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417A -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417A
KR20220083417A KR1020200173641A KR20200173641A KR20220083417A KR 20220083417 A KR20220083417 A KR 20220083417A KR 1020200173641 A KR1020200173641 A KR 1020200173641A KR 20200173641 A KR20200173641 A KR 20200173641A KR 20220083417 A KR20220083417 A KR 2022008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inspection
fi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258B1 (ko
Inventor
김재문
오효석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2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PFC토폴로지를 컨버터에 포함되도록 하고, 입력전압, 전류에 따라 PWM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역률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유도등 자체에서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유도등을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에서의 상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A Smart Guiding Light with High Power Factor and Checking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PFC토폴로지를 컨버터에 포함되도록 하고, 입력전압, 전류에 따라 PWM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역률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유도등 자체에서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유도등을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에서의 상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역사, 건물 등에는 비상구의 위치를 안내하고 화재 등의 재해시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유도등이 사용된다.
유도등은 평상시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고 있으며, 정전시에는 자체에 내장된 비상전원(축전지)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도록 하여 비상구까지 이어지는 어두운 통로를 밝힘으로써 안전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도등은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그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LED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LED의 경우에도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역률이 크게 저하되어 전력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도등은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해야 하고, 정전시에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비상 전원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기존에는 이를 점검하기 위해 수시로 각 유도등에 접근하여 별도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져야만 했다. 따라서, 유도등의 위치에 따라 사다리를 사용해야 하는 등 불편함과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점검사항도 작동 여부에 관한 확인만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정확한 점검와 점검에 따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도등은 점등된 상태만을 유지하므로 실제 화재 등의 발생시에 유도등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청각 장애인, 시각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단순 점등되는 유도등을 통해 정확한 피난구, 비상구 등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어려웠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994649호(2019.06.25. 등록)"비상구 유도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PFC토폴로지를 컨버터에 포함되도록 하고, 입력전압, 전류에 따라 PWM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역률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유도등 자체에서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유도등을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에서의 상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 이에 따른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에 대한 상태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의 상태 점검시 상용전원을 차단하고 보조전원부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파악하여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전원에 의한 스마트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정확하게 점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와는 별개로 점멸부와 음성출력부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화재시 효과적인 대피의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장애인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한 정상 작동 여부도 원격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위치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이 스마트 유도등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피난 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점검도 함께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주변의 스마트 유도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점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의 위치를 함께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유도등의 위치에 따른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 및 각각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 즉각적인 상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은 피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어 점등되는 조명부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는 직류 파형의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상태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회로를 형성하는 PFC토폴로지와; PFC토폴로지에 대해 입력되는 전압, 전류값에 따라 역률을 보정하기 위한 PWM신호를 발생시키는 PWM제어부와; PFC토폴로지 상에 형성되어 PWM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은 정전시 조명부의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와, 화재 발생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경보부와, 조명부, 보조전원부 및 화재경보부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리자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관리자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조명부, 보조전원부 및 화재경보부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용량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유도등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점검요청수신모듈과, 점검 요청 수신시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AC전원차단모듈과,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밝기측정요청모듈과, 상기 보조전원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조명부의 밝기 및 보조전원부의 전압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전압에 따른 잔여용량 및 각각에 대한 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점검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보부는 화재 발생시 별도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멸부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화재 점검 신호에 따라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를 작동시키는 경보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경보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점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과, 화재 점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를 작동시키는 경보작동모듈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보 종료신호를 수신하는 종료정보수신모듈과, 종료정보의 수신에 따라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작동중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는 화재가 감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점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화재 신호에서 화재가 감지된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화재위치검출모듈과, 화재가 감지된 위치에 따라 피난 경로를 설정하는 피난경로설정모듈과, 설정된 피난경로에 따른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피난방향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은 철도역사, 건물의 피난 경로에 형성되어 점등되는 스마트 유도등과; 상기 스마트 유도등과 연결되어 점검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스마트 유도등으로부터 점검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점검 일자를 설정하는 점검일설정부와, 점검을 실시할 유도등을 연결하는 유도등연결부와, 연결된 유도등에 대해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요청부와, 요청된 점검에 따른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 가능범위에 위치한 유도등 목록을 표시하는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과, 검색된 유도등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유도등과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등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관리자단말기 주변의 유도등을 위치별로 표시하는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은 유도등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모듈과, 통신 가능범위에 위치하는 유도등의 식별정보와 저장된 위치정보를 매칭시키는 식별정보매칭모듈과, 매칭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에 유도등을 표시하는 위치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유도등위치확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등위치확인모듈은 등록된 건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건물정보표시모듈과, 표시된 건물 중 선택된 건물의 등록된 층 정보를 표시하는 층정보표시모듈과, 층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층의 위치별 유도등 정보를 도면 또는 지도상에 표시하는 유도등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점검요청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연결된 스마트 유도등으로 점검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점검요청송신모듈과, 점검 진행중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모듈과, 스마트 유도등의 상용전원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AC전원상태표시모듈과,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점검 종료 정보를 송신하여 상용전원이 복귀되도록 하는 점검종료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스마트 유도등으로부터 점검정보를 수신하는 점검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점검정보에 따라 유도등의 밝기를 표시하는 유도등밝기표시모듈과, 유도등 밝기에 대한 정상 또는 비정상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유도등상태표시모듈과,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배터리용량표시모듈과, 잔여 용량에 대한 정상 또는 비정상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배터리상태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화재 신호를 발생시켜 화재경보부의 작동 여부를 점검하도록 하는 화재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화재신호를 스마트 유도등으로 전송하는 화재신호전송모듈과,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전송표시모듈과, 화재신호 전송의 종료정보를 전송하는 종료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점검부는 화재 감지 센서의 위치를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재센서표시모듈과, 화재 감지 센서의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 정보를 스마트 유도등으로 전송하는 화재정보전송모듈과, 타 화재 감지 센서의 선택에 따라 화재 발생 위치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변경출력모듈과, 출력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출력종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PFC토폴로지를 컨버터에 포함되도록 하고, 입력전압, 전류에 따라 PWM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역률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유도등 자체에서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유도등을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원격에서의 상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 이에 따른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조명부 및 보조전원부에 대한 상태 파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의 상태 점검시 상용전원을 차단하고 보조전원부의 작동에 따른 상태를 파악하여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전원에 의한 스마트 유도등의 작동 상태가 정확하게 점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와는 별개로 점멸부와 음성출력부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화재시 효과적인 대피의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장애인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한 정상 작동 여부도 원격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감지 위치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이 스마트 유도등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피난 유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점검도 함께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주변의 스마트 유도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점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점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유도등의 위치를 함께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유도등의 위치에 따른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 및 각각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 즉각적인 상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역률 저하가 발생되는 종래 유도등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의 전압,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도 1의 조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1의 보조전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의 외형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도 6의 음성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을 위한 점검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관리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관리자단말기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도 9의 점검일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점검일설정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9의 유도등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유도등연결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7은 유도등위치확인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8은 도 9의 점검요청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9는 점검요청부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0은 도 9의 상태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상태표시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2는 도 9의 화재점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3은 화재점검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유도등(1)은 피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점등되는 조명부(12)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부(12)에 공급하는 컨버터와, 정전시 조명부(12)의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13)와, 화재 발생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경보부(14)와, 스마트 유도등(1)의 외형을 형성하는 유도등본체(15)와, 조명부(12), 보조전원부(13) 및 화재경보부(14)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리자단말기(3)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6)와, 관리자단말기(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조명부(12), 보조전원부(13) 및 화재경보부(14)의 상태를 점검하여 전송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도등(1)은 철도역사, 건물 등 다양한 시설의 피난구, 비상구 등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재해 발생시 피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스마트 유도등(1)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LED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해 나온 직류 파형을 평활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캐패시터에 의해 전류 파형의 왜곡이 발생하여 역률이 크게 저하되었고, 이에 따라 전력소모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하도록 하면서, 입력되는 전압, 전류에 따라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PWM신호를 형성하여 전압, 전류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역률의 향상을 통한 전력소모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마트 유도등(1)은 화재 등의 재해 발생에 의한 정전시에도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점등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점검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 직접 유도등을 조작하여 점검했던 것과는 달리 직접 접촉 없이 원격에서의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여 점검의 편의성과 신속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컨버터(11)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유도등(1)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이백 컨버커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컨버터(11)는 역률의 향상을 위해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하여 회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또는 노이즈 필터용인 저용량의 캐패시터만을 회로에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버터(11)는 전압, 전류의 파형을 일치시켜 역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PWM신호를 생성하여 전압, 전류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버터(11)는 PFC토폴로지(111), PWM제어부(112), 스위칭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FC토폴로지(111)는 역률 향상을 위한 회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플라이백 컨버터 내에서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과하는 직류 파형을 평활화하기 위한 캐패시터를 회로에서 제거하도록 하며, 노이즈 필터용인 저용량의 캐패시터만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FC토폴로지(111) 상에는 스위칭부(113)가 형성되어 전압, 전류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PWM제어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13)의 작동이 조절되어 전압, 전류 파형을 일치시키도록 전압, 전류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WM제어부(112)는 전압, 전류의 제어를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입력되는 전압, 전류값에 따라 전압, 전류의 파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PWM제어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회로를 형성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하며, 생성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13)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부(113)는 PWM제어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 작동이 조절되는 구성으로, 상기 PFC토폴로지(111) 상에 형성되어 PFC토폴로지(1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전류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113)는 PFC토폴로지(1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전류의 파형이 일치되도록 하여 역률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버터(11)의 작동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과 전류의 파형이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99.6%까지 역률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조명부(12)는 피난 경로의 안내를 위해 점등되는 구성으로, 상시 점등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2)는 LE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밝기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밝기를 측정하거나 또는 조명부(12)로 공급되는 전류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명부(12)는 정전시의 밝기 유지가 중요하므로, 상용전원에 의한 공급이 차단되고 보조전원부(13)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때의 밝기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부(12)는 LED모듈(121), 휘도측정모듈(122), 전류측정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121)은 피난 경로의 안내를 위해 점등되는 구성으로, 상기 유도등본체(15) 내부에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121)은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컨버터(11)를 거친 직률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으며, 정전시에는 보조전원부(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다. 상기 LED모듈(121)은 너무 밝지도 어둡지도 않은 적정 범위의 밝기로 점등이 유지되어야 하며, 특히 보조전원부(13)에 의한 전원 공급시에도 적정 범위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LED모듈(121)은 휘도측정모듈(122) 또는 전류측정모듈(123)에 의해 그 밝기가 측정되어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휘도측정모듈(122)은 상기 LED모듈(121)의 직접적인 밝기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LED모듈(121)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7)에 의한 요청에 따라 밝기를 측정하여 상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류측정모듈(123)은 LED모듈(12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휘도측정모듈(122) 대신 LED모듈(121)의 밝기를 측정하는데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류측정모듈(123)은 LED모듈(121)과 연결되는 회로 상에 형성되어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흐르는 전류값에 따라 LED모듈(121)의 밝기를 연산하여 상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부(13)는 스마트 유도등(1)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정전에 의해 상용전원에 의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부(13)는 일정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전시에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부(13)는 그 작동 상태가 수시로 점검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어부(17)에 의한 제어에 따라 남아있는 전력용량이 측정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압측정모듈(132)을 통해 전압을 측정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측정된 정보가 관리자단말기(3)로 전송되어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보부(14)는 화재 등의 재해 발생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빛의 점멸과 음성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경보부(14)는 상기 조명부(12)만의 점등을 통해 피난 경로를 안내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피난 경로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에 대해서도 피난 경로의 안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화재경보부(14)는 음성을 출력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해서도 피난 상황과 경로를 안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명부(12)와는 별개로 점멸되는 빛을 출력하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 등에게 더욱 확실한 경보 및 안내 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보부(14)는 별도의 화재 등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화재 신호 등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 신호의 수신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재경보부(14)도 상기 제어부(17)에 의한 요청에 따라 작동 여부가 확인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3)를 통해 수시로 정상 작동 여부의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경보부(14)는 빛의 점멸이 이루어지는 점멸부(141)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4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멸부(141)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빛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LED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컨버터(11)를 통과하는 상용전원 또는 보조전원부(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42)는 피난 경로 안내를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점멸부(141)와 함께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42)는 단순히 화재 등의 발생을 안내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더욱 정확한 피난 경로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각 유도등(1)에 따라 피난 방향의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출력부(142)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 즉 화재가 감지된 위치에 따라 각 유도등(1) 별로 피난이 이루어져야 할 방향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화재 신호의 수신시 화재 감지 센서 등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등을 함께 수신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저장된 피난 경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출력부(142)는 화재정보수신모듈(142a), 화재위치검출모듈(142b), 피난경로설정모듈(142c), 피난방향출력모듈(1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정보수신모듈(142a)은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화재 감지 센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화재정보수신모듈(142a)에 의해 수신되는 화재 정보에는 화재가 감지된 센서의 식별정보, 위치정보 등을 함께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위치검출모듈(142b)은 화재 등이 발생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화재정보수신모듈(142a)에 의해 수신된 화재 정보에서 식별정보 등을 통해 위치 정보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난경로설정모듈(142c)은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피난 경로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각 유도등(1)별로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피난 경로를 설정하여 두고 이에 따른 자동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난경로설정모듈(142c)은 오른쪽, 왼쪽, 윗층, 아랫층 등의 방향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방향과 함께 구체적인 피난구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피난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난방향출력모듈(142d)은 피난경로설정모듈(142c)에 의해 저장된 피난 안내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본체(15)는 유도등(1)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a) 또는 벽면(b)에 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등본체(15)는 내부에 조명부(12), 보조전원부(13), 통신부(16), 제어부(17) 등의 구성이 수용되도록 하며, 외면에는 점멸부(141), 음성출력부(142)가 별도로 형성되어 화재 등의 발생에 따른 점멸신호, 음성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는 외부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3) 등과 점검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형성되어 관리자단말기(3)가 근접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점검의 요청 및 점검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16)는 유도등(1)에 대한 직접 접촉없이 원격에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통신부(16)는 유선을 통해 관리자단말기(3)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중계장치 등을 통해 관리자단말기(3)와 연결되어 특정 장소에서 다수의 유도등(1)에 대한 통신과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는 유도등(1)의 상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신부(16)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단말기(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유도등(1)의 상태를 점검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7)는 조명부(12), 보조전원부(13)에 대한 상태를 점검하여 전송하는 유도등점검부(171)와, 화재경보부(14)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점검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점검부(171)는 유도등(1)의 조명부(12) 및 보조전원부(13)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정확한 상태 점검을 위해 상용전원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등점검부(171)는 조명부(12)에 대해서는 밝기 정보를 측정하도록 요청하고, 보조전원부(13)에 대해서는 전압을 측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등점검부(171)는 점검요청수신모듈(171a), AC전원차단모듈(171b), 밝기측정요청 전압측정요청모듈(171d), 상태판단모듈(171e), 점검정보전송모듈(171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요청수신모듈(171a)은 관리자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신부(16)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AC전원차단모듈(171b)은 컨버터(11)를 통해 전달되는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포토커플러 등을 이용하여 컨버터(11)를 통한 전원 공급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C전원차단모듈(171b)을 통해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보조전원부(13)로부터 조명부(12)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보조전원부(13)의 상태가 정확하게 점검될 수 있다.
상기 밝기측정요청모듈(171c)은 LED모듈(121)의 밝기가 측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명부(12)의 휘도측정모듈(122) 또는 전류측정모듈(123)을 통해 밝기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압측정요청모듈(171d)은 보조전원부(13)의 전압 측정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압측정모듈(132)에 의해 전압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보조전원부(13)의 잔여 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태판단모듈(171e)은 LED모듈(121)의 밝기, 보조전원부(13)의 잔여 용량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정상/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판단모듈(171e)은 상기 휘도측정모듈(122) 또는 전류측정모듈(123)에 의해 측정되는 밝기값에 따라 밝기의 정도를 단계로 구분하도록 할 수 있고, 전압측정모듈(132)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에 따라 잔여 용량을 (%)의 형태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밝기의 단계, 잔여용량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상/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정보전송모듈(171f)은 조명부(12), 보조전원부(13)에 대한 점검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밝기의 단계에 관한 정보, 보조전원부(13)의 잔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이들에 관한 상태판단정보를 전송하여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보점검부(172)는 상기 화재경보부(14)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관리자단말기(3)에 의해 전송되는 화재 점검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부(14)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보점검부(172)는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관리자단말기(3)로부터 전송하여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종료정보도 수신하여 경보 신호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보점검부(172)는 화재 점검신호가 화재감지센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음성출력부(142)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경보점검부(172)는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172a), 경보작동모듈(172b), 종료정보수신모듈(172c), 작동중단모듈(17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172a)은 관리자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화재점검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화재 발생시와 동일한 화재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신호에는 화재가 발생된 위치정보 또는 화재가 감지된 센서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보작동모듈(172b)은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172a)에 의해 수신되는 화재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부(14)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점멸부(141) 및 음성출력부(142)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화재경보부(14)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료정보수신모듈(172c)은 관리자단말기(3)로부터 전송되는 경보 종료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경보 작동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고 난후 관리자단말기(3)에 의한 입력에 따른 종료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중단모듈(172d)은 화재경보부(14)의 작동을 중단하는 구성으로, 상기 종료정보수신모듈(172c)에 의해 수신되는 종료정보에 따라 점멸부(141) 및 음성출력부(142)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1)을 위한 점검시스템을 도 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점검시스템은 철도역사, 건물의 피난 경로에 형성되어 점등되는 스마트 유도등(1)과; 상기 스마트 유도등(1)과 연결되어 점검 신호를 송신하며, 스마트 유도등(1)으로부터 점검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기(3);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유도등(1)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는 스마트 유도등(1)에 대한 점검을 요청하고, 요청된 점검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무선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유도등(1)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점검을 요청하고, 점검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스마트 유도등(1)에 대한 직접 접촉 없이도 관리자단말기(3) 하나로 스마트 유도등(1)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기(3)는 유선으로 또는 별도의 중계장치를 통해 유도등(1)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관제 PC로 형성되어 전체 스마트 유도등(1)에 대한 상태 점검이 특정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관리자단말기(3)가 무선 스마트단말기로 형성되어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3)는 점검일설정부(31), 유도등연결부(32), 점검요청부(33), 상태표시부(34), 화재점검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일설정부(31)는 점검을 실시하는 날짜를 지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기(3)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설정아이콘(31a)의 선택을 통해 점검일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일설정부(31)는 점검된 날짜별로 점검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추후 점검정보에 대한 확인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일설정부(31)는 점검일선택창출력모듈(311), 점검일저장모듈(312), 점검일표시모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일선택창출력모듈(311)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일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설정아이콘(31a)의 선택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일선택창출력모듈(311)은 점검하는 년, 월, 일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일저장모듈(312)은 선택된 점검날짜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선택된 날짜에 대한 점검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일표시모듈(313)은 저장된 점검날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연결부(32)는 유도등(1)과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신부(16)와의 무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연결부(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기(3) 화면에 연결아이콘(32a)을 표시하도록 하고, 연결아이콘(32a)의 선택을 통해 유도등(1)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3)와 통신 가능 범위에 있는 유도등(1)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선택에 따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등연결부(32)는 유도등(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통신 가능 범위의 유도등(1)들을 위치별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유도등(1)의 위치를 도면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등연결부(32)는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321),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322), 유도등위치확인모듈(323), 유도등연결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321)은 관리자단말기(3) 주변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유도등(1)의 목록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1)의 식별정보와 함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322)은 상기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321)에 의해 표시되는 유도등(1)들을 위치별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도면 상에 유도등(1)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322)은 위치정보저장모듈(322a), 식별정보매칭모듈(322b), 위치표시모듈(3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저장모듈(322a)은 유도등(1)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도면상에서의 위치정보를 유도등(1)에 대한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미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식별정보매칭모듈(322b)은 상기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321)에 의해 검색되는 유도등(1)들의 식별정보를 위치정보저장모듈(322a)에 의해 저장된 정보와 매칭시키는 구성으로, 검색되는 유도등(1)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표시모듈(322c)은 검색되는 유도등(1)들을 위치별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등의 도면 상에 검색된 유도등(1)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유도등(1)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위치확인모듈(323)은 도면 상에서의 유도등(1)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없이 위치의 확인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도등위치확인모듈(323)은 건물정보표시모듈(323a), 층정보표시모듈(323b), 유도등정보표시모듈(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정보표시모듈(323a)은 저장되어 있는 건물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층정보표시모듈(323b)은 각 건물별로 저장된 층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건물정보표시모듈(323a)에 의해 표시된 건물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층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정보표시모듈(323c)은 각 층의 저장된 유도등(1)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에 유도등(1)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연결모듈(324)은 관리자단말기(3)와 연결이 완료된 유도등(1)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1)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유도등(1)의 건물정보, 층정보, 위치정보 등의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도등연결모듈(324)은 관리자단말기(3) 화면을 통한 선택에 따라 유도등(1)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321) 또는 위치표시모듈(322c)에 의해 표시되는 유도등(1)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요청부(33)는 상기 유도등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된 유도등(1)에 대해 점검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되는 점검조절아이콘(33a)의 조절을 통해 점검의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요청부(33)는 점검 상태, 유도등(1)의 상용전원 상태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점검이 완료된 경우 종료정보도 전송하여 상용전원의 연결이 다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점검요청부(33)는 점검요청송신모듈(331), 점검상태표시모듈(332), AC전원상태표시모듈(333), 점검종료송신모듈(3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요청송신모듈(331)은 연결된 유도등(1)에 대한 점검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점검조절아이콘(33a)의 조절을 통해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상태표시모듈(332)은 점검요청이 전송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C전원상태표시모듈(333)은 유도등(1)의 상용전원에 대한 차단 여부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유도등(1)으로부터 차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C전원상태표시모듈(333) 역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이 차단이 이루어진 경우 "OFF"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종료송신모듈(334)은 점검이 완료된 경우 종료정보를 유도등(1)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점검조절아이콘(33a)의 조절을 통해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검종료송신모듈(334)에 의해 종료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유도등(1)의 상용전원은 다시 연결되어 유도등(1)에 대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태표시부(34)는 유도등(1)에 대한 점검 상태를 관리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점검요청부(33)에 대한 점검의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자동으로 유도등(1)으로부터 점검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상태표시부(34)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1)의 밝기, 보조전원부(13)의 잔여용량, 및 이들에 관한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태표시부(34)는 점검정보수신모듈(341), 유도등밝기표시모듈(342), 유도등상태표시모듈(343), 배터리용량표시모듈(344), 배터리상태표시모듈(3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정보수신모듈(341)은 유도등(1)에 의해 점검이 이루어진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도등(1)의 점검정보전송모듈(171f)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유도등밝기표시모듈(342)은 유도등(1)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밝기에 대한 단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도등상태표시모듈(343)은 유도등 밝기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정상/비정상의 상태판단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용량표시모듈(344)은 보조전원부(13)의 잔여용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잔여 %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상태표시모듈(345)은 잔여 용량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정상/비정상의 상태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화재점검부(35)는 상기 화재경보부(14)의 작동 점검을 위한 화재신호를 유도등(1)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화재점검부(35)에 의한 화재 신호의 전송에 따라 상기 유도등(1)의 경보점검부(172)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화재점검부(35)는 화재경보부(14)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점검부(35)는 화재신호의 전송시 화재발생위치가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142)에 의한 음성의 출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점검부(35)는 화재신호전송모듈(351), 전송표시모듈(352), 종료정보전송모듈(353), 화재센서표시모듈(354), 화재정보전송모듈(355), 변경출력모듈(356), 출력종료모듈(3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신호전송모듈(351)은 화재경보부(14)의 작동 점검을 위한 화재신호를 유도등(1)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재발생아이콘(35a)을 선택하여 화재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신호전송모듈(351)에 의해 화재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경보점검부(172)를 통해 화재경보부(14)의 점멸부(141), 음성출력부(142)가 작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송표시모듈(352)은 화재신호의 전송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에 관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료정보전송모듈(353)은 화재신호의 전송을 종료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화재발생을 표시중인 화재발생아이콘(35a)의 선택을 통해 종료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화재경보부(14)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센서표시모듈(354)은 위치별 화재센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화재센서의 선택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화재 발생정보를 유도등(1)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센서표시모듈(354)은 도면상에 위치별로 화재센서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목록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기(3)를 통한 선택에 따라 화재발생위치가 매칭되어 화재신호와 함께 유도등(1)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재정보전송모듈(355)은 화재발생위치가 매칭된 화재신호를 유도등(1)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화재발생위치에 따른 음성출력부(142)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발생위치에 따라 설정된 음성출력부(142)의 안내 음성이 제대로 나오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경출력모듈(356)은 화재발생위치를 변경하여 화재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화재센서표시모듈(354)에 의해 표시된 화재센서 중 다른 센서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화재신호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에 다양한 위치의 화재 발생에 대한 음성 안내 정보가 제대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력종료모듈(357)은 화재 위치에 따른 경고 출력을 중단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아이콘 선택을 통해 종료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유도등
11: 컨버터 111: PFC토폴로지 112: PWM제어부 113: 스위칭부
12: 조명부 121: LED모듈 122: 휘도측정모듈 123: 전류측정모듈
13: 보조전원부 131: 전압측정모듈
14: 화재경보부 141: 점멸부 142: 음성출력부
142a: 화재정보수신모듈 142b: 화재위치검출모듈
142c: 피난경로설정모듈 142d: 피난방향출력모듈
15: 유도등본체 16: 통신부 17: 제어부
171: 유도등점검부 171a: 점검요청수신모듈 171b: AC전원차단모듈
171c: 밝기측정요청모듈 171d: 전압측정요청모듈
171e: 상태판단모듈 171f: 점검정보전송모듈 172: 경보점검부
172a: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 172b: 경보작동모듈
172c: 종료정보수신모듈 172d: 작동중단모듈
3: 관리자단말기
31: 점검일설정부 311: 점검일선택창출력모듈 312: 점검일저장모듈
313: 점검일표시모듈 32: 유도등연결부 321: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
322: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 322a: 위치정보저장모듈
322b: 식별정보매칭모듈 322c: 위치표시모듈 323: 유도등위치확인모듈
323q: 전원정보표시모듈 323b: 층정보표시모듈
323c: 유도등정보표시모듈 324: 유도등연결모듈
33: 점검요청부 331: 점검요청송신모듈 332: 점검상태표시모듈
333: AC전원상태표시모듈 334: 점검종료송신모듈 34: 상태표시부
341: 점검정보수신모듈 342: 유도등밝기표시모듈
343: 유도등상태표시모듈 344: 배터리용량표시모듈
345: 배터리상태표시모듈 35: 화재점검부 351: 화재신호전송모듈
352: 전송표시모듈 353: 종료정보전송모듈 354: 화재센서표시모듈
355: 화재정보전송모듈 356: 변경출력모듈 357: 출력종료모듈

Claims (16)

  1. 피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어 점등되는 조명부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조명부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는,
    직류 파형의 평활화를 위한 캐패시터를 제거한 상태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회로를 형성하는 PFC토폴로지와; PFC토폴로지에 대해 입력되는 전압, 전류값에 따라 역률을 보정하기 위한 PWM신호를 발생시키는 PWM제어부와; PFC토폴로지 상에 형성되어 PWM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도등은
    정전시 조명부의 작동을 위한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와,
    화재 발생시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화재경보부와,
    조명부, 보조전원부 및 화재경보부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리자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관리자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조명부, 보조전원부 및 화재경보부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잔여용량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유도등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점검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점검요청수신모듈과, 점검 요청 수신시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AC전원차단모듈과, 상기 조명부의 밝기를 측정하도록 하는 밝기측정요청모듈과, 상기 보조전원부의 전압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조명부의 밝기 및 보조전원부의 전압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조명부의 밝기, 보조전원부의 전압에 따른 잔여용량 및 각각에 대한 상태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점검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보부는
    화재 발생시 별도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멸부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화재 점검 신호에 따라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를 작동시키는 경보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점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점검신호수신모듈과, 화재 점검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를 작동시키는 경보작동모듈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보 종료신호를 수신하는 종료정보수신모듈과, 종료정보의 수신에 따라 점멸부 및 음성출력부의 작동을 중단하는 작동중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부는
    화재가 감지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점검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화재 신호에서 화재가 감지된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화재위치검출모듈과, 화재가 감지된 위치에 따라 피난 경로를 설정하는 피난경로설정모듈과, 설정된 피난경로에 따른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피난방향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8. 철도역사, 건물의 피난 경로에 형성되어 점등되는 스마트 유도등과;
    상기 스마트 유도등과 연결되어 점검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스마트 유도등으로부터 점검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관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유도등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 유도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점검 일자를 설정하는 점검일설정부와, 점검을 실시할 유도등을 연결하는 유도등연결부와, 연결된 유도등에 대해 점검을 요청하는 점검요청부와, 요청된 점검에 따른 점검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 가능범위에 위치한 유도등 목록을 표시하는 유도등검색정보표시모듈과, 검색된 유도등 중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유도등과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등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관리자단말기 주변의 유도등을 위치별로 표시하는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별유도등표시모듈은,
    유도등별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위치정보저장모듈과, 통신 가능범위에 위치하는 유도등의 식별정보와 저장된 위치정보를 매칭시키는 식별정보매칭모듈과, 매칭된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에 유도등을 표시하는 위치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연결부는
    유도등의 위치를 표시하여 나타내는 유도등위치확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등위치확인모듈은,
    등록된 건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건물정보표시모듈과, 표시된 건물 중 선택된 건물의 등록된 층 정보를 표시하는 층정보표시모듈과, 층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층의 위치별 유도등 정보를 도면 또는 지도상에 표시하는 유도등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요청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연결된 스마트 유도등으로 점검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점검요청송신모듈과, 점검 진행중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점검상태표시모듈과, 스마트 유도등의 상용전원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AC전원상태표시모듈과,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점검 종료 정보를 송신하여 상용전원이 복귀되도록 하는 점검종료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스마트 유도등으로부터 점검정보를 수신하는 점검정보수신모듈과, 수신된 점검정보에 따라 유도등의 밝기를 표시하는 유도등밝기표시모듈과, 유도등 밝기에 대한 정상 또는 비정상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유도등상태표시모듈과, 보조전원부의 잔여 용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배터리용량표시모듈과, 잔여 용량에 대한 정상 또는 비정상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배터리상태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는
    화재 신호를 발생시켜 화재경보부의 작동 여부를 점검하도록 하는 화재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점검부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한 선택에 따라 화재신호를 스마트 유도등으로 전송하는 화재신호전송모듈과, 전송 여부를 표시하는 전송표시모듈과, 화재신호 전송의 종료정보를 전송하는 종료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점검부는
    화재 감지 센서의 위치를 관리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화재센서표시모듈과, 화재 감지 센서의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발생 정보를 스마트 유도등으로 전송하는 화재정보전송모듈과, 타 화재 감지 센서의 선택에 따라 화재 발생 위치를 변경하여 전송하는 변경출력모듈과, 출력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출력종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도등 점검시스템.
KR1020200173641A 2020-12-11 2020-12-11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KR10259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41A KR102597258B1 (ko) 2020-12-11 2020-12-11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41A KR102597258B1 (ko) 2020-12-11 2020-12-11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417A true KR20220083417A (ko) 2022-06-20
KR102597258B1 KR102597258B1 (ko) 2023-11-01

Family

ID=8225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41A KR102597258B1 (ko) 2020-12-11 2020-12-11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2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71A (ja) * 1997-06-30 1999-01-2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点滅形誘導灯装置および点滅形誘導灯システム
JP2012164678A (ja) * 2012-04-25 2012-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灯点灯装置
KR101219105B1 (ko) * 2012-04-20 2013-01-11 주식회사 천일 엘이디 조명기기
JP2013247742A (ja) * 2012-05-24 2013-12-09 Toyota Industries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8055797A (ja) * 2016-09-26 2018-04-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JP2018120750A (ja) * 2017-01-25 2018-08-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71A (ja) * 1997-06-30 1999-01-2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点滅形誘導灯装置および点滅形誘導灯システム
KR101219105B1 (ko) * 2012-04-20 2013-01-11 주식회사 천일 엘이디 조명기기
JP2012164678A (ja) * 2012-04-25 2012-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灯点灯装置
JP2013247742A (ja) * 2012-05-24 2013-12-09 Toyota Industries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8055797A (ja) * 2016-09-26 2018-04-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JP2018120750A (ja) * 2017-01-25 2018-08-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258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187B2 (ja) 光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710995B2 (en) Lighting apparatus
JP3147873U (ja) 警報器
KR101902888B1 (ko) Iot 모듈 및 led를 이용한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09327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7109163B2 (ja) モニタ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19508791A (ja) 照明兼用火災感知装置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597258B1 (ko) 고역률 스마트 유도등 및 이를 위한 점검시스템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JP525536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6501174B2 (ja) 誘導灯信号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JP5376012B2 (ja) 照明機器
KR101743059B1 (ko) 랜턴 겸용 다목적 비상상황 검출램프
JP7339606B2 (ja) 負荷制御装置
KR101807262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2014241289A (ja)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KR20100032120A (ko) 대피 유도등 그룹 제어 시스템
KR101777378B1 (ko) 자동화재 탐지설비
KR20140061563A (ko) 화재경보기
KR20140042262A (ko) 비상조명등용 리모콘
JP2011249255A (ja)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JP7340844B2 (ja) 点検動作の自動的な開始が可能な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2321253B1 (ko) 자동화재 탐지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