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805A - 전동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805A
KR20220083805A KR1020227016893A KR20227016893A KR20220083805A KR 20220083805 A KR20220083805 A KR 20220083805A KR 1020227016893 A KR1020227016893 A KR 1020227016893A KR 20227016893 A KR20227016893 A KR 20227016893A KR 20220083805 A KR20220083805 A KR 2022008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gear
braking
driv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697B1 (ko
Inventor
다이치 노무라
다쿠야 우수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2Details
    • H02P3/04Means for stopping or slowing by a separate brake, e.g. friction brake, eddy-current br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48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stationary axes, e.g. spur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1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 H02P25/22Multiple windings; Windings for more than three phases

Abstract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갖는 전동기와,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를 피제동 부재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 그리고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전동기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제동 부재와 피제동 부재의 접촉을 검지한다. 즉, 제동 부재와 피제동 부재가 접촉하기 전후의 전류의 변화량은,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전부에 통전하고 있는 경우보다,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한 경우 쪽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제동 부재와 피제동 부재가 접촉하기 전후의 전류량의 변화점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피제동 부재에 대한 제동 부재의 접촉 위치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동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륜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피제동 부재)에 브레이크 패드(제동 부재)를 눌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양호한 브레이크 응답성의 확보나, 브레이크 패드의 끌림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여, 디스크 로터에 대한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은 클리어런스 영역에서 모터 1회전분의 전류 패턴을 기억하고, 그 후, 증력 방향으로 동작시켰을 때의 모터 전류로부터, 기억한 전류 패턴을 제함으로써, 전류 리플의 영향이 제거된 보정 전류를 취득하고, 그 보정 전류의 위치 변화량이 임계값을 넘었는지의 여부로, 디스크 로터와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점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3282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검출 방법은, 추력에 대한 전류의 변화량(기울기)이 작기 때문에, 검출 정밀도가 좋지 않거나, 또는 검출에 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제동 부재에 대한 제동 부재의 접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를 피제동 부재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상기 전동기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피제동 부재의 접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피제동 부재에 대한 제동 부재의 접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중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동기와 복수의 구동 회로의 접속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접속 이미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위치 및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동기와 복수의 구동 회로의 도 2와 다른 접속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접속 이미지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걸쳐,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통상 주행 시, 전동기인 전동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디스크 브레이크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차량 내측(이너측)을 일단측(커버 부재(39)측)이라고 칭하고, 차량 외측(아우터측)을 타단측(디스크 로터(D)측)이라고 칭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즉, 도 1에 있어서, 우측을 일단측이라고 칭하고, 좌측을 타단측이라고 칭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회전부에 부착된 디스크 로터(D)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축방향 양측에 배치된, 제동 부재로서의 한 쌍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캘리퍼 부동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는, 차량의 너클 등의 비회전부에 고정된 브래킷(5)에, 디스크 로터(D)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캘리퍼(4)는, 캘리퍼(4)의 주체인 캘리퍼 본체(8)와,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을 캘리퍼 본체(8)의 실린더부(13) 내의 피스톤(18)에 전달하여, 피스톤(18)에 추력을 부여하는 전달 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캘리퍼 본체(8)는,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기단측에 배치되고,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여 개구하는 원통형의 실린더부(13)와, 실린더부(13)로부터 디스크 로터(D)를 걸쳐 아우터측으로 연장되어,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에 대향하도록 타단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갈고리부(14, 14)를 구비하고 있다.
캘리퍼 본체(8)의 실린더부(13) 내, 즉 실린더부(13)의 실린더 보어(16)에, 피스톤(18)이 실린더부(13)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이너 브레이크 패드(2)를 압박하는 것으로서, 바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바닥부가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도록, 실린더부(13)의 실린더 보어(16)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18)은, 그 바닥부와 이너 브레이크 패드(2) 사이의 회전 방지 걸어맞춤에 의해, 실린더 보어(16), 나아가서는 캘리퍼 본체(8)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지지된다.
실린더부(13)의 실린더 보어(16)에는, 그 타단측 내주면에 시일 부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18)은, 이 시일 부재에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 보어(16)에 수용된다. 피스톤(18)의 바닥부측의 외주면과, 실린더 보어(16)의 타단측 내주면 사이에는, 더스트 부츠(20)가 개재되어 있다. 이들 시일 부재 및 더스트 부츠(20)에 의해, 실린더부(13)의 실린더 보어(16) 내에의 이물의 침입을 막도록 하고 있다.
캘리퍼 본체(8)의 실린더부(13)의 바닥벽(23)측(일단측)에는, 기어 하우징(25)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기어 하우징(25)의 내부에, 후술하는, 전동 모터(40),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齒車) 감속 기구(42)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25)은, 주로 전동 모터(40)를 수용하는 제1 기어 하우징부(27)와, 주로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를 수용하는 제2 기어 하우징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기어 하우징부(27)는, 전동 모터(40)의 원기둥형 본체부(40B)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부(27A)와, 전동 모터(40)의 원기둥형 본체부(40B)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40A)이 배치되는 기어 하우징부(27B)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부(27B)에는, 후술하는 제동력 유지 기구(152)의 압축 코일 스프링(159)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35)가 형성된다. 또한, 기어 하우징부(27B)에는, 수용 오목부(35)에 근접하는 위치에, 일단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지지핀(도시 생략)이나, 후술하는 제동력 유지 기구(152)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도시 생략)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제2 기어 하우징부(28)에는, 그 타단측으로부터 실린더부(13)의 바닥벽(23)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실린더부(13)와, 제1 기어 하우징부(27)의 모터 하우징부(27A)(전동 모터(40))가, 대략 평행하게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제2 기어 하우징부(28)에는, 후술하는 스핀들(93)을 포함하는 캐리어(72)의 소직경 원통형부(86)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29)이 형성된다.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바닥면으로부터는, 후술하는 인터널 기어(71)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원통형 구속부(32)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이 원통형 구속부(32)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원통형 구속부(32)와 대향하는 벽면과의 사이에 환형 홈부(33)가 형성된다. 원통형 구속부(32)와 대향하는 벽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어맞춤 오목부(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원통형 구속부(32)에는, 후술하는 제1 감속 치차(48)의 대직경 치차(53)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결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25)의 일단측 개구는, 커버 부재(39)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커버 부재(39)는, 기밀적으로 기어 하우징(25)에 부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은, 전달 기구(9)를 통해 피스톤(18)에 전달된다. 전달 기구(9)는, 전동 모터(40)의 원기둥형 본체부(40B)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40A)과, 회전축(40A)으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증력하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와,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로부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18)에 추력을 부여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40)의 원기둥형 본체부(4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어 하우징부(27)의 모터 하우징부(27A) 내에 배치되고, 그 회전축(40A)이 기어 하우징부(27B)의 관통 구멍(38)에 삽입 관통되어, 기어 하우징부(27B) 내로 연장되어 있다.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는, 피니언 기어(47)와, 제1 감속 치차(48)와, 제2 감속 치차(4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감속 치차(48) 및 제2 감속 치차(49)는, 금속, 또는 섬유 강화 수지 등의 수지로 구성된다.
피니언 기어(47)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에 압입 고정된다. 제1 감속 치차(48)는, 스텝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47)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대직경 치차(53)와, 대직경 치차(53)로부터 동심형으로 일단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직경의 소직경 치차(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감속 치차(48)는, 그 대직경 치차(53)가,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원통형 구속부(32)에 마련한 절결부(도시 생략) 및 인터널 기어(71)의 원통형 벽부(80)에 마련한 절결부(도시 생략) 내에 들어가도록 하여, 제1 기어 하우징부(27) 및 제2 기어 하우징부(28)를 걸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감속 치차(48)의 대직경 치차(53)의 외주면은, 후술하는 캐리어(72)의 대직경 원환 판형부(85)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근접하여 배치된다. 제1 감속 치차(48)는, 지지 로드(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지지 로드(60)는, 제1 기어 하우징부(27)의 기어 하우징부(27B)에 압입 고정된다. 소직경 치차(54)의 축방향 길이는, 대직경 치차(53)의 축방향 길이보다 상당히 길게 형성된다. 소직경 치차(54)의 축방향 길이는, 후술하는 제2 감속 치차(49)의 대직경 기어(57)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제1 감속 치차(48)의 소직경 치차(54)는, 제2 감속 치차(49)와 맞물려 있다. 이 제2 감속 치차(49)는, 제1 감속 치차(48)의 소직경 치차(54)와 맞물리는 대직경의 대직경 기어(57)와, 대직경 기어(57)로부터 동심형으로 타단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직경의 선 기어(58)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감속 치차(49)는, 제2 기어 하우징부(28) 내에 수용된다. 제2 감속 치차(49)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2)이 형성된다. 선 기어(58)는,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대직경 기어(57)와 선 기어(58)는, 그 축방향 길이가 대략 동일하다. 대직경 기어(57)의 내주면과 선 기어(58)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형의 공간(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는, 제2 감속 치차(49)의 선 기어(58)와,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플래네터리 기어(70)와, 인터널 기어(71)를 구비하고 있다.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로부터의 회전, 즉 각 플래네터리 기어(70)로부터의 회전이 캐리어(72)에 전달된다. 각 플래네터리 기어(70)는, 선 기어(58) 및 인터널 기어(71)의 내치(78)에 맞물리는 치차(75)와, 캐리어(72)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핀(9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구멍부(76)를 갖고 있다. 각 플래네터리 기어(70)는, 선 기어(58)의 둘레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자세히는, 각 플래네터리 기어(70)는, 대직경 치차(57)의 내주면과 선 기어(58)의 외주면 사이의 환형의 공간에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치차(75)가 선 기어(58) 및 인터널 기어(71)의 내치(78)에 맞물려 있다.
인터널 기어(71)는, 각 플래네터리 기어(70)의 치차(75)와 각각 맞물리는 내치(78)와, 내치(78)의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직경 방향 중심으로 연장되며, 각 플래네터리 기어(70)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형 벽부(79)와, 내치(78)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통형 벽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인터널 기어(71)의 내치(78)의 부위가, 제2 감속 치차(49)의 대직경 기어(57)의 내주면과, 각 플래네터리 기어(70)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2 감속 치차(49)는, 인터널 기어(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인터널 기어(71)의 내치(78)의 부위와, 각 플래네터리 기어(70)와, 선 기어(58)는, 그 타단측의 면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인터널 기어(71)의 원통형 벽부(80)에는,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걸어맞춤 볼록부(도시 생략)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를 두고 복수 형성된다.
인터널 기어(71)의 원통형 벽부(80)에는, 그 둘레 방향의 일부에, 제1 감속 치차(48)의 대직경 치차(53)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절결부(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터널 기어(71)의 원통형 벽부(80)의 일단면을,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바닥면에 접촉시키면서, 그 원통형 벽부(80)의 내주면을,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원통형 구속부(32)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며, 원통형 벽부(80)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각 걸어맞춤 볼록부를,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벽면에 마련한 각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춘다. 또한, 인터널 기어(71)는, 제2 감속 치차(49)에 의해, 그 직경 방향 및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며, 기어 하우징(25)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지지된다.
캐리어(72)는, 대직경 원환 판형부(85)와, 대직경 원환 판형부(85)로부터 동심형으로 타단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소직경 원통형부(86)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72)는, 그 직경 방향 대략 중앙에 스플라인 구멍부(87)가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대직경 원환 판형부(85)는,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원통형 구속부(32)의 내측에 배치된다. 캐리어(72)의 대직경 원환 판형부(85)의 외주측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각 플래네터리 기어(70)와 대응하도록 복수의 핀용 구멍부(89)가 형성되어 있다. 각 핀용 구멍부(89)에, 핀(90)의 각각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각 핀(90)은, 각 플래네터리 기어(70)의 구멍부(76)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캐리어(72)의 소직경 원통형부(86)는, 제2 기어 하우징부(28)의 삽입 관통 구멍(29)에 삽입 관통된다.
스핀들(93)은, 캐리어(72)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어, 그 회전 토크를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에 전달하는 것이다. 스핀들(93)은, 그 일단에 캐리어(72)의 스플라인 구멍부(87)과 걸어맞춤하는 스플라인 축부(96)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핀들(93)은, 실린더 보어(16) 내로 연장되며,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에 연결되어 있다. 스핀들(93)의 스플라인 축부(96)가, 캐리어(72)의 스플라인 구멍부(87)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캐리어(72)와 스핀들(93) 사이에서 서로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 하우징부(27)의 기어 하우징부(27B) 내에, 파킹 브레이크 수단(150)이 마련되어 있다. 파킹 브레이크 수단(150)은, 전달 기구(9)인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의 일단에 압입 고정되는 래칫 기어(151)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래칫 기어(151)의, 제동력을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제동력을 유지하는 제동력 유지 기구(152)를 구비하고 있다. 래칫 기어(151)는, 회전축(40A)의, 피니언 기어(47)로부터 돌출한 일단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제동력 유지 기구(152)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유지 부재(157), 걸림 부재(158) 및 압축 코일 스프링(159)을 구비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는, 후술하는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유지 부재(157)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여, 래칫 기어(151)의, 제동력을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며, 래칫 기어(151)에 걸어맞춤 가능한 갈고리부(168)를 갖고 있다. 걸림 부재(158)는, 유지 부재(157)에 연결되며, 제1 하우징(27)의 기어 하우징부(27B)에 마련한 지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유지 부재(157)의 래칫 기어(151)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걸림 부재(158)는, 판형부(180)와, 판형부(180)의 기단부로부터 커버 부재(39)측(일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추부(錘部)(181)를 포함하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159)은, 유지 부재(157)를 래칫 기어(1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유지 부재(157)는, 평상 시, 압축 코일 스프링(159)에 의해, 그 갈고리부(168)가 래칫 기어(1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이 평상 시에, 유지 부재(157)에 외부로부터의 가진력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걸림 부재(158)의 추부(181)에 의해, 유지 부재(157)에, 외부로부터의 가진력을 상쇄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유지 부재(157)에 대하여, 그 갈고리부(168)가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진력이 작용할 때, 걸림 부재(158)에 대하여, 유지 부재(157)에 가진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걸림 부재(158)의 추부(181)에 의해, 유지 부재(157)에, 그 갈고리부(168)가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갈고리부(168)가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걸림 부재(158)의 추부(181)에 의해, 유지 부재(157)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가진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이 상황은, 유지 부재(157)에 부여되는 가진력이, 압축 코일 스프링(159)의 가압력을 넘었을 때에 발생한다. 다음에, 차량의 정지 상태를 유지시킬 때에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에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 통전하여 작동시킨다. 그 결과,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가, 압축 코일 스프링(159)의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걸어맞춰진다. 그때, 걸림 부재(158)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 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추부(181)(무게 중심)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파킹 브레이크 수단(150)의 래칫 기어(151)의 일단측에는,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 검출 수단(103)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각 검출 수단(103)은, 자석 부재(106) 및 자기 검출 IC 칩(107)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의 일단면에는, 압입용 오목부(10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압입용 오목부(109)에, 지지 로드(110)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 로드(110)에 의해, 컵형의 지지 부재(113) 내에 배치된 링형의 자석 부재(106)가 지지된다. 자석 부재(106)의 일단측에 대향하도록, 자석 부재(106)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 검출 IC 칩(10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자기 검출 IC 칩(107)은, 제어 기판(116)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40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자석 부재(106)로부터의 자속의 변화를, 자기 검출 IC 칩(107)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제어 기판(116)에 의해,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의 회전 각도(위치)를 연산하여 검출하고 있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로부터의 회전 운동, 즉, 스핀들(93)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이하, 편의상 직동이라고 함)으로 변환하고, 그 직동 부재(도시 생략)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18)에 추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는, 실린더 보어(16) 내로서, 그 바닥면과 피스톤(18)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캐리어(72)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93)이 회전하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직동 부재가 타단측을 향하여 전진하고, 이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18)에 의해, 이너 브레이크 패드(2)가 디스크 로터(D)에 압박된다.
전동 모터(40)는, 원기둥형 본체부(40B)와, 원기둥형 본체부(40B)의 일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4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기둥형 본체부(40B)는, 그 축방향이 피스톤(18)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그 일단면으로부터 회전축(40A)이 연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40)의 원기둥형 본체부(40B)는, 제1 기어 하우징부(27)의 모터 하우징부(27A) 내에 배치되고, 그 회전축(40A)이 기어 하우징부(27B)의 관통 구멍(38)에 삽입 관통되어, 기어 하우징부(27B) 내로 연장되어 있다. 전동 모터(40)는, 그 구동이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어된다. 통상 주행에 있어서의 제동 시에는, 운전자의 요구에 대응한 검출 센서나 브레이크가 필요한 여러 가지 상황을 검출하는 각종 검출 센서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 회전각 검출 수단(103)으로부터의 검출 신호 및 추력 센서(도시 생략)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기판(116)에 의해 전동 모터(40)의 구동이 제어된다. 또한, 이 제어 기판(116)은,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도시 생략)나, 파킹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조작되는 브레이크 패달에 부착된 스트로크 센서(도시 생략)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동력 유지 기구(152)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제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11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자 제어 장치(118)를 실장하고 있으며, 이 전자 제어 장치(118)는, 전동 모터(40)를 구동하기 위한 2개의 구동 회로(120, 12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신호에 기초하여, 이들 2개의 구동 회로(120, 122)로부터 전동 모터(40)에 통전함으로써, 전동 모터(40)를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0)는, 3상의 2중 권선을 갖는 6상식이며,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구동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18)는, 자세히는 후술하지만,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를 이용하여,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디스크 로터(D) 사이의 클리어런스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에 있어서의, 통상 주행에 있어서의 제동 및 제동 해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주행에 있어서의 제동 시에는,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동 모터(40)가 구동되어, 그 정방향, 즉 제동 방향의 회전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를 통해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의 선 기어(58)에 전달된다. 이때, 제어 기판(116)에 실장된 전자 제어 장치(118)는, 통상,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으로부터 전동 모터(40)에 통전하여, 전동 모터(40)를 구동한다. 그리고,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의 선 기어(58)의 회전에 의해, 각 플래네터리 기어(70)가 자신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자전하면서, 선 기어(58)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공전함으로써, 캐리어(72)가 회전한다. 즉,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를 경유함으로써,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 증력되어 캐리어(72)에 전달된다. 그리고, 캐리어(72)로부터의 회전이, 스핀들(93)에 전달된다.
이어서, 캐리어(72)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93)이 회전하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작용에 의해, 그 직동 부재가 전진하여 피스톤(18)을 전진시킨다. 이 피스톤(18)이 전진함으로써, 이너 브레이크 패드(2)가 디스크 로터(D)에 압박된다. 그리고, 피스톤(18)에 의한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의 압박력에 대한 반력에 의해, 캘리퍼 본체(8)가 브래킷(5)에 대하여 이너측으로 이동하여, 각 갈고리부(14, 14)에 의해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가 디스크 로터(D)에 압박된다. 이 결과,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해 끼워져 마찰력이 발생하며, 차량의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 캐리어(72), 스핀들(93),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 및 피스톤(18) 등이, 본 발명의 전동 기구에 상당한다.
한편, 제동 해제 시에는,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2개의 구동 회로(120, 122)를 통해,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이 역방향, 즉 제동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역방향의 회전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를 통해 스핀들(93)에 전달된다. 그 결과, 스핀들(9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작용에 의해, 그 직동 부재가 후퇴하여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며, 디스크 로터(D)에의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한 제동력이 해제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에 있어서의,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나 브레이크 패달이 조작되면, 통상의 제동 시와 마찬가지로,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동 모터(40)가 구동되고, 그 정방향의 회전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1) 및 유성 치차 감속 기구(42)를 경유하여 캐리어(72)에 전달된다. 이때, 제어 기판(116)에 실장된 전자 제어 장치(118)는, 통상,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으로부터 전동 모터(40)에 통전하여,전동 모터(40)를 구동한다. 또한, 차량측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따르지 않고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전동 모터(40)를 구동킬 수도 있다. 이어서, 캐리어(72)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93)이 회전하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3)의 작용에 의해, 피스톤(18)이 전진하여,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해 끼워져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로,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제동력 유지 기구(152)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 통전함으로써,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가, 압축 코일 스프링(159)의 가압력에 대항하도록,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걸어맞춰진다. 그때, 걸림 부재(158)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추진 방향과 역방향으로, 추부(181)(무게 중심)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래칫 기어(151)와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는, 각각의 꼭대기부가 서로 간섭하여 걸어맞춰지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음에, 전동 모터(40)를 제동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칫 기어(151)와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를 확실하게 걸어맞춘다. 그리고, 전동 모터(40)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의 디스크 로터(D) 에의 압박력을 확인한 후,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래칫 기어(151)와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전동 모터(40) 및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의 통전을 정지한 상태로,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동력 유지 기구(152)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는 통전하지 않고, 제어 기판(116)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동 모터(40)가 제동 방향으로 약간 회전됨으로써, 래칫 기어(151)와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의 걸어맞춤이 느슨해진다. 그 결과, 압축 코일 스프링(159)의 가압력에 의해, 유지 부재(157)의 갈고리부(168)가 래칫 기어(151)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칫 기어(151)의 회전 규제가 해제됨으로써, 전동 모터(40)의 제동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8)이 후퇴하여,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한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어서, 제어 기판(116)에 실장되는 전자 제어 장치(118)에 의한,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접촉 검지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1)에 의한 제동을 방해하지 않는 적절한 타이밍에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전자 제어 장치(118)는, 전술한 자기 검출 IC 칩(107) 등을 이용하여, 전동 모터(40)의 회전축(40A)의 회전 각도, 바꾸어 말하면 전동 모터(40)의 위치를 파악하며, 전류 센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전동 모터(40)에 흐르는 전류값을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118)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여, 전동 모터(40)를 구동시켰을 때의 전동 모터(4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한다.
여기서, 도 3에는 전자 제어 장치(118)에 의해 파악되는, 전동 모터(40)의 위치와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2개의 꺾임선 중, 상방의 꺾임선(RD1)이,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였을 때의 것, 하방의 꺾임선(RD2)이,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에 통전하였을 때의 것이다. 전동 모터(40)의 위치를 나타내는 횡축에 부호 CP로 나타내고 있는 위치가, 공주 구간과 추력 발생 구간의 전환점인,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꺾임선(RD1, RD2)에는, 각각의 편차폭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은,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였을 때(RD1) 쪽이,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에 통전하였을 때(RD2)보다 많아진다. 그리고, RD1, RD2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은, 접촉 위치(CP)를 경계로 하여 증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자 제어 장치(118)는, 이와 같이 전류값이 증대로 바뀌는 점을,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 위치(CP)의 검지에 이용한다. 여기서,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접촉 위치(CP)를 경계로 하여 증대하는 전류값의 증대의 변화량(기울기)은, RD2보다 RD1 쪽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차폭을 고려하였을 때의 접촉 위치(CP)의 검지 정밀도는, 도 3의 RD1, RD2의 각각에 접촉 위치(CP)를 중심으로 하여 가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가로 화살표의 길이가 짧은 RD1 쪽이, 가로 화살표의 길이가 긴 RD2보다 좋아진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118)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였을 때(RD1)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이 증대로 바뀌는 점을, 그 기울기나 임계값을 사용하여 검출하여, 접촉 위치(CP)로서 검지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전동 브레이크 장치(1)의 캘리퍼(4)가 트윈 보어 캘리퍼인 경우 등의, 전동 모터(40)를 2개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116)에 실장되는 전자 제어 장치(118)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를 갖고 있다. 그리고, 구동 회로(120)가, 한쪽의 3상의 전동 모터(40)에 통전하도록 접속되고, 구동 회로(122)가, 다른쪽의 3상의 전동 모터(40)에 통전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118)는, 통상 주행 시의 제동이나 파킹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시에,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으로부터 통전하여 2개의 전동 모터(40)를 구동하여, 제동력의 발생 및 해제를 행한다. 한편,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할 때에, 전자 제어 장치(118)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여, 2개의 전동 모터(40) 중 어느 한쪽을 구동시켰을 때의 그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CP)를 검지한다.
예컨대, 도 4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의 상측(또는 하측)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으로부터 통전하여 2개의 전동 모터(40)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경우가, 도 3의 꺾임선(RD2)과 같이 나타나며, 구동 회로(120)(또는 122)만으로부터 통전하여 상측(또는 하측)의 전동 모터(40)에 의해서만 제동력을 발생하는 경우가, 도 3의 꺾임선(RD1)과 같이 나타난다. 즉, 도 2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은,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였을 때(RD1) 쪽이,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의 쌍방에 통전하였을 때(RD2)보다 많아진다. 그리고, RD1, RD2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은, 접촉 위치(CP)를 경계로 하여 증대하고 있고, 그 증대의 변화량(기울기)이, RD2보다 RD1 쪽이 커진다. 이 때문에, 도 4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전자 제어 장치(118)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에만 통전하였을 때(RD1)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값이 증대로 바뀌는 점을, 접촉 위치(CP)로서 검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기(전동 모터)(40), 전동 기구 및 제어 장치(전자 제어 장치)(118)를 포함하고, 전동 모터(40)는, 이 전동 모터(40)를 구동하는 복수(도 2 및 도 4에서는 2개)의 구동 회로(120, 122)를 갖고 있다. 전동 기구는, 전동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브레이크 패드)(2, 3)를 피제동 부재(디스크 로터)(D)에 압박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 제어 장치(118)는, 여러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등을 제어함으로써, 전동 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며, 그와 같은 제어에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전자 제어 장치(118)는, 전동 모터(40)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한다. 보다 자세히는, 전자 제어 장치(118)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동 모터(40)의 위치 변화당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량을 감시하여, 전동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 3)가 디스크 로터(D)에 접촉하기 전후의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한다. 즉, 브레이크 패드(2, 3)가 디스크 로터(D)에 접촉한 후는, 접촉 전과 비교하여, 제동력의 발생을 위해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한다.
더구나, 전자 제어 장치(118)는, 전동 모터(40)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RD1)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량을 감시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가 접촉하기 전후의 전류의 변화량이,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의 전부에 통전하고 있는 경우(RD2)보다, 현저히 커진다. 바꾸어 말하면, 제동력 발생을 위한 추력에 대한 전류 변화의 기울기가 커진다. 따라서, 그와 같은 전류량의 변화점의 검출이 용이해지며, 디스크 로터(D)에 대한 브레이크 패드(2, 3)의 접촉 위치(CP)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동 모터(40)의 위치와 전류값의 관계에 있어서, 접촉 위치(CP)에 상당하는 전류의 변화점의 검출을, 기울기를 이용하여 행할 때는, RD1과 같이 기울기가 클수록 편차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임계값을 이용하여 행할 때는, RD1과 같이 기울기가 큰 쪽이 임계값에 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위치(CP)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 사이의 클리어런스량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 사이에 적절한 클리어런스량이 확보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끌림의 리스크나 끌림을 발생시키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도 있다. 더하여, 일부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함으로써, 전류에 대한 추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접촉 위치(CP) 검지 시의 내부 기계 부품에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하나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였을 때의 전동 모터(40)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전자 제어 장치(118)가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구동 회로의 수량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의 검지 시는, 항상, 필요 최저한의 하나의 구동 회로가 통전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 전후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40)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을, 가능한 한 증대시킬 수 있어, 디스크 로터(D)에 대한 브레이크 패드(2, 3)의 접촉의 검출 정밀도를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전동 모터(40)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중 권선을 갖는 전동 모터임으로써, 그 하나의 전동 모터(40)를 2개의 구동 회로(120, 122)에 의해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118)는, 그와 같은 2개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어느 한쪽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였을 때의 전동 모터(40)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함으로써, 고정밀도로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통상 주행 시의 제동이나 파킹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시도 포함하여, 브레이크 패드(2, 3)가 디스크 로터(D)에 접촉할 때에, 전자 제어 장치(118)가,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여 전동 모터(40)를 구동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동 시에도 일부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함으로써, 전류에 대한 추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전동 모터(40)의 구동을 위한 용장성(redundancy)을 확보하면서, 내부 기계 부품에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크 로터(D)에 대한 브레이크 패드(2, 3)의 접촉을 검출할 때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일없이,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전동 모터(40)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2, 3)와 디스크 로터(D)의 접촉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임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 회로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일없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삭제, 변경된 것이어도 좋고, 새로운 구성 요소가 추가되어도 좋다. 더하여, 각 구성 요소에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요구되는 기능을 실행 가능한 임의의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기초한 전동 브레이크 장치(1)로서,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생각된다.
제1 양태에 따른 전동 브레이크 장치(1)는,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를 갖는 전동기(40)와, 상기 전동기(40)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2, 3)를 피제동 부재(D)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와, 상기 전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118)는,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상기 전동기(40)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부재(2, 3)와 상기 피제동 부재(D)의 접촉을 검지한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18)는,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하나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였을 때의 상기 전동기(40)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부재(2, 3)와 상기 피제동 부재(D)의 접촉을 검지한다.
제3 양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40)는, 2중 권선을 갖는 전동기이다.
제4 양태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는,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를 갖는 전동기(40)와, 상기 전동기(40)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2, 3)를 피제동 부재(D)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와, 상기 전동기(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18)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118)는, 상기 제동 부재(2, 3)가 상기 피제동 부재(D)에 접촉할 때에,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120, 122)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여 상기 전동기(40)를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갖추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20년 4월 22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0-07601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20년 4월 22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0-076012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삽입된다.
1: 전동 브레이크 장치
2, 3: 제동 부재(브레이크 패드)
40: 전동기(전동 모터)
118: 제어 장치(전자 제어 장치)
120, 122: 구동 회로
D: 피제동 부재(디스크 로터)

Claims (4)

  1. 전동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를 피제동 부재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 그리고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 통전하였을 때의 상기 전동기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피제동 부재의 접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하나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였을 때의 상기 전동기의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 부재와 상기 피제동 부재의 접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는 2중 권선을 갖는 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4. 전동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전동 브레이크 장치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제동 부재를 피제동 부재에 압박하는 전동 기구, 그리고
    상기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동 부재가 상기 피제동 부재에 접촉할 때에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일부의 구동 회로에만 통전하여 상기 전동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20227016893A 2020-04-22 2021-03-19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2661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6012 2020-04-22
JPJP-P-2020-076012 2020-04-22
PCT/JP2021/011361 WO2021215158A1 (ja) 2020-04-22 2021-03-19 電動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05A true KR20220083805A (ko) 2022-06-20
KR102661697B1 KR102661697B1 (ko) 2024-04-26

Family

ID=7826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893A KR102661697B1 (ko) 2020-04-22 2021-03-19 전동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5090A1 (ko)
JP (1) JP7366248B2 (ko)
KR (1) KR102661697B1 (ko)
CN (1) CN115380176A (ko)
DE (1) DE112021002469T5 (ko)
WO (1) WO2021215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25723A1 (it) * 2019-12-30 2021-06-30 Piaggio & C Spa Sistema di bloccaggio per un veicolo comprendente un motoriduttore atto ad azionare un dispositivo di bloccaggio
JP2023176657A (ja) * 2022-05-31 2023-12-13 株式会社Soken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282A (ja) 2008-09-30 2010-04-1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8030434A (ja) * 2016-08-24 2018-03-01 Ntn株式会社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190A (ja) 2003-11-25 2005-06-16 Toyota Motor Corp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駆動制御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062431B2 (ja) * 2008-06-30 2012-10-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US10300895B2 (en) * 2014-12-27 2019-05-2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rake device
JP6488923B2 (ja) * 2015-07-07 2019-03-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JP7298136B2 (ja) 2018-11-08 2023-06-27 Dic株式会社 液晶組成物及び液晶表示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282A (ja) 2008-09-30 2010-04-15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8030434A (ja) * 2016-08-24 2018-03-01 Ntn株式会社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2469T5 (de) 2023-02-23
JP7366248B2 (ja) 2023-10-20
CN115380176A (zh) 2022-11-22
KR102661697B1 (ko) 2024-04-26
WO2021215158A1 (ja) 2021-10-28
US20230105090A1 (en) 2023-04-06
JPWO2021215158A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598B2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JP5093476B2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US6752249B1 (en) Actuating unit for a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disc brake
JP6076023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装置
US7677367B2 (en) Electric brake
JP4803372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及び電動ブレーキ装置の制御装置
US10864822B2 (en) Vehicle drive system
KR20220083805A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US20060169548A1 (en) Electro-mechanical screw actuator assembly
WO2019073750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4659461B2 (ja) 車両用ホイールモ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88027A (ko) 구속기구를 가진 나사액츄에이터
JP722028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321862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8164111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US11926296B2 (en) Electric brake and control device
JP4288501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2008115880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CN116135626A (zh) 用于车辆制动器的致动器组件和启动致动器组件的方法
JP72573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618534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2020141435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230135649A (ko) 디스크 브레이크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
JP2020162321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9011847A (ja) 電動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