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44A -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44A
KR20220085344A KR1020200175326A KR20200175326A KR20220085344A KR 20220085344 A KR20220085344 A KR 20220085344A KR 1020200175326 A KR1020200175326 A KR 1020200175326A KR 20200175326 A KR20200175326 A KR 20200175326A KR 20220085344 A KR20220085344 A KR 2022008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ing zone
occu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훈
김창우
최효섭
채철승
김형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5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344A/ko
Priority to PCT/KR2020/018630 priority patent/WO2022131403A1/ko
Publication of KR2022008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기술은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단말의 제어 하에 건물 내의 각 공조 구역마다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따른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공조로 인한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각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토대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따라 건물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진단하는 장치와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5651호(이하, '선행문헌') 이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문헌은, 건축물에 설치된 다양한 설비들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에도 필요한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직접 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물의 제한적인 가용 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건축물의 다양한 설비들에 대한 분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도별 에너지 분리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최적의 값들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물 전체에 대한 전체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설치된 설비 각각에 대한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개편 프로세서는 성능 진단, 의사 결정, 및 수행 및 검증 단계로 진행되며, 각 단계 별로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차별화된 분석툴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모든 단계에서 EnergyPlus, TRNSYS와 같이 잘 알려진 정밀 분석툴을 이용하거나, 전문가의 경험에 의한 직관적인 방법으로 프로세서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툴의 대부분은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고, 시뮬레이션에 능숙한 전문가를 통해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단말 내의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건물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 의거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의거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내의 각 공조 구역마다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의거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공조로 인한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각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다수의 실내 측위센서의 응답 신호를 수집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다수의 응답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의거 소정 수 응답 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소정 수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실내 측위센서의 식별정보에 의해 도출된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해당 공조 구역의 카메라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은
각 카메라에 의해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한 다음 획득된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재실자 수에 따라 정해진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답 신호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은
획득일 및 획득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획득 일자 정보, 각 공조 구역 식별정보 별 재실자 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의거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방법은,
각 공조 구역 마다 설치된 단말의 접속 요청신호에 대해 각 공조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실내 측위 센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다수의 실내 측위 센서의 응답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한 다음 소정 수의 응답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소정 수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공조 구역 식별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조 구역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공조 구역의 영상을 카메라에 의거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의거 기 정해진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 가동율을 추출하고, 추출된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동작신호를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추출한 후에,
획득일 및 획득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획득 일자 및 각 공조 구역 식별정보 별 재실자 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의 제어 하에 건물 내의 각 공조 구역마다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따른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공조로 인한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건물 내 각 공조 구역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룩업 테이블값을 보인 예시도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공조 구역 별 룩업 테이블값을 보인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과정을 보인 전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건물 내 각 공조 구역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장부의 룩업 테이블값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룩업 테이블값을 보인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각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토대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따라 건물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하는 구성을 갖추며, 이에 일 실시예의 시스템은 단말(10), 다수의 실내 측위센서(30), 카메라(50), 및 공조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은 각 건물 내에 구획된 공조 구역마다 설치되고,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다수의 실내 측위센서(30)로 전송하고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실내 측위센서(30)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이다. 일 례로 실내 측위센서(30)는 비콘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례로 단말(10)은 Raspberry Pi에서 Node.js를 사용한 Express 서버를 운영하여 Web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Raspberry Pi는 수신한 응답 신호를 정제하고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웹이나 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Node.js에 있어서, Server-Side 플랫폼으로 Open Sourc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과 실내 측위센서(30) 간의 접속 요청 신호 및 응답 신호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망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와이파이 지그비 프로, IEEE802.15.4 c/d, 또는 IEEE 802.15. NAN 기반의 지그비 통신망과, IEEE 802. 15. 4, 지그비, Z-wave, INSTEON, 또는 Wavents 기반의 저전력 저속의 WPAN과, 자체 솔루션에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RFID/USN 통합 플랫폼 기반의 통신망을 적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단말(10)은 Raspberry Pi의 자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응답 신호를 정제한 다음 정제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으로부터 재실자 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재실자 수에 따라 정해진 해당 공조 구역 별 공조기 가동율로 공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단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신호 수신부(11), 정렬부(12), 영상 획득부(13), 재실자 수 도출부(14), 공조기 제어부(15) 및 저장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신호 수신부(11)는 실내 측위센서(30)로부터 전달받은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신호는 정렬부(12)로 전달된다. 정렬부(12)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응답 신호의 세기가 큰 실내 측위센서(30)의 응답 신호를 선택한다.
일 례로 공조 구역 AHU1에서 3개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공조 구역 AHU2에서 1개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렬부(12)는 공조 구역 AHU1의 3개의 응답 신호과 공조 구역 AHU2의 1개의 응답 신호의 세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하고 결정된 경우 정렬부(12)는, 응답 신호의 세기가 큰 공조 구역 AHU1의 응답 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응답 신호는 영상 획득부(13)로 전달된다.
영상 획득부(13)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실내 측위센서(30)의 식별정보에 의거 공조 구역 AHU1의 식별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공조 구역 AHU1에 설치된 카메라(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신호를 카메라(50)로 전달한다.
이때 카메라(50)는 각 건물 내의 구획된 공조 구역 AHU2 AHU2마다 설치되며, 영상 획득부(13)의 제어신호에 의거 동작되며, 이에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재실자 수 도출부(14)에 전달한다.
일 례로 단말(10)과 카메라(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시켜 구성하고, 분리된 이들 구성간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례로 전선 또는 커넥터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재실자 수 도출부(14)는 전달받은 공조 구역 AHU1의 영상에 대해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공조 구역 AHU1 내에 존재하는 재실자 수를 도출한다.
일 례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모델을 사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모델의 일 례인 인공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오코인토더(auto encoder), 컨볼루셔널 인코더-디코더(convolutional encoder/decoder),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이 있다.
다만 이하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대체 모델을 사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인공신경망, 신경망 또는 네트워크는 특정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지칭한다. 인공신경망, 신경망 또는 네트워크는 단일 모델일 수도 있고, 복수의 모델이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중 재실자 수를 추출하는 주체인 단말은 일정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이 가능한 컴퓨터 장치에 해당한다. 예컨대, 영상 처리 장치는 PC, 스마트기기, 서버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은 사전에 학습된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재실자 수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재실자 수는 공조기 제어부(15)로 전달된다.
공조기 제어부(15)는 수신된 재실자 수에 따라 공조 구역 AHU1 내의 다수의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작신호는 각 공조기로 전달된다. 일 례로 공조 구역 AHU1의 재실자 수가 12명인 경우 공조 구역 AHU1 내의 모든 공조기의 풀 가동 100%를 기준으로 56%의 공조기 가동율로 공조기가 가동된다. 다른 례로 공조 구역 AHU2의 재실자 수가 23명인 경오 공조 구역 AHU2 내의 공조기는 70%의 공조기 가동율로 가동된다. 이때 공조기 가동율은 공조 구역 별 재실자 수에 대해 테이블 값으로 기 저장된다.
한편, 공조기 제어부(15)의 영상 획득 일자, 수신된 공조 구역 AHU1 별 재실자 수 및 공조기 가동율은 저장부(16)로 전달된다.
저장부(16)는 획득일 및 획득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획득 일자 정보, 각 공조 구역 위치정보, 및 각 공조 구역 별 재실자 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이에 건물의 모든 공조기가 각 공조 구역 별 재실자 수에 의해 동작되므로 전체 소비 에너지가 절감된다. 예를 들어, 2020년 12월 3일 14시 22분 43초에 공조 구역 AHU1의 재실자 수 12명, 공조 구역 AHU2의 재실자 수 75명인 경우, 저장부(16)는 2020_1203_142243_AHU1(12)_AHU2(75) 형식으로 저장된다.
저장부(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 일자, 수신된 공조 구역 AHU1 별 재실자 수 및 공조기 가동율에 대해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그래픽 처리한 다음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단말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전체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단계(101)에서, 일 실시예의 응답신호 수신부(11)는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한 실내 측위 센서(30)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102)에서, 일 실시예의 정렬부(12)는 수신된 응답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한 다음 정렬된 응답 신호의 세기가 큰 순서로 소정 수 응답 신호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소정 수의 응답 신호는 영상 획득부(13)로 전달된다.
단계(103)(104)에서 일 실시예의 영상 획득부(13)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공조 구역의 위치를 도출하고 도출된 공조 구역의 카메라를 작동시켜 공조 구역 내의 영상을 회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공조 구역 내의 영상, 영상 획득 일자는 재실자 수 도출부(14)로 전달된다.
단계(105)에서, 일 실시예의 재실자 수 도출부(14)는 수신된 영상 내의 재실자 수를 도출한 후 도출된 공조 구역 식별번호 별 재실자 수 및 영상 획득 일자는 저장부(16)로 전달된다.
이 후 단계(106)에서, 일 실시예의 공조기 제어부(15)는 수신된 공조 구역의 위치 별 재실자 수에 매칭되어 저장된 공조 구역 별 공조기 가동율을 도출한 다음 도출된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가동한다.
이에 일 실시예는, 건물 내의 각 공조 구역마다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의거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공조로 인한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단말의 제어 하에 건물 내의 각 공조 구역마다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한 다음 확인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따른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제어함에 따라 효율적으로 공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공조로 인한 건물 내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공조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7)

  1. 다수의 공조기가 설치된 각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다수의 실내 측위센서의 응답 신호를 수집하는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다수의 응답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의거 소정 수 응답 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소정 수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실내 측위센서의 식별정보에 의해 도출된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해당 공조 구역의 카메라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각 카메라에 의해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을 획득한 다음 획득된 해당 공조 구역의 영상 내 재실자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재실자 수에 따라 정해진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획득일 및 획득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획득 일자 정보, 각 공조 구역 식별정보 별 재실자 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5. 각 공조 구역 마다 설치된 단말의 접속 요청신호에 대해 각 공조 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실내 측위 센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다수의 실내 측위 센서의 응답 신호의 세기 순으로 정렬한 다음 소정 수의 응답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소정 수의 응답 신호에 포함된 공조 구역 식별번호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공조 구역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공조 구역의 영상을 카메라에 의거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에 의거 기 정해진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 가동율을 추출하고, 추출된 공조기 가동율로 해당 공조 구역의 공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동작신호를 해당 공조 구역의 다수의 공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해당 공조 구역 내의 재실자 수를 추출한 후에,
    획득일 및 획득 시간을 포함하는 영상획득 일자 및 각 공조 구역 식별정보 별 재실자 수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의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서 판단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175326A 2020-12-15 2020-12-15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5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26A KR20220085344A (ko) 2020-12-15 2020-12-15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0/018630 WO2022131403A1 (ko) 2020-12-15 2020-12-18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26A KR20220085344A (ko) 2020-12-15 2020-12-15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44A true KR20220085344A (ko) 2022-06-22

Family

ID=8205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26A KR20220085344A (ko) 2020-12-15 2020-12-15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5344A (ko)
WO (1) WO20221314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78B1 (ko) * 2010-11-30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20065661A (ko) * 2010-12-13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6021937B2 (ja) * 2012-11-13 2016-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中央管理装置
JP6216596B2 (ja) * 2013-10-02 2017-10-18 株式会社関電エネルギーソリューション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852856B2 (ja) * 2017-07-06 2021-03-31 株式会社Where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403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1772B2 (en) Operation prediction system and operation prediction method
CN112395978A (zh) 行为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272202B (zh) 用于介接传感器和控制器的车辆通用控制设备
CN104691554B (zh) 用于车辆的检查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439337B1 (ko) 증강현실 공유 기반 다자참여 원격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08521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9359032B (zh) 测试数据收集方法、装置、系统和电子设备
CN108247633A (zh) 机器人的控制方法及系统
CN113361539A (zh) 一种井下巡检机器人的仪表读取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713757A (zh) 终端设备通用的数据采集方法及其装置
CN109581104B (zh) 一种车载娱乐系统触摸屏测试方法
WO2016013280A1 (ja) データ分析方法、及びデータ分析システム
CN107563582A (zh) 一种映射规则更新方法、设备和系统
KR20220085344A (ko)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3670643A (zh) 智能空调测试方法及系统
KR102366396B1 (ko) Rgb-d 데이터와 딥러닝을 이용한 3d객체영역분할 방법과 그 시스템
CN109343481A (zh) 一种控制设备的方法与设备
CN102800282B (zh) 一种led显示屏的识别方法及识别系统
CN114820825B (zh) 一种地下管廊装配式结构的绿色检测方法及系统
CN104597776B (zh) 多联机控制功能的处理方法和控制器
CN116033633A (zh) 基于深度学习的灯光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17694B1 (ko) 다중 ai 기법을 이용한 스마트 제조 환경에서의 이상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22114915A1 (de) Diversifiziertes imitationslernen für automatisierte maschinen
KR20220108748A (ko) 비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 정보 생성 장치
CN116033544A (zh) 室内停车场定位方法、计算机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