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통상적으로 컴퓨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 변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대입되는 변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객체는 사용자가 상기 참조 변수에 입력하는 객체 또는, 프로세서(110)가 상기 참조 변수에 입력하는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은 특정 메뉴 선택 변수,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입력되는 특정 객체 및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특정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특정 동작(예컨대, 전환되는 화면 또는,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이 맵핑 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특정 메뉴 선택 변수, 특정 객체 및 특정 동작 각각이 맵핑 된 테이블 형태의 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은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 기능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타이핑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메인프레임 환경)을 클릭 기반 메뉴 선택 기능 또는, 리스트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웹 환경)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은 상이한 프로그램 환경 간 메뉴 전환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컴퓨팅 장치(100)가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컴퓨팅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사이 및 컴퓨팅 장치(100)와 서버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컴퓨팅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사이 및 컴퓨팅 장치(100)와 서버들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들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에 제어에 의하여 동작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컴퓨팅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40)는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환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1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컴퓨팅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즉,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트 장치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50)는 기타 입력 장치(예를 들어,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메뉴 선택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제 1 화면은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 중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 가능한 변수를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또는,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에서 변수와 관련된 네이밍 특징, 주석 또는, 태그를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들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들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사전 저장된 단어들(예컨대, 변수라고 정의된 단어들)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제 1 화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호출 관계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에 특정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다음 동작(예컨대, 전환되는 화면 또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 1 화면과 관련된 특정 참조 변수에 특정 객체를 입력했을 때 변환되는 다음 화면(또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제 2 화면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 제 1 객체 및 제 2 화면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제 1 프로그램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 제 1 객체 및 제 1 프로그램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는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호출 관계 정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 1 화면과 관련된 특정 참조 변수에 두 개 이상의 특정 객체 각각을 입력했을 때 변환되는 다음 화면(또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에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었다고 인식한 경우, 제 1 참조 변수를 공통 참조 변수로 인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한 경우, 상기 공통 참조 변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14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은 특정 메뉴 선택 변수,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입력되는 특정 객체 및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특정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특정 동작(예컨대, 전환되는 화면 또는,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이 맵핑 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특정 메뉴 선택 변수, 특정 객체 및 특정 동작 각각이 맵핑 된 테이블 형태의 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프레임 환경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레거시 프로그램)는 메뉴 선택을 타이핑 기반으로 수행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 디자인과 프로그램 코드가 복잡하게 엉켜 있어, 메뉴 로직과 프로그램 로직을 분리하는 것조차 어려웠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 환경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환경으로 변환되더라도, 타이핑을 통한 메뉴 선택 기능을 제공하였다.
본 개시의 컴퓨팅 장치(100)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프로세스를 통해 메인프레임 환경의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로직을 추출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가 생성하는 메뉴 모델은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 기능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뉴 모델은 타이핑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메인프레임 환경)을 클릭 기반 메뉴 선택 기능 또는, 리스트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웹 환경)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웹 환경에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소스로 이용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웹 환경에서 메뉴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템플릿을 클릭하면 이에 따른 메뉴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뉴 모델과 IDE를 이용하여, 기존 메인프레임 환경의 메뉴에 디자인을 덧씌우는 형태로 웹 환경의 메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은 상이한 프로그램 환경 간 메뉴 전환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메뉴 모델을 생성하기 전에 공통 참조 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공통 참조 변수로 인식된 제 1 참조 변수에 기 설정된 개수(예컨대, 3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에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된다고 인식한 경우, 제 1 참조 변수를 메뉴 선택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의 메뉴 선택 변수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메뉴 선택 변수를 결정한 후,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컴퓨팅 장치(100)가 메뉴 선택 변수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다양한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IBM 메인프레임에서 실행되는 z/OS 운영 체제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품인 '대화식 시스템 생산성 향상 기능(Interactive System Productivity Facility, ISPF)'의 메뉴 기능을 웹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 또는,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을 인식할 수 있다(S210).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220).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와 관련된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와 적어도 하나의 객체 간 유사도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제 1 객체에 대한 유사도 값이 가장 높은 제 1 단어를 제 1 객체의 메뉴 설명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단계(S220)에서 메뉴 모델을 생성할 때, 제 1 객체와 메뉴 설명 단어를 맵핑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를 웹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메뉴 모델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다양한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z/OS와 z/VSE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IBM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주로 구동되는 트랜잭션 서버인 'Customer Information Control System(CICS, 고객 정보 제어 시스템)'의 메뉴 기능을 웹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예컨대, 전환되는 화면 또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변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서버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뉴 변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된다고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환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ICS 환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동작을 결정하는 서버는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메뉴 선택 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320).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 또는,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화면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메모리(130)에 사전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최종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또는, 메모리(130)에 사전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뉴 모델을 통해 생성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경우(즉, 메뉴 선택), 서버를 거치지 않고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바로 실행되거나, 특정 버튼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및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는 코드를 맵핑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했을 때,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을 열람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을 통해 생성된 메뉴에서 사용자가 제 1 버튼을 누르는 경우(즉, 제 1 버튼을 클릭하거나, 터치한 경우), 제 1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제 1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적어도 하나의 객체 및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환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이 서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동작(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특정 함수에 입력 값으로 이용)을 수행한 후, 그 결과 값을 이용하여 다음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관련된 다음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화면에 대한 정보 또는,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특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메뉴 모델을 생성할 때, 서버로부터 다음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 및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맵핑하여 상기 메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은 상이한 프로그램 환경 간 메뉴 전환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메뉴 모델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 1 화면(10)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화면(10)에는 상기 제 1 화면(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11-14)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화면(10)에는 시간(TIME)과 관련된 제 1 변수(11), 코드(CODE)와 관련된 제 2 변수(12), 아이디(IDENTITY)와 관련된 제 3 변수(13) 및 메시지(MSG)와 관련된 제 4 변수(14)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화면(10)에는 위에서 열거된 변수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변수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도 2의 단계(S11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화면(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11-14)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11-14)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11-14) 중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 가능한 변수를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로 인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를 분석하거나, 또는 제 1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들을 인식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제 1 화면(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변수(11-14) 중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변경 가능한 변수인 코드와 관련된 제 2 변수(12) 및 아이디와 관련된 제 3 변수(13)를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호출 관계에 대한 정보는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프(20)는 특정 참조 변수 및 특정 객체와 상기 특정 참조 변수 및 상기 특정 객체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 또는, 특정 프로그램의 호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도 2의 단계(S1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를 인식한 후,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각각의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 1 화면과 관련된 특정 참조 변수에 특정 객체를 입력했을 때 변환되는 다음 화면(또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제 1 화면(21)과 관련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전환되는 제 2 화면(23)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 제 1 객체 및 제 2 화면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20)를 포함하는 호출 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그래프(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면(21), 제 1 참조 변수 및 제 1 객체(22) 그리고, 제 2 화면(23) 각각을 연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래프(20)는 제 1 화면(21)에 표시된 제 1 참조 변수에 제 1 객체를 입력하였을 때, 제 2 화면(23)이 출력된다는 호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호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조 변수 중에서 공통으로 참조되는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제 1 화면과 관련된 특정 참조 변수에 두 개 이상의 특정 객체 각각을 입력했을 때 변환되는 다음 화면(또는, 프로그램)을 인식하여, 공통 참조 변수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의 메뉴 모델을 이용하여 메인프레임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를 웹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즉, 메뉴 모델은 상이한 프로그램 환경 간 메뉴 전환 작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에서 메뉴 선택 변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30)는 공통 참조 변수와 관련된 코드 및 상기 참조 변수에 입력되는 복수의 객체와 관련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공통 참조 변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선택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공통 참조 변수로 인식된 제 1 참조 변수(31)에 기 설정된 개수(예컨대, 3 개)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31)에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화면 각각으로 전환된다고 인식한 경우, 제 1 참조 변수(31)를 메뉴 선택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선택 변수로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 설정된 개수가 3 개라고 가정하면, 프로세서(110)는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30)를 통해, 공통 참조 변수인 제 1 참조 변수(31)에 제 1 객체(32), 제 2 객체(33) 및 제 3 객체(34) 각각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 1 객체(32), 상기 제 2 객체(33) 및 상기 제 3 객체(34)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전환되거나,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 1 참조 변수(31)를 메뉴 선택 변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는 다양한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는 메뉴 모델(40)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100)의 프로세서(110)가 메뉴 모델(40)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뉴 모델은 특정 메뉴 선택 변수,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입력되는 특정 객체 및 상기 특정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특정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특정 동작(예컨대, 전환되는 화면 또는,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이 맵핑 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메뉴 모델(40)은 메뉴 선택 변수 열(41), 입력되는 객체 열(42), 상기 메뉴 선택 변수에 상기 객체가 입력되었을 때 실행되는 동작 열(43) 및 메뉴에 대한 설명 열(44)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의 모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개시의 메뉴 모델(40)은 메인프레임 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메뉴 기능을 웹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메뉴 기능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모델은 타이핑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메인프레임 환경)을 클릭 기반 메뉴 선택 기능 또는, 리스트 기반의 메뉴 선택 기능(웹 환경)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시져,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저장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서버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KR1020220077244A 2020-11-11 2022-06-24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92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244A KR20220092484A (ko) 2020-11-11 2022-06-24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421A KR102415671B1 (ko) 2020-11-11 2020-11-11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77244A KR20220092484A (ko) 2020-11-11 2022-06-24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21A Division KR102415671B1 (ko) 2020-11-11 2020-11-11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484A true KR20220092484A (ko) 2022-07-01

Family

ID=81454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21A KR102415671B1 (ko) 2020-11-11 2020-11-11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77244A KR20220092484A (ko) 2020-11-11 2022-06-24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421A KR102415671B1 (ko) 2020-11-11 2020-11-11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47327A1 (ko)
JP (2) JP7230140B2 (ko)
KR (2) KR102415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85413B (zh) * 2023-04-24 2023-08-01 山东捷瑞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三维引擎生成指定菜单的方法、系统、装置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40A (ko)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디앤샵 객체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25A (ja) * 1993-06-24 1995-01-17 Nec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
JP2000259302A (ja) 1999-03-09 2000-09-22 Hitachi Business Solution Kk 画面生成方法
US7334216B2 (en) 2000-04-04 2008-02-19 Sos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s
US7124398B2 (en) 2002-04-10 2006-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pid GUI refacing of a legacy application
JP4072381B2 (ja) 2002-06-07 2008-04-09 Necソフト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構築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82617A1 (en) * 2004-02-17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utomated actions on recognized text strings in a computer-generated document
KR20070043384A (ko) *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서치 기능을 갖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서치 방법
JP2010015380A (ja) * 2008-07-03 2010-01-21 Hitachi Ltd CUI/Web入出力変換システム、CUI/Web入出力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93178B1 (ko) * 2019-03-27 2021-08-25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40A (ko)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디앤샵 객체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3313A (ja) 2023-05-09
JP2022077495A (ja) 2022-05-23
JP7230140B2 (ja) 2023-02-28
US20220147327A1 (en) 2022-05-12
KR102415671B1 (ko) 2022-07-01
KR20220064189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12743B2 (en)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EP2872982B1 (en) Location-dependent drag and drop ui
US20140160032A1 (en) Swipe Stroke Input and Continuous Handwriting
US20100318695A1 (en) Adaptive keyboard layout mapping
KR10204538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US10831513B2 (en) Control transparency of a top layer provided by an additional transparent layer on top of the top layer based on relevance
EP2856422A2 (en) Enhanced electronic communication draft management
US10209864B2 (en) UI differentiation between delete and clear
KR20220092484A (ko) 문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7851096A (zh) 用于提供翻译服务的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412704B (zh) 用于通过姿势或触摸控制用户界面的优化方案
KR20210104013A (ko) 데이터 변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I658401B (zh) 基於虛擬化行動架構之行動通訊裝置及其相關輸入法切換方法
CN108780443B (zh) 对数字笔划群组的直观选择
US201802179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intuitive interactive inputs across a note-taking interface
KR20140020641A (ko)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방법, 그리고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4220976B (zh) 终端的软键盘实现方法与终端
US10459612B2 (en) Select and move hint
KR20190072177A (ko)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KR102267693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연동 방법
KR102294121B1 (ko) 수신 메시지에 메모를 추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220056655A (ko)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230101231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법
KR20200114102A (ko) 전자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