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014A -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014A
KR20220088014A KR1020200178621A KR20200178621A KR20220088014A KR 20220088014 A KR20220088014 A KR 20220088014A KR 1020200178621 A KR1020200178621 A KR 1020200178621A KR 20200178621 A KR20200178621 A KR 20200178621A KR 20220088014 A KR20220088014 A KR 2022008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guide
blocking
main body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7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014A/ko
Publication of KR2022008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는, 남성용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로서,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차단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용변 위치 가이드와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소변기 측에 배치되기 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측을 상기 소변기 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흡착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차단공간 측에 소변 튐 차단 및 소변 낙하 유도와 부합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도면을 구비한 차단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변기용 가이드장치{GUIDING DEVICE USING IN URINAL FOR MEN}
본 발명은 소변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용 화장실에는 좌변기들이 설치된 부스들과 별도로 소변기들이 구비되어 있다.
남성용 소변기들은 대부분 화장실 실내 벽체 측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사용자가 바닥면에 그대로 선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입식(立式)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남성용 소변기들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입식 구조의 특성 상 여러 가지 단점들을 갖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선 상태로 용변을 볼 때, 불규칙한 요압(尿壓)으로 낙하되는 소변이 소변기 내부 벽면이나 바닥면 측에 부딪히면서 외부로 불규칙하게 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화장실의 실내 바닥면은 물론이거니와, 사용자의 바지나 신발 등에 소변이 묻으면서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소변기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가급적 소변기 측으로 최대한 다가 선 상태로 용변을 보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용변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나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허 0001) 특허등록 제10-14906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용 화장실의 소변기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변의 불규칙한 튐이나 낙하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남성용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로서,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차단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용변 위치 가이드와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소변기 측에 배치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측을 상기 소변기 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흡착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차단공간 측에 소변 튐 차단 및 소변 낙하 유도와 부합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도면을 구비한 차단유도부;
를 포함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남성 화장실의 소변기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 위치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용변시 소변의 불규칙한 튐이나 낙하를 차단 및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남성 화장실의 실내 환경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가이드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가이드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가이드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는, 본체부(10), 고정부(20), 및 차단유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부(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남성용 소변기(U, 이하 "소변기"라고 함.) 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소변기(U)는 화장실의 내부 벽체(W)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며, 전방 측이 개방된 용변공간(U1)을 구비하고, 이 용변공간(U1)의 바닥면 측에 배출구(U2)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체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소변기(U)의 용변공간(U1)과 대응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차단공간(12)을 구비하고, 이 차단공간(12) 측이 소변기(U)의 용변공간(U1) 일부를 가리는 상태로 소변기(U) 측에 배치된다.
본체부(10)의 재질은 합성수지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내오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금형 성형 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시각 및 장식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색상 및 인쇄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소변기(U) 측에 본체부(10) 측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고정부(2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한 진공 흡착력으로 본체부(10) 측을 소변기(U) 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20)는 흡착고정구(22)를 구비하고, 이 흡착고정구(22)는 소변기(U) 측에 부착 가능한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배치된다.
흡착고정구(22)는 소변기(U)의 용변공간(U1)을 사이에 두고 소변기(U)의 양측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본체부(10) 측에 두 개가 한조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흡착고정구(22)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본체부(10)의 차단공간(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본체부(10)의 둘레부 양측 지점에 세팅될 수 있다.
그러면, 본체부(10) 측이 소변기(U) 측에 고정 설치될 때, 이 소변기(U)의 용변공간(U1)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양측 외부면 측에 흡착고정구(22)가 각각 달라붙는 상태로 흡착 고정될 수 있다.
흡착고정구(22)는 예를 들어,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진공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착고정구(22)는 온도 변화나 외부 진동(충격)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진공 흡착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는 흡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체부(10) 측이 고정부(20)에 의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소변기(U)의 용변공간(U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소변기(U) 측으로 더 다가 선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용변 위치를 간편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특히, 고정부(20)는 흡착고정구(22)들로 구성되어 소변기(U) 표면 측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요구되는 설치 여건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상태로 소변기(U) 측에 본체부(10)의 설치 위치나 자세 등을 용이하게 조절 및 재세팅할 수 있다.
한편, 차단유도부(30)는 본체부(10) 측과 연계하여 소변기(U) 측의 소변 튐 현상을 차단하고, 요속이 낮은 소변 줄기의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차단유도부(30)는 본체부(10) 측에 형성되되, 차단공간(12)의 내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와 같은 차단 및 낙하 유도 작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단유도부(30)는 유도면(32)과 유도홈(34)을 구비하고, 본체부(10) 측의 차단공간(12) 내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유도면(32)은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차단공간(12) 내부면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도면(32)의 경사진 연장방향은 본체부(10) 측이 소변기(U) 측에 설치될 때 이 소변기(U)의 용변공간(U1) 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되, 아래쪽으로 경사진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유도면(32)은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되,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유도홈(34)이 형성된 한 군데 지점을 향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표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유도홈(34)은 유도면(32) 측과 연계하여 소변의 낙하 유도가 가능한 홈부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유도홈(34)은 유도면(32) 측에서 흘러내리는 소변이 한 군데 지점으로 모이는 상태로 흘러내리면서 홈부를 통해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유도홈(34)은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유도면(32)의 하부 중앙 지점에서 오목한 홈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홈(34)은 유도면(32) 내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된 장홈 모양의 홈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유도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유도면(32) 측과 대응하는 유도돌기(3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돌기(36)는 유도면(32) 측으로 낙하된 소변이 유도홈(34) 측을 향하여 한 곳으로 모이는 상태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변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돌기(36)는 도 5에서와 같이 유도면(32)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되, 이 돌기부들의 하측 단부는 간격이 점차 좁혀지는 상태의 배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유도면(32) 측으로 낙하된 소변은 유도돌기(36)들에 의해 흐름 방향이 중앙의 유도홈(34) 측으로 가이드되면서 이 유도홈(34)의 홈부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낙하 유도될 수 있다.
차단유도부(30)는 도 6에서와 같이 유도면(32) 측과 대응하는 완충홈(38)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홈(38)은 소변 줄기가 유도면(32) 측에 접촉될 때 접촉 충격에 의해 불규칙하게 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완충력을 유도면(32) 측에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완충홈(38)은 도 6에서와 같이 유도면(32)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SLIT) 홈부 형태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개가 형성되되, 슬릿 홈부 구간의 하부는 유도면(32)의 하측 둘레부 측을 절개하는 상태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러면, 완충홈(38)은 예를 들어, 소변 줄기가 유도면(32) 측에 부딪힐 때, 표면 완충력을 부여하여 유도면(32) 측에서 소변이 불규칙하게 튀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유도부(30)는 소변기(U) 측에 본체부(10)가 설치된 상태로 용변을 볼 때,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낮은 요속에 의해 소변기(U) 내측으로 향하지 못하는 소변 줄기를 유도면(32)으로 받쳐서 유도홈(34)을 통해 한 지점에서 균일하게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소변기(U)를 이용한 용변시, 소변기(U) 외측으로 소변이 불규칙하게 튀는 현상은, 대부분 낮은 요속에 의해 소변기(U)의 내측 벽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그대로 낙하되면서 소변기(U)의 용변공간(U1) 바닥면 측에 상대적으로 큰 충격으로 부딪히는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차단유도부(30)는 소변기(U)를 통해 용변을 볼 때, 소변 줄기의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하여 소변기(U)의 배출구(U2)를 통해 소변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타겟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타겟부(40)는 본체부(10) 측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바람직한 용변 위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타겟부(40)는 시각적인 유도 방식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타겟부(40)는 도 7에서와 같이 타겟(42)을 구비하고, 이 타겟(42)은 본체부(10) 측에서 차단유도부(30)의 유도면(32)의 하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겟(42)은 시각적인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형태나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체적인 곤충(예: 벌, 파리) 형태(모형)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타겟(42)은 유도면(32)의 하부 측에서 도 7에서와 같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교환 설치가 용이하도록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겟(42)은 입체적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의 인쇄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인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타입의 형태나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타겟부(40)는 본체부(10) 측에 배치되되, 타겟(42)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하부 측에 조절구간을 갖도록 연장된 조절홈(H)이 형성되고, 이 조절홈(H) 측에 타겟(42) 일측이 끼워져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 조작될 수 있는 연결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즉, 타겟(42)은 조절홈(H)의 조절구간을 따라 이동 조작되는 방식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차단유도부(30)의 하부 측에서 측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겟(42)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면, 사용 환경이나 요구되는 여건에 따라 타겟(4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타겟(42)의 설치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실 내에 설치되는 소변기(U)들의 구조 상 발생할 수 있는 소변의 튐 현상이나 불규칙한 낙하 현상을 간단한 구조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장실의 실내 환경이 한층 더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 본체부 20: 고정부
30: 차단유도부 40: 타겟부
U: 소변기

Claims (5)

  1. 남성용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로서,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대응하는 차단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용변 위치 가이드와 부합하는 상태로 상기 소변기 측에 배치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측을 상기 소변기 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흡착고정구를 구비한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차단공간 측에 소변 튐 차단 및 소변 낙하 유도와 부합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도면을 구비한 차단유도부;
    를 포함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단공간 측이 상기 소변기의 용변공간 측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소변기 측에 배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흡착고정구는,
    상기 소변기의 용변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변기의 양측면에 각각 진공 흡착력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부 측에 설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도부는,
    상기 본체부 측의 차단공간 내부면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유도면과, 이 유도면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유도홈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면은, 상기 본체부의 차단공간 내부면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되, 상기 유도홈이 형성된 한 군데 지점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표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용 가이드장치는, 타겟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부는,
    타겟을 구비하고, 이 타겟은 상기 본체부 측에서 상기 차단유도부 일측에 배치되는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KR1020200178621A 2020-12-18 2020-12-18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KR20220088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21A KR20220088014A (ko) 2020-12-18 2020-12-18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21A KR20220088014A (ko) 2020-12-18 2020-12-18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14A true KR20220088014A (ko) 2022-06-27

Family

ID=8224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21A KR20220088014A (ko) 2020-12-18 2020-12-18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801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07B1 (ko) 2013-07-22 2015-02-06 정운진 남성용 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07B1 (ko) 2013-07-22 2015-02-06 정운진 남성용 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793A (en) Toilet anti-splash device
US6485372B2 (en) Waterslide and waterslide bowl
CA1272439A (en) Shower curtain control
EP3389462B1 (en) Non-slip toilet training devices
US20200063424A1 (en) Toilet for use while squatting,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es for its manufacture
JP2010132044A (ja) スノーケル
EP0431225B1 (en) An anti-liquid splash device
KR20220088014A (ko) 소변기용 가이드장치
JP2010516324A (ja) 幼児用トイレットトレーナ
US5050247A (en) Drain valve and lift rod connection
JP2012024174A (ja) 手乾燥装置
US5005224A (en) Toilet bowl silencer dish
JP6840918B2 (ja) 便座装置
WO2018080297A2 (es) Bandeja de captación desodorizante para secadores de manos
KR101204266B1 (ko) 좌변기용 세면대
EP3533943A1 (en) Anti-splash device for toilets
JP2020076237A (ja) 便器シート
US20170107708A1 (en) Protector
WO2005093177A1 (ja) 飛沫飛散防止装置
CN106170597B (zh) 低耗水或不耗水的厕所便器、厕所便器组件、厕所以及相关方法
JP6382638B2 (ja) 便器装置
CN211172268U (zh) 如厕装置
JP7548735B2 (ja) 昇降小便器
US10307025B1 (en) Toilet structure for male urination comprising user support
KR20020092554A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세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