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75B1 -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75B1
KR101062575B1 KR1020100005310A KR20100005310A KR101062575B1 KR 101062575 B1 KR101062575 B1 KR 101062575B1 KR 1020100005310 A KR1020100005310 A KR 1020100005310A KR 20100005310 A KR20100005310 A KR 20100005310A KR 101062575 B1 KR101062575 B1 KR 10106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dia
bar
solenoid
contro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489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00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5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지급기에 내장되는 회수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수함은,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24,26)을 구비하고, 상기 집적공간 내는 매체를 상부에 집적하기 위한 플레이트(4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바(50)는,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42a)에 끼워지고, 상기 집적공간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바(36,136)는 상기 솔레노이드(30)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지하거나, 외측단부가 지지바와 이격되어 플레이트가 하강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30)의 동작은 작동바(32) 및 회동부재(34)를 통하여 제어바(36,136)에 전달된다.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Reject box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를 정렬된 상태로 정확하게 집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박스(reject box)에 관한 것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현금 또는 수표 등과 같은 매체를 자동으로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기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의 입금 및 출금을 위한 각각의 경로를 형성하는 입출금모듈과, 상기 입출금모듈을 통하여 입금되거나 출금되어야 할 매체를 집적하는 트레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입출금모듈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출금시 트레이 내의 카세트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출금 모듈은, 입출금되는 매체의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하여 투입되는 매체를 확인하거나, 입금되는 매체를 분리하여 집적할 수 있도록 하거나, 매체를 일시 집적하거나 입금 취소시 수반되는 제반 처리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는 입출금을 위한 매체를 집적하는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트레이에는 입금 및 출금되어야 하는 매체를 권종에 따라서 집적하고 있는 다수개의 카세트와, 여러 가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상 처리되지 않은 매체를 각각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수개의 회수함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회수함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사용자가 억세스할 수 있는 접객부까지 매체를 공급하였으나 사용자가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 또는 이송과정에서 이상이 있는 매체를 회수하여 보관하기 위한 회수함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여 각각 다르게 처리되어야 하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회수함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회수함(10)은, 복수 개의 집적공간(12,14,16)을 구비하는 하타의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집적공간(12,14,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성격의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집적공간(12,14,16)으로 투입되는 매체의 입구는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집적공간(12,14,16)으로 각각 투입되는 매체는 정렬된 상태로 집적되어야 한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떨어지는 지폐가 좌우로 많이 이격되면 정확한 정렬이 되지 않기 때문에 매체의 집적에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상 집적공간(12)에는 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2)는, 예를 들면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집적공간(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회수되는 매체의 증가에 따라서 점점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체를 정렬 상태로 집적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2)는 벨트(4)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6)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풀리 사이에서 회전하는 벨트와 연동하도록 상기 플레이트(2)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집적공간(12)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는 다른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구동모터와 연동하는 워엄 및 워엄기어를 이용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매체의 집적량이 작다고 할 수 있는 집적공간(14,16)에서는, 매체의 정렬된 집적을 위하여, 대략 그 공간의 하부에 판스프링(8)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집적공간(14,16)의 내부로 투입되는 매체는 상기 판스프링(8) 상에 집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판스프링(8)은 정확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그 단부가 상방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집적되는 매체가 대각선 방향 등과 같이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집적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이상 집적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실제 집적량은 예상보다 현저하게 적은 집적량을 가지게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8)은 실제로 아주 얇은 금속판이기 때문에, 상기 집적공간(14,16)의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관리자가 꺼낼 때 판스프링(8)의 예리한 부분과의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도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적공간(14,16)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 내에 구동모터 및 벨트 등을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수되는 매체의 정확한 집적이 가능한 회수함용 매체 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회수함용 매체 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집적공간 내는 매체를 상부에 집적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매체자동지급기용 회수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끼워지고, 상기 집적공간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어바;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에서의 전원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바를 지지바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링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에 전원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일정 간격 직선 왕복운동하는 작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어바와 핀결합되어 제어바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일정구간 회동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어바와 핀결합된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핀들과 슬롯을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어바는 직선운동을 통하여 상기 지지바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바와 접촉하는 제어바의 외측단부에는 고무재질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어서, 마찰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어바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제어바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제어바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집적공간 내는 매체를 상부에 집적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매체자동지급기용 회수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끼워지고, 상기 집적공간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여,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것에 의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지하거나 플레이트를 자중에 의하여 하강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어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매체의 집적량에 따라 플레이트를 하강시킴으로써 매체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집적공간이 소형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저렴한 생산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잇점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회수함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수함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의 저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플레이트가 하강하는 상태의 플레이트의 저면 예시도.
도 6은 플레이트가 하강하는 상태의 플레이트의 정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적장치가 적용되는 회수함은, 다수개의 집적공간(22,24,26)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집적공간(22)에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매체의 정확한 집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좁은 집적공간(24,26)에도, 상술한 모터를 이용한 것과 같이, 정확하면서도 정렬된 집적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집적공간(24,26)의 내부에 매체를 상부에 집적할 플레이트(40)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40)는 솔레노이드(30)에 의하여 하강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매체의 인입이 시작되는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40)가 집적공간(24,26)의 내부에서 높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매체의 집적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플레이트(40)를 점진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매체의 정확한 집적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40)의 하강을 솔레노이드(30)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로 정상적인 매체의 집적을 가능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집적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30)와 연설된 작동바(32)는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직선상으로 일정한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즉, 상기 작동바(32)는 화살표로 도시한 A 및 B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왕복운동을 수행하며, 예를 들면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A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원이 오프되면 솔레노이드 내부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32)는 회동부재(34)와 핀(P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대칭으로 설치되는 상기 회동부재(34)는 핀(Pa)과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슬롯(34a)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4)의 타단부는 제어바(36)의 내측단부와 핀(Pc)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4)의 타단부도, 상기 핀(Pc)과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슬롯(34b)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34)의 외측단부는 지지바(5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40)의 양단부에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된 가이드(42)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오프되어, 상기 플레이트(4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30)의 전원이 오프되면 상기 작동바(32)는 도면상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작동바(32)가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부재(34)는 핀(P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회동방향이 화살표(Ba)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상 우측에서 대칭으로 설치되는 회동부재(134)는 핀(Pd)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그 회동방향이 화살표(Bd)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4,134)의 회동 동작에 따라서, 제어바(36,136)는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34,134)의 화살표(Ba,Bd) 방향 회동에 의하여, 제어바(36,136)는 각각 핀(Pc 및 Pe)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화살표(Bc) 방향으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34,134)는 상기 작동바(32)의 핀(Pa)과는 슬롯(34a)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바(36,136)의 각각의 핀(Pc 및 Pe)과도 슬롯(34b 및 134b)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바(32)의 직선 이동은 회동부재(34,134)의 일정 범위 내에서의 회전동작으로 변환되고, 상기 회동부재(34,134)의 회동동작은 제어바(36,13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바(36,136)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외측단부는 지지바(5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4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바(50)는 실질적으로 집적공간(24,26)의 내부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의 오프되면, 상기 제어바(36,136)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바(50)와 접촉되어 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바(36,136)의 외측단부에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스토퍼(36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바(36,136)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상기 제어바(36,136)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직선형으로 돌출 성형된 가이드돌기(4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바(36,136)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3)가 수납되는 가이드슬롯(3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바(36,136)는 상기 가이드돌기(43)가 끼워진 가이드슬롯(36a)의 안내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정확한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서 상기 플레이트(40)의 하향 이동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집적공간(24,26)에 설치된 플레이트(40) 상에 일정량의 매체가 집적되면 상기 플레이트(40)는 그 높이를 낮춰야 한다. 상기 플레이트(40)는, 제어바(36,136)의 외측단부가 지지바(50)에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작동바(32)는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에 따라서 회동부재(34,134)는 핀(Pb,Pd)을 중심으로 화살표(Aa,Ac) 방향으로 각각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4,134)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어바(36,136)는 화살표(Ac) 방향을 내측으로 당겨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어바(36,136)의 단부 또는 단부에 설치된 마찰력이 높은 재질의 스토퍼(36b,136b)는 지지바(50)에서 이격된다.
상기 제어바(36,136)가 지지바(50)에서 이격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플레이트(40)를 지지하고 있는 힘이 없어지는 결과가 되어 플레이트(40)는 자유상태로 되어, 그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40)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가이드공(42a) 을 구비한 가이드(42) 및 지지바(50)의 결합관계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즉 상기 플레이트(40)가 정해진 만큼 하강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상기 제어바(36,136)의 외측 단부가 지지바(5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플레이트(40)가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하는가 또는 오프하는가의 여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레이트(40) 상에 집적된 매체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집접장치의 내부로 투입되는 매체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회수함의 입구 측에 설치하고, 이러한 센서에 의하여 카운트되는 매체의 투입 매수를 산출한 후, 일정량의 매체가 투입되면 정해진 만큼 상기 플레이트(40)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제어바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플레이트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의 솔레노이드에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고, 비록 생산코스트의 측면에서는 불리하겠지만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바 및 회동부재를 통하여 제어바를 내외측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도시한 실시예에 개시된 링크체에 한정될 수 없음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2, 24, 26: 집적공간 30: 솔레노이드
32: 작동바 34, 134: 회동부재
34a: 슬롯 36a: 가이드슬롯
36b: 스토퍼 36, 136: 제어바
43: 가이드돌기 50: 지지바

Claims (5)

  1.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집적공간 내는 매체를 상부에 집적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매체자동지급기용 회수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끼워지고, 상기 집적공간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제어바;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에서의 전원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바를 지지바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링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수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일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전원이 차단될 경우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작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제어바와 핀결합되어 제어바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일정구간 회동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어바와 핀결합된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핀들과 슬롯을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어바는 직선운동을 통하여 상기 지지바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회수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와 접촉하는 제어바의 외측단부에는 고무재질의 스토퍼가 설치되는 회수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어바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제어바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어, 제어바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회수함.
  5.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집적공간 내는 매체를 상부에 집적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매체자동지급기용 회수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끼워지고, 상기 집적공간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여, 외측 단부가 상기 지지바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것에 의하여, 마찰력에 의하여 플레이트의 위치를 지지하거나 플레이트를 자중에 의하여 하강시킬 수 있는 제어바를 포함하는 회수함.
KR1020100005310A 2010-01-20 2010-01-20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10106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0A KR101062575B1 (ko) 2010-01-20 2010-01-20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10A KR101062575B1 (ko) 2010-01-20 2010-01-20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89A KR20110085489A (ko) 2011-07-27
KR101062575B1 true KR101062575B1 (ko) 2011-09-06

Family

ID=4492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10A KR101062575B1 (ko) 2010-01-20 2010-01-20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58B1 (ko) * 2013-04-24 2015-03-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58B1 (ko) * 2013-04-24 2015-03-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8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568B1 (en) Thin-sheet medium processing apparatus
US9858743B2 (en) Medium housing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JP5502182B2 (ja) 媒体保管箱、媒体処理装置及び金融機器
US7712596B2 (en) Bill recycle machine
US8360224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085379B1 (ko) 지폐 집적 기구
KR101062575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회수함
US9950890B2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stacking a medium, and financial device
RU2737233C1 (ru) Кассета для наличных денег и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уется кассета для наличных денег
US20020152167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EP2511884B1 (en) Automatic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7271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집적장치 및 록킹 장치
KR101266174B1 (ko) 낙하방식의 지폐 수납기구
KR101291837B1 (ko) 매체 정렬 장치,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0901071B1 (ko) 지폐입출금장치
US9666010B2 (en) Cash box having an adjustable belt support
KR101099181B1 (ko) 카세트의 동력전달장치
US7891553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2010002287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KR102498664B1 (ko) 매체 저장 장치
KR101834500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WO2021152666A1 (ja) 紙葉類格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281316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KR10237958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101114727B1 (ko) 지폐저장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