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893A - 치아모형 교합기 - Google Patents

치아모형 교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893A
KR20220086893A KR1020200177104A KR20200177104A KR20220086893A KR 20220086893 A KR20220086893 A KR 20220086893A KR 1020200177104 A KR1020200177104 A KR 1020200177104A KR 20200177104 A KR20200177104 A KR 20200177104A KR 20220086893 A KR20220086893 A KR 2022008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eth
fitting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176B1 (ko
Inventor
홍창식
Original Assignee
(주)레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피오 filed Critical (주)레피오
Priority to KR102020017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구조에 따라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대향되도록 고정하여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힌지체와, 하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상, 하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상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모형 교합기{Disposable tooth model articulator}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구조에 따라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대향되도록 고정하여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힌지체와, 하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상, 하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상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턱관절의 운동을 통해 상하 치아가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치아의 손상이 발생하면 교합에 문제가 생기면서 치아의 기능장애가 발생한다. 이 경우 손상된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 보철물을 이용하게 된다.
보철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에 대한 음각 본을 만들어 기공소로 보내지게 되며 기공소에서는 만들어진 음각본에 치과용 석고를 주입하여 치아모형을 만드는데, 치아모형은 치료 또는 보철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치아의 부위에 따라 앞니부분, 어금니부분, 치아전체 등으로 치아모형을 뜨며, 치아의 상관관계에 따라 작업치 또는 작업치와 대향되는 대합치의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상기 작업치와 대합치가 만들어진 경우에 최종적으로 환자의 치아 교합 및 저작구조에 맞는 보철물 및 인공치아를 제작하기 위해 이의 상관관계를 사전에 파악하여 최적의 보철물과 인공치아를 만들 수 있도록 환자의 상·하악 구조를 재현시켜야 하는데, 환자의 치아구조에 맞는 상·하악 구조를 재현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가 교합기이다.
이러한 교합기는 금속제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한번 사용한 후에 교합기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교합기에 달라붙어 경화된 치아모형을 석고로부터 떼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이의 취급이 불편하였고 가격 또한 고가인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합기가 개발된 바 있으며, 교합기는 주로 경량이어서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견고하지 못하고 치아모형의 교합시에 지지하는 부위가 없어 치아가 상실된 치아모형 부위는 과도하게 내려앉아 교합 및 저작구조에 맞는 치아모형을 본뜨는 것이 불편하면서 치아모형의 왜곡이 발생되어 보철물의 불량률의 주요요인이 되어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770호 (2010. 07.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힌지체와, 하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상, 하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상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어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된 치아모형의 교합이 자유로우면서 견고하게 진행되고, 치아모형의 교합시에 치아가 상실되었거나 치아의 손상이 많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지지부재 및 이동부재로 하중을 지지하여 작업치 및 대합치가 과도하게 내려앉아 교합이 왜곡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는 치아모형 교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구조에 따라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대향되도록 고정하여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치아모형의 형태에 맞게 돌출됨과 아울러 치아모형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치아모형의 치열에 맞게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으로 관통공의 양옆에 각각 돌출되는 돌기가 다수 형성되고, 후면 중앙으로 상측이 개방되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반구형태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양측 중 일측에는 옆으로 봉 형태로 돌출되는 끼움봉 및 끼움봉의 옆으로 끼움봉 보다 확장된 원판 형태의 걸림판으로 된 끼움부재가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 중 타측에는 끼움봉이 끼움되어 걸림판에 의해 끼움봉이 끼움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는 힌지체;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힌지체는 상, 하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시켜 힌지체의 끼움부재와 수용부를 통해 서로 끼움시킨 상태에서 힌지회동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 중 하측에 위치된 끼움홈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지지구와 지지구의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 중 상측에 위치된 끼움홈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작동구와 작동구의 하측으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수용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되는 이동구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전체치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플레이트와, 전치, 견치, 소구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플레이트와, 대구치, 소구치, 견치, 전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플레이트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측과 동일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의 외측에 돌출되면서 고정부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실리콘 재질의 고정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이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끼움부재와 수용부로 된 힌지체의 구성으로 인해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된 치아모형의 교합이 자유로우면서 견고하게 진행되고, 치아모형의 교합시에 치아가 상실되었거나 치아의 손상이 많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지지부재 및 이동부재로 하중을 지지하여 작업치 및 대합치가 과도하게 내려앉아 교합이 왜곡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고정부의 외측에 고정체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주입물이 고정부 상에 주입될 때 돌출된 고정체 부위로 하여금 주입된 주입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합과정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경화물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치 중 치료가 필요한 치아모형에 대한 절단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정체가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부에 설치 및 이탈작업이 자유롭고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향균성이 구비되어 청결한 상태로 교합 및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고정플레이트가 적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구조에 따라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대향되도록 고정하여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힌지체(20)와, 하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에 상, 하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 상측에 위치된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이동부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표면으로 치료하고자 하는 작업치와 작업치와 대응되는 대합치의 치아모형 형태에 맞게 돌출됨과 아울러 치아모형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11)가 형성되며, 고정부(11)에 석고 또는 수지와 같은 경화되는 주입물을 주입하여 치아모형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의 고정부(11)에는 상기 치아모형의 치열에 맞게 관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되며, 관통공(13)의 양옆에 각각 돌출되는 돌기(15)가 다수 형성된다.
즉, 치료하고자 하는 치아 부위에 관통공(13)으로 핀(미도시)을 삽입하여 주입물이 경화될 때 핀(미도시)이 치료하고자 하는 치아 부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돌기(13)는 주입물이 고정부(11)에서 안정적으로 경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플레이트는 후면 중앙으로 상측이 개방되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반구형태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지지부재(30)가 끼움되는 끼움홈(17)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는 치료하고자 하는 치아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제1, 2, 3고정플레이트(10a, 10b, 10c)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는 전체치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플레이트(10a)와, 전치, 견치, 소구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플레이트(10b)와, 대구치, 소구치, 견치, 전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플레이트(10c)로 구분된다.
이때,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부(11) 또한 제1, 2, 3고정플레이트(10a, 10b, 10c)의 형태에 맞게 구분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에 형성되는 고정부(11)는 치열이 활처럼 휘는 형태로 이루어져 그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3고정플레이트(10c)에 형성되는 고정부(11)는 완만한 곡선의 형태를 지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의 하부면으로 다수의 격벽구조로 된 보강부(12)가 별도로 더 형성되어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의 보강력을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힌지체(20)는 고정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양측 중 일측에는 옆으로 봉 형태로 돌출되는 끼움봉(22) 및 끼움봉(22)의 옆으로 끼움봉(22) 보다 확장된 원판 형태의 걸림판(23)으로 된 끼움부재(21)가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 중 타측에는 끼움봉(22)이 끼움되어 걸림판(23)에 의해 끼움봉(22)이 끼움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원형의 수용부(26)가 형성된다.
즉, 고정플레이트와 힌지체(20)는 상, 하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시켜 힌지체(20)의 끼움부재(21)와 수용부(26)를 통해 서로 끼움시킨 상태에서 힌지회동이 되면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된 작업치와 대합치로 된 치아모형 간의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지지부재(30)는 상, 하로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17) 중 하측에 위치된 끼움홈(17)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지지구(31)와 지지구(31)의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관(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동부재(40)는 상, 하로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17) 중 상측에 위치된 끼움홈(17)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작동구(41)와 작동구(41)의 하측으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수용관(33)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체(20)의 힌지회동에 따라 상, 하 이동되는 이동구(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 힌지체(20), 지지부재(30), 이동부재(40)의 재질은 경량이면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지니면서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합기가 가지는 장점 중의 하나인 경량이고,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끼움부재(21)와 수용부(26)로 된 힌지체(20)의 구성으로 인해 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된 치아모형의 교합이 자유로우면서 견고하게 진행되고, 치아모형의 교합시에 치아가 상실되었거나 치아의 손상이 많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지지부재(30) 및 이동부재(40)로 하중을 지지하여 작업치 및 대합치가 과도하게 내려앉아 교합이 왜곡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보철물 제작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힌지체(20)의 고정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사선방향으로 힘살부(29)가 더 구성되며, 힘살부(29)로 하여금 힌지체(20)에 보강력을 부가하여 교합과정에서 힌지체(2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부(11)의 외측과 동일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11)의 외측에 돌출되면서 고정부(11)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실리콘 재질의 고정체(50)가 더 구성된다.
즉, 고정부(11)의 외측에 고정체(50)가 돌출되어 주입물이 고정부(11) 상에 주입될 때 돌출된 고정체(50) 부위로 하여금 주입된 주입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합과정에서 발생된 하중에 의해 경화물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치 중 치료가 필요한 치아모형에 대한 절단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정체(50)가 탄성력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고정부(11)에 설치 및 이탈작업이 자유롭고 재사용이 가능하면서 향균성이 구비되어 청결한 상태로 교합 및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효고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체(50)는 고정부(11)의 외측의 상측단부 보다 2 ~ 3㎜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는 삼각의 음각형태인 인입홈부(h)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체(50)는 중앙으로 안착판부(51)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착판부(51)의 하부로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에 형성된 인입홈부(h)에 인입되어 걸림되도록 양각형태인 인입부(52)가 형성된다.
즉, 고정체(50)를 고정부(11)에 고정시킬 때 고정체(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11)를 고정하면서도 고정체(50)에 형성된 인입부(52)가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에 형성된 인입홈부(h)에 인입되어 걸림되며, 이로인해 고정체(50)는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 및 고정부(11)와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외측에 관통공(13)과 동일한 지점에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눈금양각부(19)가 형성된다.
즉, 눈금양각부(19)와 수직선상으로 동일한 지점에 고정체(50) 부위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치아모형과 주입물에 삽입된 핀(미도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치아모형의 절단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a : 제1고정플레이트 10b : 제2고정플레이트
10c : 제2고정플레이트 11 : 고정부
13 : 관통공 15 : 돌기
17 : 끼움홈 19 : 눈금양각부
20 : 힌지체 21 : 끼움부재
22 : 끼움봉 23 : 걸림판
26 : 수용부 30 : 지지부재
31 : 지지구 33 : 수용관
40 : 이동부재 41 : 작동구
43 : 이동구 50 : 고정체
51 : 안착판부 52 : 인입부

Claims (4)

  1. 환자의 치아구조에 따라 작업치와 대합치로 제작된 치아모형이 각각 대향되도록 고정하여 악골운동을 재현할 수 있는 치아모형 교합기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표면으로 상기 치아모형의 형태에 맞게 돌출됨과 아울러 치아모형과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1)에는 치아모형의 치열에 맞게 관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되며, 관통공(13)의 양옆에 각각 돌출되는 돌기(15)가 다수 형성되고, 후면 중앙으로 상측이 개방되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반구형태가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끼움홈(17)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양측 중 일측에는 옆으로 봉 형태로 돌출되는 끼움봉(22) 및 끼움봉(22)의 옆으로 끼움봉(22) 보다 확장된 원판 형태의 걸림판(23)으로 된 끼움부재(21)가 형성되고, 돌출된 양측 중 타측에는 끼움봉(22)이 끼움되어 걸림판(23)에 의해 끼움봉(22)이 끼움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원형의 수용부(26)가 형성되는 힌지체(20);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힌지체(20)는 상, 하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시켜 힌지체의 끼움부재와 수용부(26)를 통해 서로 끼움시킨 상태에서 힌지회동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17) 중 하측에 위치된 끼움홈(17)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지지구(31)와 지지구(31)의 상측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관(33)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재(30);
    상기 서로 대향된 상태인 고정플레이트의 끼움홈(17) 중 상측에 위치된 끼움홈(17)에 인입되는 구 형태의 작동구(41)와 작동구(41)의 하측으로 봉 형태로 이루어져 수용관(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되는 이동구(43)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부재(4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전체치아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플레이트(10a)와, 전치, 견치, 소구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플레이트(10b)와, 대구치, 소구치, 견치, 전치 일부의 치아가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고정플레이트(10c)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부(11)의 외측과 동일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11)의 외측에 돌출되면서 고정부(11) 외측을 감싸도록 고정플레이트에 안착되는 실리콘 재질의 고정체(5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는 삼각의 음각형태인 인입홈부(h)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50)는 중앙으로 안착판부(51)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착판부(51)의 하부로 제1, 2고정플레이트(10a, 10b)에 형성된 인입홈부(h)에 인입되어 걸림되도록 양각형태인 인입부(5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외측에 관통공(13)과 동일한 지점에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눈금양각부(19)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모형 교합기.
KR1020200177104A 2020-12-17 2020-12-17 치아모형 교합기 KR10244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04A KR102440176B1 (ko) 2020-12-17 2020-12-17 치아모형 교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04A KR102440176B1 (ko) 2020-12-17 2020-12-17 치아모형 교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93A true KR20220086893A (ko) 2022-06-24
KR102440176B1 KR102440176B1 (ko) 2022-09-05

Family

ID=8221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04A KR102440176B1 (ko) 2020-12-17 2020-12-17 치아모형 교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70U (ko) 2008-12-24 2010-07-02 윤창남 일회용교합기
KR101548732B1 (ko) * 2015-01-16 2015-09-01 (주) 디케이 문교 교합기
KR101551846B1 (ko) * 2015-03-04 2015-09-10 (주)보원덴탈 일회용 치아모형 교합기
KR101808108B1 (ko) * 2016-10-12 2017-12-13 (주)예스바이오골드 치아모형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770U (ko) 2008-12-24 2010-07-02 윤창남 일회용교합기
KR101548732B1 (ko) * 2015-01-16 2015-09-01 (주) 디케이 문교 교합기
KR101551846B1 (ko) * 2015-03-04 2015-09-10 (주)보원덴탈 일회용 치아모형 교합기
KR101808108B1 (ko) * 2016-10-12 2017-12-13 (주)예스바이오골드 치아모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176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4020B2 (ja) 歯科モデル、咬合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4705476A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duce artificial dentures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WO20060502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orientation for construction of dental prostheses
JP3558190B2 (ja) 義歯製作器具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2440176B1 (ko) 치아모형 교합기
CA2492228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JP2009106686A (ja) 蝋義歯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人工歯列用標準陰型および咬合嵌合位決定用陰型
US4526543A (en) Functional dental-balanc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60216667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US418425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accurate hinge axis tooth positioners
CN110740706A (zh) 咬合记录器具和咬合器
Abdel-Khalek et al. Effect of bar cross-section and female housing material on retention of mandibular implant bar overdentures: A comparative: in vitro: study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20000015767A (ko) 치아모형교합기
JP3429231B2 (ja) 歯科用印象トレー
JP2002263120A (ja) 義歯製作装置
TWI756753B (zh) 植牙二階印模輔助定位器及其方法
KR200469131Y1 (ko)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Newton et al. An Impression Procedure for the Mobile Maxillary Residual Ridge.
US20050100855A1 (en) Flexible triple tray with hinged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