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27A -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 Google Patents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27A
KR20220084927A KR1020200174888A KR20200174888A KR20220084927A KR 20220084927 A KR20220084927 A KR 20220084927A KR 1020200174888 A KR1020200174888 A KR 1020200174888A KR 20200174888 A KR20200174888 A KR 20200174888A KR 20220084927 A KR20220084927 A KR 2022008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paracasei
cognitive ability
lactic acid
present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136B1 (ko
Inventor
전수민
김혜강
김희발
조서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놈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놈,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놈
Priority to KR102020017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with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를 '충분한 양을 섭취하였을 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바이오 경제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건강기능식품 시장 중 11% 상당을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1조 5000억원 규모인 홍삼시장의 바로 뒤를 추격하는 규모이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유산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며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상품성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산균 시장 1억 4700억 원 규모로 건강기능식품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1조 5000억원 규모인 홍삼시장의 바로 뒤를 잇는 규모이며, 최근 코로나 19등 전염병으로 인한 위험성이 생활에 밀접하게 관여하면서 면역력 강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유산균의 중요성이 더 크게 인식되고 있다.
유산균 섭취 시, 장내 유익균의 비율을 늘어남으로 인해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 및 대사 기능을 조절하고, 장 내 점막 보호기능을 유지해 유해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제2형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IBS 및 설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들어, 기존에 널리 알려진 기능에 더불어 암, 심장질환, 천식, 자가면역질환, 노화 등에도 유산균이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며 다양한 기능성 유산균 제품이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균주는 주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19종에 해당되는 균주이다. 이에 해당하는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lus) 속 11종 (L. acidophilus, L casei, L. gasseri, L. delbruekii spp. bulgaricus, L. helveticus, L. fermentum, L. paracasei, L. plantarum, L. reuteri, L. rhanosus, and L salivarius), Lactococcus 속 1 종 (Lc. lactis), 엔테로코커스 (Enterococcus) 속 1 종 (E. faecium, E.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속 1 종 (S. therm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속 4 종 (B. bifidum, B, breve, B. longum, B. animalis ssp. lactis)이며, 이 외에도 발효식품 등에서 추출된 유산균이 안전성 테스트를 거친 후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유산균은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개선함으로 인해 건강에 이로운 효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유산균 건강기능식품은 섭취한 유산균으로 인해 장내 유익균의 비율을 늘려 인해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 및 대사 기능을 조절하거나 장 내 점막 보호기능을 유지해 유해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제2형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IBS (Irritable Bowel Syndrome) 및 설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근 들어서 유산균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이 커지며 암, 심장질환, 자가면역질환, 노화 등에도 유산균이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고 이에 다양한 기능성 유산균 제품들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구강을 통해 섭취해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바꾸는 형태에서 벗어나 장 외에 다른 기관에 작용하는 유산균 제품의 개발도 이어졌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여성 질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다. 유산균을 섭취 시 섭취군의 질내 균총이 변화해 생식기 감염 위험이 줄어들었다는 연구 결과와 함께 소화기관 및 회음부를 지나 질 내부에 정착하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 야쿠르트에서 개발해 특허를 받은 L. plantarum HY7714 균주는 ‘피부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내용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은바 있다.
또한, CJ 제일제당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피부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L. plantarum CJLP133균주도 있다. 이는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내용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최신 연구에서는 섭취한 유산균이 직접 도달한 장기 외에도 뇌 및 신경세포에 2차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프란시스코 킨타나 교수팀은 지난 2018년 5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장내 세균이 다발성경화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팀의 발표에 따르면 장내 세균이 '트립토판'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물질이 뇌로 전달되면서 뇌 속 면역세포 활동을 줄이고 염증을 억제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원리로 치매 및 파킨슨병의 치료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이어 알츠하이머병 치매 노인 60명에게 12주간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게 했더니, 인지 기능이 유의적으로 향상됐다는 연구가 '노화신경과학 최신연구'에 실리기도 했다.
일본 모리나가유업 미래세대과학연구소 요다이 고바야시 바사는 2018 국제낙농연맹 (IDF, Intertnational Dairy Ferderation) 연차총회의 학술 세션에서 ‘알츠하이머병에서 B. breve A1의 인지능력 손상 예방 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팀에서는 인지 기능 장애를 실험동물에 일부러 유발시키기 위해 알츠하이머 병의 원인물질로 추정되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생쥐에게 주입했다. 이어 B. breve A1균주를 10일간 먹인 뒤 미로실험 및 수동회피 실험 등을 통해 생쥐의 인지기능 변화를 평가하였고, 알츠하이머 처방 약인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를 투여한 대조그룹과 차이가 없을 만큼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동일 균주에 대해 노인을 대상으로 섭취하게 한 후 인지기능을 평가했을 때, 기능의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임상실험 및 동물실험에서 유산균이 뇌에 작용한다는 연구에 이어 실제 작용 메커니즘으로 인해 장내 유산균이 신경계에 작용하는지를 밝혀내려는 연구들도 이어지고 있다.
뇌에서 기분을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세로토닌,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 뇌 내안에서 작용하는 신경 단백질인 뇌유래신경영양인자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등이 장내 미생물 분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장내 미생물이 뇌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메커니즘을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0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0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지능력 및/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해당 질환의 증상으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이 저하 또는 감퇴가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예를 들어, 퇴행성 뇌질환 또는 치매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뇌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뇌경색, 뇌졸중, 알츠하이머, 전두측두엽변성증(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픽병(Pick's disease), 피질기조퇴행(Corticobasal degeneration, CBD), 퇴행성 핵상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파킨슨병 또는 헌팅턴병 등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저하 내지 감퇴를 증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에이즈(AIDS) 유발성 치매, 뇌신경염증성 치매, 루이소체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발성 경색치매(Multi-Infarct Dementia, MID), 척수손상 또는 두부손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치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으로는, 비경구 투여 시 상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 시는 상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하는 주사제; 경피 투여제; 또는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 (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당뇨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0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던 균주는 혐기성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속으로 대량배양에도 혐기 조건을 유지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균주는 통상 혐기성 균주로 호기성 환경에서도 배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케 하여 상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를 섭취하면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험동물에 제공된 음용수의 L. paracasei 농도 (CFU/ml)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된 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작성된 계통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pontaneous alternation 수행 결과에 대한 값을 boxplot을 이용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수행 결과에 대한 값을 boxplot을 이용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assive avoidance task 수행 결과에 대한 값을 boxplot을 이용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Forced alternation 수행 결과에 대한 값을 boxplot을 이용해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발효유식품 샘플을 채취해 Man, Rogosa, Sharpe (MRS) 배지에서 균주를 분리 후 37 ℃ 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분리된 균주를 16S rDNA 시퀀싱 및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1-1. 16S rDNA 시퀀싱 결과
서열
번호
명명 서열 목록
1 Lactobacillus paracasei
_16s rRNA
GGATGAACGCTGGCGGCGTGCCTAATACATGCAAGTCGAACGAGTTCTCGTTGATGATCGGTGCTTGCACCGAGATTTCAACATGGAACGAGTGGCGGACGGGTGAGTAACACGTGGGTAACCTGCCCTTAAGTGGGGGATAACATTTGGAAACAGATGCTAATACCGCATAGATCCAAGAACCGCATGGTTCTTGGCTGAAAGATGGCGTAAGCTATCGCTTTTGGATGGACCCGCGGCGTATTAGCTAGTTGGTGAGGTAATGGCTCACCAAGGCGATGATACGTAGCCGAACTGAGAGGTTGAT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CACAATGGACGCAAGTCTGATGGAGCAACGCCGCGTGAGTGAAGAAGGCTTTCGGGTCGTAAAACTCTGTTGTTGGAGAAGAATGGTCGGCAGAGTAACTGTTGTCGGCGTGACGGTATCCAACCAGAAAGCC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GGCAAGCGTTA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TTTAAGTCTGATGTGAAAGCCCTCGGCTTAACCGAGGAAGCGCATCGGAAACTGGGAAACTTGAGTGCAGAAGAGGACAGTGGAAC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AGAACACCAGTGGCGAAGGCGGCTG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ATGGGT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TGCCGTAAACGATGAATGCTAGGTGTTGGAGGGTTTCCGCCCTTCAGTGCCGCAGCTAACGCATTAAGCAT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TTTTGATCACCTGAGAGATCAGGTTTCCCCTTCGGGGGCAAAA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TTATGACTAGTTGCCAGCATTTAGTTGGGCACTCTAGTAAGACTGCCGGTGAC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ATGGTACAACGAGTTGCGAGACCGCGAGGTCAAGCTAATCTCTTAAAGCCATTCTCAGTTCGGACTGTAGGCTGCAACTCGCCTACAC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GCGGTGAATACGTTCCCGGGCCTTGTACACACCGCCCGTCACACCATGAGAGTTTGTAACACCCGAAGCCGGTGGCGTAACCCTTTTAGGGAGCGAGCCGTCTAAGGTGGGACAAATGATTAGGGTGAAGTCTAAAAGGG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7F 및 1492R 프라이머를 사용한 16S rRNA 방법에서 L. paracasei와 99%의 유사성과 0.0의 E value값을 나타내어 L. paracasei 임을 확인하였다.
1-2. 계통수 작성 결과
계통수 작성에는 5개의 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와 1개의 Bacillus 속 균주의 16s rRNA 유전자가 사용되었으며, 계통수는 Neighbor-joining method를 이용하여 작성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이용된 균주는 L. paracasei A002C5)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계통수에도 다른 L. paracasei와 clustering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배양 및 희석
2-1. 유산균 접종 및 배양하는 단계
동일한 상태의 유산균을 생산하기 위하여 매일 같은 조건하에 배양을 실시하였다. 고체 MRS 배지 (Difco, Detroit, MI) 에서 단일 균주를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를 10 ml 액체 MRS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37 °C에서 8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는 1000 ml 액체 MRS 배지로 옮겨져 main culture가 이루어졌다. main culture는 37 °C 인큐베이터에서 쉐이킹 없이 16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2-2. 희석하는 단계
배양된 균주는 4,000 rpm에서 세포의 변형 및 단백질 변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 내부의 온도가 4 °C로 유지되도록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인 배지성분을 제거하였다. 배지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1,000 ml의 0.85 % NaCl 용액으로 2차례 세척한 후, 1,000 ml의 멸균된 수돗물에 균주를 희석하였다. 이 때 최종 균수는 약 1.0E+09 CFU/ml이다.
최종산물은 급여되는 유산균 수의 파악과 다른 균주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생균 수 측정을 하였다. 마우스에게 급여하기 전 최종산물의 1 ml를 우선 채취하여, 0.85 %의 NaCl 용액으로 연속 희석 (serial dilution) 하였다. 희석된 용액은 고체 MRS 배지에서 spreading 후 37°C에서 쉐이킹 없이 2일간 배양되었다. 2일 후 생균수 측정을 기록하였고, 단일 균주로 확인된 플레이트는 다시 균주 접종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모델 동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인지능력 개선 효과 측정
3-1. 유산균의 급여
유산균 섭취 및 인지능력 평가에 사용된 동물은 쥐 (학명: Mus musculus)로 품종은 C57BL/6이다. 4주령의 수컷 쥐들은 영바이오(한국 성남시)를 통해 공급받았으며, 생체 내에 pathogen이 없는 SPF(Specific pathogen free) 동물이다. 실험 동물실에 온 후 1주일간의 적응기를 거친 후 유산균 급여를 실시하였다. 유산균 급여를 포함하여 모든 동물실험은 서울대학교 실험동물자원관리원의 관리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험승인번호는 SNU-190607-4-3 이다. 실험군은 멸균된 수돗물에 L. paracasei가 혼합된 물을 마시는 그룹 (12마리), 대조군은 멸균된 수돗물을 마시는 그룹 (12마리)으로 구성하였다. 완성된 최종산물은 매일 같은 시간에 실험동물에게 전달되었다. 1일 유산균 섭취량을 추산하기 위해 매일 급여된 음용수의 양을 ml 단위로 기록하였다. (하기 표 2 참조)
LPA cage1 LPA cage2 LPA cage3 AVG W cage1 W cage2 W cage3 AVG
2019.11.25. 30 30 20 26.666667 20 20 20 20
2019.11.26. 40 30 30 33.333333 35 30 30 31.666667
2019.11.27. 40 20 25 28.333333 40 20 25 28.333333
2019.11.28. 40 25 20 28.333333 30 30 25 28.333333
2019.11.29. 20 10 15 15 20 20 20 20
2019.11.30. 25 25 25 25 30 20 20 23.333333
2019.12.01. 40 35 50 41.666667 30 20 25 25
2019.12.02. 30 20 20 23.333333 35 20 20 25
2019.12.03. 25 40 15 26.666667 30 20 25 25
2019.12.04. 20 35 10 21.666667 25 20 20 21.666667
2019.12.05. 15 40 25 26.666667 140 25 25 63.333333
2019.12.06. 20 20 20 20 50 30 30 36.666667
2019.12.07. 45 40 20 35 35 25 30 30
2019.12.08. 20 25 15 20 25 25 10 20
2019.12.09. 30 40 30 33.333333 40 30 25 31.666667
2019.12.10. 15 40 20 25 25 20 20 21.666667
2019.12.11. 25 30 25 26.666667 100 20 160 93.333333
2019.12.12. 25 30 20 25 40 20 20 26.666667
2019.12.13. 20 30 20 23.333333 25 20 15 20
2019.12.14. 25 40 20 28.333333 40 30 25 31.666667
2019.12.15. 40 40 30 36.666667 50 25 100 58.333333
2019.12.16. 25 30 25 26.666667 40 70 30 46.666667
2019.12.17. 20 25 25 23.333333 25 20 25 23.333333
2019.12.18. 15 25 20 20 25 150 30 68.333333
2019.12.19. 30 30 15 25 40 25 150 71.666667
2019.12.20. 20 20 20 20 40 25 40 35
2019.12.21. 40 25 20 28.333333 45 25 50 40
2019.12.22. 30 30 20 26.666667 30 30 30 30
2019.12.23. 20 25 20 21.666667 25 20 20 21.666667
2019.12.24. 30 20 20 23.333333 20 20 25 21.666667
2019.12.25. 50 40 20 36.666667 25 35 25 28.333333
2019.12.26. 25 25 25 25 40 30 25 31.666667
2019.12.27. 25 40 25 30 40 25 30 31.666667
2019.12.28. 25 30 20 25 25 20 30 25
2019.12.29. 30 30 30 30 40 70 40 50
2019.12.30. 25 30 20 25 40 150 25 71.666667
2019.12.31. 30 20 15 21.666667 30 140 50 73.333333
2020.01.01. 80 30 20 43.333333 50 150 20 73.333333
2020.01.02. 140 45 25 70 50 45 110 68.333333
2020.01.03. 40 30 50 40 30 25 30 28.333333
2020.01.04. 40 30 25 31.666667 40 25 25 30
2020.01.05. 25 30 20 25 30 30 25 28.333333
2020.01.06. 35 35 20 30 25 30 25 26.666667
2020.01.07. 20 40 15 25 35 50 30 38.333333
2020.01.08. 20 50 20 30 20 20 40 26.666667
2020.01.09. 40 35 30 35 40 30 20 30
2020.01.10. 20 30 15 21.666667 30 30 25 28.333333
2020.01.11. 25 25 25 25 25 25 30 26.666667
2020.01.12. 30 40 35 35 40 25 50 38.333333
2020.01.13. 25 25 20 23.333333 20 15 25 20
2020.01.14. 35 30 20 28.333333 40 20 30 30
2020.01.15. 20 25 20 21.666667 30 25 25 26.666667
2020.01.16. 30 35 20 28.333333 30 30 30 30
2020.01.17. 25 40 25 30 50 40 25 38.333333
2020.01.18. 25 50 40 38.333333 40 30 40 36.666667
모든 실험 사이에는 실험동물의 이동으로 인한 흔적을 지우기 위해 실험 틀 전체를 70% 알코올로 닦은 후 5분간 알코올 향이 증발된 이후 다음 실험을 재개하였다. NOR, PAT, FA는 실험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모든 이동을 촬영하였다. 각각의 실험 결과값에 대하여 independent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3-2.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급여를 시작한지 5주차에 수행하였다. 3개의 동일한 팔이 120도 각도로 이루어진 Y maze 틀을 이용하였다. Y maze 가운데에 쥐를 내려놓고 Arm entry 진입횟수와 방향 전환 횟수를 기록하여 spontaneous alternation(%)를 측정하였다. Y maze 세 개의 팔에 임의로 A, B, C의 라벨을 붙인 후 이어진 세 번의 입장이 A, B, C를 모두 포함한 경우를 spontaneous alternation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하였다. 팔의 80% 부분에 임의의 선을 긋고 네 발이 모두 넘어간 경우에만 유효하게 인정하였다. Spontaneous alternation (%)는 아래 식과 같이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두 실험군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Spontaneous alternation
The group fed L. paracasei Control
AVG (%) 62.36 47.69
STD 16.47 17.09
The percentage of spontaneous alternation at first 3 entries
Value (%) 63.64 66.67
표 3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Spontaneous alternation값을 보였다. 또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그룹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으나, p value값은 0.729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3-3.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급여 후 6주차에 수행하였다. 실험은 open field에서 수행되었다. open field는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40cm인 아크릴 판으로 제작되었다. 두 개의 동일한 물체를 open field 대각선의 1/3, 2/3 되는 위치에 설치한 후 쥐를 내려놓은 후 물체에 노출시키며 각 물질을 탐색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Sample trial). 기억 및 망각을 위해 60분간 케이지에 머물게 하였다 (interval time). 설치한 물체 중 하나를 신물질로 대체하고 실험동물의 3분간 물체와 접촉한 횟수 및 시간을 측정한다 (Novel object trial). 전체 탐색 한 시간 중에서 각 물체에 머무르는 시간을 물체의 선호도로 나타내고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두 실험군에 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pat00002
Discrimination ratio
The group fed L. paracasei Control
AVG (%) 64.53 46.92
STD 19.16 15.46
The percentage of the mouse touched a novel object at the first time
Value (%) 72.73 60.00
표 4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Discrimination ratio값을 보였다. 처음 관찰한 물체가 novel arm인 마우스의 비율도 실험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그룹에서 더 높은 평균값 및 중앙값을 나타내었다. p value값은 0.03547로 L. paracasei를 먹인 실험군에서 친숙한 물체를 기억하여 새로운 물체를 잘 판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4. Passive avoidance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급여 7주차에 수행된 실험이다. 점등된 칸막이와 어두운 칸막이로 나뉘고 두 칸 사이에 게이트가 있는 이동상자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이동상자는 정도바이오에서 제작 및 구입하였다. 점등된 칸막이에 마우스를 놓고 천장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통해 불빛을 동물에게 비춘다. 이런 조건에서 실험 동물은 밝은 곳을 피해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면서 회피반응을 보인다. 마우스가 게이트 반대 벽에 마주하는 순간 두 칸막이 사이의 문을 열고, 마우스가 어두운 칸막이로 이동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꼬리까지 완전히 어두운 칸막이로 넘어간 경우에 두 칸막이 사이의 문을 닫았다. 어두운 칸막이에서 3초의 시간을 보낸 후 0.25 mA의 전류를 바닥에 3초간 흘려주었다. 전기 충격을 기억할 수 있도록 어두운 칸막이에 30초간 머무르게 하였다. 그 후, 사육 케이지로 돌려보내고 24시간 후 전기충격없이 같은 시행을 반복하였을 때 어두운 칸막이로 들어가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2일간의 시행을 비교하였을 때, 칸막이로 들어가기까지의 시간(latency time)의 증가를 비교하여 인지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Step-through latency
The group fed L. paracasei Control
AVG (%) 281.1978 193.7874
STD 34.405 118.7215
표 5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Step-through latency 값을 나타냈다. 또한,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그룹에서 더 높은 평균값 및 중앙값을 나타내었다. p value값은 0.07203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5. Y maze 2 (Forced alternation; FA)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급여 8주가 되었을 때 수행되었다. SA에서 이용한 Y maze와 동일한 틀을 사용하였다. 하얀 판을 이용해서 하나의 팔에 진입이 불가능하도록 입구를 막아놓고, 마우스를 나머지 두 팔 중 한쪽에 벽을 마주보게 하여 놓는다. 마우스는 5분간 두 팔을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Sample trial). 그 후, 케이지에서 1시간의 안정시간을 취한다. 하나의 팔을 막아놓았던 블록을 제거한 후 마우스를 같은 위치에 내려놓는다. 5분간 세 개의 팔을 자유롭게 탐구하게 두고, sample trial에서 막혀있던 팔에 진입하는 횟수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Alternation trial).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Forced alternation
The group fed L. paracasei Control
AVG (%) 20.63286 23.32889
STD 13.34532 20.8830
The percentage of the mouse entered a novel arm at the first step
Value (%) 55.56 66.67
표 6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L. paracasei를 먹인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Forced alternation값을 보였다. 또한, 처음 arm이 novel arm인 마우스의 비율도 L. paracasei를 먹인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 value 값은 0.76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370P 20201119
<110> C&K genomics Inc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Lactobacillus paracasei with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130> PN20032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7 <212> RNA <213> Unknown <220> <223> Lactobacillus paracasei_16s rRNA <400> 1 ggatgaacgc tggcggcgtg cctaatacat gcaagtcgaa cgagttctcg ttgatgatcg 60 gtgcttgcac cgagatttca acatggaacg agtggcggac gggtgagtaa cacgtgggta 120 acctgccctt aagtggggga taacatttgg aaacagatgc taataccgca tagatccaag 180 aaccgcatgg ttcttggctg aaagatggcg taagctatcg cttttggatg gacccgcggc 240 gtattagcta gttggtgagg taatggctca ccaaggcgat gatacgtagc cgaactgaga 300 ggttgatcgg ccacattggg actgagacac ggcccaaact cctacgggag gcagcagtag 360 ggaatcttcc acaatggacg caagtctgat ggagcaacgc cgcgtgagtg aagaaggctt 420 tcgggtcgta aaactctgtt gttggagaag aatggtcggc agagtaactg ttgtcggcgt 480 gacggtatcc aaccagaaag ccacggctaa ctacgtgcca gcagccgcgg taatacgtag 540 gtggcaagcg ttatccggat ttattgggcg taaagcgagc gcaggcggtt ttttaagtct 600 gatgtgaaag ccctcggctt aaccgaggaa gcgcatcgga aactgggaaa cttgagtgca 660 gaagaggaca gtggaactcc atgtgtagcg gtgaaatgcg tagatatatg gaagaacacc 720 agtggcgaag gcggctgtct ggtctgtaac tgacgctgag gctcgaaagc atgggtagcg 780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tgc cgtaaacgat gaatgctagg tgttggaggg 840 tttccgccct tcagtgccgc agctaacgca ttaagcattc cgcctgggga gtacgaccgc 900 aaggttgaaa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960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t cttgacatct tttgatcacc tgagagatca 1020 ggtttcccct tcgggggcaa aatgacaggt ggtgcatggt tgtcgtcagc tcgtgtcgtg 1080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aacccttatg actagttgcc agcatttagt 1140 tgggcactct agtaagactg ccggtgacaa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1200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gtgctacaat ggatggtaca acgagttgcg 1260 agaccgcgag gtcaagctaa tctcttaaag ccattctcag ttcggactgt aggctgcaac 1320 tcgcctacac gaagtcggaa tcgctagtaa tcgcggatca gcacgccgcg gtgaatacgt 1380 tcccgggcct tgtacacacc gcccgtcaca ccatgagagt ttgtaacacc cgaagccggt 1440 ggcgtaaccc ttttagggag cgagccgtct aaggtgggac aaatgattag ggtgaagtct 1500 aaaaggg 1507

Claims (10)

  1.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수탁번호 KCTC 14370BP인 것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수탁번호 KCTC 14370BP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 또는 치매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수탁번호 KCTC 14370BP인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00174888A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R10248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88A KR102480136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88A KR102480136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27A true KR20220084927A (ko) 2022-06-21
KR102480136B1 KR102480136B1 (ko) 2022-12-23

Family

ID=8222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88A KR102480136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5515A (zh) * 2023-09-06 2023-10-13 潍坊君薇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改善记忆和儿童生长的副干酪乳杆菌gf027及其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50A (ko) * 2009-11-24 2011-06-01 일동제약주식회사 치매, 치매관련 질환의 예방/치료 및 인지기능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는 유산균 발효 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40023241A (ko) * 2012-08-16 2014-02-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KR20170032815A (ko) *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1740A (ko) 2016-11-30 2018-06-0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피룰리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450A (ko) 2017-06-23 2019-01-03 이대희 유산균,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61773A (ko) * 2018-11-26 2020-06-0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기억력 개선용 유산균의 배양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으로 배양된 유산균
KR20200112840A (ko) * 2017-12-19 2020-10-05 듀폰 뉴트리션 바이오사이언시즈 에이피에스 인지 및 정신 건강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50A (ko) * 2009-11-24 2011-06-01 일동제약주식회사 치매, 치매관련 질환의 예방/치료 및 인지기능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는 유산균 발효 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40023241A (ko) * 2012-08-16 2014-02-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KR20140131894A (ko) * 2012-08-16 2014-1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KR20170032815A (ko) *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2845A (ko)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1740A (ko) 2016-11-30 2018-06-0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피룰리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0450A (ko) 2017-06-23 2019-01-03 이대희 유산균,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112840A (ko) * 2017-12-19 2020-10-05 듀폰 뉴트리션 바이오사이언시즈 에이피에스 인지 및 정신 건강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KR20200061773A (ko) * 2018-11-26 2020-06-0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기억력 개선용 유산균의 배양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으로 배양된 유산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5515A (zh) * 2023-09-06 2023-10-13 潍坊君薇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改善记忆和儿童生长的副干酪乳杆菌gf027及其应用
CN116875515B (zh) * 2023-09-06 2023-12-22 潍坊君薇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改善记忆和儿童生长的副干酪乳杆菌gf027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136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111B2 (en) Lactobacillu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generative brain diseases or cognitive function disorders
US7901926B2 (en)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uses of the same
JP6837015B2 (ja) たとえば、細菌性膣炎の治療のためのLactobacillus rhamnosus(ラクトバチルス・ラムノサス)細菌
KR20180018354A (ko) 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11554146B2 (en) Lactic acid bacteria and use thereof
US20220151253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CA3123125A1 (en) Strains,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CN116555076B (zh) 一株长双歧杆菌长亚种my1及其在制备通便和护肠食品药品中的应用
CN112218646A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JP7060555B2 (ja)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ラクティスgkk2の活性物質、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それによって長寿命化を促進する方法
WO2010001509A1 (ja) イムノグロブリンa誘導能の高い新規乳酸菌
JP6214162B2 (ja) 新規の低温耐性ラクトバチルス・ガセリ株
KR102480136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R102480146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JP7261867B2 (ja) 骨格筋遅筋化用組成物
WO2020171633A1 (ko)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US7351572B2 (en) Microorganism strain GM-090 of Lactobacillus fermentum and its use for stimulating IFN-γ secretion and/or treating allergy
KR102480148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TWI776433B (zh) 戴白氏乳桿菌乳酸亞種ldl557分離株及其用途
KR102480131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KR102323673B1 (ko) HtrA 샤페론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장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효능이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332021B1 (ko) A2 베타 카제인 단백질이 포함된 배지 조성물을 이용한 아미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한 아미노바이오틱스
ES2891536T3 (es) Cepa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y composición que contiene la cepa de Bifidobacterium animalis AMT3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