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989A -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989A
KR20220086989A KR1020200177276A KR20200177276A KR20220086989A KR 20220086989 A KR20220086989 A KR 20220086989A KR 1020200177276 A KR1020200177276 A KR 1020200177276A KR 20200177276 A KR20200177276 A KR 20200177276A KR 20220086989 A KR20220086989 A KR 20220086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low path
plate member
partition wal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민
김경종
이현우
최인두
김재만
박정철
용민철
허성환
예병효
김청래
조재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989A/ko
Publication of KR2022008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outer walls of coole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CONTINUOUS FLOW THROUGH TYPE EVAPORATOR, ICE MAKING APPARATUS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식 증발기는 증발기 표면에 제빙수를 흘려서 얼음을 생성한 후 생성된 얼음을 증발기로부터 탈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유수식 증발기는 제빙 장치나 정수 장치 등 얼음 생성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대영이앤비 주식회사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5953호는 종래의 제빙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빙기에는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증발기와, 이러한 증발기에 접촉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제빙판과, 제빙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빙판에서 낙하하는 물(제빙수 및 탈빙수)이 저장되는 수조와, 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가 구비된다. 또한, 제빙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각각을 구획하는 구획 칸막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빙판에 물이 흐르게 되면 증발기와 접촉한 부분에 얼음이 생성되며, 특히, 생성된 얼음은 제빙판 뿐만 아니라 구획 칸막이부에도 부착된 상태로 생성된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얼음이 부착된 모든 부분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제빙판에 부착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증발기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고, 구획 칸막이부에 부착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구획 칸막이부의 내측, 즉, 증발기가 배치된 부분으로 탈빙수를 흘려주게 된다. 만일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구획 칸막이부에 부착된 부분이 빠르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증발기로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로 인해 얼음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탈빙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탈빙수가 동관 재질의 증발기의 외측면을 경유한 후에 수조에 모여서 제빙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HOSHIZAKI ELECTRIC CO LTD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64729호에 개시된 제빙 유닛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 제빙판과, 이러한 제빙판의 이면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증발관이 구비된다. 제빙판에 제빙수가 흐르게 되면 증발관과 접촉한 부분에 얼음이 생성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얼음은 제빙판과 돌출부에 부착 생성된다.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탈빙 운전이 시작되면 고온 유체 밸브가 개방되어 증발관에 고온의 유체가 순환 공급되고, 급수 밸브도 개방되어 제빙판의 이면에 탈빙수가 공급됨에 따라 제빙판이 가열되면서 얼음이 분리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탈빙수가 동관 재질의 증발기의 외측면을 경유한 후에 수조에 모여서 제빙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59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64729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인접하는 격벽 사이로 제빙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위치마다 얼음이 생성되면서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격벽 상호 간에 연통되면서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 고온의 유체를 공급해도 복수 개의 격벽에 모두 고온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메인홈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홈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메인홈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이동하되, 개구홀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열전달면에 직접 접촉하는 과정에서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탈빙 시에도 얼음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만 이동하고, 이를 통해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격벽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전달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으로만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더라도 연통홀을 통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면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 접합 과정에서 간단하게 접합이 가능함으로써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공급 채널 프레임과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만 이동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과 각각 연통되는 공급홀이 구비되어 한 쌍의 격벽에 동시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므로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2 전달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2 누설 방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와,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가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공급해서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호 인접 배치되는 상기 격벽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 채널과, 상기 격벽의 내부를 흐르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메인홈을 통해 흐르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열전달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타측으로 이동한 상기 유체가 상기 연결 채널을 통해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가 상기 다른 격벽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기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전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프레임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베이스면과, 상기 제1 베이스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사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면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절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가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격벽에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공급 채널이 형성된 공급 채널 프레임과, 상기 유체가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 채널 프레임은 깊이 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격벽에 상기 유체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과 각각 연통되는 공급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타측으로 이동한 상기 유체가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 채널이 형성된 연결 채널 프레임과, 상기 유체가 상기 다른 격벽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전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프레임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베이스면과, 상기 제2 베이스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사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설 방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 상기 제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유수식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유수식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인접하는 격벽 사이로 제빙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위치마다 얼음이 생성되면서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고, 연결 채널이 형성되어 격벽 상호 간에 연통되면서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 고온의 유체를 공급해도 복수 개의 격벽에 모두 고온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메인홈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홈의 구조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메인홈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이동하되, 개구홀을 통해 저온의 유체가 열전달면에 직접 접촉하는 과정에서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탈빙 시에도 얼음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만 이동하고, 이를 통해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격벽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전달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으로만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더라도 연통홀을 통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면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 접합 과정에서 간단하게 접합이 가능함으로써 단순화된 구성을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공급 채널 프레임과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으로만 이동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과 각각 연통되는 공급홀이 구비되어 한 쌍의 격벽에 동시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므로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2 전달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2 누설 방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의 빠른 분리를 통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와,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가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공급해서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어느 하나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어느 하나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채널 프레임, 연결 채널 프레임, 및 배출 채널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Ⅲ-Ⅲ 부분의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 X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폭 방향이고, Y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깊이 방향이며, Z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높이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W1)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10)와, 이러한 제빙수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20) 및 이러한 증발기(20)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수 공급부(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빙수(W1)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유수식 증발기(20)를 경유한 제빙수(W1)를 순환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유수식 증발기(20)를 경유한 제빙수(W1)를 모으기 위한 수조(4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조(40)에 모인 제빙수(W1)를 제빙수 공급부(10)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수 공급부(10)는 유수식 증발기(20)의 폭 방향(X)을 따라 고르게 제빙수(W1)가 공급되도록 분배해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제빙수(W1)를 분배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사용해서 제빙수(W1)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증발기(20)의 내부에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저온의 유체와, 탈빙을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 유체 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 장치에 구비된 유수식 증발기(2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고온의 유체는 생성된 얼음(C)을 증발기(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온도의 액체 또는 기체를 의미하며, 제빙수(W1)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온의 온도를 갖는 액체 또는 유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체일 경우 약 10℃ 이상, 기체일 경우 약 30℃ 이상의 온도를 갖는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에 사용되는 냉매로서, 냉동 사이클 동작 과정 중에 약 50℃ 이상으로 가열된 냉매를 고온의 유체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W2)를 여과해서 정수(W3)를 생성하는 여과부(10’)와, 이러한 여과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W3)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20) 및 이러한 증발기(20)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0’)는 외부로부터 원수(W2)를 공급받은 다음에 원수(W2)를 여과하여 정수(W3)를 생성한다. 여과부(10’)는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부(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여과부(10’)에서 생성된 정수(W3)는 직접 유수식 증발기(20)로 공급될 수 있으나, 또는, 정수(W3)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로 공급되고, 유수식 증발기(20)는 이러한 별도의 저장부를 통해 정수(W3)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발기(20)의 내부에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저온의 유체와, 탈빙을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 유체 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장치에 구비된 유수식 증발기(2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어느 하나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및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C)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R1)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되는 열전달면(110), 얼음(C)의 제1 면(C1)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120), 얼음 생성면(120)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C)의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30), 및 격벽(130)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격벽(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R2)가 형성된 공급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은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빙수(W1)는 여과부(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W3)를 포함한다. 이러한 얼음 생성면(120)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영역(K)을 구획하기 위해 제1 유로(201)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30)이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유수식 증발기(20)에 공급되는 제빙수(W1)는 격벽(130)에 의해 분배된 상태로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을 따라 흐르게 되고,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얼음(C)이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형성된 제1 유로(R1)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가 공급 및 배출되도록 메인 유체 포트(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유체 포트(300)는 메인 유체 공급 포트(310)와 메인 유체 배출 포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체 공급 포트(310)에는 제빙 시 저온의 유체가 공급되고, 탈빙 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된다. 또한, 메인 유체 배출 포트(320)에는 제빙 시 저온의 유체가 배출되고, 탈빙 시 고온의 유체가 배출된다. 아울러 탈빙 시 격벽(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 채널(140)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고온 유체 공급 포트(101)가 구비되고,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고온 유체 배출 포트(1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얼음(C)의 제1 면(C1)은 얼음 생성면(120)에 부착 형성되고,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은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 형성된다. 즉,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 생성면(120)에 먼저 얼음(C)이 생성되고, 이때, 얼음(C)의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20)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빙수(W1)가 계속 흐르게 되면 얼음(C)의 크기가 커지면서 격벽(130)의 외측면에도 얼음이 형성되고, 이때, 얼음(C)의 제2 면(C2)이 격벽(130)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형성된 제1 유로(R1)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10)과 얼음 생성면(12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는 제2 유로(R2)를 통해 격벽(1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격벽(130)의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격벽(130)으로 열이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격벽(130)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C)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C)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격벽(130)은 제빙수(W1)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격벽(13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는 상호 인접 배치되는 격벽(130)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 채널(150)과, 격벽(130)의 내부를 흐르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채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 채널(150)이 형성되어 격벽(130) 상호 간에 연통되므로 어느 하나의 격벽(130)으로 고온의 유체를 공급해도 복수 개의 격벽(130)에 모두 고온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유수식 증발기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며, 상호 인접하는 격벽(130) 사이로 제빙수(W1)가 흐르는 과정에서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위치마다 얼음(C)이 생성되면서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도 5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인홈(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홈(201)을 통해 제빙 시에는 저온의 유체가 흐르고, 탈빙 시에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게 되며,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메인홈(201)이 형성됨에 따라 메인홈(201)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부에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메인홈(201)은 깊이 방향(Y)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에 형성된 열전달면(110)과 면 접촉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메인홈(201)이 형성된 부분에는 열전달면(110)과 접촉하는 부착면(203)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면(203)에는 클래드 소재가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래드 소재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클래드 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클래드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에 클래드 소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메인홈(20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열전달면(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면(2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격면(204)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로 누설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는 후술하는 제1 전달 프레임(2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메인홈(201)을 통해 흐르는 상기 유체가 열전달면(110)에 직접 접촉하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홀(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홈(201)이 절곡 형성되면 메인홈(201)과 열전달면(110)이 면 접촉하므로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어 저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 제빙 성능이 향상되고,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 얼음(C)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메인홈(201)과 열전달면(110)의 면 접촉을 통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는 개구홀(202)이 형성되어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가 열전달면(110)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일측에는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되,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차단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단 프레임(210)은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격벽(130)을 향해 우회한 상태에서 흐르도록 고온의 유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게 되며, 이를 위해 공급 채널(14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130)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격벽(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격벽(130)의 타측으로 이동한 고온의 유체가 연결 채널(150)을 통해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되, 이러한 고온의 유체가 다른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차단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된 고온의 유체는 격벽(130)을 향해 우회한 상태에서 격벽(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게 되며, 이후 격벽(130)의 타측으로 이동한 고온의 유체가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만 이동하게 되므로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다른 격벽(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벽(13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전달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홈(201)은 열전달면(110)과 면 접촉하도록 깊이 방향(Y)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이와 같이 메인홈(201)이 형성된 부분에는 열전달면(110)과 접촉하는 부착면(203)이 형성되어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가 상호 접합되면서 고온의 유체 누설 방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메인홈(20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는 열전달면(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면(204)이 형성됨에 따라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로 누설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달 프레임(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제1 전달 프레임(220)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따라 높이 방향(Z)으로 배치되는 제1 베이스면(221)과, 제1 베이스면(2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격벽(130)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사이드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면(221)은 일정한 폭 방향(X) 길이를 갖는 상태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따라 높이 방향(Z)으로 배치되며, 제1 베이스면(221)과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에는 전술한 클래드 부재가 배치되어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베이스면(2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 사이드면(222)이 격벽(130)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됨에 따라 격벽(130)을 통해 흐르는 고온의 유체가 전술한 이격면(204)이 형성된 부분에서도 누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제1 사이드면(222)도 격벽(130)과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사이드면(222)과 격벽(13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전술한 클래드 부재가 배치되어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되며,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타면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연통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홀(230)이 형성되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일면으로만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더라도 연통홀(230)을 통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타면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구성이 단순화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높이 방향(Z)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은 공급 채널(140)의 높이 방향(Z) 외측을 폐쇄함으로써 고온의 유체 누설을 방지한다. 이때,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에는 격벽(1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깊이 방향(Y)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단편(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편(241)은 격벽(130)의 내측면과 접촉 배치되어 격벽(130)을 통해 흐르는 고온의 유체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이 구비되면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높이 방향(Z)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함으로써 탈빙 성능이 향상되고,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와 별도로 형성되어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 배치될 수 있으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로부터 절곡 형성되도록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선(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면 한 쌍의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접합 과정에서 제1 누설 방지 프레임(240)을 접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단순화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어느 하나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 채널 프레임, 연결 채널 프레임, 및 배출 채널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일측에는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격벽(130)에 열을 전달하도록 공급 채널(140)이 형성된 공급 채널 프레임(250)과, 이러한 유체가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채널 구획 벽체(2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유수식 증발기는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이용해서 구획하는 방식으로 고온의 유체가 격벽(130)을 통해 흐르도록 제2 유로(R2)를 형성한 구성이고, 도 11에 도시된 유수식 증발기는 별도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해서 제2 유로(R2)를 형성한 구성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채널(140)이 형성된 공급 채널 프레임(250)으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면 채널 구획 벽체(260)로 인해 고온의 유체가 격벽(13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어느 하나의 격벽(130)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격벽(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공급 채널 프레임(250)은 깊이 방향(Y)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130)에 고온의 유체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격벽(130)과 각각 연통되는 공급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가 상호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얼음 생성면(120)에는 얼음(C)이 부착 형성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홀(251)을 통해 한 쌍의 격벽에 고온의 유체를 동시에 공급하면 각각의 얼음 생성면(120)에 부착 형성된 얼음(C)을 빠르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격벽(130)의 타측으로 이동한 고온의 유체가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도록 연결 채널(150)이 형성된 연결 채널 프레임(270)과, 고온의 유체가 다른 격벽(130)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130)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채널 구획 벽체(26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채널 프레임(250)을 통해 공급된 고온의 유체는 격벽(130)을 향해 우회한 상태에서 격벽(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게 되며, 이후 격벽(130)의 타측으로 이동한 고온의 유체가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130)으로만 이동하게 되므로 고온의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을 다른 격벽(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고온의 유체가 모든 격벽(130)을 따라 이동한 후에는 배출 채널(160)이 형성된 배출 채널 프레임(2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벽(13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전달 프레임(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홈(201)은 열전달면(110)과 면 접촉하도록 깊이 방향(Y)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이와 같이 메인홈(201)이 형성된 부분에는 열전달면(110)과 접촉하는 부착면(203)이 형성되어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가 상호 접합되면서 고온의 유체 누설 방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메인홈(20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는 열전달면(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면(204)이 형성됨에 따라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로 누설될 수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달 프레임(28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탈빙 성능 향상 및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1의 Ⅲ-Ⅲ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제2 전달 프레임(280)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따라 높이 방향(Z)으로 배치되는 제2 베이스면(281)과, 제2 베이스면(28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격벽(130)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사이드면(2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면(281)은 일정한 폭 방향(X) 길이를 갖는 상태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따라 높이 방향(Z)으로 배치되며, 제2 베이스면(281)과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 사이에는 전술한 클래드 부재가 배치되어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2 베이스면(28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 사이드면(282)이 격벽(130)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됨에 따라 격벽(130)을 통해 흐르는 고온의 유체가 전술한 이격면(204)이 형성된 부분에서도 누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제2 사이드면(282)도 격벽(130)과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제2 사이드면(282)과 격벽(13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전술한 클래드 부재가 배치되어 브레이징 과정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는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된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설 방지 프레임(2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누설 방지 프레임(290)은 공급 채널 프레임(250)의 높이 방향(Z) 외측을 폐쇄함으로써 고온의 유체 누설을 방지한다. 이때, 전술한 공급 채널 프레임(250), 연결 채널 프레임(270), 및 배출 채널 프레임(270’)에는 격벽(1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깊이 방향(Y)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며, 격벽(130)의 내측면과 접촉 배치되어 격벽(130)을 통해 흐르는 고온의 유체 누설을 방지하게 되고, 제2 누설 방지 프레임(290)에도 이에 대응되도록 격벽(1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깊이 방향(Y)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누설 방지 프레임(290)이 구비되면 격벽(130)을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유체가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높이 방향(Z)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이동함으로써 탈빙 성능이 향상되고, 얼음(C)의 빠른 분리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빙 장치에 사용되는 이러한 유수식 증발기(20)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및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C)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R1)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포함하며,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는,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110), 얼음(C)의 제1 면(C1)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120), 얼음 생성면(120)을 구획하여 얼음(C)의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30), 및 격벽(130)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격벽(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R2)가 형성된 공급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형성된 제1 유로(R1)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10)과 얼음 생성면(12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는 제2 유로(R2)를 통해 격벽(1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격벽(130)의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격벽(130)으로 열이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격벽(130)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C)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C)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수 장치에 사용되는 유수식 증발기(20)의 경우에도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및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C)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R1)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포함하며,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는,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110), 얼음(C)의 제1 면(C1)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120), 얼음 생성면(120)을 구획하여 얼음(C)의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유로(R1)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30), 및 격벽(130)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격벽(13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R2)가 형성된 공급 채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에 형성된 제1 유로(R1)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10)과 얼음 생성면(12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공급 채널(140)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는 제2 유로(R2)를 통해 격벽(1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격벽(130)의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격벽(130)으로 열이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유로 플레이트 부재(200)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와,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격벽(130)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C)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C)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는 탈빙 시에 고온의 유체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얼음(C)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W1)의 청정도가 저하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제빙수 공급부 10’ : 여과부
20 : 유수식 증발기 30 : 열전달 유체 공급부
40 : 수조 50 : 펌프
100 : 외측 플레이트 부재 101 : 고온 유체 공급 포트
102 : 고온 유체 배출 포트 110 : 열전달면
120 : 얼음 생성면 130 : 격벽
140 : 공급 채널 150 : 연결 채널
160 : 배출 채널 200 : 유로 플레이트 부재
201 : 메인홈 202 : 개구홀
203 : 부착면 204 : 이격면
210 : 제1 차단 프레임 220 : 제1 전달 프레임
221 : 제1 베이스면 222 : 제1 사이드면
230 : 연통홀 240 : 제1 누설 방지 프레임
241 : 차단편 242 : 절곡선
250 : 공급 채널 프레임 251 : 공급홀
260 : 채널 구획 벽체 270 : 연결 채널 프레임
270’ : 배출 채널 프레임 280 : 제2 전달 프레임
281 : 제2 베이스면 282 : 제2 사이드면
290 : 제2 누설 방지 프레임 300 : 메인 유체 포트
310 : 메인 유체 공급 포트 320 : 메인 유체 배출 포트
R1 : 제1 유로 R2 : 제2 유로
C : 얼음 C1 : 제1 면
C2 : 제2 면 K :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
W1 : 제빙수 W2 : 원수
W3 : 정수 X : 폭 방향
Y : 깊이 방향 Z : 높이 방향

Claims (19)

  1.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호 인접 배치되는 상기 격벽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 채널과, 상기 격벽의 내부를 흐르는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메인홈을 통해 흐르는 상기 유체가 상기 열전달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관통 형성된 개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타측으로 이동한 상기 유체가 상기 연결 채널을 통해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가 상기 다른 격벽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기 제1 차단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전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프레임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베이스면과, 상기 제1 베이스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1 사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면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누설 방지 프레임이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절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가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격벽에 열을 전달하도록 상기 공급 채널이 형성된 공급 채널 프레임과, 상기 유체가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채널 프레임은 깊이 방향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격벽에 상기 유체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과 각각 연통되는 공급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타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격벽의 타측으로 이동한 상기 유체가 상기 격벽과 인접 배치된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 채널이 형성된 연결 채널 프레임과, 상기 유체가 상기 다른 격벽과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격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채널 구획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격벽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전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프레임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베이스면과, 상기 제2 베이스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제2 사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공급 채널을 통해 공급된 상기 유체가 상기 유로 플레이트 부재의 높이 방향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누설 방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8.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
    상기 제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유수식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19.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유수식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유체 또는 고온의 유체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플레이트 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저온의 유체 또는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제1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로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플레이트 부재는,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열전달면, 얼음의 제1 면이 부착 형성되도록 외측에 형성되는 얼음 생성면, 상기 얼음 생성면을 구획하여 상기 얼음의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이 부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유로를 흐르는 상기 유체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부로 고온의 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격벽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유로가 형성된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0200177276A 2020-12-17 2020-12-17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20220086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76A KR20220086989A (ko) 2020-12-17 2020-12-17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76A KR20220086989A (ko) 2020-12-17 2020-12-17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989A true KR20220086989A (ko) 2022-06-24

Family

ID=8221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76A KR20220086989A (ko) 2020-12-17 2020-12-17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98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729A (ja) 2008-04-01 2009-1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1335953B1 (ko) 2013-09-04 2013-12-04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729A (ja) 2008-04-01 2009-1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1335953B1 (ko) 2013-09-04 2013-12-04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10017148A (ko) 얼음정수기
KR101795424B1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JPS5926878B2 (ja) 潜熱蓄熱器
KR20220086989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749394B1 (ko) 냉수탱크
KR20220091074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20220090194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10264484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220040943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20220086988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10258158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101711133B1 (ko)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KR20220091013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JP6105411B2 (ja) 冷蔵庫
KR20170071464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KR101871741B1 (ko) 냉매와 직접접촉방식으로 제빙과 냉수를 동시에 수행하는 증발기의 제조방법
KR102670628B1 (ko) 냉수기
JP3842413B2 (ja) 顕熱回収装置及び蓄熱タンク
WO2020259546A1 (zh) 用于制冰器的水过滤和回收利用系统
KR20240047631A (ko) 냉수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957687B1 (ko) 제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