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588A - 굴삭기 - Google Patents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588A
KR20220085588A KR1020200175765A KR20200175765A KR20220085588A KR 20220085588 A KR20220085588 A KR 20220085588A KR 1020200175765 A KR1020200175765 A KR 1020200175765A KR 20200175765 A KR20200175765 A KR 20200175765A KR 20220085588 A KR20220085588 A KR 2022008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ooling fan
cover
excav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혁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17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588A/ko
Priority to CN202123153241.4U priority patent/CN217399755U/zh
Publication of KR2022008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굴삭기사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는 콘덴서(600)와 일체로 결합된 냉각 팬(700)과,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삭기{Excavators}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콘덴서의 안정적인 열교환을 도모하기 위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서, 특히, 상기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일 예로 작업조건에 따라 버킷을 이용한 굴삭, 덤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버켓 위치에 브레이커를 설치하여 암반굴삭, 건축물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 수거작업 등의 복합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굴삭기에는 냉방을 위한 에어컨 시스템이 구비되고, 상기 에어컨 시스템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응측기와, 냉매를 일시 저장하면서 증발기로 순환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순환되는 냉매로 차량 실내의 공기온도를 낮추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는 엔진 동력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 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통과시면서 냉매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냉매를 액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에서 유입되는 액 냉매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증발기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증발기는 리시버 드라이어 사이에 설치된 팽창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순환시켜 차량의 실내공기 온도를 낮추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와 일체로 이루어진 리시버 드라이어 일체형 컨덴서(10)로 구성되고, 쿨링 모듈(20)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기 쿨링 모듈(20)은 건설 중장비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비에 필요한 유체를 냉각하기 위해 구비되며 리시버 드라이어(30)가 컨덴서(1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컨덴서(10)는 리시버 드라이어(30)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및 배치 관계를 갖고 본네트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쿨링 모듈(20)은 컨덴서(10)의 후방에 위치되는데, 에어컨이 작동될 때 상기 컨덴서(10)를 경유하는 고온고압 냉매의 발열량에 해당되는 열부하를 전달받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큰 열부하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쿨링 모듈(20)은 전술한 열부하에 대한 설계 조건을 전제로 제작될 경우 안정적인 냉각 성능과 균형을 위해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 되면서 제작을 위한 제작비가 상승되거나, 냉각 팬의 회전수를 높은 알피엠으로 유지시켜야 되므로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일 예로 냉각 팬이 엔진과 직결된 형태일 경우 엔진의 알피엠에 따라 냉각 팬의 알피엠이 달라지게 되므로 컨덴서(10)를 냉각시키는 공기 유량도 변하게 된다.
또한 가변 팬이 설치된 경우에도 냉각 팬의 알피엠 제어로직을 상기 쿨링 모듈(20)의 유체 온도를 기준으로 설정하므로 상기 컨덴서(10)를 냉각시키는 공기 유량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냉각 팬이 저 알피엠 영역에서 작동될 경우 공기 유량이 감소되는 만큼 컨덴서(10)의 냉각 성능이 저하되면서 에어컨의 성능도 함께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상기 컨덴서(10)의 안정적이 냉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8-00060238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컨덴서 일체형 전동팬이 외기에 의해 최초 냉각되도록 쿨링 모듈과 별도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리시버 드라이어의 위치를 컨덴서 일체형 전동팬의 후방에 위치시켜 에어컨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0);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실(210)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2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운전실(210)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전실(2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붐(300); 상기 붐(3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아암(4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전방을 커버하고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 홀(510)이 형성된 커버(500); 상기 유입 홀(510)과 마주보며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콘덴서(600); 상기 콘덴서(600)와 일체로 결합된 냉각 팬(700); 및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80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 팬(700)의 일측에 배터리(B)가 위치되고, 상기 커버(500)와 상기 냉각 팬(700) 사이에는 상기 유입 홀(510)을 경유한 외기의 직진 이동 및 확산을 위해 챔버부(90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500)에는 상기 유입 홀(510)의 내측에 챔버부(900)를 향해 노즐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512)가 형성된다.
상기 콘덴서(600)는 커버(500)의 후면 세로 방향에서 제1 길이(L1)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커버(5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제2 길이(L2)로 정의 할 때 L1 = L2*0.7의 비율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상기 배터리(B)의 후방에 위치된 연료탱크(F)의 일측 상부에 브라켓(50)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냉각 팬(700)은 외형을 이루는 슈라우드(S)를 매개로 후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콘덴서(600)는 상기 슈라우드(S)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기 슈라우드(S)는 연료탱크(F)에 고정된 고정편(2)과 결합된 지지 브라켓(60)을 통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덴서(600)와 냉각 팬(700)은 상기 커버(500)를 바라보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냉각 팬(700)은 상기 연료탱크(F)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쿨링 모듈의 설계 조건을 대용량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설계의 편의성과 용량 감소에 따른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신선한 외기를 이용하여 컨덴서에 대한 열교환을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냉각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리시버 드라이어를 콘덴서의 후방에 위치시켜 사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콘덴서의 전방에 외기 유입에 따른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레이 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굴삭기에 구비된 리시버 드라이어와 콘덴서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커버와 유입 홀을 도시한 상부 회전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회전체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와 냉각팬 및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와 냉각팬 및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입 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커버의 정면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와 냉각팬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콘덴서 및 냉각 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지지 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커버와 유입 홀을 도시한 상부 회전체의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상부 회전체의 정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와 냉각팬 및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와 냉각팬 및 리시버 드라이어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0)와,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실(210)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200)와,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운전실(210)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운전실(21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붐(300)과, 상기 붐(30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아암(400)과,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전방을 커버하고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 홀(510)이 형성된 커버(500)와, 상기 커버(500)와 마주보며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콘덴서(600)와, 상기 콘덴서(600)와 일체로 결합된 냉각 팬(700) 및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8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0)에 스프라켓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무한궤도가 구비되어 있어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지형 또는 자갈이 많은 지형 또는 경사진 지형에 상관 없이 안정적인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버킷(500)이 장착된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00)에 대해 운전실(Cab)(210)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200)가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일측에 연결된 붐 실린더(310)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붐(300)이 장착된다.
상기 붐(300)은 강재로 제작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실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붐(300)의 연장된 단부에는 아암(400)이 연결되고, 상기 아암(400)의 작동을 위해 아암 실린더(3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400)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측에 버킷 실린더(410)가 구비되며, 상기 버킷 실린더(410)에 의해 기구적인 링크운동이 이루어지는 레버의 단부에 버킷(500)이 설치된다.
상기 버킷(500)은 끝단부에 버킷 투스가 설치되고, 상기 버킷 투스는 상기 버킷(5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다양한 굴삭 작업을 실시할 때 보다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버킷(500)은 다량의 굴삭물을 손쉽게 퍼올릴 수 있고 특히, 해사나 모래 등을 채취할 경우에는 신속히 굴삭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부 회전체(200)는 상기 하부 주행체(100)에 대해 수평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을 바라보며 운전실(210)이 구비되어 있어 운전자가 굴삭기의 작동 또는 이동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는 운전실(210)의 후방에 작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과 함께 유압 펌프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할 붐(300)과 아암(400) 및 버킷(500)의 용이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굴삭기는 운전실(210)의 전방을 향해 붐(300)과 아암(400) 및 버킷(500)이 순차적으로 서로 간에 연결된 다관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붐(300)은 상기 운전실(210)의 전방을 향해 중앙부가 상측으로 솟아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붐(300)은 상기 굴삭기가 작업 하는 동안 상기 버킷(500)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암(400)과 상기 붐(300)을 통해 전달되며, 상기 붐(300)은 장시간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붐(300)은 상부 회전체(20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붐(300)과 연결된 붐 실린더(310)가 구비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작동이 가능해 진다.
아암(400)은 상기 붐(300)과 링크 결합되어 후술할 버킷(500)과 결합되고, 붐(300)과는 달리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붐(300)에는 상기 아암(400)의 작동을 위해 아암 실린더(3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아암(400)이 상기 붐(300)에 대해 관절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아암(400)은 상측에 버킷 실리더(4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버킷 실린더(410)의 인출 정도에 따른 작동에 의해 상기 버킷(500)이 연동하여 작동된다.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는 전방을 커버하고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 홀(510)이 형성된 커버(500)와, 상기 유입 홀(510)과 마주보며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콘덴서(6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콘덴서(600)와 일체로 결합된 냉각 팬(700) 및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800)를 포함한다.
쿨링 모듈은 도 4의 주황색으로 도시된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는데, 콘덴서(600)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지 않고 상이한 위치에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상기 쿨링 모듈의 용량 부족 또는 냉각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해결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콘덴서(600)와 냉각 팬(700)과 배터리(B) 및 연료탱크(F)의 배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각 팬(700)을 기준으로 일측(도 6기준 좌측)에 배터리(B)가 위치되고,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 좌측에 연료탱크(F)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500)는 운전실(210)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정면 일측에 위치되며 굴삭기의 정면으로 공급되는 외기가 유입 홀(510)을 통해 유입된 후에 콘덴서(60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각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는 엔진 룸과 이격되어 콘덴서(600)가 위치되므로 설치된 곳의 주위 온도가 고온의 온도 조건이 유지되지 않아 냉각을 위한 온도 조건에 보다 유리해 진다. 또한 상기 굴삭기가 열대 지역에 사용될 경우 콘덴서(600)의 냉각 저하를 유발하는 구성품이 주위에 배치되지 않아 에어컨의 작동 효율이 향상되며 냉각 효율 또한 동시에 향상된다.
상기 냉각 팬(700)은 콘덴서(600)와 일체 형성되고,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냉각 팬(700)과 별도의 독립되어 연료탱크(F)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일 예로 연료탱크(F)의 측면(도 6기준 우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냉각 팬(700)과 콘덴서(600)가 일체 형성되고 리시버 드라이어(800)가 별도의 위치에 설치될 경우 상기 콘덴서(600)에 대한 안정적인 냉각을 위해 충분한 유량이 유입 홀(510)을 통해 공급될 수 있어 열교환에 따른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냉각 팬(700)은 에어컨이 작동될 때 기 설정된 로직에 따라 작동될 경우 쿨링 모듈에서 열부하가 발생되지 않아 콘덴서(600)의 안정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에어컨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상기 콘덴서(600)와 호스(H)(도 7 참조)를 매개로 냉매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냉매가 유입될 경우 수분을 안정적으로 필터링 하여 가스 상태의 냉매 이동을 도모할 수 있어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500)와 상기 냉각 팬(700) 사이에는 상기 유입 홀(510)을 경유한 외기의 직진 이동 및 확산을 위해 챔버부(900)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부(900)에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외기가 유입 홀(510)을 통해 유입될 경우 콘덴서(600)를 향해 곧바로 이동될 수 있고, 유체의 이동 흐름을 방해 하지 않아 안정적인 외기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콘덴서(600)는 커버(500)의 후면 세로 방향에서 제1 길이(L1)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커버(5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제2 길이(L2)로 정의 할 때 L1 = L2*0.7의 비율이 유지된다.
상기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되므로 유입 홀(510)을 통해 챔버부(900)로 다량의 외기가 유입된 이후에 콘덴서(600)의 표면과 안정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길이(L1)가 제2 길이(L2) 보다 짧게 연장될 경우 콘덴서(600)를 향해 이동된 외기가 콘덴서(600)의 표면과 충분히 열교환을 실시하지 못하고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다.
또한 챔버부(900)는 외기의 확산과 열교환을 위한 면적이 감소되는 경우 보다 증가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를 통해 콘덴서(600)의 열교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전술한 비율이 유지되는 것이 유리해 진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500)에는 상기 유입 홀(510)의 내측에 챔버부(900)를 향해 노즐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512)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512)는 외기가 챔버부(900)로 유입될 때 유입 속도를 증가시켜 콘덴서(600)를 향해 보다 빠르게 외기가 공급될 수 있어 열교환을 위한 다량의 외기 공급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경사부(512)는 모두 일정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는 콘덴서(600)를 향해 일정하게 공급되는 기류 흐름이 유지된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500)는 콘덴서(600)의 정면을 기준으로 냉각이 많이 필요한 영역에 보다 많은 열교환을 위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해 위치별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콘덴서(6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중앙 위치에 가상의 원을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콘덴서(600)는 가상의 원으로 도시된 영역이 에어컨 작동시 다른 위치 보다 온도가 높아 열교환을 위한 공기가 보다 많이 공급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는 이를 위해 커버(5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중앙 위치에 형성되고 후술할 제2 내지 제3 영역(S2, S3) 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1 영역(S1)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영역(S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제2 영역(S2)으로 구획하며, 하측을 제3 영역(S3)으로 구획하였다.
상기 제2 내지 제3 영역(S2, S3)은 제1 영역(S1)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제1 영역(S1)은 유입 홀(510)이 커버(500)에 대해 직교되게 개구되어 있어 콘덴서(600)의 중앙을 향해 외기가 공급되고, 제2 영역(S1)은 상기 유입 홀(510)이 콘덴서(600)를 바라보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분사 방향이 콘덴서(600)의 상측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3 영역(S3)은 콘덴서(600)의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 분사 방향이 콘덴서(600)의 하측을 향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버(500)는 콘덴서(600)의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해 위치 별로 유입 홀(510)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개구되어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S1)은 유입 홀(510)이 제2 내지 제3 영역(S2, S3) 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형성되어 다량의 외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500)의 유입 홀(510) 배치를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챔버부(900)를 경유하여 콘덴서(600)로 공급되는 외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콘덴서(600)에서 열교환이 많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냉각 팬(700)은 외형을 이루는 슈라우드(S)를 매개로 후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콘덴서(600)는 상기 슈라우드(S)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기 슈라우드(S)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고 냉각 팬(700)의 안정적인 장착을 도모하고, 냉각 팬(700)이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감소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부분은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냉각 팬(700)이 위치된 중앙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상기 콘덴서(600)와 냉각 팬(700)은 상기 커버(500)를 바라보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500)는 상부 회전체(200)의 전면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상기 콘덴서(600)와 냉각 팬(700)도 커버(500)를 바라보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입 홀(51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때 손실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외기가 콘덴서(600)의 전면을 향해 대부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충분한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700)은 상기 연료탱크(F)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냉각 팬(700)은 후방에 연료탱크(F)가 밀착될 경우 외기 흡입을 위한 흡입력이 저하되므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실시 예는 이를 위해 냉각 팬(700)이 후방에 위치된 연료탱크(F)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화살표 방향으로 외기가 유입될 때 유입 효율이 향상되어 콘덴서(600)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상기 배터리(B)의 후방에 위치된 연료탱크(F)의 일측 상부에 브라켓(50)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버(800)는 외형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관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냉매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가 내장된다.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설치 위치를 연료탱크(F)의 상측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호스(H)를 매개로 냉매가 상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호스(H)는 콘덴서(600)의 후방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800)에 연결되므로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표면 오염 및 이물질 축적이 최소화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호스(H)가 콘덴서(600)의 전방을 경유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경우 이물질이 적층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콘덴서(600)의 후방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슈라우드(S)는 지지 브라켓(60)을 통해 연료탱크(F)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60)에는 길이 방향에 복수개의 결합 홀(6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홀(62)에 고정부재(3)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냉각 팬(700)은 지지 브라켓(60)의 결합 홀(62)에 결합된 고정편(2)의 위치에 따라 설치 각도가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700)이 도면에 도시된 각도 보다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가 필요할 경우 고종부재(3)의 결합 위치를 복수개의 결합 홀(62)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로 삽입하여 체결하여 손쉽게 각도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 브라켓
60 : 지지 브라켓
100 : 하부 주행체
200 : 상부 회전체
300 : 붐
400 : 아암
500 : 커버
510 : 유입 홀
512 : 경사부
600 : 콘덴서
700 : 냉각 팬
800 : 리시버 드라이어
900 : 챔버부

Claims (8)

  1. 하부 주행체(100);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실(210)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2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전방을 커버하고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 홀(510)이 형성된 커버(500);
    상기 커버(500)와 마주보며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콘덴서(600);
    상기 콘덴서(600)와 일체로 결합된 냉각 팬(700); 및
    상기 냉각 팬(7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위치된 리시버 드라이어(800)를 포함하는 굴삭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700)의 일측에 배터리(B)가 위치되고, 상기 커버(500)와 상기 냉각 팬(700) 사이에는 상기 유입 홀(510)을 경유한 외기의 직진 이동 및 확산을 위해 챔버부(900)가 형성된 굴삭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에는 상기 유입 홀(510)의 내측에 챔버부(900)를 향해 노즐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512)가 형성된 굴삭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600)는 커버(500)의 후면 세로 방향에서 제1 길이(L1)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커버(500)의 가로 방향 길이를 제2 길이(L2)로 정의 할 때 L1 = L2*0.7의 비율이 유지되는 굴삭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800)는 상기 배터리(B)의 후방에 위치된 연료탱크(F)의 일측 상부에 브라켓(50)을 매개로 설치된 굴삭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700)은 외형을 이루는 슈라우드(S)를 매개로 후면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콘덴서(600)는 상기 슈라우드(S)의 전면에 위치된 굴삭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600)와 냉각 팬(700)은 상기 커버(500)를 바라보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굴삭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700)은 상기 연료탱크(F)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굴삭기.
KR1020200175765A 2020-12-15 2020-12-15 굴삭기 KR20220085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65A KR20220085588A (ko) 2020-12-15 2020-12-15 굴삭기
CN202123153241.4U CN217399755U (zh) 2020-12-15 2021-12-15 挖掘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65A KR20220085588A (ko) 2020-12-15 2020-12-15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588A true KR20220085588A (ko) 2022-06-22

Family

ID=8221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65A KR20220085588A (ko) 2020-12-15 2020-12-15 굴삭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5588A (ko)
CN (1) CN21739975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023U (ko) 2007-06-04 2008-12-09 홍은정 모래 놀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023U (ko) 2007-06-04 2008-12-09 홍은정 모래 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399755U (zh) 2022-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2762C (zh) 小型摇摆式挖掘机
US6601324B2 (en) Construction machine
WO1999015794A1 (fr)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pour machines de construction et machines de construction
KR20220085588A (ko) 굴삭기
JP2000204588A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2006224812A (ja) 建設機械
JP3511280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3427996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0130161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3208121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3155443B2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3884935B2 (ja) 建設機械のクーリングパッケージ
JP2022053113A (ja) 建設機械
CN115075933B (zh) 双调压罐
JPH09280201A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及びその作動油の冷却装置
JP2007051454A (ja) 建設機械の作動油冷却システム
JPH11241367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6810082B2 (ja) 建設機械
KR20240144018A (ko) 건설기계
JP4210575B2 (ja) 建設機械用エンジンエンクロージャ構造及びエンジンエンクロージャ付き建設機械
JPH11241369A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H1136363A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
JP3511281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CN212427315U (zh) 工程机械
JP3624091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