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693A -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693A
KR20220083693A KR1020227011863A KR20227011863A KR20220083693A KR 20220083693 A KR20220083693 A KR 20220083693A KR 1020227011863 A KR1020227011863 A KR 1020227011863A KR 20227011863 A KR20227011863 A KR 20227011863A KR 20220083693 A KR20220083693 A KR 20220083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ried
screens
separating
fra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웰링 쇠렌센
라스무스 담후스
Original Assignee
리-매치 홀딩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매치 홀딩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리-매치 홀딩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20083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36Regulation of scree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6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in more than one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2201/00Details applicable to machines for screening using sieves or gratings
    • B07B2201/04Multiple deck screening devices comprising one or more superimposed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smetic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분리 시스템(100)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리닝 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201)를 제1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분리 시스템(100)은, 사전 분석 유닛(101), 데이터베이스(180), 및 제1 조성 값 세트(301)와 데이터베이스(180)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02); 을 더 포함하는, 분리 시스템(100); 및,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 모래를 포함하는 재료 조성을 가진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

Description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infill)를, 높은 순도를 가진 복수의 분획물(fraction)로 분리하기 위한 개선된 분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택된 분리 스크린(screen)으로 충전재 재료를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 단계 전에 충전재 재료를 사전 분석함으로써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인조 잔디는 미식축구장, 야구장, 축구장의 표면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수년간은, 천연 잔디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는 다른 적용 분야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적용 분야에는, 적어도, 놀이터, 주거 및 상업용 잔디, 및 기타 조경, 도로, 페인트볼 구장, 테니스 코트, 퍼팅 그린, 개 운동장(dog run)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는, 페이스 섬유(face fiber)라고도 하는 잔디와 유사한 복수의 직립 리본(upstanding ribbons) 및 백킹(backing)을 가진 잔디 같은 직물을 포함한다. 많은 인조 잔디 제품은 또한, 모래, 타이어 고무 분말(crumb), 또는 기타 입자를 단일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는, 직립 리본 사이에 분산된 충전재 재료를 포함한다. 충전재 재료는 천연 잔디의 토양을 모방하고, 밸러스트(ballast)로서 작용하고/하거나, 잔디를 특정 용도에 적합하도록 하는 복원성(resiliency)과 같은 잔디의 물리적 특성에 기여한다.
인조 잔디는, 잔디의 구성, 사용 용도, 풍화, 및 잔디 관리 방법에 따른 제한된 수명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운동장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조 잔디는 약 8년에서 15년 사이의 사용 수명을 가질 수 있다. 현재 많은 양의 인조 잔디가 수백 개의 운동장 및 기타 적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잔디의 폐기는, 재활용된 고무, 모래에서 플라스틱에 이르는 범위의 재료 조성으로 인해 매우 많은 비용이 든다. 상당한 비용으로 잔디를 매립지로 보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인조 잔디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재활용하고 재사용하는 것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또한 보다 최근에 들어서는 개별 성분을 더 폭넓게 업사이클(upcycle)하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근 수년 동안 탐구되어온 선택지이다.
인테리어 카페트를 재활용하는 방법 및 재활용된 카페트 스크랩(scrap)을 사용하여 카페트 백킹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방법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절단에 의해 카페트 원사(yarn) 또는 터프트(tuft)를 백킹으로부터 분리하여 원사만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인조 잔디는 카페트와는 조성이 다르며, 이러한 조성 차이로 인해 종래의 카페트 재활용 공정은 인조 잔디를 재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많은 인조 잔디 제품은, 카페트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종래의 카페트 재활용 방법과 호환될 수 없거나 적어도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카페트는 충전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인조 잔디 설치를 위한 일반적인 충전재 재료는, 모래, 코코넛 껍질, 타이어 고무 분말, 및/또는 기타 입자를 단일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포함한다. 따라서, 인조 잔디를 재활용하는 것은 카페트의 재활용에서는 없었던 고유의 과제를 제시한다.
잔디의 나머지 부분에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장비가 필요할 수 있으며, 분리된 충전재를 폐기하는 것과 연관된 환경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재활용 공정의 추가적인 문제는, 크기 축소 공정 및 최종 제품의 특성에 대하여 잔류 충전재 입자가 미치는 영향이다.
따라서, 쓸모가 없어진 인조 잔디 전체를 매립지로 보내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존 인조 잔디, 또는 기존 인조 잔디의 적어도 일부를 재활용하고 재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공정은 WO 2010/075098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충전재는 백킹 및 잔디와 유사한 섬유로부터 분리되고, 이어서 소형화 및 충전재의 추가 제거를 한 후, 응집(agglomeration) 과정이 뒤따른다. 응집된 잔디 파편의 과립(granule)은 압출기에 투입된다. 과립은 압출되어, 예를 들어 가닥(strand) 또는 리본 형태의 압출물을 형성한다. US20150209830A1에 설명된 또 다른 공정은, 진동 스크린을 사용하여 인조 잔디 충전재 재료를 밀도에 따라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알려진 공정은 카페트 또는 잔디의 구성물을 혼합된 성분으로 된 새로운 제품으로 재활용하며, 제품을 개별적인 출발 성분으로 역설계(reverse engineer)하지 않는다.
US 2016/186387은,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와 함께 사용되는 고무 충전재를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US2016/183387은 고무 펠릿에서 모래를 제거하기 위해 흡인기를 사용한다. 이 공정에서, 고무는 또한 잔해(debris)를 제거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이후 고무는 잔디의 재설치 중에 재사용될 수 있다.
US2013/017023은, 충전재를 재활용하기 위한 현장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충전재는 잔디로부터 추출되고, 스크린 분리기에서 주로 고무, 모래, 및 잔해로 분리된 다음, 계속해서 고무 및 모래 분획물이 디스토너 및 사일로 스크린에서 개별적으로 더 분리된다.
동일한 출원인의 EP2862688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 모래 및 고무 충전재가 일련의 정제 단계에서 깨끗한 모래 및 고무로 분리되는 공정을 유사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른 공지된 공정은, 다양한 조성의 서로 다른 인조 잔디 충전재를 동일한 재활용 현장 내에서 높은 수율 및 순도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유연한 공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행 기술 공정은 매립지로 재료를 폐기하는 것보다는 개선되었으나, 개선된 등급의 제품을 제공하고 서로 다른 인조 잔디 제품의 다양한 조성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공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별 부품을, 바람직하게는 기 규정된 입자 크기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분획물로 더 분리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잔디로 재사용하거나 다른 산업 분야에서 재사용하기에 충분히 높은 순도로 정제된 개별 성분을 결과로 얻을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물과 같은 천연 자원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효율적인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충전재 제품의 구성물을 분리하기 위한 공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또한, 분리된 구성물 각각이 높은 순도를 가지도록 하는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다양한 조성의 충전재를 분급사(graded sand),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monomer) 중 적어도 하나로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동시에, 본 발명의 사상은 환경에도 이로운데, 이는 인조 잔디에서 유래한 것과 같은 충전재의 효율적인 분리가 인조 잔디 및 기타 제품으로부터의 충전재 재활용 공정에 있어 핵심적인 기술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분획물은, 해당 성분에 대하여 순도가 적어도 95%(w/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 모래를 포함하는 재료 조성을 갖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a)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제공하는 단계; (b)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샘플을 채취하는 단계; (c) 예를 들어 제1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의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채취된 샘플의 조성을 사전 분석함으로써, 충전재 및/또는 제1 인조 잔디 제품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얻는 단계(상기 사전 분석은, (i) 사전 분석 유닛에 의하여,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specific gravity)에 기반하여 충전재를 복수의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및 (ii) 분석된 충전재의 총 함량에 대하여 분리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 (d)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스크리닝(screening)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됨); (e)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제1 조성 값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제2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재료 조성 및 기 규정된 제2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와 비교함으로써, 제1 조성 값 세트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구하는 단계; (f) 제1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할 때 기 규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상관 계수를 갖고/갖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편차 값, 바람직하게는 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편차 값을 가지는 분리 스크린 세트(분리 스크린 세트는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응함)를 선택함으로써, 적어도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g) 선택된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h)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인조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 것과 같은 다양한 충전재 제품의 조성은 매우 불균질(heterogeneous)하다. 예를 들어, 잔디가 사용되는 곳의 기후 또는 잔디 위에서 수행되는 스포츠 유형에 따라, 특정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조성이 적응된다. 또한, 제조사 및 시기에 따라 충전재 및 인조 잔디 생산에 사용된 재료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분리에 앞서 잔디 및/또는 충전재를 사전 분석함으로써, 분리 공정은, 분리된 분획물의 균질성이나 순도를 저하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조성을 가진 충전재를 더 단축되고, 덜 번거로우며 보다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라는 용어는, 과량의 수분 또는 기타 액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충전재, 예를 들어, 건조한 환경에서 적절한 보관 조건으로 건조된 충전재 또는 유동층 건조기와 같은 장치로 건조된 충전재를 의미한다.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적절하게는 인조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매우 고운 모래의 분리는 특히 수분 함량의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분리한다"는 용어는, 불균질한 조성물을 덜 불균질한 분획물로, 바람직하게는 균질한 분획물로 분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불균질성은, 예를 들어, 입자 크기, 밀도, 비중, 및/또는 재료를 통해 규정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인조 잔디 제품"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사용되는 출발 재료의 모든 성분을 고려한다. "합성" 및 "인공"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의미, 즉, 주로 비생물적(non-biological) 재료로 만들어진 잔디와 유사한 제품을 가리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위한 출발 재료, 즉,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적절하게는 스포츠 시설, 운동장, 조경 구역 등의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다. 재료의 출처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재료가 오염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복수의 분획물"이라는 용어는, 분리에 의해 수득된 둘 이상의 분획물을 의미하며, 여기서 각각의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중을 가지며 특정 입자 크기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대부분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라는 용어는,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의미한다.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되기 전,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또한 사전 분석을 위한 재료를 제공한다.
"고운 모래(fine sand)"라는 용어와 "굵은 모래(rough sand)"라는 용어는, 다른 대상에 대한 상대적인 측면에서 모래 입자 크기의 범위를 설명한다. 0.5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와 0.2미만에서 0.5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가 두 분획물로서 존재하는 경우, 0.5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이 굵은 모래로 간주되며, 0.2미만에서 0.5mm까지의 입자 크기 범위 내의 모래를 가진 분획물은 고운 모래로 간주된다. 대안적으로, 0.2에서 0.5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와 0.2mm미만의 입자 크기의 모래 입자가 두 분획물로서 존재하는 경우, 0.2에서 0.5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굵은 모래로 간주되며, 0.2mm미만의 입자 크기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고운 모래로 간주된다. 적절하게는, 0.2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와 0.2mm미만의 입자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가 두 분획물로 존재할 경우, 0.2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굵은 모래로 간주되며, 0.2mm미만의 입자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고운 모래로 간주된다. 또한, 0.2미만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와 0.6mm을 초과하는 입자 크기의 모래 입자가 두 분획물로 존재할 경우, 0.2미만에서 0.6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고운 모래로 간주되고, 0.6mm을 초과하는 입자 크기의 모래 입자를 가진 분획물은 굵은 모래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전 분석"이라는 용어는, 더 큰 규모의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벌크(bulk) 충전재를 분리하기 전의 소규모 분석 단계를 의미한다. 사전 분석 동안, 충전재의 샘플은, 순차적으로 더 미세한 메쉬 크기를 갖는 진동 체 진탕기(vibratory sieve shaker)와 같은 사전 분석 유닛에서 비중 및/또는 입자 크기에 기반하여 복수의 분석 분획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분리 전에 충전재의 조성에 대한 개요를 얻을 수 있다. 발명자들은, 샘플의 재료 조성에 대한 지식이 큰 규모에서도 분리 효율을 증가시키는 특성(예: 메쉬 크기)을 갖는 분리 스크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은, 잠재적인 측정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복수의 조성 결과 및/또는 조성 평균 값을 얻도록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두 번 이상 수행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조성 값 세트"라는 용어는, 소규모에서 분석 분획물로 분리된 후의 분석 재료의 조성을 특징짓는, 사전 분석에 의하여 얻은 값을 의미한다. 조성 값 세트는 하나 이상의 값을 포함하며, 각각의 값은, 예를 들어, 분석 분획물의 중량 및/또는 분석된 샘플의 총 중량에 대한 분석 분획물의 상대 중량을 나타낼 수 있다. 획득한 조성 값 세트는, 각각의 충전재 및/또는 제1 인조 잔디 제품을 다른 충전재 및/또는 인조 잔디 제품과 구별하기 위한 "발자국(footprint)"으로 볼 수 있다. 획득한 제1 조성 값 세트는 또한, 이전에 분석되고 분리된 제2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충전재로부터의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하여 비교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제1 조성 값 세트와 유사한 제2 조성 값 세트를 가진, 이전에 분석 및 분리된 하나 이상의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매칭을 통해, 당업자는 스크리닝 수단에서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분리 스크린 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상기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는 데 있어 우수한 분리 효율을 보였고, 따라서 매칭된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에 대해서도 우수한 분리 효율을 제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제1 조성 값 세트는, 제1 충전재 재료로부터의 충전재를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고,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비율을 %(w/w) 단위로 측정함으로써 얻는다. 분석 분획물 각각은, 특정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가지거나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조성 값 세트는 하나 이상의 값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제1 스크리닝 수단에서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물을 분리하기 위한 매칭되는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분리 스크린 세트로 교체되기 전에 제한된 시간 동안만 사용된다. 분리 스크린 세트에서 하나 이상의 분리 스크린을 다른 분리 스크린으로 교체하는 것은, 전체 분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스크린 교체는, 스크리닝 수단의 작동 중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크리닝 수단의 작동이 잠시 중단되는 동안 이루어진다. 스크리닝 수단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을 교체한 후, 충전재는, 증가한 충전재 분리 효율을 가진 다른 분리 스크린 세트를 통과하도록 보내진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조성"이라는 용어는, 인조 잔디 제품 또는 충전재의 성분 또는 구성물의 특성을 의미한다. 조성은,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코코넛 껍질,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의 존재, 및/또는 상기 재료의 비중, (예를 들어, 질량에 따른)비율 함량, 및/또는 입자 크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분석 분획물"이라는 용어는, 사전 분석 동안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분리에 의해 얻은 분획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스크리닝 수단"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알갱이 또는 입자 크기를 가진 벌크 재료를, 기 규정된 알갱이 또는 입자 크기를 가진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재료의 분리는, 규정된 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perforations)을 가진, 수평으로 진동하는 분리 스크린을 통해 수행된다. 스크리닝 수단은 외부 스크린 출구를 가지는데, 이는 스크린이 다른 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을 가진 스크린으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접근성을 갖게 하고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분리 스크린 세트"라는 용어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물의 분리를 위한 2개 이상의 분리 스크린을 의미한다. 분리 스크린 세트 내에서, 개별 분리 스크린은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데이터베이스"라는 용어는, 이전에 분석되고 분리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 값, 및 상기 이전에 분리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 대응하는 분리 스크린 세트(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에 대한 정보를 포함)의 목록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이전에 분석되고 분리된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에 대한 좋은 개요를 얻을 수 있게 하며,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 값 세트를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매칭시키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적절하게는, 데이터베이스는 조직화된 수집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전자적으로 접근된다. 예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인 산술 연산 및 함수, 그리고 복잡한 산술 연산 및 함수 모두를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행 및 열로 배열된 조성 값을 저장하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순도" 또는 "고순도"라는 용어는, 분석된 분획물 내의 입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자 크기를 갖고/갖거나, 분석된 분획물 내의 입자가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코코넛 껍질,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분석된 분획물 내의 입자는, 기 규정된 입자 크기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분석된 분획물 내의 입자는,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코코넛 껍질,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안적으로, 순도 또는 고순도라는 용어는, 분리된 분획물의 재료 순도가 95%(w/w), 96%(w/w), 97%(w/w), 98%(w/w), 99%(w/w), 또는 약 100%(w/w)를 초과함을 의미한다.
재료의 재사용을 위해서 고순도는 필수적이다. 고무, 모래, 및/또는 기타 충전재 분획물의 순도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시험, 예를 들어, 고무 순도를 시험하기 위한 ASTM 인터내셔널의 D5603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관 계수"라는 용어는, 두 변수 간의 통계적 관계를 설명하는 일종의 상관 관계의 수치적 척도를 의미한다. 변수는, 조성 값의 주어진 데이터 세트의 두 개 이상의 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관 계수는, 제1 및 제2 조성 값 세트 사이, 및/또는 제1 조성 값 세트의 값과 제2 조성 값 세트의 값 사이의 상관 관계 및/또는 통계적 관계를 나타내며, 제1 조성 값 세트와 높은 상관 관계 및/또는 통계적 관계를 갖는 제2 조성 값 세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적절하게는, 상관 계수는, 조성 값 세트 내의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포인트와 다른 조성 값 세트 내의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포인트 사이에 대하여도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편차 값"이라는 용어는, 제1 조성 값 세트와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제2 조성 값 세트 사이, 및/또는, 제1 조성 값 세트의 값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제2 조성 값 세트의 값 사이의 차이에 대한 척도를 의미한다. 편차 값의 측정은, 제1 조성 값 세트와 낮은 편차를 보이는 제2 조성 값 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빠르고 쉬운 방법이다. 적절하게는, 편차 값은, 조성 값 세트 내의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포인트와 다른 조성 값 세트 내의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포인트 사이에 대하여도 측정될 수 있다.
편차 값은, 제1, 제2, 또는 그 이상의 충전재 각각에 대하여, 예를 들어 중량 백분율(%(w/w))로 나타낸 분획물의 총 샘플 내 상대적 비율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입자 크기가 1.6cm 이상인 분획물의 경우, 낮은 편차 값 또는 낮은 상대 편차 값은, 0.5%(w/w), 2%(w/w), 5%(w/w), 또는 15%(w/w) 이하의 상대 분획물 비율 편차 값을 의미한다. 적절하게는, 입자 크기가 1.0에서 1.4cm까지의 범위 내인 분획물의 경우, 낮은 편차 값 또는 낮은 상대 편차 값은, 0.05%(w/w), 0.1%(w/w), 0.5%(w/w), 1%(w/w), 2%(w/w), 또는 10%(w/w) 이하의 상대 분획물 비율 편차 값을 의미한다. 적절하게는, 입자 크기가 0.2에서 0.8cm까지의 범위 내의 분획물의 경우, 낮은 편차 값 또는 낮은 상대 편차 값은, 0.5%(w/w), 2%(w/w), 5%(w/w), 10%(w/w), 15%(w/w), 또는 25%(w/w) 이하의 상대 분획물 비율 편차 값을 의미한다. 적합하게는, 0.2c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진 분획물의 경우, 낮은 편차 값 또는 낮은 상대 편차 값은, 0.005%(w/w), 0.01%(w/w), 0.05%(w/w), 0.1%(w/w), 0.5%(w/w), 1%(w/w), 2%(w/w), 3%(w/w), 4%(w/w), 또는 5%(w/w) 이하의 상대 분획물 비율 편차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임계치"라는 용어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매칭시키기 위해 상관 계수가 초과해야 하는 설정 값 또는 크기를 의미한다. 임계치는, 제1 조성 값 세트와 제2 조성 값 세트 간의 매칭이, 서로 간에 기 규정된 상관 관계 및/또는 통계적 관계를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에 대하여 우수한 분리 효율을 가진 분리 스크린 세트를 식별하고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분리 시스템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리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를 제1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분리 시스템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따른 조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된 충전재의 총 함량에 대한 분리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얻도록 구성된 사전 분석 유닛;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때 조성 값 세트 각각은, 복수의 서로 다른 제2 충전재로부터의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충전재로부터의 충전재의 분리를 위한 제1 기 규정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 및 제1 조성 값 세트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을 더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및 처리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충전재 조성을 이전에 분석 및 분리된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다양한 충전재 조성과 빠르고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 유닛은 제1 조성과 제2 조성 사이의 상관 계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하거나 편차 값을 식별하여,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의 충전재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한다. 사전 분석된 충전재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용이하게 식별 및 선택함에 따라, 효율적인 분리가 달성될 때까지 다양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사용하면서 단조로운 시행착오를 통한 시도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전 분석 유닛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샘플을 기 규정된 비중 및/또는 입자 크기를 갖는 여러 분획물로 분리함으로써 충전재의 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분석 유닛을 의미한다. 사전 분석 장치는, 예를 들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체 진탕기인 "AS 200 basic"(Retsch®)과 같이 순차적으로 더 미세한 메쉬 크기를 갖는 진동 체 진탕기이거나,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체 진탕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처리 유닛"이라는 용어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처리하고, 명령을 실행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유닛을 의미한다. 처리 유닛은, 충전재의 효율적인 분리를 위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 제1 조성과 제2 조성 사이의 상관 계수를 계산하고/하거나 편차 값을 식별하기 위한 자동적이고 편리한 데이터 처리를 제공한다.
적절하게는, 처리 유닛은, 데이터 처리, 통계적 계산, 수학적 연산,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연산 유닛이다.
"NSL"이라는 용어는 Nasenloch의 약어로서, 분리 스크린에서 천공되지 않은 부분에 비해 천공 부분이 약간 융기되어 있는 분리 스크린을 설명한다. 이러한 융기된 천공(NSL)은, 완전히 균일한 분리 스크린에 비해 충전재의 분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분리 스크린 세트에서, 적절하게는 하나 이상의 분리 스크린이 융기된 천공을 가진 NSL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그리고 도면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의/상기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기 요소, 장치, 성분,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instance)를 지칭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충전재 제품의 구성물을 분리하기 위한 공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또한, 분리된 구성물 각각이 높은 순도를 가지도록 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사상의 상술한 내용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서로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1은, 하나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2는, 두 개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3a 내지 3d 각각은, 세 개 또는 네 개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4는, 분리 스크린 교체를 통해 스크리닝 수단에서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5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대한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6은, 하나의 스크리닝 수단을 갖는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7a 내지 7c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내 스크리닝 수단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도 8은, 4개의 스크리닝 수단을 갖는 충전재 분리 시스템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도 9는, 인라인(in-line) 분석 장치가 있는 충전재 분리 시스템의 도식화된 개요이다.
후술할 내용에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 모래를 포함하는 재료 조성을 갖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가 도시된다. 방법은, (a)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제공하는 단계; (b)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샘플을 채취하는 단계; (c) 채취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 샘플의 조성을 사전 분석함으로써,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얻는 단계(상기 사전 분석은, (i) 사전 분석 유닛에 의하여,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기반하여 충전재를 복수의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및 (ii) 분석된 충전재의 총 함량에 대하여 분리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 (d)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스크리닝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됨); (e)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제1 조성 값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제2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재료 조성 및 기 규정된 제2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와 비교함으로써, 제1 조성 값 세트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구하는 단계; (f) 제1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할 때 기 규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상관 계수를 갖고/갖거나, 20%(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15%(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바람직하게는 10%(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더 바람직하게는 5%(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더 바람직하게는 2%(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1%(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바람직하게는 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편차 값을 가지는 분리 스크린 세트(분리 스크린 세트는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응함)를 선택함으로써, 적어도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수용되기 위한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g) 선택된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h)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고무 및 모래를 포함한다. 고무 재료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고무(TPE), 열가소성 올레핀 고무(TP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재료 조성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모래를 제외한 다른 재료와 함께 고무를 포함하는 충전재, 및/또는 고무를 제외한 다른 재료와 함께 모래를 포함하는 충전재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재료 조성은 또한 본질적으로 고무 및 모래를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a)단계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인조 잔디 제품에서 유래한다.
(a)단계 이전에, 임의의 출처의 제공된 충전재는, 적절하게는 충전재의 상대 수분 함량이 상당히 감소되는 건조 공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건조 공정 전에 충전재의 상대 수분 함량은 3에서 7%(w/w) 사이이다. 건조 공정에서,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에서 5%(w/w), 0.5에서 2%(w/w), 0.1에서 1%(w/w), 0.01에서 0.5%(w/w), 또는 0.0001에서 0.05%(w/w)의 범위 내로 감소된다.
예시적으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분리된 모래의 수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5%(w/w) 이하이다.
(b)단계에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샘플이 채취된다. 바람직하게는, 샘플은 충전재의 전체 재료 조성에 해당된다. 사전 분석을 위해 채취한 총 샘플 수는 2개, 3개, 4개, 또는 4개보다 많은 수일 수 있다. 인조 잔디 제품의 총 면적이, 100m2, 200m2, 500m2, 1,000m2, 2,000m2, 4,000m2, 6,000m2, 8,000m2, 또는 10,000m2 와 같은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충전재의 총 중량이 20kg, 50kg, 100kg, 500kg, 및/또는 1000kg을 초과하는 경우, 적절하게는 2개, 3개, 또는 3개보다 많은 수의 샘플이 충전재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채취된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을 위해 채취한 총 샘플 수는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총 면적/크기 또는 총 중량이 커짐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 대안적으로, 총 샘플 수는 변경되지 않고(예: 3개 샘플)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총 면적/크기 또는 총 중량과 무관하다.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충전재 샘플이 채취될 때, 충전재 샘플은, 예를 들어 처리를 위해 도착하기 전에, 필드로부터 재활용 현장으로 이송되기 위해 말아지는(rolled up) 동안 온전한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직접 채취된다. 대안적으로, 충전재 샘플은, 충전재의 건조 전, 건조 중, 및/또는 건조 후에, 인조 잔디 제품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충전재의 대부분이 분리된 후 채취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인조 잔디 제품의 충전재가 분리 공정을 위해 조합되는 경우, 적절하게는 서로 다른 인조 잔디 제품의 충전재 각각으로부터 샘플이 채취된다.
샘플 채취는, 잔디 제품 및/또는 충전물의 무작위 위치에서 수행되거나, 체계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샘플은 체계적인 방식으로 채취되는데, 예를 들어, 제품이 복수의 운송 차량에 의해 필드에서 재활용 현장으로 운송되는 경우, 샘플은 각각의 운송 차량 모두로부터, 또는 여러 다른 운송 차량으로부터 채취된다.
(c)단계에서, 샘플로 채취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에 대한 사전 분석이 수행된다. 사전 분석은, 예를 들어 제1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생성한다. 사전 분석 중에, 충전재는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기반으로 복수의 분석 분획물로 분리된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은 Retsch AS200 basic®과 같은 분석용 체 진탕기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석용 체 진탕기는 20μm에서 25mm까지의 크기 범위 내의 입자에 대한 측정 범위를 갖는다.
사전 분석 전이나 사전 분석 중에, 예를 들어 저울을 사용하거나, 사전 분석 유닛에 통합된 저울이 있는 경우 사전 분석 유닛에 의하여, 충전재 샘플의 중량이 측정된다. 사전 분석 중이나 사전 분석 후에 각 분석 분획물의 중량이 측정되며, 이는 저울을 사용해 측정되거나, 사전 분석 유닛에 통합된 저울이 있는 경우 사전 분석 유닛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샘플 및 분획물 중량에 기반하여, 바람직하게는 %(w/w) 단위로 전체 샘플에 대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 함량이 계산되어 제1 조성 값 세트를 위한 데이터 포인트를 얻는다. 적절하게는, 분석 분획물 각각은 입자 크기 범위 및/또는 비중의 범위에 있어 다른 분석 분획물과 상이하다. 제1 조성 값 세트의 각 데이터 포인트는 이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제1 조성 값 세트 외에도, 데이터베이스 입력 항목은, 적절하게는 고무 크기, 고무 재료, 고무 색상, 모래 입자 크기, 백킹 재료, 잔디 재료, 작업자 이름 및/또는 기타 추가 설명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d)단계에서,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스크리닝 수단이 제공된다.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가변적인 스크린 설계를 가짐에 따라, 스크리닝 수단은 여러 다른 알갱이 크기 및 밀도의 충전재 재료를 분리한다. 적절하게는, 2개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이 제공되며, 이때 모든 스크리닝 수단은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e)단계에서는, (c)단계에서 얻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제1 조성 값 세트가 데이터베이스/데이터 소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비교된다.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이전에 규정된 제2 분리 스크린 세트 및 재료의 조성에 대응한다. 제1 조성 값 세트를 제2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함으로써, 제1 조성 값 세트와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얻는다.
대안적으로, 서로 다른 제품으로부터의 충전재 재료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한 인공 지능 및/또는 이미지 인식과 같이,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연산 또는 분석이 수행되어 제1 조성 값 세트와 제2 조성 값 세트 간의 유사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은 제1 조성 값 세트를 모든 제2 조성 값 세트 중에서 가장 유사한 입자 크기 분포 패턴을 갖는 제2 조성 값 세트와 매칭시킬 수 있다.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유닛에 의해 측정된다. 처리 유닛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고/있거나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된 부분이고,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f)단계에서, 적어도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수용될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가 선택된다. (f)단계에서, 총 2개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 유닛은, 제1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하거나 제1 조성 값과의 상대적 유사성을 측정하는 임의의 다른 연산을 통하여, 기 규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상관 계수를 갖고/갖거나, 예를 들어 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편차 값, 적절하게는 20%(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15%(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바람직하게는 10%(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더 바람직하게는 5%(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더 바람직하게는 2%(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1%(w/w) 상대 분획물 비율보다 낮은 편차 값을 가지는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응하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식별한다. 처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제1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할 때 가장 낮은 편차 값 및/또는 가장 높은 상관 계수를 갖는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응하는 분리 스크린을 식별한다.
제1 조성 값 세트의 각각의 값은,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중에서 가장 낮은 편차 및/또는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갖는 제2 조성 값 세트의 대응하는 값과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성 값 세트의 모든 값에 대하여, 제1 조성 값 세트의 값과 매칭되는 값이 제2 조성 값 세트로부터 획득된다. 적절하게는, 다른 제2 조성 값 세트에 비하여 더 자주 나열되는 제2 조성 값 세트와 관련된 제2 충전재 또는 충전재 배치(batch)가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데 이용된다. 즉, 가장 매칭되는 제2 충전재 또는 충전재 배치의 분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분리 스크린 세트가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분리에 사용된다.
적절하게는, 이전에 분리된 충전재 재료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입력 항목은, 분리 스크린 세트, 고무 크기, 고무 재료, 고무 색상, 모래 입자 크기, 백킹 재료, 잔디 재료, 작업자 이름, 배치 번호, 추가 설명에 대한 정보, 분석 및/또는 분리된 총 재료에 대한 분획물 각각의 상대 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 및/또는 분획물 각각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조성 값 세트와 관련된 분리 스크린 세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인조 잔디 제품의 충전재와 같은 충전재의 분리에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이전에 확인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내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한 정보는, 분리 스크린 각각의 메쉬 크기를 포함한다.
(g)단계에서, 선택된 제1 분리 스크린 세트가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분리 스크린 세트의 메쉬 크기 및 분리 스크린 세트 내 분리 스크린의 수는, 사전 분석된 충전재의 제1 조성 값 세트에 대하여 높은 상관 계수 및/또는 낮은 편차 값을 보이는 조성 값 세트를 갖는 충전재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도록 이전에 사용되었던 분리 스크린 세트의 메쉬 크기 및 분리 스크린 수와 동일하다.
(h)단계에서, 충전물은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된다. 분리는, 전기 모터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모터에 의해 수평으로 진동하는 분리 스크린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크리닝 수단 내부에서, 분리 스크린은 적절한 수평 기울기(gradient)를 가지고 다른 분리 스크린 위에 설치된다. 분리 스크린 사이의 거리는, 충전재 재료의 수평 이동 및 어느 정도의 수직 이동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분리를 위해, 충전재 재료는 최상부의 분리 스크린 위로부터 스크리닝 수단에 투입된다. 수평 진동은 충전재 재료를 분리 스크린을 따라 운반한다. 충전재 재료의 입자 크기보다 큰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은, 충전재 재료가 분리 스크린을 통과하여 다음 분리 스크린 또는 스크리닝 수단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이와 반대로, 입자 크기가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보다 큰 충전재 재료는 분리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고 분리 스크린의 가장자리까지 수평으로 운반된다. 분리 공정은, 복수의 분획물, 즉, 최하부 분리 스크린 아래의 분획물, 최상부 분리 스크린 위의 분획물, 및 각각의 분리 스크린 사이의 분획물을 축적한다. 복수의 분획물에서 각각의 분획물은, 분리 공정 동안 및/또는 분리 공정의 마지막에 포획된다. 적절하게는, 복수의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의 분획물은 추가 분리를 위해 다른 스크리닝 수단으로 직접 전달된다.
도 2는,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2의 실시예는, (h)단계에서 충전재로부터 분리된 복수의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의 분획물을, 제2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리닝 수단에서 분리하는 (h')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분리 스크린 세트는, 제1 스크리닝 수단의 제1 분리 스크린 세트와 상이하며, (f)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를 기반으로 설치된다. 제1 및 제2 분리 스크린 세트 모두는, (c)단계에서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사전 분석을 기반으로 선택된다.
적절하게는, (h)단계에서 분리된 복수의 분획물 중 선택된 분획물, 복수의 선택된 분획물, 및/또는 모든 분획물은, (h')단계의 제2 및 그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h')단계의 제2 및 그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에서의 분리는, 동일한 스크리닝 수단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거나, 복수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서로 병행하여(in parallel) 수행된다. 복수의 스크리닝 수단 각각은, (c)단계에서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사전 분석을 기반으로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한다.
도 3a 내지 3e 각각은 변형예를 도시하며, 2개보다 많은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충전재를 분리하는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가 묘사된다. 제1 스크리닝 수단에서의 제1 분리 단계(h)에 추가하여, 제2, 제3, 그리고 가능하게는 제4 스크리닝 수단에서 추가 분리 단계가 제공된다. 제1, 제2, 제3, 및 제4 스크리닝 수단 각각은, (f)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기반하여 선택된 서로 상이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분리 단계에 대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 스크리닝 수단 각각의 분리 스크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분리 스크린 세트 내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에 있어 서로 상이하다. 스크리닝 수단과 분리 스크린 세트의 선택된 조합은, 분리된 분획물의 순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도 3a는, 총 3개의 분리 단계인 h), h') 및 h'')에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연속적으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상기 분리 단계 각각은 스크리닝 수단에서 수행된다. h)단계 또는 h')단계에서 분리된 모든 분획물, 하나의 선택된 분획물, 또는 복수의 선택된 분획물은, 각각 h')단계 또는 h'')단계에서 더 분리될 수 있다.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메쉬 크기는, 적절하게는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메쉬 크기보다 작고/작거나, h'') 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메쉬 크기는, 적절하게는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메쉬 크기보다 작다. 더 작은 메쉬 크기란, h')단계 또는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h)단계 또는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보다 더 작은 메쉬 크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3b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으로 총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에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4개의 분리 단계 중 3개의 단계, 즉 h), h'), 및 h''), 또한 h), h'), 및 h''')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h')단계에서 얻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분획물은, 이어서 h'')단계 및/또는 h''')단계에서 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과 상이하다. 적절하게는,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의 4개의 스크리닝 수단 내의 분리 스크린 세트 각각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다르다.
도 3c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으로 총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에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4개의 분리 단계 중 3개의 단계, 즉 h), h'), 및 h'')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분리 단계 h) 및 h''')도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h)단계에서 얻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분획물은, 이어서 h')단계 및/또는 h''')단계에서 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있어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과 상이하다. 적절하게는,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보다 더 큰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가질 수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적절하게는,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의 4개의 스크리닝 수단 내의 분리 스크린 세트 각각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다르다.
도 3d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으로 총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에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4개의 분리 단계 중 2개의 단계, 즉 h) 및 h'), 또한 h) 및 h''), 또한 h) 및 h''), 또한 h) 및 h''')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h)단계에서 얻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분획물은, 이어서 h')단계 및/또는 h'')단계 및/또는 h''')단계에서 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h'), h''), 및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있어 다른 분획물과 상이하다. 적절하게는,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보다 더 큰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가질 수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적절하게는, 4개의 분리 단계 h), h'), h''), 및 h''')의 4개의 스크리닝 수단 내의 분리 스크린 세트 각각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다르다.
도 3e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으로 총 4개의 분리 단계, 즉, 두 번의 h)단계, 한 번의 h')단계, 및 한 번의 h'')단계에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두 번의 h)단계에서 사용되는 2개의 스크리닝 수단은 동일한 분리 스크린 세트를 가지며,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는 병행하여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h)단계의 2개의 스크리닝 수단 각각으로부터 얻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분획물은, 이어서 h')단계 및/또는 h'')단계에서 더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h')단계 및 h'')단계에서 분리를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있어 다른 분획물과 상이한데, 예를 들어, h)단계에서 얻은 모래 분획물은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에서의 추가 분리를 위해 사용되고, h)단계에서 얻은 고무 분획물은 h'')단계의 스크리닝 수단에서의 추가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분리 단계 h') 및 h'')의 2개의 스크리닝 수단 내의 분리 스크린 세트 각각마다, 스크리닝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h')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모래를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h'')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고무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분리 스크린 세트는, 2개의 분리 스크린, 바람직하게는 3개의 분리 스크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분리 스크린을 포함하며, 분리 스크린 각각은, 실질적으로 5.0mm, 4.0mm, 3.0mm, 2.5mm, 2.3mm, 2.0mm, 1.8mm, 1.5mm, 1.2mm, 1.0mm, 0.8mm, 0.7mm, 0.6mm, 0.5mm, 0.4mm, 0.3mm, 및/또는 0.2mm의 메쉬 크기로부터 선택된 메쉬 크기를 가지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세트는 순차적으로 미세한 메쉬 크기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분리 스크린 세트에서 적어도 2개의 분리 스크린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쉬 크기를 갖는 반면, 동일한 분리 스크린 세트의 나머지 분리 스크린은 실질적으로 상이한 메쉬 크기를 갖는다. 스크리닝 수단에는 2, 3, 또는 4개의 분리 스크린이 있지만, 각 스크리닝 기계에 대한 분리 후 획득되는 분획물의 수는 각각 2, 3, 4, 또는 5개의 분획물로 다양할 수 있다.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스크리닝 수단 각각은, (f)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기반하여 선택된 4개의 분리 스크린을 포함한다. 4개의 스크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되지 않은 충전재의 조성과 상이한 조성(예를 들어,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의해 정의됨)의 충전물 분획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획득한 충전재 분획물을 더 분리하여, 제2 또는 그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에서의 추가 분리에 의해 본질적으로 더 높은 순도를 갖는 분획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또는 그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은, 제1 스크리닝 수단 내의 분리 스크린 세트와는 상이한 분리 수단 세트를 갖는다.
4개의 스크리닝 수단의 4개의 분리 스크린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 세트는, 예를 들어 분리 스크린 세트의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에 있어서 나머지 분리 스크린 세트와 상이하다. 4개의 분리 단계에 의해 4개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얻은 전체 복수의 분획물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분획물은, 분획물 입자 크기 및/또는 분획물 비중에 있어 나머지 복수의 분획물과 상이하다. 4개의 스크리닝 수단 중 모든 스크리닝 수단은 4개의 분리 스크린을 갖지만, 각 스크리닝 수단에 대한 분리 후 획득된 분획물의 수는 5개의 분획물, 4개의 분획물, 3개의 분획물, 및/또는 2개의 분획물로 다양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분리 단계는, 5.0에서 0.6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리닝 수단; 2.5에서 0.5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리닝 수단; 0.6에서 0.2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3 스크리닝 수단; 및 0.8에서 0.3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4 스크리닝 수단; 에서 수행된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세트 각각에 대한 메쉬 크기 범위는, 다른 분리 스크린 세트의 메쉬 크기 범위와 겹친다.
대안적으로, 메쉬 크기 범위는, 4개의 분리 스크린 세트 중 2개 또는 3개 세트에 대해서만 다른 메쉬 크기 범위와 겹친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 단계는, 충전재 샘플을 2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바람직하게는 4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8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석 분획물은, 메쉬 크기가 0.2mm에서 2.5cm 사이인 사전 분석 유닛의 여러 체를 통해 샘플을 체질하여 얻는다. 획득한 분석 분획물의 수는, 사전 분석 유닛에 설치된 체의 수에 따라 다르다. 획득한 분석 분획물 각각은, 기 규정된 범위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갖는다. 적절하게는, 입자 크기의 범위는 0에서 0.2mm까지, 0.2에서 0.5mm까지, 0.5에서 0.63mm까지, 0.63에서 0.8mm까지, 0.8mm에서 1.0cm까지, 1.0에서 1.18cm까지, 1.18에서 1.4cm까지의 범위, 1.4에서 1.6cm까지의 범위, 1.6에서 2.0cm까지의 범위, 2.0에서 2.5cm까지의 범위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또는 0에서 2.5cm내의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사전 분석 단계 (c) 및/또는 분리 단계 (h), (h'), (h''), 및 (h''')는, 코코넛 껍질,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획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교체를 포함하는 충전재 분리 방법의 도식화된 개요를 나타낸다. 이전 실시예의 단계에 추가하여, (i) 분리에 의해 얻은 분획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에 대하여, (c)단계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j)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을 교체용 분리 스크린으로 교체하는 단계 (여기서 교체된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교체용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와 상이함); 및 (k) (i)단계에서 분석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가 더 제공된다.
적절하게는, (i)단계의 분석은, (c)단계의 사전 분석과 동일한 분석 유닛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i)단계의 분석에 사용되는 체의 개수 및/또는, 예를 들어 메쉬 크기 등을 기준으로 한 체의 유형은, (c)단계의 분석에 사용된 체의 개수 및 유형과 다를 수 있다. 보다 짧은 분석 시간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분석 유닛이 두 개 이상의 분리된 분획의 분석 단계 (i)를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인라인 분석을 위해 총 3~4개의 샘플이 매 6시간마다 채취되며, 여기서 각각의 샘플은, 존재하는 경우, (a) 실질적으로 고무를 포함하는 분획물, (b) 실질적으로 굵은 모래를 포함하는 분획물, (c) 실질적으로 고운 모래를 포함하는 분획물, 및 (d) 실질적으로 잔디를 포함하는 분획물로부터 채취된다.
적절하게는, 분리된 분획물의 순도는 사전 분석 유닛 또는 기타 적절한 임의의 분석 유닛에서 분석된다. 바람직하게는, (j)단계의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의 교체는, 분석된 분획물 중 적어도 하나가 고순도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않거나, 대응하는 샘플의 사전 분석 결과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상관 계수에 대한 임계치는, 적절하게는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다. 둘 이상의 상관 계수가 기 규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가장 높은 값을 갖는 상관 계수가 스크리닝 수단의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데 선호된다. 적절하게는, 2개 이상의 상관 계수가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하고/유사하거나, 약 0.1, 0.05, 0.02, 0.01 또는 그 미만의 차를 가지는 것과 같이 통계적 관계의 특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 가장 높은 상관 계수는 아니지만 가장 높은 상관 값(바람직하게는 가장 높은 10개의 상관 값)의 상관 값 군 내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상관 값을 가진 상관 계수가, 작업자 등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에 이미 설치된 분리 스크린 세트가 충분히 효율적인 분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시간을 절약하는 이점이 될 수 있다.
도 5는, 조성 값 세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방법에 대한 도식화된 개요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조성 값 세트 중의 조성 값 세트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제2 또는 그 이상의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충전재에 대하여 이전에 분석되고 분리된 충전재 조성에 대응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은, 적절하게는 분리 전에 충전재의 분석과 함께 수행될 수 있으나, 분리 전 충전재의 분석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분리 전에 분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충전재는 먼저 스크리닝 수단에서 분리 스크린에 의하여 분리되며, 수득된 분획물이 이어서 사전 분석 유닛에서 분석되어 조성 값 세트를 생성한다. 본 변형예에서, (a)단계에서 제공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이렇게 얻어진 분획물이고, 초기 분리는 (a)단계에 선행하는 단계이다. 분획물 분석은 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분획물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리 스크린을 상이한 메쉬 크기의 분리 스크린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을 교체한 후, 얻은 분획물은 다시 분석된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교체 및 분획물 분석 단계는,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분획물의 높은 순도가 달성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후, 효율적인 분리와 고순도를 위한 분리 스크린 정보 및 조성 값 세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분리 전에 분석이 수행될 경우, 충전재의 샘플은 먼저 사전 분석 유닛에서 분석되어 조성 값 세트를 얻고, 이어서 충전재는 복수의 분리 스크린이 있는 스크리닝 수단에서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된다. 상기 분획물은 이후에 분석되어 조성 값 세트를 생성한다. 분획물의 분석은 분리가 진행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분획물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리 스크린을 상이한 메쉬 크기의 분리 스크린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을 교체한 후, 얻은 분획물은 다시 분석된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교체 및 분획물 분석 단계는,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고/이루어지거나 분획물의 높은 순도가 달성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후, 효율적인 분리와 고순도를 위한 분리 스크린 정보 및 조성 값 세트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서로 다른 충전재 배치의 분석 후 샘플 조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입력 항목의 예가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서로 다른 충전재 배치의 분리를 위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입력 항목의 예는 표 2 내지 5에 기재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의 분석 및/또는 분리된 충전재, 및/또는, 충전재의 분석 및/또는 분리가 적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제품으로부터의 충전재에 대한 조성 값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한 후, (c)단계에서 얻은 제1 조성 값 세트; (f)단계 및/또는 (j)단계에서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한 정보; 그리고 (i)단계의 분석으로부터 얻은 조성 값 세트; 중 하나 이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된다. 상기 나열된 값 및/또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함으로써, 조성 값 세트의 총 수가 증가한다. 데이터베이스가 증가함에 따라, (e)단계에서의 조성 값 비교 및 (f)단계에서의 분리 스크린 선택으로 인해 보다 강한 수학적 상관 관계 또는 통계적 관계를 가진 매칭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과거의 분리에 대한 항목을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입력할 때마다 향후 분리 공정의 효율이 향상되고, 편차가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한 모든 유형의 충전재 분리에 공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도 6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의 도식화된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분리 시스템(100)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리닝 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제1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충전재(201)를 제1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분리 시스템(100)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따른 조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된 충전재(201)의 총 함량에 대한 분리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301)를 얻도록 구성된 사전 분석 유닛(101);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80, 이때 조성 값 세트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고 제1 기 규정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 및 제1 조성 값 세트(301)와 데이터베이스(180)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02); 을 더 포함한다.
스크리닝 수단(110)은, 충전재(201)와 같이 여러 다른 알갱이 또는 입자 크기로 된 벌크 재료를, 기 규정된 알갱이 또는 입자 크기를 갖는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충전재(201)의 분리는, 규정된 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을 갖는 수평 진동 분리 스크린을 통해 수행된다. 스크리닝 수단(110)은, 적절하게는 외부 스크린 출구를 가지는데, 이는 스크린이 다른 메쉬 크기 및/또는 천공을 가진 스크린으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접근성을 갖게 하고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복수의 분리 스크린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로서 정의된다.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는, 2개, 3개, 4개, 또는 4개보다 많은 분리 스크린을 포함하며,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4개를 포함한다.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의 분리 스크린 각각은 소정의 메쉬 크기를 가지며, 상기 메쉬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분리 스크린 세트(111) 내의 다른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충전재(201)는, 예를 들어 0.1미만에서 2.5cm까지, 0.1미만에서 3cm까지, 0.1미만에서 4cm까지, 또는 0.1미만에서 5cm까지의 범위의 입자 크기와 같이 넓은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진 다양한 입자 및 재료를 포함한다. 분리 공정 동안, 충전재(201)는 분리 스크린 세트(111)에 의해 제1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된다. 적절하게는, 제1 복수의 분획물(201a)의 분획물 각각은 균질한 비중, 및/또는, 분리 전 충전재(201) 내의 입자 크기 범위보다 더 좁은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0에서 5mm, 0에서 2mm, 0에서 6mm, 2에서 5mm, 2에서 6mm, 2에서 10mm, 5에서 10mm, 2에서 15mm, 5에서 10mm, 5에서 7mm, 7에서 10mm, 8에서 10mm, 5에서 8mm, 6에서 8mm, 7에서 15mm, 20에서 40mm, 40에서 50mm, 30에서 40mm, 30에서 50mm, 18에서 30mm, 18에서 40mm, 18에서 50mm, 12에서 18mm, 12에서 20mm, 12에서 23mm, 12에서 30mm, 12에서 40mm, 12에서 50mm, 10에서 15mm, 15에서 20mm, 15에서 30mm, 8에서 15mm, 8에서 12mm, 12에서 15mm, 0에서 8mm,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자 크기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사전 분석 유닛(101)은,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한 충전재에 대한 충전재(201)를, 2개보다 많은 분획물, 4개보다 많은 분획물, 바람직하게는 6개보다 많은 분획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8개보다 많은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각 분석 분획물은, 기 규정된 입자 크기, 입자 크기 범위, 및/또는 비중을 가지며, 잔디,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물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사전 분석 전이나 사전 분석 중에, 예를 들어 저울을 사용하거나, 사전 분석 유닛(101)에 통합된 저울이 있는 경우 사전 분석 유닛(101)에 의하여, 충전재 샘플의 중량이 측정된다. 사전 분석 중이나 사전 분석 후에 각 분석 분획물의 중량이 측정되며, 이는 저울을 사용해 측정되거나, 사전 분석 유닛(101)에 통합된 저울이 있는 경우 사전 분석 유닛(101)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샘플 및 분획물 중량에 기반하여, %(w/w) 단위로 전체 샘플에 대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 함량이 조성 값 세트(301)로서 계산된다. 조성 값 세트(301)는,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 함량에 대한 값 또는 데이터 포인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적절하게는 모래 유형 및/또는 고무 유형 및/또는 고무 색상과 같은, 분획물 및/또는 충전재(201)의 재료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한다. 조성 값 세트(301)는 데이터베이스(180)에 입력되어, 이어서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된 조성 값 세트와 비교된다. 비교는 처리 유닛(102)에 의하여 수행된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 유닛(101)은 순차적으로 더 미세한 메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진동 체 진탕기이다. 사전 분석 유닛(101) 내의 메쉬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25mm, 20mm, 16mm, 15mm, 14mm, 12mm, 11.8mm, 10mm, 8mm, 6mm, 6.3mm, 5mm, 4mm, 3mm, 2mm, 1mm, 실질적으로 0mm,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쉬 크기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 유닛(101)은 Retsch AS200 basic®과 같은 분석용 체 진탕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석용 체 진탕기는 20μm에서 25mm의 크기 범위 내의 입자에 대한 측정 범위를 가지며, 이는 20μm에서 25mm의 크기 범위 내의 입자가 분획물로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여기서 각 분획물은 기 규정된 크기 범위를 가지는데, 예를 들어, 0에서 20μm, 0에서 5mm, 0μm에서 2mm, 0μm에서 6mm, 20μm에서 5mm, 20μm에서 2mm, 20μm에서 6mm, 2에서 5mm, 2에서 6mm, 2에서 10mm, 5에서 6mm, 5에서 10mm, 8에서 10mm, 6에서 8mm, 10에서 12mm, 2에서 15mm, 5에서 10mm, 5에서 7mm, 7에서 10mm, 8에서 10mm, 5에서 8mm, 6에서 8mm, 7에서 15mm, 12에서 14mm, 14에서 16mm, 20에서 40mm, 40에서 50mm, 30에서 40mm, 30에서 50mm, 18에서 30mm, 18에서 40mm, 18에서 50mm, 12에서 18mm, 16에서 20mm, 12에서 20mm, 12에서 23mm, 20에서 25mm, 12에서 30mm, 12에서 40mm, 12에서 50mm, 10에서 15mm, 15에서 20mm, 15에서 30mm, 8에서 15mm, 8에서 12mm, 12에서 15mm, 0에서 8mm,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자 크기 범위를 가진다.
데이터베이스(180)는,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를 포함하고,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제2 충전재 제품 및/또는 제2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제품으로부터의 충전재 분리를 위한 제1 기 규정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한다. 서로 다른 충전재 조성을 가진 제2 제품으로부터의 충전재에 대하여 수행된 스크리닝 수단(110)에서의 이전 분리 공정에서, 분리 효율 및/또는 분획물 순도가 충분히 높아질 때까지 상이한 메쉬 크기를 가진 분리 스크린으로 분리 스크린을 교체함으로써 분리 효율 및/또는 분획물 순도가 향상되었다. 이어서, 높은 분리 효율 및/또는 분획물 순도를 달성하는 분리 스크린 세트가,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180)에 입력되고 저장된다. 제2 조성 값 세트는, 사전 분석 유닛(101)에서, 또는 충전재를 다양한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가진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분석 유닛에서 수행되는 분획물 분석에 의해 측정된 제2 충전재 제품의 충전재 조성을 나타낸다.
제2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품이며, 여기서 제2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 제품 각각의 충전재는 다양한 재료 및/또는 조성을 포함한다. 제2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의 예는, 상기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제2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는, 적절하게는, 충전재 재료의 전형적인 조성으로서 잔디, 코코넛 껍질,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물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102)은, 제1 조성 값 세트(301)와 데이터베이스(180)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02)은 데이터베이스(18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처리 유닛(102)은, 데이터베이스(180)를 저장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180)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제1 조성 값 세트 사이의 통계적 관계에 대한 계산을 수행(예를 들어,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80)의 입력 항목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180)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처리 유닛(102)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제품으로는, Microsoft Excel®, Scoro KPI®, Apache OpenOffice™, LibreOffice™, Spotfire™ MATLAB™ 소프트웨어, R 통계 소프트웨어, 또는 기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있다.
도 7a 내지 7c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에 적절한 분리 시스템(100)의 스크리닝 수단(110)의 일 실시예를 도식화된 개요로 도시하며, 여기서 스크리닝 수단(110)에 있는 분리 스크린 세트(111)는, 도 7a에서의 2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도 7b에서의 3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 및/또는 도 7c에서의 4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 190d)을 포함한다. 각각의 분리 스크린은, 5.0mm, 4.0mm, 3.0mm, 2.5mm, 2.3mm, 2.0mm, 1.8mm, 1.5mm, 1.2mm, 1.0mm, 0.8mm, 0.7mm, 0.6mm, 0.5mm, 0.4mm, 0.3mm, 또는 0.2mm 중 하나 이상의 메쉬 크기로부터 선택된 메쉬 크기를 가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세트는 순차적으로 미세한 메쉬 스크린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분리 스크린 세트(111) 내의 분리 스크린 중 적어도 2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쉬 크기를 갖는다.
분리 스크린(111)을 갖는 스크리닝 수단(110)은, 충전재(201)를 제1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한다. 충전재(201)가 분리되는 분획물의 수, 분획물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 범위는, 스크리닝 수단(110)에 설치된 분리 스크린의 수 및 그 메쉬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도 7a는,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충전재(201)를 최대 총 3개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2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을 갖는 스크리닝 수단(110)을 도시한다.
도 7b는,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충전재(201)를 최대 총 4개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3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을 갖는 스크리닝 수단(110)을 도시한다.
도 7c는, 예를 들어 제1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충전재(201)를 최대 총 5개의 분획물로 분리하기 위한, 4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 190d)을 갖는 스크리닝 수단(110)을 도시한다.
도 8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4개의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을 갖는 분리 시스템(100)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하며, 여기서,
제1 스크리닝 수단(110)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포함하고,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 내의 각각의 분리 스크린은 5.0에서 0.6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며,
제2 스크리닝 수단(120)은 제2 분리 스크린 세트(121)를 포함하고,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21) 내의 각각의 분리 스크린은 2.5에서 0.5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며,
제3 스크리닝 수단(130)은 제3 분리 스크린 세트(131)를 포함하고, 제3 분리 스크린 세트(131) 내의 각각의 분리 스크린은 0.6에서 0.2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며, 또한,
제4 스크리닝 수단(140)은 제4 분리 스크린 세트(141)을 포함하고, 제4 분리 스크린 세트(141) 내의 각각의 분리 스크린은 0.8에서 0.3mm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의 분리 스크린 세트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분리 스크린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에서 분리 스크린 세트(111, 121, 131, 및 141)의 메쉬 크기의 범위는 서로 독립적이다. 4개의 분리 스크린을 갖는 스크리닝 수단에 의해 얻은 분획물의 수는 변할 수 있으며, 2개의 분획물, 3개의 분획물, 4개의 분획물 및/또는 5개의 분획물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적절하게는, 분리 스크린 세트(111, 121, 131, 141)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재(201)의 제1 조성 값 세트(301)를 데이터베이스(180) 내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함으로써 선택된다.
제1 스크리닝 수단(110)으로부터 제1 복수의 분획물(201a)을 얻은 후, 제1 복수의 분획물(201a) 중 적어도 하나의 분획물은, 적절하게는 제2 스크리닝 수단(120), 제3 스크리닝 수단(130), 및/또는 제4 스크리닝 수단에서 연이어 분리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어느 하나의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에 의해 얻은 복수의 분획물 중의 임의의 분획물은, 충전재 재료의 분리를 더욱 향상시켜 복수의 분리된 분획물 내에서 높은 순도를 얻기 위해 어느 하나의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에서 더 분리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높은 순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는 분획물, 예를 들어, 재료의 높은 불균질성, 불균질한 비중, 및/또는 불균질한 입자 크기를 갖는 분획물은,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또는 14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더 분리된다.
적절하게는, 분리된 분획물의 순도는, 사전 분석 유닛(101) 또는 진동 체 진탕기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분석 유닛을 사용하여 분석된다.
도 9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의 도식화된 개요를 도시하며, 여기서 분리 시스템(100)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분리된 분획물(201b)에 대한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따른 조성을 측정하여,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분리된 분획물(201b)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3 조성 값 세트를 얻도록 구성된 인라인(in-line) 분석 유닛(103)을 더 포함한다.
인라인 분석 유닛(103)은 분리된 분획물의 순도를 분석한다. 적절하게는, 인라인 분석 유닛(103)은, 분석 실험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장소에서, 스크리닝 수단에 근접하여 작동되는 진동 체 진탕기이다. 인라인 분석 유닛(103)에 의해 얻어진 조성 값은, 제3 조성 값 세트(303)로 정의된다. 제3 조성 값 세트(303)는, 분리된 충전재(201)로부터의 모든 분석된 분획물(201b)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80)에 입력되고 저장된다. 제3 조성 값 세트(303)는, 분석된 분획물(201b)의 추가 분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순도가 95%(w/w)미만인 분획물, 눈에 보이는 불순물이 있는 분획물, 및/또는 사전 분석 결과와 매칭되지 않는 분획물은, 제3 조성 값 세트(303)를 데이터베이스(180) 내의 제2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함으로써 선택된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가진 스크리닝 수단(110)에서 추가로 분리된다.
예시적으로, 인라인 분석을 위한 총 4개의 샘플이 매 6시간마다 채취되며, 여기서 각 샘플은, (i) 실질적으로 고무를 포함하는 분획물, (ii) 실질적으로 굵은 모래를 포함하는 분획물, (iii) 실질적으로 고운 모래를 포함하는 분획물, 및 (iv) 실질적으로 잔디를 포함하는 분획물로부터 채취된다.
적절하게는, 인라인 분석 유닛(103)에서 분리된 분획물의 인라인 분석은, 스크리닝 수단(110)에서 진행중인 충전재(201)의 분리 동안에 기 규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된다. 인라인 분석을 위한 분획물 샘플은, 매 12시간, 10시간, 8시간, 6시간, 4시간, 또는 2시간마다 채취된다. 대안적으로, 인라인 분석을 위한 분획물 샘플은, 기 규정된 시점 또는 무작위로 선택된 시점에, 모든 분리 공정 동안 1회, 2회, 3회, 또는 4회만 채취된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 유닛(101) 및/또는 인라인 분석 유닛(103)은, 순차적으로 더 미세한 메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진동 체 진탕기이다. 사전 분석 유닛 내의 메쉬 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2.5mm, 2mm, 1.6mm, 1.4mm, 1.18mm, 1mm, 0.8mm, 0.63mm, 0.5mm, 0.2mm, 및/또는 0mm의 크기를 갖는다.
적절하게는, 사전 분석 유닛(101) 및 인라인 분석 유닛(103)은 동일한 진동 체 진탕기이다.

Claims (17)

  1. 소정의 재료 조성,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 모래를 포함하는 재료 조성을 갖는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샘플을 채취하는 단계;
    (c) 채취된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 샘플의 조성을 사전 분석함으로써, 상기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를 얻는 단계 - 상기 사전 분석은, (i) 사전 분석 유닛에 의하여,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specific gravity)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재를 복수의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및 (ii) 분석된 충전재의 총 함량에 대하여 분리된 상기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함-;
    (d) 적어도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제1 스크리닝(screening)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는, 상기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도록 구성됨-;
    (e)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상기 제1 조성 값 세트를,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 상기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재료 조성 및 기 규정된 제2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 - 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조성 값 세트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구하는 단계;
    (f) 상기 제1 조성 값 세트와 비교할 때 기 규정된 임계치보다 높은 상관 계수를 갖고/갖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편차 값, 바람직하게는 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편차 값을 가지는 분리 스크린 세트 -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제2 조성 값 세트에 대응함 - 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수용되기 위한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g) 선택된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를 상기 제1 스크리닝 수단에 설치하는 단계; 및
    (h) 상기 충전재를 상기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h') 상기 (h) 단계의 상기 충전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복수의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의 분획물을, 상기 제1 스크리닝 수단의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와 상이한 제2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리닝 수단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분리 스크린 세트는,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스크리닝 수단이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며,
    상기 스크리닝 수단 각각은,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에 기반한 서로 다른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2개의 분리 스크린, 바람직하게는 3개의 분리 스크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분리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스크린 각각은, 실질적으로 5.0mm, 4.0mm, 3.0mm, 2.5mm, 2.3mm, 2.0mm, 1.8mm, 1.5mm, 1.2mm, 1.0mm, 0.8mm, 0.7mm, 0.6mm, 0.5mm, 0.4mm, 0.3mm, 및/또는 0.2mm의 메쉬 크기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메쉬 크기를 가지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는, 4개의 스크리닝 수단에서 수행되며,
    상기 스크리닝 수단 각각은,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에 기반한 4개의 분리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5.0에서 0.6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1 스크리닝 수단;
    2.5에서 0.5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2 스크리닝 수단;
    0.6에서 0.2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3 스크리닝 수단; 및
    0.8에서 0.3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갖는 분리 스크린 세트를 포함하는 제4 스크리닝 수단; 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분석 단계는,
    상기 충전재 샘플을 2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바람직하게는 4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8개보다 많은 분석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 분획물 각각은, 기 규정된 범위 내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을 가지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분석 단계 (c) 및/또는 상기 분리 단계 (h), (h'), (h''), 및 (h''')는, 코코넛 껍질, 고운 모래, 굵은 모래, 분급사(graded sand), 과립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분말 고무, 코르크, 유기 충전재,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열가소성 올레핀(TFO), 네오프렌 고무,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획물을 생성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상기 분리 단계에 의해 얻은 분획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에 대하여, 상기 (c) 단계에 따른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j) 상기 스크리닝 수단의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스크린을 교체용 분리 스크린으로 교체하는 단계 - 교체된 상기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는 상기 교체용 분리 스크린의 메쉬 크기와 상이함-; 및
    (k) 상기 (i) 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충전재를 상기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계수의 상기 기 규정된 임계치는, 0.4 이거나 그보다 큰 값, 0.5 이거나 그보다 큰 값, 0.6 이거나 그보다 큰 값, 바람직하게는 0.7이거나 그보다 큰 값, 더욱 바람직하게는 0.8이거나 그보다 큰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0.9이거나 그보다 큰 값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복수의 조성 값 세트 내의 조성 값 세트 각각은, 이전에 분석되고 분리된, 바람직하게는 제2 또는 그 이상의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충전재 제품의 충전재 조성에 대응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상기 제1 조성 값 세트;
    상기 (f) 단계 및/또는 상기 (j)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i) 단계의 분석으로부터 얻은 조성 값 세트;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는,
    방법.
  14. 바람직하게는 고무 및/또는 모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복수의 분획물로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분리 시스템(100)은,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리닝 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는, 충전재(201)를 제1 복수의 분획물(201a)로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리 시스템(100)은,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따른 조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된 충전재(201)의 총 함량에 대한 분리된 분석 분획물 각각의 상대적 함량에 대응하는 제1 조성 값 세트(301)를 얻도록 구성된 사전 분석 유닛(101);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80) - 상기 조성 값 세트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조 잔디 제품 및/또는 제2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로부터 유래한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의 조성에 대응하고 상기 충전재(201)의 분리를 위한 제1 기 규정된 분리 스크린 세트에 대응함 -; 및
    상기 제1 조성 값 세트(301)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80)의 상기 복수의 제2 조성 값 세트 각각 사이의 상관 계수 및/또는 편차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02); 을 더 포함하는,
    분리 시스템(100).
  15. 제14항에 따른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닝 수단(110)의 상기 분리 스크린 세트(111)는, 2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바람직하게는 3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의 분리 스크린(190a, 190b, 190c, 190d)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스크린 각각은, 5.0mm, 4.0mm, 3.0mm, 2.5mm, 2.3mm, 2.0mm, 1.8mm, 1.5mm, 1.2mm, 1.0mm, 0.8mm, 0.7mm, 0.6mm, 0.5mm, 0.4mm, 0.3mm, 또는 0.2mm의 메쉬 크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메쉬 크기를 가지는,
    분리 시스템(100).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4개의 스크리닝 수단(110, 120, 130, 및 140)을 가지며,
    상기 제1 스크리닝 수단(110)은, 5.0에서 0.6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1 분리 스크린 세트(1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리닝 수단(120)은, 2.5에서 0.5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2 분리 스크린 세트(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크리닝 수단(130)은, 0.6에서 0.2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3 분리 스크린 세트(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스크리닝 수단(140)은, 0.8에서 0.3mm까지의 범위 내의 메쉬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4 분리 스크린 세트(141)를 포함하는,
    분리 시스템(100).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에 적합한 분리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분리된 분획물(201b)에 대한 입자 크기 및/또는 비중에 따른 조성을 측정하여, 상기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201)의 분리된 분획물(201b)의 조성에 대응하는 제3 조성 값 세트(303)를 얻도록 구성된 인라인(in-line) 분석 유닛(103)을 더 포함하는,
    분리 시스템(100).
KR1020227011863A 2019-09-10 2020-09-09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20220083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6430.3A EP3792027B1 (en) 2019-09-10 2019-09-10 A turf infil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 dry or dried infill such as from an artificial turf product
EP19196430.3 2019-09-10
PCT/EP2020/075213 WO2021048214A1 (en) 2019-09-10 2020-09-09 A turf infil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 dry or dried infill such as from an artificial turf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693A true KR20220083693A (ko) 2022-06-20

Family

ID=6790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863A KR20220083693A (ko) 2019-09-10 2020-09-09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872594B2 (ko)
EP (2) EP3792027B1 (ko)
JP (1) JP2022547934A (ko)
KR (1) KR20220083693A (ko)
CN (1) CN114728444A (ko)
AU (1) AU2020347461A1 (ko)
CA (1) CA3153985A1 (ko)
DK (1) DK3792027T3 (ko)
ES (1) ES2951334T3 (ko)
FI (1) FI3792027T3 (ko)
MX (1) MX2022002865A (ko)
PL (1) PL3792027T3 (ko)
PT (1) PT3792027T (ko)
WO (1) WO2021048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2027B1 (en) * 2019-09-10 2023-04-26 Re-Match Holding A/S A turf infil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 dry or dried infill such as from an artificial turf product
EP4194835A1 (en) 2021-12-07 2023-06-14 Re-Match Holding A/S Non-destructive method for sampling of infill and kit for use in the method
WO2023131668A1 (en) * 2022-01-06 2023-07-13 Re-Match Holding A/S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reclaiming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a synthetic or artificial turf product
WO2024084061A1 (en) 2022-10-21 2024-04-25 Re-Match Holding A/S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articles from reclaimed artificial turf material,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4255B4 (de) * 1996-12-23 2007-08-30 Herhof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Abfall oder Restabfall
CN1149138C (zh) * 2000-03-10 2004-05-12 张世明 橡胶粉末的分级方法
US7784719B1 (en) * 2005-06-21 2010-08-31 Wellman Plastics Recycling, LLC Methods of recycling post-consumer carpet
JP2007132116A (ja) * 2005-11-11 2007-05-31 Assist International Kk 砂入り人工芝の回収、再利用方法
US9011740B2 (en) 2008-12-15 2015-04-21 Textile Management Associates, Inc. Method of recycling synthetic turf and infill product
IT1394937B1 (it) * 2009-01-12 2012-07-27 Mondo Spa Procedimento per realizzare materiale di riempimento per manti erbosi sintetici, corrispondente materiale e relativo manto erboso sintetico
JP6023070B2 (ja) * 2010-11-24 2016-11-09 オーガニック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固形廃棄物流における湿潤材料および乾燥材料の機械選別
US9045071B2 (en) 2011-07-15 2015-06-02 Turf Industry Holdings Llc Mobile turf infill reclamation system
US20160186387A1 (en) * 2012-04-13 2016-06-30 Mdh Turf, Llc Synthetic turf athletic field maintenance, recycling, reclamation and restoration method using gnss-based equipment guidance
JP5944577B2 (ja) * 2013-03-28 2016-07-05 コロングロ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Kolonglotech.Inc. 人工芝に含まれる充填材をリサイクルするための選別方法および選別装置
KR20140133109A (ko) * 2013-05-09 2014-11-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진재 리사이클용 선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3108A (ko) * 2013-05-09 2014-11-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진재 리사이클용 선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582600B1 (ko) * 2013-11-14 2016-01-0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진재 리사이클용 선별방법
EP2862688B1 (en) * 2013-10-21 2016-07-20 Re-Match (UK) Limited Process for separating a synthetic turf product
US9505033B2 (en) 2014-01-29 2016-11-29 Tarket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recycling infill material of artificial turf
KR20160076215A (ko) 2014-12-22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262264B (zh) * 2017-06-19 2019-04-02 青海盐湖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湿法筛分方法
CN208452022U (zh) * 2018-06-15 2019-02-01 广州佰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分选装置
EP3792027B1 (en) * 2019-09-10 2023-04-26 Re-Match Holding A/S A turf infil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a dry or dried infill such as from an artificial turf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7934A (ja) 2022-11-16
CA3153985A1 (en) 2021-03-18
EP3792027B1 (en) 2023-04-26
MX2022002865A (es) 2022-06-08
EP4269081A3 (en) 2024-02-14
EP4269081A2 (en) 2023-11-01
US20230211378A1 (en) 2023-07-06
US20240139776A1 (en) 2024-05-02
PT3792027T (pt) 2023-07-20
FI3792027T3 (fi) 2023-07-25
US11872594B2 (en) 2024-01-16
DK3792027T3 (da) 2023-07-31
CN114728444A (zh) 2022-07-08
PL3792027T3 (pl) 2023-11-20
EP3792027A1 (en) 2021-03-17
WO2021048214A1 (en) 2021-03-18
AU2020347461A1 (en) 2022-04-21
ES2951334T3 (es)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3693A (ko) 인조 잔디 충전재 분리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제품으로부터 유래한 것과 같은 건조하거나 건조된 충전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CN100482439C (zh) 塑料的多步分离
DK2862688T3 (en) A process for separating an artificial grass product.
US11597121B2 (en) Method recycling a roll of artificial turf
JP2003211092A (ja) 風力選別を利用した再生骨材及び再生路盤材の回収方法
JP5841598B2 (ja) 耐久消費財の耐用期間終了時の該耐久消費財の破砕廃棄物から出る再利用可能なポリマー材料の少なくとも1つのグループの同時の予備濃縮および予備選択
US7090080B2 (en) Free wire reclaimer system for scrap tire processors
EP2096211B1 (en) Disposal system of synthetic grass or similar surfaces
KR20140133109A (ko) 충진재 리사이클용 선별 시스템 및 방법
Anthony Technology to separate rubber crumb from fiber
US20240149190A1 (en) Fluidized bed sorter
CN110340009A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CN115861008A (zh) 一种针对建筑垃圾工艺处理流程的智能监测与预警方法
KR20040058559A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습식 및 건식 겸용재생골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WO2023131668A1 (en) Improved method and system for reclaiming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a synthetic or artificial turf product
JP2003340375A (ja) ゴミ等の分別装置
CN114769281A (zh) 一种小家电回收分选系统
Eraković et al. CHALLENGES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IN THE SOUTHERN SERBIA REGION
CN110340012A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EP2400058A1 (en) Recycling of road s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