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943A -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943A
KR20220040943A KR1020200124281A KR20200124281A KR20220040943A KR 20220040943 A KR20220040943 A KR 20220040943A KR 1020200124281 A KR1020200124281 A KR 1020200124281A KR 20200124281 A KR20200124281 A KR 20200124281A KR 20220040943 A KR20220040943 A KR 2022004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pair
heat transfer
pipe memb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박정철
최인두
이현우
이경민
김경종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943A/ko
Publication of KR2022004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5B39/024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with 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가 향상되는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CONTINUOUS FLOW THROUGH TYPE EVAPORATOR, ICE MAKING APPARATUS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식 증발기는 증발기 표면에 제빙수를 흘려서 얼음을 생성한 후 생성된 얼음을 증발기로부터 탈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유수식 증발기는 제빙 장치나 정수 장치 등 얼음 생성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대영이앤비 주식회사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5953호는 종래의 제빙기를 개시한다. 이러한 제빙기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와, 이러한 증발기에 접촉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제빙판과, 제빙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빙판에서 낙하하는 물(제빙수 및 탈빙수)이 저장되는 수조와, 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낙하하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고가 구비된다. 또한, 제빙판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각각을 구획하는 구획 칸막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빙판에 물이 흐르게 되면 증발기와 접촉한 부분에 얼음이 생성되며, 특히, 생성된 얼음은 제빙판 뿐만 아니라 구획 칸막이부에도 부착된 상태로 생성된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얼음이 부착된 모든 부분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제빙판에 부착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증발기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고, 구획 칸막이부에 부착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서 구획 칸막이부의 내측, 즉, 증발기가 배치된 부분으로 탈빙수를 흘려주게 된다. 만일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구획 칸막이부에 부착된 부분이 빠르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증발기로 공급되는 고온의 가스로 인해 얼음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탈빙수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탈빙수가 동관 재질의 증발기의 외주면을 경유한 후에 수조에 모여서 제빙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HOSHIZAKI ELECTRIC CO LTD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64729호에 개시된 제빙 유닛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된 제빙판과, 이러한 제빙판의 이면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증발관이 구비된다. 제빙판에 제빙수가 흐르게 되면 증발관과 접촉한 부분에 얼음이 생성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얼음은 제빙판과 돌출부에 부착 생성된다.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탈빙 운전이 시작되면 고온 가스 밸브가 개방되어 증발관에 고온의 가스가 순환 공급되고, 급수 밸브도 개방되어 제빙판의 이면에 탈빙수가 공급됨에 따라 제빙판이 가열되면서 얼음이 분리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탈빙수가 동관 재질의 증발기의 외주면을 경유한 후에 수조에 모여서 제빙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595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64729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에 제1 전달면과 제2 전달면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전달면을 통해 파이프 부재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전달된 열은 제1 전달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전달면을 통해 전도 방식으로 격벽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얼음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에 한 쌍의 대향 벽체가 형성되되, 이러한 한 쌍의 대향 벽체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대향 벽체의 내주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금형 등을 이용해서 플레이트 부재를 성형할 때 금형틀을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가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열전달면과 면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제빙 시에는 얼음(C)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고, 탈빙 시에는 얼음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 접합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내부가 밀폐되므로 공기 또는 제빙수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에 각각 절곡면이 형성되어 파이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제작 용이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외부에 구비된 열전달 유체 공급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부재가 구비되되, 플레이트 부재에는 이러한 커넥터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커넥터 부재가 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격벽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도 이러한 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플레이트 부재를 이종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로 형성하되, 내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에는 열전달면이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에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열전달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시트를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이러한 플레이트 시트를 통해 격벽으로 전달되어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얼음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와,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가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공급해서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전달면과, 상기 제1 전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도 방식으로 상기 격벽에 열을 전달하는 제2 전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2 전달면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대향 벽체와, 상기 대향 벽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지지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대향 벽체는 상호 대향 배치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대향 벽체의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상기 대향 벽체의 내주면에는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에는 상기 열전달면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연통되는 커넥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커넥터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어느 하나의 상기 파이프 부재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인접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 부재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상호 인접 배치된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에 동시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의 양단을 각각 연통시키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이한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로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에는 상기 열전달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에는 상기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복수 개의 상기 열전달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 상기 제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와,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와,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연장되어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에 제1 전달면과 제2 전달면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전달면을 통해 파이프 부재로부터 열이 전달되고, 전달된 열은 제1 전달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전달면을 통해 전도 방식으로 격벽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얼음이 쉽게 분리되고,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에 한 쌍의 대향 벽체가 형성되되, 이러한 한 쌍의 대향 벽체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대향 벽체의 내주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금형 등을 이용해서 플레이트 부재를 성형할 때 금형틀을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가 플레이트 부재에 형성된 열전달면과 면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제빙 시에는 얼음(C)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고, 탈빙 시에는 얼음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 접합면이 형성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내부가 밀폐되므로 공기 또는 제빙수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에 각각 절곡면이 형성되어 파이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제작 용이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외부에 구비된 열전달 유체 공급부와 연결되는 커넥터 부재가 구비되되, 플레이트 부재에는 이러한 커넥터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어 커넥터 부재가 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격벽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도 이러한 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플레이트 부재를 이종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로 형성하되, 내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에는 열전달면이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에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열전달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시트를 격벽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이러한 플레이트 시트를 통해 격벽으로 전달되어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얼음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와,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가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수를 공급해서 얼음을 생성하되,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일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3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격벽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일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의 (a)는 도 12의 Ⅲ-Ⅲ 부분의 단면도이고, (b)는 도 12의 Ⅵ-Ⅵ 부분의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 X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폭 방향이고, Y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깊이 방향이며, Z 방향은 유수식 증발기의 높이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10)와, 이러한 제빙수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20) 및 이러한 증발기(20)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수 공급부(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빙수로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유수식 증발기(20)를 경유한 제빙수(W1)를 순환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유수식 증발기(20)를 경유한 제빙수(W1)를 모으기 위한 수조(4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수조(40)에 모인 제빙수(W1)를 제빙수 공급부(10)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수 공급부(10)는 유수식 증발기(20)의 폭 방향을 따라 고르게 제빙수(W1)가 공급되도록 분배해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제빙수(W1)를 분배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를 사용해서 제빙수(W1)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증발기(20)의 내부에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저온의 냉매와, 탈빙을 위한 고온의 가스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 유체 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 장치에 구비된 유수식 증발기(2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W2)를 여과해서 정수(W3)를 생성하는 여과부(10’)와, 이러한 여과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W3)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20) 및 이러한 증발기(20)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0’)는 외부로부터 원수(W2)를 공급받은 다음에 원수(W2)를 여과하여 정수(W3)를 생성한다. 여과부(10’)는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부(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여과부(10’)에서 생성된 정수(W3)는 직접 유수식 증발기(20)로 공급될 수 있으나, 또는, 정수(W3)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로 공급되고, 유수식 증발기(20)는 이러한 별도의 저장부를 통해 정수(W3)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발기(20)의 내부에는 얼음 생성을 위한 저온의 냉매와, 탈빙을 위한 고온의 가스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외부에서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 유체 공급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 장치에 구비된 유수식 증발기(2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일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200) 및 이러한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에는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120)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은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C)이 생성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은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빙수(W1)는 여과부(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W3)를 포함한다. 이러한 얼음 생성면(110)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영역(K)을 구획하기 위해 파이프 부재(2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11)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유수식 증발기(20)에 공급되는 제빙수(W1)는 격벽(111)에 의해 분배된 상태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을 따라 흐르게 되고,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얼음(C)이 생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얼음(C)의 제1 면(C1)은 얼음 생성면(110)에 부착 형성되고,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은 격벽(111)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된다. 즉, 제빙수(W1)가 흐르면서 얼음 생성면(110)에 먼저 얼음(C)이 생성되고, 이때, 얼음(C)의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10)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빙수(W1)가 계속 흐르게 되면 얼음(C)의 크기가 커지면서 격벽(111)의 외주면에도 얼음이 형성되고, 이때, 얼음(C)의 제2 면(C2)이 격벽(111)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20)과 얼음 생성면(11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열전달 부재(300)를 통해 격벽(111)으로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열전달 부재(300)는 격벽(111)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얼음(C)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10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열전달 부재(300)에는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전달면(310)과, 이러한 제1 전달면(3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도 방식으로 격벽(111)에 열을 전달하는 제2 전달면(32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탈빙을 위해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면 이에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제1 전달면(310)으로 열이 전달되고, 이후 전도 방식으로 제2 전달면(320)을 통해 격벽(111)으로 열이 전달되면서 얼음(C)의 제2 면(C2)이 일부 녹게 되어 격벽(1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전달면(310)을 통해 파이프 부재(200)로부터 전달된 열이 전도 방식으로 제2 전달면(320)과 격벽(111)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얼음이 쉽게 분리되고, 얼음(C)이 크기나 모양이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격벽(111)에는 제2 전달면(320)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대향 벽체(111a)와, 이러한 대향 벽체(111a)의 양단을 연결하는 지지 벽체(111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생성되는 얼음(C)의 제1 면(C1)은 얼음 생성면(110)에 부착 형성되고,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은 격벽(111)의 외주면, 즉, 대향 벽체(111a)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빙을 위해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달면(310)과 제2 전달면(320)을 통해 순차적으로 열이 전달(전도 방식)되고, 이후 전도 방식으로 제2 전달면(320)을 통해 대향 벽체(111a)로 열이 전달되면서 얼음(C)의 제2 면(C2)이 일부 녹게 되어 대향 벽체(111a)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전달면(310)을 통해 파이프 부재(200)로부터 전달된 열이 전도 방식으로 제2 전달면(320)과 대향 벽체(111a)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얼음이 쉽게 분리되고, 얼음(C)이 크기나 모양이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지지 벽체(111b)가 구비됨으로써 대향 벽체(111a) 상호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격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 벽체(111a)는 상호 대향 배치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대향 벽체(111a)의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대향 벽체(111a)의 내주면에는 경사(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대향 벽체(111a) 상호 간의 간격을 내측 간격(di)으로 하고, 지지 벽체(111b)와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대향 벽체(111a) 상호 간의 간격을 외측 간격(do)이라고 할 때, 외측 간격(do)보다 내측 간격(di)이 증가하도록 대향 벽체(111a)의 내주면에 경사(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한 쌍의 대향 벽체(111a)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대향 벽체(111a)의 내주면에 경사(θ)가 형성되어 금형 등을 이용해서 플레이트 부재(100)를 성형할 때 금형틀을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도 3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200)에는 열전달면(120)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200)가 플레이트 부재(100)에 형성된 열전달면(120)과 면 접촉하게 되면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제빙 시에는 얼음(C)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고, 탈빙 시에는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20)는 탈빙 시에도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합면(130)을 통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부가 밀폐되어 공기 또는 제빙수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제빙수의 청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140)이 각각 형성되고, 전술한 접합면(130)은 절곡면(14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에 각각 절곡면(140)이 형성되면 파이프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제작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파이프 부재(200)와 연통되는 커넥터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커넥터 부재(400)가 안착되는 안착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부재(200)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구비된 열전달 유체 공급부(30)와 파이프 부재(200)를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전술한 커넥터 부재(400)를 통해 열전달 유체 공급부(30)와 파이프 부재(200)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 부재(400)의 일단이 파이프 부재(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부재(400)의 타단은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를 접합한 이후에도 커넥터 부재(400)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부재(400)의 타단에 열전달 유체 공급부(3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100)에는 이러한 커넥터 부재(400)가 안착되는 안착면(150)이 형성되어 커넥터 부재(400)가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격벽(111)은 제빙수(W1)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격벽(111)이 일정 간격(L)으로 이격 배치되고, 파이프 부재(200)는 복수 개의 격벽(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200)가 제빙수(W1)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M)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수(W1)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 개의 격벽(111)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200)도 이러한 격벽(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면 동시에 여러 개의 얼음(C)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어느 하나의 파이프 부재(200)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인접 배치된 다른 하나의 파이프 부재(200)로 순차적으로 이동(직렬 연결)하도록 상호 인접 배치된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200)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부재(200)를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의 유량 분배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유수식 증발기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 부재(200)는 제빙수(W1)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만곡되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파이프 부재(200)의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을 별개로 형성하고, 파이프 부재(200) 제조 시에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이프 부재(200)의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을 단순히 연결하면 되고, S자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변형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파이프 부재(200)가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는, 파이프 부재(200)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이러한 파이프 부재(200)에 외력을 인가해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파이프 부재(200)를 상호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되어 빠른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200)에 동시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병렬 연결)되도록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200)의 양단을 각각 연통시키는 제2 연결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부재(200)를 병렬로 연결하게 되면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모든 파이프 부재(200)에 동시에 공급되므로 신속한 제빙 또는 탈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파이프 부재(200)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유량을 분배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의 일측 플레이트 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의 (a)는 도 12의 Ⅲ-Ⅲ 부분의 단면도이고, (b)는 도 12의 Ⅵ-Ⅵ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00)는 상이한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101)로 형성되되,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101)에는 열전달면(120)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101)에는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전달면(12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시트(101)인 제1 시트(101a)는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구리(Cu) 재질을 사용하고,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시트(101)인 제2 시트(101b)는 제빙수(W1) 또는 얼음(C)의 청정도를 고려하여 스테인리스 스틸(SUS)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활한 열전달 및 청정도 확보가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부재(100)는 플레이트 부재(100)의 소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 시트(101a)와 제2 시트(101b)를 압착하여 상호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에 있어서, 열전달 부재(300)는 격벽(111)의 내부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101)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00)를 이종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101)로 형성하되, 내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101)에는 열전달면(120)이 형성되고, 외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시트(101)에는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열전달면(120)이 형성된 플레이트 시트(101)를 격벽(11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고온의 가스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이러한 플레이트 시트(101)를 통해 격벽(111)으로 전달되어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얼음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빙 장치에 사용되는 이러한 유수식 증발기(20)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200) 및 이러한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에는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얼음 생성면(110)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영역(K)을 구획하기 위해 파이프 부재(2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11)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생성되는 얼음(C)의 제1 면(C1)은 얼음 생성면(110)에 부착 형성되고,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은 격벽(111)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된다. 이때,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20)과 얼음 생성면(11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열전달 부재(300)를 통해 격벽(111)으로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열전달 부재(300)는 격벽(111)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얼음(C)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10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도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합면(130)을 통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부가 밀폐되어 공기 또는 제빙수(W1)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제빙수(W1)의 청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1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접합면(130)은 절곡면(14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에 각각 절곡면(140)이 형성되면 파이프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제작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는 복수 개의 열전달 부재(300)가 높이 방향(Z)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열전달 부재(300)는 파이프 부재(200)가 배치되는 높이에 맞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부재(200)가 배치되지 않는 위치에는 열전달 부재(30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더라도 열전달 부재(3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격벽(111)의 외주면에 얼음(C)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격벽(11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 방향(Z)으로 얼음(C)이 연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여 탈빙 시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전달 부재(300)가 파이프 부재(200)와 맞닿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길이에만 위치하게 되므로 열전달부재(300)가 높이 방향(Z)을 따라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탈빙 시에 짧은 시간 동안 열을 집중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감소하게 되고, 열전달 부재(30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탈빙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수 장치에 사용되는 유수식 증발기(20)의 경우에도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200) 및 이러한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110)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측에는 파이프 부재(200)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얼음 생성면(110)에는 얼음(C)이 생성되는 영역(K)을 구획하기 위해 파이프 부재(2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11)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생성되는 얼음(C)의 제1 면(C1)은 얼음 생성면(110)에 부착 형성되고, 제1 면(C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C2)은 격벽(111)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된다. 이때, 탈빙을 위해서는 이러한 얼음(C)의 제1 면(C1)과 제2 면(C2)을 빠르게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파이프 부재(200)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열전달면(120)과 얼음 생성면(110)을 통해 얼음(C)에 전달되면서 제1 면(C1)이 얼음 생성면(110)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파이프 부재(200)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열전달 부재(300)를 통해 격벽(111)으로 전달되어 제2 면(C2)이 격벽(1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열전달 부재(300)는 격벽(111)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 얼음(C)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10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또한, 제빙수(W1)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순환되는 제빙수(W1) 뿐만 아니라 얼음(C)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13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탈빙 시에도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접합면(130)을 통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내부가 밀폐되어 공기 또는 제빙수(W1)가 유입되지 않음으로써 제빙수(W1)의 청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1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접합면(130)은 절곡면(140)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에 각각 절곡면(140)이 형성되면 파이프 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어 제작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빙 시에 얼음이 생성된 플레이트 부재(10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탈빙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얼음(C)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탈빙 시 얼음(C)이 녹는 정도가 최소화되고, 제빙수(W1)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0)의 외측으로만 흐르는 상태에서 순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빙수(W1)의 청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제빙수 공급부 10’ : 여과부
20 : 유수식 증발기 30 : 열전달 유체 공급부
40 : 수조 50 : 펌프
100 : 플레이트 부재 101 : 플레이트 시트
101a : 제1 시트 101b : 제2 시트
110 : 얼음 생성면 111 : 격벽
111a : 대향 벽체 111b : 지지 벽체
120 : 열전달면 130 : 접합면
140 : 절곡면 150 : 안착면
200 : 파이프 부재 210 : 접촉면
300 : 열전달 부재 310 : 제1 전달면
320 : 제2 전달면 400 : 커넥터 부재
500 : 제1 연결 부재 600 : 제2 연결 부재
C : 얼음 C1 : 제1 면
C2 : 제2 면 di : 내측 간격
do : 외측 간격 K :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
L : 격벽 사이의 간격 M : 파이프 부재 사이의 간격
W1 : 제빙수 W2 : 원수
W3 : 정수 X : 폭 방향
Y : 깊이 방향 Z : 높이 방향
θ : 경사

Claims (21)

  1.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
    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제1 전달면과, 상기 제1 전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전도 방식으로 상기 격벽에 열을 전달하는 제2 전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2 전달면과 열적으로 접촉하는 대향 벽체와, 상기 대향 벽체의 양단을 연결하는 지지 벽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대향 벽체는 상호 대향 배치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대향 벽체의 내주면 상호 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상기 대향 벽체의 내주면에는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에는 상기 열전달면과 면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연통되는 커넥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커넥터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격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가 제빙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파이프 부재를 흐르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인접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 부재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상호 인접 배치된 복수 개의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에 동시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의 양단을 각각 연통시키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는 상이한 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 시트로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에는 상기 열전달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에는 상기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열전달 부재가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
  16.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 공급부;
    상기 제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와,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19. 원수를 여과해서 정수를 생성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가 흐르면서 얼음이 생성되는 유수식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는 열전달 유체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수식 증발기에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와,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 또는 고온의 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 부재가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생성면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와 열적으로 접촉하는 열전달면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생성면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영역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생성되는 얼음의 제1 면은 상기 얼음 생성면에 부착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면은 상기 격벽의 외주면에 부착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내부에 고온의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은 상기 열전달면과 상기 얼음 생성면을 통해 얼음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얼음 생성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열이 상기 열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격벽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 면이 상기 격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열전달 부재는 상기 격벽의 내주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연장되어 상호 접합 가능한 접합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둘레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은 상기 절곡면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식 증발기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0200124281A 2020-09-24 2020-09-24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20220040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81A KR20220040943A (ko) 2020-09-24 2020-09-24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81A KR20220040943A (ko) 2020-09-24 2020-09-24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943A true KR20220040943A (ko) 2022-03-31

Family

ID=8093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81A KR20220040943A (ko) 2020-09-24 2020-09-24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544A (zh) * 2021-05-14 2021-08-20 章世燕 食用冰发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729A (ja) 2008-04-01 2009-1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1335953B1 (ko) 2013-09-04 2013-12-04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4729A (ja) 2008-04-01 2009-11-12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1335953B1 (ko) 2013-09-04 2013-12-04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제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0544A (zh) * 2021-05-14 2021-08-20 章世燕 食用冰发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7564B (zh)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TWI327903B (en) A filter chrtridge for a water tank of a coffee machine
KR101795424B1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CN102959349B (zh) 能够去除包含石灰水的重水的制冰设备和方法
EA010519B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жидкостей
KR20220040943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JP2013210143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KR20220090194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101711133B1 (ko)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KR20220091074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US2300663A (en) Heat exchange device
KR20220091013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20170071464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EP4246060A1 (en) Running-water-type evaporator, and ice-making device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086989A (ko)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KR102333713B1 (ko)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5979578B2 (ja) 氷蓄熱装置
JPH07294076A (ja) 氷蓄熱槽の製氷部
KR20140080178A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EP3867580B1 (en) An evaporator assembly for a vertical flow type ice making machine
JPH0120614Y2 (ko)
KR101468840B1 (ko) 정수기
WO2022111413A1 (zh) 制冰机的过滤器组件
JP5857762B2 (ja) 氷蓄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