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249A -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 Google Patents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249A
KR20220088249A KR1020200179097A KR20200179097A KR20220088249A KR 20220088249 A KR20220088249 A KR 20220088249A KR 1020200179097 A KR1020200179097 A KR 1020200179097A KR 20200179097 A KR20200179097 A KR 20200179097A KR 20220088249 A KR20220088249 A KR 2022008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lip
bent
blank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120B1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20017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1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에서 상부사각형부, 하부사각형부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와 상기 하부사각형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사각형부가 일체로 된 블랭크를 재단하여 만들고 나서, 상기 블랭크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와 가로바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블랭크의 상부사각형가 세로방향으로 뻗은 세로바의 윗면과 가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블랭크의 하부사각형부가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의 밑면과 세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그리고 상기 세로바의 다른 한측면과 상기 가로바의 다른 한측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중간사각형부가 적어도 3번 절곡되어 만들어진 크로스바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Clip that joins the intersecting structural bar}
본 발명은 금속판의 폐기량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강력한 밀착 결합이 가능하고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건축현장의 구조재를 결합하는 교차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천장에는 콘크리트 등의 거친 천장표면을 차폐하거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패널이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마감패널을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기 위한 경량철골 시스템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은 천장에 다수개 고정설치되는 앵커와, 열 또는 행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배열되도록 상기 앵커 하부에 결합되는 캐링바와, 상기 캐리어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도록 상기 캐링바 하부에 결합되며, 마감패널이 설치되는 직교바(M바, T바, SQ바, Clip바 등)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캐링바 상부에 캐링바를 보강하기 위해 마이너 채널바를 직교로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서로 직교하는 상기 캐링바와 상기 직교바를 직교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캐링바와 상기 직교바는 크로스바용 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클립의 결합홈을 만들기 위해 캐링바와 직교바의 모양도 변화를 주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은 상기 캐링바의 형상과 상기 직교바의 형상에 따라 CT바용 클립, 와아어클립, M바용 클립 등으로서, 다양하게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들 클립들은 바들의 외면에 형성된 암형부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부를 구비하고서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바들을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바들 대부분(M바, T바, CT바, 채널바)는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지진이나 강풍에 문제가 있고, SQ바는 상하좌우방향 모두 막혀있어서, 다른 바에 비해 구조적으로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크로스바용 클립에 결합되기 위해 외면에 스롯형 홈이 바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어서, SQ바의 제조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태풍으로부터 안전을 확보가 위한 캐링바의 보강이 중요시 되고 있으나, 또한 캐링바의 보강방법과 이를 위한 결합클립이 슬롯형 홈에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되어있어 회사마다 서로다른 형태의 클립을 사용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이러한 클립들은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결합되어야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휠 수 있는 얇은 철을 사용하거나 휠수 없는 것은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을 해야만 했다. 이를 위한 캐링바와 같은 구조바 모양에 상관없이 체결 가능한 결합 클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의 일부에 결어서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를 체결함으로써, 채널형 또는 ㅁ자형 등의 단면을 가진 바를 쉽게 체결가능하도록 하였다.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 2개를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게 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클립은, 금속판에 ㄴ자 모양으로 줄을 그어서 현도한 다음, 이를 재단하여 블랭크를 만들고 나서, 도 1에 도시된 클립 형태로 절곡하게 된다.
하지만, 클립이 절곡되지 전의 ㄴ자 모양으로 줄을 그어서 금속판에 현도하게 되면, ㄴ자 모양의 안쪽에 위치된 부위가 폐기되는 부산물로서 남게 되어, 금속판의 전체 부위를 이용하지 못하고 금속판의 많은 부위를 폐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금속판에서 상부사각형부, 하부사각형부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와 상기 하부사각형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사각형부가 일체로 된 블랭크를 재단하여 만들고 나서, 상기 블랭크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와 가로바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블랭크의 상부사각형부가 세로방향으로 뻗은 세로바의 윗면과 가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블랭크의 하부사각형부가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의 밑면과 세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그리고 상기 세로바의 다른 한측면과 상기 가로바의 다른 한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중간사각형부가 적어도 3번 절곡되어 만들어진 크로스바용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종래보다 폐기되는 부산물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크로스바용 클립의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춤과 동시에, 지구의 자원낭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링바와 직교바의 몸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부사각형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의해, 결합력도 강화사킬 수 있고, 세로바와 가로바의 일부를 걸어서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바와 세로바의 몸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캐링바의 다양성에 대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두꺼운 재료를 사용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수공구로 강한 밀착결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로스바용 클립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을 만들이 위해 금속판에 현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금속판에서 재단된 블랭크들에서 절곡부위들을 표시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은 도 3의 블랭크들에서 절곡하여 만들어진 본 실시예들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에 도 4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 실시예의 크로스바용 클립과 이 클립이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도 3의 블랭크의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5의 결합 상태도의 상부걸음부와 하부걸음부의 결합위치를 평면도 형태로 도시한 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제1실시예의 크로스바용 클립이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 중 상기 세로바(1)의 상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상부걸음부(110), 상기 가로바(2)의 하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하부걸음부(120), 및 양단이 상기 상부걸음부(110)와 상기 하부걸음부(1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바(1)의 측면과 상기 가로바(2)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게 절곡된 몸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ㅁ 자형 단면을 가진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에서 상기 상부걸음부(110)로 될 상부사각형부(10), 상기 하부걸음부(120)로 될 하부사각형부(20)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10)와 상기 하부사각형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130)로 될 중간사각형부(30)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B)를 재단하여 만들어 진 것이다.
상기 블랭크(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경사-수직으로 뻗은 제1블랭크(Ba), 수직으로 뻗은 제2블랭크(Bb) 및 수직-경사로 뻗은 제3블랭크(Bc), 수직-경사-수직-경사로 뻗은 제4 블랭크(Bd)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1블랭크(Ba)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한측면(1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한측면(2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을 접하거나 두께를 접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아래방향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의 접는각도와 절곡선(33)의 접는 방향에 따라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두께접촉 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경사지게 뻗은 이유는,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하게 되면,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1블랭크(Bb')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1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 또는 두께접촉 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두께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또는 두께접촉 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1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할 시에,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32)이 수평방향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뻗도록, 상기 졀곡선(32)에 인접한 일측 부위를 아래방향으로 신장시켜야 하지만 재료의 인장특성 범위내에서는 직각형태도 가능하여 늘리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블랭크(B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2블랭크(Bb")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2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과 상기 절곡선(34) 사이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2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 절곡선(32) 및 절곡선(34)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할 시에,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34)이 수평방향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뻗도록, 상기 졀곡선(34)에 인접한 일측 부위를 재료의 인장 특성을 이용하여 아래방향으로 신장시켜야 한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3블랭크(Bc)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었다가 절곡되어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하고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 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하고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두께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 부위 중 절곡지점에 양단이 위치되어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의 일단과 상기 절곡선(34)의 타단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1블랭크(Bc')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3블랭크(Bc')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꼐접촉 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제4블랭크(Bd)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쪽면(1b)에 면접촉 또는 두께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있고, 절곡선(31)에 의해 아래로 뻗은 양변이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와 중간사각 형부(30)가 평행면으로 이어지고 점차 줄어드는 삼각형부(35b)로 구성된 오각형부(50), 삼각형부(35a)의 줄어드는 면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선(33)에 의해 형성되는 점차 넓어지는 삼각형부(35b)로 구성되고, 오각형부(50)의 절곡선(33)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선(32)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하부사각부(20)가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다.
이때 중간사각형부(30)는 세로바(1)의 세로바 폭(1w) 보다 넓게 이격되도록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오각형부(50)의 삼각형부(35a)의 수직변(D)은 가로바(2)의 가로바 높이(2H)보다 높은 위치에 변형점(131)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수직-경사-수직-경사로 뻗은 제4블랭크(Bd)는 아래방향으로 줄어드는 오각형부(50)와 아래방향으로 넓어지는 삼각형부(35b)로 구성된 몸체부(130)은 상부 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블랭크(Ba, Bb, Bc, Bd) 및 상기 제2-1블랭크(Bb')와 제2-2블랭크(Bb") 에서 상기 하부사각형부(20)에 절곡선(21)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별도의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사각형부(20)의 한변에 V자형 절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골부에 인접한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의 부위가 절곡지점이 되어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을 절곡하게 되면,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을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으로 쇄기식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 내면이 접촉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별도의 실시예에서 편의적으로 제3블랭크(Bc)에 V자형 절결부(22)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내지 제2블랭크(Ba, Bb) 및 상기 제2-1블랭크(Bb')와 제2-2블랭크(Bb")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 중 위에 배치된 세로바(1)의 상부에 상부걸음부(10)를 끼워서 얹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하부에 끼우게 되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크로스 상태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크로스 상태로 결합된 위치를 도8을 예로하여 평면도적 공간 위치로 설명하면 가로바의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가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대각형과,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가 동일 명면상의 공간적 상하부에 형성되는 일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적 결합강도의 증진을 위해서는 일치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제4블랭크(Bd)의 모양의 구조가 성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가 상하부 공간적 위치가 일치하는 형태로 절곡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걸음부(120)의 선단에 위로 기립되어 형성된 턱부(121)는,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하부에 끼우기 위해, 상기 턱부(121)을 상기 가로바(2)의 밑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30)를 상기 몸체부(130)에 등을 진 상기 가로바(2)의 한 쪽 측면 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몸체부(130)에 대하여 상기 하부걸음부(120)가 탄성변형되어 벌어지면서, 상기 턱부(121)가 상기 가로바(2)의 밑면을 타고 넘어가 상기 가로바(2)의 한 쪽 측면에 밀착되게 되는 정도의 높이를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턱부(121)의 높이는 세로바(1)와 가로바(2)의 높이와 가로바(2)의 폭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에서 사각형의 높이 길이와 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편차보다 작게 하여 탄성을 이용하는 것보다 결합시 대각선 방향의 공간적 결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걸음부(120)가 턱부(121) 대신에 취약부 구조의 절결부(2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바(1)의 상부에 상부걸음부(110)를 끼워서 얹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밑면에 맞닿음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로바(2)의 모서리가 절결부(22)의 골부에 위치하고, 인접한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의 부위가 절곡지점이 되어 상기 절결부(22)의 자유단(J)을 절곡하게 되면, 가로바(2)의 이탈을 방지한다. 특히 절결부(22)를 경사식, 또는 V자형으로 하여 절곡하게 되면 가로바(2)의 한측면(2a)을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으로 쇄기식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일측면(2a)에 상기 절결부(22)의 자유단(J) 내면이 접촉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크로스 상태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식 또는 V자형 절결부(22)는 밑변(20a) 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진 거리변화에 대한 폭(D) 만큼 오차 범위의 가로바(2)도 시공이 가능하며 경사진 거리변화에 대한 폭(D) 만큼 오차 범위의 가로바(2)도 시공이 가능하며, 쇄기식 밀착도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취약부 형태의 절결부(22)의 구성은 클립의 소재를 고강도로 선택하여도 수작업이 가능하여 결합력을 극대화하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종래보다 폐기되는 부산물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크로스바용 클립의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춤과 동시에, 두꺼운 고강도 소재의 선택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재 치수오차에 대한 결합도 가능하다. 또한 쐐기식 밀착으로 진동으로부터 소음도 차단할 수 있다.
1: 세로바, 1w: 세로바폭 2: 가로바, 2h: 가로바 높이 1a: 한측면, 2a: 한측면, 1b: 다른 한측면, 2b: 다른 한측면, 10: 상부사각형부, 11: 절곡선, 20: 하부사각형부, 20a: 밑변, 21: 절곡선, 22: 절결부, 30: 중간사각형부, 31: 절곡선, 32: 절곡선, 33: 절곡선, 34: 절곡선, 350: 삼각형부 50: 오각형부 100: 크로스바용 클립, 110: 상부걸음부, 120: 하부걸음부, 121: 턱부, 130: 몸체부, 131: 변형부1, 132: 변형부2 B: 블랭크, Ba: 제1블랭크, Bb: 제2블랭크, Bc: 제3블랭크 D: 수직변, J: 자유단

Claims (5)

  1. 서로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를 결합하는 크로스바용 클립(100)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1)의 상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상부걸음부(110),
    상기 가로바(2)의 하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하부걸음부(120), 및 양단이 상기 상부걸음부(110)와 상기 하부걸음부(1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세로바(1)의 측면과 가로바(2)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게 절곡된 몸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금속판에서 상기 상부걸음부(110)로 될 상부사각형부(10),
    상기 하부걸음부(120)로 될 하부사각형부(20)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10)와 상기 하부사각형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130)로 될 중간사각형부(30)는 전체적으로 평행한 형태의 폭을 가지고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B)를 재단하여 만들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부(130)는 3곳 이상의 굴곡부(31, 32, 33)로 이루어지고 중간사각형부(30)는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절곡선(33)을 갖고 절곡선(33)을 기준으로 형성된 두면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블랭크(B)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구조의 폭을 지니며, 결합시 상부사각형부(10)와 하부사격형부(20)를 평면도 위치에서 볼때 그 상, 하부의 위치가 면으로 인접하여 평행형 구조를 갖거나, 일치하는 일치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형구조의 클립은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와 이를 연결하는 몸체부(130)로 구성되고, 몸체부(130)는 오각형부(50)와 오각형부(50)와 직각을 이루는 삼각형부(35b)로 구성되며,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의 상, 하부 위치가 일치하거나, 상기 평행형 구조의 클립은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를 연결하는 몸체부(130)로 구성되고, 몸체부(130)는 중간사격형부(30)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일부가 절곡선(33)에 의해 직각으로 절곡되는 삼각형부(35b)로 구성되어 상부걸음부(110)와 하부걸음부(120)의 상, 하부 위치가 면으로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사각형부(20)의 한 변에는 수공구로 굽힘 가능하도록 취약부 구조의 절결부(22)를 구성하여 절결부의 외부쪽 자유단(J)을 상부로 절곡하여 가로바(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결부(2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KR1020200179097A 2020-12-18 2020-12-18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KR10262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97A KR102628120B1 (ko) 2020-12-18 2020-12-18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097A KR102628120B1 (ko) 2020-12-18 2020-12-18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249A true KR20220088249A (ko) 2022-06-27
KR102628120B1 KR102628120B1 (ko) 2024-01-23

Family

ID=8224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097A KR102628120B1 (ko) 2020-12-18 2020-12-18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1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065A (ko) * 2005-08-26 2007-03-02 김완철 캐리어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마감재 부착용프레임
JP2008267012A (ja) * 2007-04-20 2008-11-06 Tokyu Construction Co Ltd 天井落下防止クリップ
JP2019218683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サワタ 天井裏配設部材取付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065A (ko) * 2005-08-26 2007-03-02 김완철 캐리어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마감재 부착용프레임
JP2008267012A (ja) * 2007-04-20 2008-11-06 Tokyu Construction Co Ltd 天井落下防止クリップ
JP2019218683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サワタ 天井裏配設部材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120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4981A (en) Rim tie connection
US6176471B1 (en) Fabric fenc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840020B2 (en) Valley truss clip
CN106013690A (zh) 外壁构件的固定辅助件及其施工方法
KR102224280B1 (ko) 내진용 천정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88249A (ko)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US6247276B1 (en) Outrigger connector for a factory made building
KR102470247B1 (ko)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KR101640172B1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CN109989616B (zh) 护栏连接部件
KR101765289B1 (ko) 천정 마감재 지지용 엠바 연결구
KR102043350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JPS6355374B2 (ko)
CN107338896A (zh) 钢板桁架式承重板
US6155539A (en) Furring strips for fence and fence
JP2001207693A (ja) フェンス
JP7046560B2 (ja) 終端保持具
JP7068813B2 (ja) 野縁接続金物
KR102654515B1 (ko) 슬라이딩 체결 방식의 천장판 설치용 클립바 어셈블리
JP5457491B2 (ja) 木造建築物用接合金具及び接合構造
TW201446356A (zh) 網狀片、柵欄及線材
US11802407B2 (en) Suspended drywall ceiling grid system support members
CN219825954U (zh) 一种建筑型材
RU224009U1 (ru) Стойка для придания жесткости ограждению из ламелей
CN212317275U (zh) 一种吊顶的边安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