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101A -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 Google Patents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101A
KR20220090101A KR1020200180956A KR20200180956A KR20220090101A KR 20220090101 A KR20220090101 A KR 20220090101A KR 1020200180956 A KR1020200180956 A KR 1020200180956A KR 20200180956 A KR20200180956 A KR 20200180956A KR 20220090101 A KR20220090101 A KR 2022009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uria
diagnosing
solid
sand
cat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846B1 (ko
Inventor
강경순
정아영
Original Assignee
유리벳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리벳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리벳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8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용 고체형 비드 및 이를 이용한 단백뇨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및 pH 2 내지 3의 산 용액;을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여 제조한 고체형 비드를 벤토나이트와 같은 알칼리성 모래 위에 올려 놓고 고양이가 소변을 보았을 때 고체형 비드의 색변화를 통해 단백뇨 유무를 간단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에, 이는 고양이 단백뇨 진단 키트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Solid beads for diagnosing proteinuria in cat urine and proteinuria diagnostic kit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용 고체형 비드 및 이를 이용한 단백뇨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및 pH 2 내지 3의 산 용액;을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하여 제조한 고체형 비드를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위에 올려 놓고 고양이가 소변을 보았을 때 고체형 비드의 색변화를 통해 단백뇨 유무를 간단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에, 이는 고양이 단백뇨 진단 키트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도시화와 1인 가구의 증가로 개,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이라는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도심속에서 자연과 동물의 친근함을 얻고 교감을 통해 자연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개,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에서 찾으려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애호가나 마니아로부터 시작된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다각적이고 점증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재, 반려동물은 일반가정에서도 널리 양육되고 있으며,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이고 인생의 동반자의 역할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고양이는 개보다 실내양육이 용이하고, 양육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으며, 양육편의가 높기 때문에 일본과 유럽 등 반려동물 문화가 앞서 발달한 나라들로부터 확대되어 전세계적으로 양육개체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수명 연장과 함께 반려동물의 고령화 시대를 이끌면서 사람에서 많이 발견, 치료되던 만성, 노령성 질환들이 반려동물의 동물들에서도 주요한 질병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 중 신장질환은 고양이의 생활습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반려묘에게 발병 위험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당뇨, 요로 결석, 세균성 방광염 등과 관련이 있으며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고양이 사망원인 1위에 해당할 정도로 반려묘에게 치명적인 주요 질병으로 보고되고 있다. 단백뇨는 이러한 신장질환의 지표가 되는 대표적인 항목으로 단백뇨 증상을 방치할 경우, 신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여 만성 신부전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백뇨의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는 반려묘 양육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신장질환은 한번 발생하면 완치가 어렵고, 재발확률이 높으며, 확진후 6개월 내 사망률이 가장 높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반려묘의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주므로 빠른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고양이의 경우, 소변 채취의 어려움으로 정기적인 검사와 조기 진단 있어 가정에서 비전문가가 단백뇨 검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편, 고양이의 경우에는 다른 반려동물과는 다르게 대·소변시 용변을 모래에 묻어버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모래(일명 고양이 모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모래가 없으면 원활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양이 모래와 화장실 용품이 다각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고양이 모래의 경우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흡수형 모래와 응고형 모래로 분류된다.
상기 흡수형 모래는 고양이의 용변 특히,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방습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카(silica, SiO2ㆍ2H2O)을 사용하거나, 종이모래 또는 옥수수, 콩 등의 곡물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응고형 모래는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모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응고형 모래는 배설물을 벤토나이트 모래로 뭉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처리가 우수한 제품으로 반려묘 양육가정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벤토나이트 모래의 활용과 소비가 여타 흡수형 모래보다 월등함에도 벤토나이트의 특수한 성질로 인하여 지금까지 고양이 모래에서 단백뇨를 검사하는 지시제는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것이 유일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 실리카겔 모래에서 단백뇨를 검출하는 지시제의 오류를 해결하고, 벤토나이트와 같은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2318호 (2017.01.06. 공개)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백뇨 진단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b)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4 내지 0.1 중량부; 및 (c)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1.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4 내지 0.1 중량부; 및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1.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ⅱ)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고 비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ⅲ) 비드 형태의 가공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체형 비드; 및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를 포함하는, 고양이 단백뇨 진단 키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체형 비드를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형 비드에 고양이의 소변이 접촉 시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뇨의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고체형 비드를 이용한 단백뇨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별도의 고양이 소변 채취 없이도 신장질환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반려묘의 수명연장에 기여함은 물론 고양이 보호자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와 단백뇨와 반응하여 파란색으로 색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벤토나이트 모래 표면에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를 뿌리고 단백뇨 또는 증류수와 반응 시의 색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비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벤토나이트 모래 위에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기존 지시제를 올리고 증류수와 단백뇨를 뿌린 후에 증류수에서도 초록색으로 변화하는 모습은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벤토나이트와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기존 지시제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증류수와 단백뇨를 뿌린 후에 색변화를 확인한 결과로서, 색변화를 확인할 수 없음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벤조산, 시트르산, 타타르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고체형 비드를 이용한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단백뇨 진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결과를 바탕으로 색값 차이를 수치로 산출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양이 양육 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편리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소변 내 단백뇨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단백뇨의 진단의 정확성을 위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와 함께 산 용액을 포함하는 고체형 비드 경우 벤토나이트 모래의 강알칼리로 인해 기존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지시제가 단백질 이외의 용액에서 색변화가 발생하는 오류를 개선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 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b)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4 내지 0.1 중량부; 및 (c)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1.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흡수형 모래는 고양이의 용변 특히,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방습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카(silica, SiO2ㆍ2H2O)을 사용하거나, 종이모래 또는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가 대표적이며,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응고형 모래는 벤토나이트이다. 특히,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응고형 모래는 응고력이 우수한 제품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제조를 위한 제형으로서,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는 식물의 광합성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로써, 리그닌 유무에 상관없이 목질계 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공업적으로 제조하여 판매되는 수용성 고분자 셀룰로오스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지네이트는 해양생물의 광합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생물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가수분해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는 물에 분산시키거나 용해시켜 수용액 상태에서 이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형태를 성형 및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기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알지네이트를 15:1 내지 30:1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알지네이트의 건조 후 단단해지는 성질로 인하여 고체형 비드를 성형하는데 도움을 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메틸셀룰로오스(MC), 하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및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Tetrabromophenol Blue) 지시제는 펩티드의 전하와 만나면서 pH 지시제의 산도가 변화되면서 발색하게 한다. 변색 범위는 pH 3.0 내지 4.6로서, 산성색은 황색으로, 염기성색은 청색으로 발색한다.
상기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0.04 내지 0.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085 중량부이다. 0.04 중량부 미만인 경우 양성에서도 색 변화가 청색이 아닌 황색과 청색의 중간으로 나올 수 있다는 한계가 있고, 1 중량부 초과인 경우 음성 범위 내의 단백질 농도에서 양성으로 색이 변할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pH 2 내지 3.5의 산 용액은 벤토나이트 모래의 강알칼리로 인한 단백질 이외의 용액에서의 색변화에 대한 오류를 개선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벤조산(Benzo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타타르산(Tart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타타르산은 가장 뚜렷한 색변화를 나타냈다.
상기 고체형 비드는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가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와 반응하여 색변화를 유도하며, 특히 pH 3.0 내지 4.6에서 변색 범위를 갖는 고체형 비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형 비드 조성물은 편백수, 활성탄, 데오도런트, 피톤치드 및 편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악취제거 및 항균성이 있어 고체형 비드의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1 내지 0.03 중량부; 및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0.3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및 (ⅲ) 비드 형태의 가공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상기 (ⅰ) 단계는 고체 비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고체형 비드 제조에는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를 녹이는 용매를 추가적으로 혼합한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메탄올, 및 다이메틸 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가 녹지 않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고, 40 중량부 초과인 경우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를 녹이는 것 이외의 역할은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이 양이 필요 없다는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혼합 시 추가적으로 증류수를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330 내지 700 중량부를 사용하여 반죽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ⅱ) 단계는 비드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비드의 평균입경크기가 3 내지 10 mm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의 평균입경크기가 3 mm 미만인 경우 벤토나이트를 통과한 소변이 다량 비드에 닿을 경우 위양성이 나올 수 있고, 육안으로 색변화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10 mm 초과인 경우 일반적으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것이 특징인 고양이가 비드를 밟을 때 이물감을 느껴 화장실 사용을 거부할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의 비드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ⅲ) 단계는 비드를 건조하여 고체형 비드로 제조하는 것으로, 건조시 조건은 70 내지 90℃ 온도 조건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체형 비드 및 벤토나이트 응고형 모래를 포함하는 고양이 단백뇨 진단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개체의 감수성을 판정하는 것, 한 개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개체의 예후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 (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체형 비드를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형 비드에 고양이의 소변이 접촉 시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뇨의 진단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고체형 비드를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의 혼합하는 것은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표면에 올려두거나 섞어서 혼합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백뇨의 진단의 정확성을 위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와 함께 산 용액을 포함하는 고체형 비드를 사용함으로써 벤토나이트와 같은 알카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단백뇨 검사 시 벤토나이트 등의 강알칼리로 인한 색변화에 대한 오류를 개선함으로써 단백뇨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에 사용된 재료를 준비하였다.
① 산 용액: 증류수 내에 벤조산(5 mM, 15 mM, 25 mM), 시트르산(5 mM, 15 mM, 25 mM, 35 mM), 타타르산(5 mM, 15 mM, 25 mM 35 mM)을 녹여 각각의 산 용액을 준비하였다.
②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시판되는 85% 농도를 갖는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시약(제품명: Tetrabromophenol blue) 0.04 g을 100% 에탄올 용액 30 ml에 녹여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용액을 준비하였다.
③ 수용성 고분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100 g을 준비하였다.
앞서 준비한 산 용액 2 g과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 30.04 g을 혼합하고 여기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100 g을 넣어 분산시켰다. 이들을 반죽한 후 몰드에 넣어 평균입경크기가 5 mm인 고체형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고체형 비드를 80℃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최종 고체형 비드를 준비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체형 비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종래의 단백뇨 검사법
단백뇨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 원리는 도 1과 같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와 단백뇨가 반응하여 파란색으로 색변화를 한다.
본 발명자들은 고양이 모래로 널리 알려진 벤토나이트 내에서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로 단백뇨 검사가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고양이 모래 제품(제품명:PETHROOM DUST FREE BENTONITE)에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를 뿌리고 고양이(암컷, 나이: 11)로부터 채취한 소변 5ml 을 다시 뿌려 색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면을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의 결과, 벤토나이트 내에서는 벤토나이트가 알칼리성을 띄기에 단백뇨가 아닌 증류수에서 오류 반응을 나타내면서 파란색으로 색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벤토나이트에서 기존의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시약으로 단백뇨를 검출하는 것은 정확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기존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지시제를 벤토나이트 위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뿌리고 그 위에 증류수를 뿌려 색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의 결과, 기존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지시제에서 오류를 나타내면서 초록색으로 색변화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벤토나이트에서 기존의 실리카겔 모래에서 사용하는 지시제로 단백뇨 진단의 정확성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건데, 상기 결과를 통해 벤토나이트의 경우 알카리성을 띄고 있어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으로부터 단백뇨를 검출하는 것은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고체형 비드를 이용한 색 변화 검출 효과 확인: 산 용액의 종류 및 농도별 색 변화 확인
앞선 실험결과를 통해,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으로부터 단백뇨에 의한 색 변화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산 용액의 종류 및 농도별로 사용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고체형 비드를 이용하여 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단백뇨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상세하게, 벤조산 5 mM, 15 mM, 25 mM, 시트르산산 5 mM, 15 mM, 25 mM, 35 mM, 타타르산 5 mM, 15 mM, 25 mM 35 mM을 각각 처리한 고체형 비드에 고양이(암컷, 나이: 5)로부터 채취한 소변 5 ml을 다시 뿌려 약 2 분간 방치한 후 색 변화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의 결과 육안으로 관찰 시, 산 용액을 포함하지 않은 고체형 비드의 경우 증류수에서도 약간의 파란색을 띄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산 용액 중에서 타타르산를 포함하는 경우 뚜렷한 색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상기 도 6의 결과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색변화 차이를 수치로 산출하여 도 7에 나타냈다. 이는 음성일 때와 양성일 때의 비드 단면의 RGB 값을 측정한 후 기준값(1,1,1)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D 값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도 7의 결과, 벤조산의 경우 2 내지 25의 색변화 수치를, 시트르산의 경우 8 내지 44의 색변화 수치를, 타타르산의 경우 10 내지 67의 색변화를 나타냈으며, 이들 중 고체형 비드에 타타르산 25 mM를 포함하는 경우 단백뇨에 대한 색변화 수치가 67로서 가장 뚜렷한 색변화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특히 타타르산은 단백뇨에 대한 색변화가 가장 뚜렷하기에 가장 적합한 산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와 함께 산 용액을 포함하는 고체형 비드를 사용함으로써 벤토나이트 모래 내에서 단백뇨 검사 시 벤토나이트의 강알칼리로 인한 색변화에 대한 오류를 개선함으로써 단백뇨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a)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b)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4 내지 0.1 중량부; 및
    (c)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1.2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 용액은 벤조산(Benzo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타타르산(Tartar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비드는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가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와 반응하여 색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색변화는 pH 3.0 내지 4.6에서 변색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비드는 편백수, 활성탄, 데오도런트, 피톤치드 및 편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 내에서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7. (ⅰ) 셀룰로오스 또는 알지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페놀블루 지시제 0.04 내지 0.1 중량부; 및 pH 2 내지 3.5의 산 용액 0.3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ⅱ) 반죽물을 성형기에 넣고 비드 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및
    (ⅲ) 비드 형태의 가공물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ⅰ) 단계의 혼합은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메탄올, 및 다이메틸 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 또는 증류수;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고체형 비드; 및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를 포함하는, 고양이 단백뇨 진단 키트.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고체형 비드를 알칼리성 응고형 모래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형 비드에 고양이의 소변이 접촉 시 색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뇨의 진단방법.
KR1020200180956A 2020-12-22 2020-12-22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KR10248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56A KR102480846B1 (ko) 2020-12-22 2020-12-22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956A KR102480846B1 (ko) 2020-12-22 2020-12-22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01A true KR20220090101A (ko) 2022-06-29
KR102480846B1 KR102480846B1 (ko) 2022-12-23

Family

ID=8227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956A KR102480846B1 (ko) 2020-12-22 2020-12-22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3258A (zh) * 2023-08-02 2023-10-27 山东瑞达硅胶有限公司 一种宠物尿液蛋白质检测颗粒及其制备方法
US12000837B1 (en) * 2023-08-02 2024-06-04 Shandong Ruida Silica Gel Co., Ltd. Granule for detecting protein in pet ur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53A (ko) * 2015-02-27 2016-09-07 (주)써스텍 변색제와 변색제 제조 방법
KR101689418B1 (ko) * 2009-07-15 2016-12-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변색 조성물을 갖는 다성분 물질
KR20170002318A (ko) 2015-06-29 2017-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체 분석을 이용한 당뇨병 조기 진단용 조성물
JP2017520247A (ja) * 2014-06-20 2017-07-27 ゲーペー ツェルローゼ ゲーエムベーハー 臭気制御および吸収性が改善された動物用トイレ砂
JP6581778B2 (ja) * 2015-01-15 2019-09-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US10660301B1 (en) * 2015-08-07 2020-05-26 Pretty Litter, Inc. Health monitoring cat lit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418B1 (ko) * 2009-07-15 2016-12-2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변색 조성물을 갖는 다성분 물질
JP2017520247A (ja) * 2014-06-20 2017-07-27 ゲーペー ツェルローゼ ゲーエムベーハー 臭気制御および吸収性が改善された動物用トイレ砂
JP6581778B2 (ja) * 2015-01-15 2019-09-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KR20160105653A (ko) * 2015-02-27 2016-09-07 (주)써스텍 변색제와 변색제 제조 방법
KR20170002318A (ko) 2015-06-29 2017-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체 분석을 이용한 당뇨병 조기 진단용 조성물
US10660301B1 (en) * 2015-08-07 2020-05-26 Pretty Litter, Inc. Health monitoring cat li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3258A (zh) * 2023-08-02 2023-10-27 山东瑞达硅胶有限公司 一种宠物尿液蛋白质检测颗粒及其制备方法
US12000837B1 (en) * 2023-08-02 2024-06-04 Shandong Ruida Silica Gel Co., Ltd. Granule for detecting protein in pet urin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846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3127B1 (en) Composite animal litter material and methods
US20210140950A1 (en) Chromogenic absorbent material for animal litter
KR102480846B1 (ko) 고양이 소변 내 단백뇨 진단을 위한 고체형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단백뇨 진단 키트
CN110521613B (zh) 一种猫砂
US8062902B2 (en) Mammalian disease detection system
EP2091322B1 (en) Clump recognition animal litter
CN114617069B (zh) 一种可检测猫泌尿系统疾病的功能性生物基猫砂
US4892833A (en) Process and a reagent kit for the determination of direct and total filirubin
US6444169B1 (en) Test-device for threshold glucose detection in urine
CN103995128A (zh) 中性粒细胞明胶酶相关脂质运载蛋白检测试剂盒及其制备
KR102353501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233899A1 (en) Chromogenic Absorbent Material for Animal Litter and Related Chromogenic Solution
CN113439669B (zh) 一种功能性显色健康指示与除臭的高性能混合猫砂及其制备方法
WO2022241552A1 (en) Chromogenic absorbent material for animal litter
CN113176253B (zh) 动物排泄物隐血指示剂及其应用
CN112715385B (zh) 一种功能性显色健康指示植物除臭猫砂的制备方法
CA3062304C (en) Biosensors produced from enzymes with reduced solubility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CN109187389A (zh) 一种海洋低温尿酸氧化酶测定尿酸的检测试剂盒
CN220738600U (zh) 适用于猫机体水合状态评估的检测颗粒的制备系统
JP3971219B2 (ja) ペットの健康診断方法及びペット健康診断用キット
CN215768257U (zh) 一种测定猫尿液pH值的指示材料
RU2386132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индикации потенциальной предрасположенности кошек к заболеванию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рушений здоровья кошек
CA1108514A (en) Test means and assay for determining the urea content of fluids
JP6444584B2 (ja) 飼育ネズミのストレス被曝判定方法
KR20220122048A (ko) 단백뇨 진단용 모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백뇨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