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678A - 지폐류 입출금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입출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678A
KR20220090678A KR1020200181340A KR20200181340A KR20220090678A KR 20220090678 A KR20220090678 A KR 20220090678A KR 1020200181340 A KR1020200181340 A KR 1020200181340A KR 20200181340 A KR20200181340 A KR 20200181340A KR 20220090678 A KR20220090678 A KR 2022009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main
storage space
sub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0678A/ko
Publication of KR2022009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통해 지폐류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폐수납공간의 일벽면을 형성하고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메인 이동플레이트와, 지폐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이동플레이트와,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류 입출금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와,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와, 감별부의 감별 결과 정상권으로 판별된 지폐가 일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부에는 셔터의 개방시, 입금 지폐를 투입하거나 출금 지폐를 수취할 수 있는 지폐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 지폐수납공간에는 지폐수납공간 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와, 프론트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지폐수납공간 후방측 벽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와, 프론트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어 지폐수납공간을 입금공간과 출금공간을 구획하는 푸쉬플레이트가 구비된다.
그런데 입출금부에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를 감지하여 바로 반환하는 소극적인 대처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를 감지하지 못하면,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로 인해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애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가 장치 내에 투입되더라도,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을 진동을 통해 제거하고 지폐를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폐수납공간의 일벽면을 형성하는 메인 이동플레이트;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이동플레이트;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진동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제공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경사레일부를 따라 상대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승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는 메인 플레이트부; 상기 구동샤프트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크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마주보는 내측벽에 상기 승강롤러가 장착되는 지지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는 서브 플레이트부;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의 양측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롤러의 전후방향 이동을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롤러가 경사 이동이 가능한 경사 이동로를 내측벽에 제공하는 경사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위치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가이드홈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가이드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메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경사레일부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서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홈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서브 가이드홈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가 장치 내에 투입된 경우, 이동플레이트의 왕복 이동을 통해 지폐의 이물질 제거와 정렬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가이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의 메인 이동플레이트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에서 가이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이동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경사레일부를 따라 경사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일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경사레일부를 따라 수평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가이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입출금 장치의 메인 이동플레이트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에서 가이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폐류 입출금 장치(10)는 프론트플레이트(100), 백플레이트(200), 푸시플레이트(300), 구동수단(400) 및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플레이트(100)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프론트플레이트(100)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플레이트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백플레이트(200) 또는 푸시플레이트(300)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프론트플레이트(100)는 지폐수납공간(S)의 전방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폐수납공간(S)은 입출금 하우징(610) 내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백플레이트(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입금되거나 출금 예정인 지폐가 수납가능한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지폐수납공간(S)은 입금된 지폐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입금공간(S1)과, 출금될 지폐의 수취가 이루어지는 출금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입금공간(S1)에는 지폐의 낱장 분리를 위한 픽업롤러(631), 피드롤러(632), 가이드롤러(633)가 구비될 수 있고, 출금공간(S2)에는 지폐의 집적을 위한 핀치롤러(634) 및 스택롤러(6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플레이트(100)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지지프레임(500)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는 지폐수납공간(S)의 일벽면을 형성할 수 있고, 구동수단(400)의 구동에 의해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는 메인 플레이트부(111), 레크부(112), 지지편부(113), 메인 가이드부(114) 및 레일수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부(111)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하부는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벽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상부는 지폐수납공간(S)의 후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될 수 있다.
레크부(112)는 구동샤프트(410)의 피니언기어(411)와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크기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410)의 피니언기어(411)가 회전될 때, 레크부(112)는 피니언기어(411)과 맞물려 회전되면서,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를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편부(113)는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양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편부(113)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경사레일부(122)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레일부(122)에 마주보는 지지편부(113)의 내측벽에는, 경사레일부(122)의 경사 이동로(122a)를 따라 상대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승강롤러(420)가 장착될 수 있다.
메인 가이드부(114)는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114)는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가이드부(114)는 가이드 브라켓(430)의 메인 가이드홈부(43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메인 가이드부(114)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이동 방향을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가이드부(114)는 가이드 브라켓(430)의 메인 가이드홈부(432)를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롤러일 수 있다.
레일수부(115)는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양측단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레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레일수부(115)에는 레일암부(434)가 지지될 수 있다.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지폐수납공간(S)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서브 플레이트부(121), 경사레일부(122) 및 서브 가이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부(121)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부(121)는 지폐수납공간(S)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경사레일부(122)는 서브 플레이트부(121)의 양측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경사레일부(122)는 승강롤러(420)의 전후방향 이동을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상하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지지편부(113)에 대향되는 경사레일부(122)의 내측벽에는, 승강롤러(420)의 경사 이동이 가능한 경사 이동로(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부(123)는 경사레일부(122)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가이드부(123)는 서브 플레이트부(121)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부(123)는 가이드 브라켓(430)의 서브 가이드홈부(433)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서브 가이드부(123)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이동 방향을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가이드부(123)는 가이드 브라켓(430)의 서브 가이드홈부(433)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일 수 있다.
백플레이트(200)는 프론트플레이트(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지폐수납공간(S)의 후방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200)는 지폐수납공간(S)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시플레이트(300)는 프론트플레이트(100)와 백플레이트(200) 사이에 설치되어 지폐수납공간(S)을 입금공간(S1)과 출금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푸시플레이트(300)는 지폐수납공간(S)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푸시플레이트(300)가 프론트플레이트(100) 쪽으로 이동하면 입금공간(S1) 내에 있는 지폐의 분리 동작을 보조할 수 있고, 푸시플레이트(300)가 백플레이트(200) 쪽으로 이동하면 출금공간(S2)으로 들어오는 지폐의 집적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구동수단(400)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400)은 구동샤프트(410), 승강롤러(420), 가이드 브라켓(430) 및 가이드 커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410)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410)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를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롤러(420)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지지편부(113)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롤러(420)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경사레일부(122)를 따라 상대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다. 예컨대, 승강롤러(420)는 경사레일부(122)의 경사 이동로(122a)를 따라 이동하면,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경사레일부(122)에 대한 승강롤러(420)의 지지압력에 의해 지폐수납공간(S)의 상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30)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를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30)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431)와, 브라켓부(431)의 상부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가이드홈부(432)와, 브라켓부(431)의 하부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가이드홈부(433)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레일수부(115)를 지지하는 레일암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가이드홈부(432)에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메인 가이드부(114)가 지지될 수 있다. 이 메인 가이드홈부(432)는 브라켓부(431)의 상부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됨으로써,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서브 가이드홈부(433)에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서브 가이드부(123)가 지지될 수 있다. 이 서브 가이드홈부(433)는 브라켓부(431)의 하부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됨으로써, 서브 이동플레이트(120)가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레일암부(434)는 메인 플레이트부(111)의 양측단에서, 메인 가이드홈부(432)및 서브 가이드홈부(433)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암부(434)는 레일수부(115)를 지지하도록 브라켓부(431)에서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레일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커버(440)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경사레일부(122)를 감싸도록 지지프레임(50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경사레일부(122)에 대향되는 가이드 커버(440)의 내측벽에는 커버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441)은 서브 가이드부(123)가 유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구동수단(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구동샤프트(410)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빠르게 반복 회전되도록 구동수단(400)을 조절할 수 있다. 지폐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가 구성하는 지폐수납공간(S)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샤프트(410)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면, 구동샤프트(410)의 반복 회전에 의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진동될 수 있고, 메인 이동플레이트(110) 및 서브 이동플레이트(120)의 진동에 의해,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이 지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도록 구동수단(400)을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면, 서브 이동플레이트(120)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연동하여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반복 이동됨으로써,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지폐가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이동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경사레일부를 따라 경사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일부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3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지폐류 입출금 장치에서,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경사레일부를 따라 수평 이동될 때,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완전히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지폐가 지폐수납공간(S)의 입금공간(S1)에 투입되면, 프론트플레이트(100), 다시 말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와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반복 이동시킴으로써,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폐가 지폐수납공간(S)에 투입되면, 컨트롤러는 구동샤프트(410)가 정방향(일 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수단(400)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연동하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구동샤프트(410)에 의해 지폐수납공간(S)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승강롤러(420)가 경사레일부(122)의 경사 이동로(12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경사레일부(122)에 대한 승강롤러(420)의 지지압력에 의해 지폐수납공간(S)의 상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지폐가 지폐수납공간(S)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샤프트(410)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빠르게 반복 회전되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와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에 연동하는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진동될 수 있다.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와 서브 이동플레이트(120)가 진동하면,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은 지폐에서 분리될 수 있고, 지폐는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가 지폐수납공간(S)의 전후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면, 서브 이동플레이트(120)는 메인 이동플레이트(1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폐수납공간(S)의 상하방향으로 반복 이동되므로, 지폐에 부착된 이물질은 지폐에서 분리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지폐는 정렬될 수 있다.
지폐가 정렬이 완료되면, 메인 이동플레이트(110)는 입금공간(S1) 내 분리 위치로 이동되고, 이동플레이트(110)에 의해 분리 위치로 이동한 지폐는, 픽업롤러(631), 피드롤러(632) 및 가이드롤러(633)를 통해, 반송로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이 부착된 지폐가 장치 내에 투입된 경우, 이동플레이트(메인 이동플레이트 및 서브 플레이트)의 왕복 이동을 통해 지폐의 이물질 제거와 정렬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프론트플레이트 110: 메인 이동플레이트
111: 메인 플레이트부 112: 레크부
113: 지지편부 114: 메인 가이드부
115: 레일수부 120: 서브 이동플레이트
121: 서브 플레이트부 122: 경사레일부
123: 서브 가이드부 200: 백플레이트
300: 푸시플레이트 400: 구동수단
410: 구동샤프트 411: 피니언기어
420: 승강롤러 430: 가이드 브라켓
431: 브라켓부 432: 메인 가이드홈부
433: 서브 가이드홈부 434: 레일암부

Claims (9)

  1. 지폐수납공간의 일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메인 이동플레이트;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가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이동플레이트;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가 진동되도록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키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제공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의 측부에 형성된 경사레일부를 따라 상대적인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승강롤러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는
    메인 플레이트부;
    상기 구동샤프트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크부;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마주보는 내측벽에 상기 승강롤러가 장착되는 지지편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는
    서브 플레이트부;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의 양측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롤러의 전후방향 이동을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의 상하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롤러가 경사 이동이 가능한 경사 이동로를 내측벽에 제공하는 경사레일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위치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가이드홈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단에 구비되는 메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가이드홈부를 따라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경사레일부의 외측벽에 구비되는 서브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홈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서브 가이드홈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폐수납공간의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20200181340A 2020-12-22 2020-12-22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20220090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40A KR20220090678A (ko) 2020-12-22 2020-12-22 지폐류 입출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40A KR20220090678A (ko) 2020-12-22 2020-12-22 지폐류 입출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678A true KR20220090678A (ko) 2022-06-30

Family

ID=822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40A KR20220090678A (ko) 2020-12-22 2020-12-22 지폐류 입출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06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432B2 (en) Device for handling single sheets, for introducing and distributing rectangular single sheets, especially bank notes, respectively into and out of a container
KR101023856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4973166B2 (ja) 紙幣入出金口機構
US9905071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JP2006290564A (ja) 紙葉類処理装置
CN110660152B (zh) 纸币接收器供给器装置
JPH11278700A (ja) 紙幣繰り出し装置
US6443442B1 (en) Extraction equipment for paper money
KR20220090678A (ko)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2485213B1 (ko)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2485211B1 (ko) 지폐류 입출금 제어방법
KR100953576B1 (ko) 매체처리장치
KR102303729B1 (ko) 지폐집적장치 및 지폐집적방법
KR20220090677A (ko)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4193707B2 (ja) 紙葉類収納機構
WO2016121146A1 (ja) 紙幣計数機
KR101700278B1 (ko) 지폐처리장치의 지폐포장장치
JP5150844B2 (ja) 給紙装置
KR1024543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JP6259725B2 (ja) 紙葉類分離集積装置
JP7015941B2 (ja) 紙葉類格納装置
KR10106257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WO2021152666A1 (ja) 紙葉類格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WO2021140549A1 (ja) 紙葉類格納装置
JP2009093279A (ja) 紙幣取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