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896A -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896A
KR20220089896A KR1020200180537A KR20200180537A KR20220089896A KR 20220089896 A KR20220089896 A KR 20220089896A KR 1020200180537 A KR1020200180537 A KR 1020200180537A KR 20200180537 A KR20200180537 A KR 20200180537A KR 20220089896 A KR20220089896 A KR 20220089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film
dye
display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09B1 (ko
Inventor
조재현
김형진
소정섭
정명섭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녹스첨단소재 filed Critical (주)이녹스첨단소재
Priority to KR102020018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다층 구조의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및 제2층 각각에는 접착 수지 및 1종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고, 상기 제1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Adhesive film for display}
본 발명은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근적외선은 흡수하며,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우수한 접착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시광선 투과율 및 저 파장대(800~1,000nm)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모두 우수한 접착 필름은 개발된 적이 있으나, 저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높아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사용하였으나, 근적외선의 흡수 능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자외선에 의해 광 착색 현상이 발생하여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적외선의 투과율을 낮추며,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투과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접착 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및 제2층 각각에는 접착 수지 및 1종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고, 상기 제1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제2층에는 이하의 i) 및 ii) 중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i) 인듐 주석 산화물, 세슘 도핑된 산화텅스텐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
ii)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
상기 제1층에는 인듐 주석 산화물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한 층에는 시아닌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나프탈로시아닌 염료, 포르피린 염료, 벤조포르피린 염료, 스크아릴륨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및 크로코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한 층에는 UV흡수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는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근적외선 흡수제들 간의 교호 작용이 억제될 수 있어,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에 가까운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높은 근적외선 흡광도와 함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인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접착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부착됨으로써, 접착 필름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양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많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단일 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에 비하여 다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근적외선 흡광도가 이론적인 근적외선 흡광도에 더 가까운 것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특징은 디이모늄 염료와 다른 종류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함께 포함되어 있을 때 보다 서로 다른 층에 각각 분리되어 있을 때 현저하게 나타난다.
단일 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흡수제들 간의 교호 작용(interaction), 예를 들어 세슘 도핑된 산화텅스텐 나노 파우더와 디이모늄 염료 간의 교호 작용 또는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와 디이모늄 염료 간의 교호 작용이 있고, 이러한 교호 작용이 근적외선 흡광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경우 상호간에 교호 작용이 있는 근적외선 흡수제가 서로 다른 층에 분리됨으로써 교호 작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이에 따라 근적외선 흡광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의 접착 필름일 수 있다. 복수의 층 중 적어도 2개의 층에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층(110) 상에 제2층(120)이 적층되어 있으나, 제2층(120) 상에 제1층(110)이 적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층(110)에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고, 또한 제2층(120)에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이때, 제1층(110) 및 제2층(120) 중 어느 한 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다른 한 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층(110)에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제2층(120)에 디이모늄 염료 이외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 층(제2층)에는 i) 인듐 주석 산화물, 세슘 도핑된 산화텅스텐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 ii)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 중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는 층에는 인듐 주석 산화물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세슘 도핑된 산화텅스텐 또는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는, 디이모늄 염료와의 교호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된 층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층(110) 및 제2층(120) 중 적어도 한 층에는 시아닌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나프탈로시아닌 염료, 포르피린 염료, 벤조포르피린 염료, 스크아릴륨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및 크로코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층(110) 및 제2층(120) 중 적어도 한 층에는 UV흡수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제1층과 제2층에 포함되는 근적외선 흡수제 x와, 근적외선 흡수제 y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파장 λ1에서의 이론적인 근적외선 흡광도는, 아래 식과 같이, 개별 성분들 x, y 각각의 근적외선 흡광도의 합과 같다.
Ax+y(λ1) = Ax(λ1) + Ay(λ1)
Ax+y(λ1) ; 파장 λ1에서의 근적외선 흡수제 x와 y 혼합물의 근적외선 흡광도
Ax(λ1) ; 파장 λ1에서의 근적외선 흡수제 x의 근적외선 흡광도
Ay(λ1) ; 파장 λ1에서의 근적외선 흡수제 y의 근적외선 흡광도
특이하게도 단일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에 비하여 다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근적외선 흡광도가 이론적인 근적외선 흡광도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이는 단일 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흡수제들 간의 교호 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이것이 근적외선 흡광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교호 작용을 일으키는 근적외선 흡수제가 서로 다른 층에 분리되어 있는 다층 구조의 근적외선 흡수 필름의 경우 교호 작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도 1의 각각의 층(110, 120)은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접착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제1층(110) 및 제2층(120)에 포함되는 접착 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2-폴리부타디엔 말단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1,4-폴리부타디엔 말단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계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이들 각각의 수소 첨가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에스테르, 1,4-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단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시클로데카트리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카르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2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페놀(에틸렌옥사이드 4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놀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 렌옥사이드 변성 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4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틸렌옥사이드 8 몰 변성)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프로필렌옥사이드 2.5몰 변성)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프탈산(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숙신산(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프탈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다이머, β-(메트)아크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숙시네이트, n-(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3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4관능성 또는 그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사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르산 변성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테트라에톡시페닐)프로판,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관능성 또는 그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디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들 각각의 친수성기 치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계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플로렌계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계 에폭시 수지, 트리스하이드록실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테트라페닐메탄계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수소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F형 에폭시 수지등이 있다. 에폭시계 수지로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국도화학의 YD-020, YD-020L, YD-019K, YD-019, YD-017H, YD-017R, YD-017, YD-014, YD-014ER, YD-013K, YD-012, YD-011H, YD-011S, YD-011 등이 있다. 그리고,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국도화학의 YDCN-500-80PCA60, YDCN-500-80PBC60, YDCN-500-90PA75, YDCN-500-90P, YDCN-500-80P, YDCN-500-10P, YDCN-500-8P, YDCN-500-7P, YDCN-500-5P, YDCN-500-4P, YDCN-500-1P이 있고 일본화약주식회사의 EOCN-102S, EOCN-103S, EOCN-104S, EOCN-1012, EOCN-1025, EOCN-1027, 동도화성의 YDCN-701, YDCN-702, YDCN-703, YDCN-704, YDCN-701P, YDCN-702P, YDCN-703P, YDCN-704P, YDCN-701S, YDCN-702S, YDCN-703S 등이 있다. 또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로는 YDPN-638A80, YDPN-644, YDPN-637, YDPN-636, YDPN-638, YDPN-631 등이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용매 부가형 수지, 용매 축합형 수지, 용매 자외선-경화형 수지, 무용매 부가형 수지, 무용매 축합형 수지, 무용매 자외선 경화형 수지, 무용매 전자선 경화형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는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Metal oxide nano Powder), 근적외선 흡수 염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CWO(세슘이 도핑된 WO3), WO3,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은 1,200nm 내지 1,500nm 의 장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CWO(세슘이 도핑된 WO3), 텅스텐 산화물(WO3)은 800nm 초과 내지 1,500nm 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고효율로 접착 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며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의 입자, CWO(세슘이 도핑된 WO3), 또는 WO3의 입자 직경은 10nm 내지 100nm 일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 염료는 800nm 초과 1,200nm까지의 파장대에서 최대흡수파장을 가질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 염료로는 디이모늄 염료,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 시아닌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나프탈로시아닌 염료, 포르피린 염료, 벤조포르피린 염료, 스크아릴륨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크로코늄 염료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접착필름의 어느 한 층에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추가로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된 층 또는 다른 한 층에 디이모늄 염료 이외의 염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된 층에는 이와 교호작용을 일으키는 염료, 예를 들어,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이모늄 염료의 예는 FND100(욱성화학), EPOLIGHT1178(Epolin), CIR-1085(칼리트), PDC-220(일본화학) 등을 들 수 있다.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는 American Dye Source의 ADS845, ADS870, ADS92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근적외선 흡수제를 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근적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투명성 저하, 필름의 물성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UV 흡수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UV 흡수제는 예를 들어,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된 층(제1층)과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 층(제2층) 어디에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UV 흡수제는, 자외선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접착 필름의 물성이 변화되거나 장기간 자외선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는 광 착색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UV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살리칠산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벤조트리아조릴 화합물, 벤조일 화합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 산화 아연, 산화 티탄, 산화 세륨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가시광선의 투과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수지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UV 흡수제를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UV 흡수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하지만, 접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UV 흡수제의 석출에 의한 필름의 투명성 및 의장성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열 경화제, 광중합 개시제, 광 안정화제 및 산화 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제1층(110) 및 제2층(120) 중 어느 한 층에 포함되거나 제1층(110) 및 제2층(120)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열 경화제는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열 경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열 경화제는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메틸페닐-4-(1-메틸에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메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트릴쿠밀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요오드늄염; 트리알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술포늄염 ; 트리페닐피레닐메틸포스포늄염 등의 포스포늄염; (η6-벤젠)(η5-시클로펜타디에닐)철(II)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o-니트로벤질실릴에테르와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조합; 실세스퀴옥산과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조합 ; 멜라민계 수지; 유기과산화물 (예를 들어, 케톤퍼옥사이드, 퍼옥시케탈, 디아실퍼옥사이드, 퍼옥시에스테르,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 루이스산 (삼불화붕소, 염화아연,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염화주석 등), 아조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 산 (유기산 또는 저온 가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술포늄염계의 산발생제 등), 염기 (지방족 폴리아민 등의 폴리아민, 이미다졸, 히드라지드 및 케티민 등의 아민 화합물, 저온 가열에 의해 아민 화합물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메르캅탄, 백금족계 금속 화합물 또는 그 착물 (염화백금 (₃염화백금산육수화물, 비스(알키닐)비스(트리페닐포스핀)백금착물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 경화제는, 시판품으로서, 45S(부림케미컬), DS-HF 10929TKI CATALYST (테이코쿠 잉크 제조사 제조, 멜라 민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수지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열 경화제는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경화제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투명성 저하 및 필름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페논 또는 그 유도체, 벤질 또는 그 유도체, 안트라퀴논 또는 그 유도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 유도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4-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유도체, 2-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p-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에이트, 디페닐디술피드, 티옥산톤 및 그 유도체, 캄포퀴논,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실산,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시-2-브로모에틸에스테르,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시-2-메틸에스테르, 7,7-디메틸-2,3-디옥소비시클로[2.2.1]헵탄-1-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등의 캄포퀴논 유도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타논-1 등의 α-아미노알킬페논 유도체; 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일디에톡시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메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에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수지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 물질들에 의해 가시광 투과율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광 안정화제는 광 착색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UV 흡수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UV 흡수제의 열화를 방지하여 UV 흡수제의 성능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광 안정화제는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일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HALs의 종류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2-[3-(3,5-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로네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Mixed{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β,β,β',β'-테트라메틸-3,9-[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디에틸}-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이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놀], 숙신산디메틸과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 N,N',N'',N'''-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 데칸이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딜)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수지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광 안정화제는 1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안정화제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 저하 등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접착 필름의 산화 및 열화를 억제하여, 접착 필름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종류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phosphorus)계 산화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및 이소옥틸-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수지 조성물은 접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산화 방지제는 1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 등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필요에 따라 메틸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카테콜, 하이드로-8-퀴논모노메틸에테르, 모노-ter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ert부틸하이 드로퀴논, p-벤조퀴논, 2,5-디페닐-p-벤조퀴논, 2,5-디-tert부틸-p-벤조퀴논, 피크르산, 시트르산, 페노티아진, tert부틸카테콜, 2-부틸-4-히드록시아니솔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등의 중합금지제;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등의 각종 엘라스토머; 무기 필러; 용제; 증량재; 보강재; 가소제; 증점제; 추가 염료; 안료; 난연제; 실란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800nm 초과 내지 1,000nm의 파장대의 근적외선 투과율이 10% 내지 50% 일 수 있다. 태양광의 스펙트럼 파장은 물질 고유의 특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외선 파장대는 280nm 내지 400nm 미만, 가시광선 파장대는 400nm 내지 800nm, 근적외선 파장대는 800nm 초과 1,500nm까지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시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400nm 내지 800nm 로서 빨강(Red), 초록(Green), 청색(Blue)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근적외선 흡수제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 또는 근적외선 흡수 염료에 의해 800nm 초과 1,500nm까지 파장대의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태양광의 스펙트럼 파장 중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만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태양광의 근적외선 파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400nm 내지 800nm 의 파장대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0% 이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200a)은 3개의 층(210, 220, 230)을 포함한다. 2개의 층(210, 220)에는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고, 하나의 층(230)에는 접착 수지가 포함되되, 근적외선 흡수제는 포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예에서,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는 2개의 층(210, 220) 중 어느 한 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다른 한 층에는 디이모늄 염료 이외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200b)은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200a)과 마찬가지로 3개의 층(210, 220, 230)을 포함한다. 다만, 도 2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200b)은 3개의 층(210, 220, 230) 모두에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도 2b에 도시된 예에서, 어느 한 층(220)에만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다른 층들(210, 230)에는 디이모늄 염료 이외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거나, 인접하지 않은 2개의 층(210, 230)에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다른 한 층(220)에는 디이모늄 염료 이외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접착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예(300a)에서는, 상기 다층 접착 필름(100)의 일면에 제1이형필름(310) 및 타면에 형성된 제2이형필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a)의 경우, 접착 필름(100)으로부터 제1이형필름(310) 및 제2이형필름(320)이 모두 분리된 후 상기 접착 필름(100)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b)의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b)은 상기 다층 접착 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기재필름(310) 및 타면에 형성된 이형필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투명기재필름(3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b)의 경우, 상기 접착 필름(100)으로부터 상기 이형필름(320)이 분리되고, 상기 접착 필름(100)과 상기 투명기재필름(310)이 서로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기재필름(310)은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 필름(100)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c)의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300c)은 접착 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기재필름(310) 및 타면에 형성된 유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투명기재필름(3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기재필름(310) 및 상기 유리(320)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저반사층(Low-reflection) 및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 필름(100)에 반사되는 광을 감소시키며, 미광을 제거하여 시인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 장치,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접착 필름 제조용 조성물 제조
접착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와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함량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접착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이용된 접착 수지 및 첨가제는 다음과 같다.
- BA8900(접착 수지) : 아크릴 수지, 부림케미컬 제조
- CTO-2(CWO): 세슘 텅스텐 산화물 (Cesium Tungsten Oxide) 분산체, CFC Teramate 제조
- C-ITO(ITO):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분산체, CFC Teramate 제조
- UV1990(UV 흡수제): 알킬-[4'-알킬치환-페닐알켄]-알칸디오레이트 (Alkyl-[4'-alkylsubstituted-phenylalkene]-alkanedioate), Eutec Chemical Co., Ltd 제조
- Y2046 (NIR 760nm): 시아닌(Cyanine)계 760nm 근적외선 흡수 염료, 욱성화학 제조
- FND100 (NIR 1080nm): 디이모늄계 1080nm 근적외선 흡수 염료, 욱성화학 제조
- ADS845(NIR 845nm): 845nm 근적외선 흡수 염료, American Dye Source 제조
각각의 조성물을 무알칼리 유리에 25㎛의 두께로 도포한 후 12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첨가제의 함량은 비교예 1에 사용된 접착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표 2에서 제1층의 첨가제의 함량은 제1층에 사용된 접착 수지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제2층의 첨가제의 함량은 제2층에 사용된 접착 수지 5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은 동일한 첨가제 종류 및 함량을 갖지만,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은 단일층으로 형성되고 실시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은 2개 층으로 형성된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접착 필름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하였으며, 투과율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시광선-근적외선 투과율 측정>
UV-Vis-NIR 스펙트로미터(Perkin Elmer, Lambda 1050+)를 이용하여, 350nm 내지 800nm (가시광선) 및 800nm 초과 1,600nm(근적외선)까지 파장대에서 각 파장별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에 대한 투과율 또는 흡광도로 기록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시광선 파장대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접착 필름 및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필름 모두 거의 동일한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근적외선 영역에서서는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의 투과율이 실시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의 투과율보다 더 높다. 이는 비교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의 근적외선 흡광도가 실시예 1에 따른 접착 필름의 근적외선 흡광도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접착 수지 및 근적외선 흡수제를 단일층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비해, 다층으로 구현하는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보다 높은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표 3a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에 따른 접착 필름의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와 실측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 3a에 나타낸 흡광도는 800~1200㎚ 파장 에 대한 평균치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접착 필름은 아크릴 수지(BA8900)를 접착 수지로 사용하였으며, 제1층에 아크릴 수지 50중량부에 대하여 CTO-2(CWO) 5.0중량부가 포함되었고, 제2층에 아크릴 수지 50중량부에 대하여 FND100 2.0중량부가 포함되었다. 비교예 2에 따른 접착 필름은 단층 구조로서 아크릴 수지(BA8900) 100중량부에 대하여 CTO-2 (CWO) 5.0중량부 및 FND100 2.0중량부가 포함되었다.
[표 3a]
Figure pat00003
표 3a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접착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와 실측 근적외선 흡광도가 거의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단일층으로 구성된 비교예 2에 따른 접착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보다 현저히 낮은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3b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른 접착 필름의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와 실측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접착 필름은 아크릴 수지(BA8900)를 접착 수지로 사용하였으며, 제1층에 아크릴 수지 50중량부에 대하여 ADS845 2.5중량부가 포함되었고, 제2층에 아크릴 수지 50중량부에 대하여 FND100 2.0중량부가 포함되었다. 비교예 3에 따른 접착 필름은 단층 구조로서 아크릴 수지(BA8900) 100중량부에 대하여 ADS845 2.5중량부 및 FND100 2.0중량부가 포함되었다.
[표 3b]
Figure pat00004
표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따른 접착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와 실측 근적외선 흡광도가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단일층으로 구성된 비교예 3에 따른 접착 필름의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이론 근적외선 흡광도보다 현저히 낮은 근적외선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8)

  1. 제1층과, 상기 제1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 및 제2층 각각에는 접착 수지 및 1종 이상의 근적외선 흡수제가 포함되고,
    상기 제1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고, 상기 제2층에는 디이모늄 염료가 포함되지 않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에는 이하의 i) 및 ii) 중 1종 이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i) 인듐 주석 산화물, 세슘 도핑된 산화텅스텐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
    ii) 디티올 금속 착화합물 염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에는 인듐 주석 산화물 및 산화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산화물 나노 파우더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한 층에는 시아닌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나프탈로시아닌 염료, 포르피린 염료, 벤조포르피린 염료, 스크아릴륨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및 크로코늄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 중 적어도 한 층에는 UV흡수제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지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는 이형필름,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glass)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된,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 및 유리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방지층, 저반사층 및 하드코팅층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KR1020200180537A 2020-12-22 2020-12-22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KR10248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37A KR102480409B1 (ko) 2020-12-22 2020-12-22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37A KR102480409B1 (ko) 2020-12-22 2020-12-22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96A true KR20220089896A (ko) 2022-06-29
KR102480409B1 KR102480409B1 (ko) 2022-12-22

Family

ID=8227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37A KR102480409B1 (ko) 2020-12-22 2020-12-22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846A (ko) *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기능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9191224A (ja) * 2008-02-18 2009-08-27 Riken Technos Corp 近赤外線カット粘着シート部材
KR20130142882A (ko) * 2010-06-01 2013-12-30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및 접착제 조성물, 접착 방법 및 적층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846A (ko) * 2008-01-08 2009-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기능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9191224A (ja) * 2008-02-18 2009-08-27 Riken Technos Corp 近赤外線カット粘着シート部材
KR20130142882A (ko) * 2010-06-01 2013-12-30 리켄 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및 접착제 조성물, 접착 방법 및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09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7408B (zh) 黏著劑層、近紅外線遮蔽膜、層合結構體、積層體、及黏著劑組成物
TWI387790B (zh) 紅外線吸收薄膜
KR101802567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0249414B (zh) 固化性树脂膜及第一保护膜形成用片
KR102317623B1 (ko) 광학 적층체 및 면광원 장치
JP2008156539A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樹脂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KR20150109376A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층 및 면광원 장치
TWI719200B (zh) 保護膜形成用膜、保護膜形成用複合片以及半導體晶片的製造方法
KR20190003481A (ko) 보호막 형성용 필름 및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WO2023013653A1 (ja) 光半導体素子封止用シート
KR102637275B1 (ko) 보호막 형성용 시트, 보호막 형성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09773A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628602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필름
KR20190003458A (ko) 보호막 형성용 필름 및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KR102480409B1 (ko) 디스플레이용 접착 필름
TWI631154B (zh) 固化性樹脂膜、第一保護膜形成用片及第一保護膜形成方法
KR20170097401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접착제층, 접합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JP7373612B2 (ja) ディスプレイ用接着フィルム
JP2014137575A (ja) 光制御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21158B (zh) 保護膜形成用膜及保護膜形成用複合片
JP6938476B2 (ja) 保護膜形成用フィルム及び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
KR20210079678A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필름
KR20190003475A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KR20190002423A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TW202405915A (zh) 保護膜形成膜、輥體、以及保護膜形成膜之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