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599A - 가스엔진 히트펌프 - Google Patents

가스엔진 히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599A
KR20220082599A KR1020200172644A KR20200172644A KR20220082599A KR 20220082599 A KR20220082599 A KR 20220082599A KR 1020200172644 A KR1020200172644 A KR 1020200172644A KR 20200172644 A KR20200172644 A KR 20200172644A KR 20220082599 A KR20220082599 A KR 2022008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olt
disposed
bel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호
정호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599A/ko
Publication of KR2022008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02Engine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Engines with crankcase pumps
    • F02B33/06Engine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Engines with crankcase pump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other than simple crankcase pumps
    • F02B33/10Engine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Engines with crankcase pump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other than simple crankcase pumps with the pumping cylinder situated between working cylinder and crankcase, or with the pumping cylinder surrounding working cylinder
    • F02B33/12Engine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Engines with crankcase pumps with reciprocating-piston pumps other than simple crankcase pumps with the pumping cylinder situated between working cylinder and crankcase, or with the pumping cylinder surrounding working cylinder the rear face of working piston acting as pumping member and co-operating with a pumping chamber isolated from crankcase, the connecting-rod passing through the chamber and co-operating with movable isolat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21Construction
    • F02F2007/0041Fixin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7/00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 F25B2327/001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of the internal combus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엔진 히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에 고정 결합되는 커넥팅블럭; 상기 커넥팅블럭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서브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축기;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2압축기; 상기 서브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3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1벨트; 및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다른 하나,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2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엔진 히트펌프 {Gas engine driven heatpump}
본 발명은 가스엔진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및 압축기를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기구 및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히트펌프 사이클에서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압축기를 구동시켜야 하고, 공기조화기를 압축기 구동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EHP(Electric Heat Pump) 및 GHP(Gas engine driven Heat Pump)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EHP 방식이 모터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압축기를 구동하는 방식인 것에 비해, GHP 방식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을 이용하여 압축기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연료비가 저렴하고, 냉난방 용량의 대형화가 가능하여 산업용이나 대형빌딩 등에 사용하기가 적합하다. 또한, 전력수급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GHP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엔진과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벨트는 주로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벨트가 사용된다. 그러나, 엔진과 압축기에서는 진동이 비교적 크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진동이 지속적으로 전달된 고무 재질의 벨트가 늘어나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벨트가 늘어갈 경우, 엔진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압축기에 온전히 전달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심한 경우, 벨트가 이탈하여, 엔진 또는 다른 구성을 파손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KR 10-2003-0077905)은 버스에 장착되는 에어컨 컴프레서의 벨트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토션레버를 회전시키면 에어컨 컴프레서도 같이 회전되어 벨트의 장력이 조절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압축기를 고정하는 구조가 정정 구조에 가까워 엔진 및 압축기의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작용할 경우, 압축기나 토션레버 등의 구성이 쉽게 변형되어 신뢰성과 내구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3-0077905 (2003.11.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엔진과 압축기에 벨트가 안정적인 구조로 배치될 수 있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엔진과 세개의 압축기가 두개의 벨트로 서로 연결된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개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둘의 벨트 장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벨트의 장력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압축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적절한 벨트접촉각을 유지하여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엔진과 압축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엔진 히트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엔진 히트펌프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에 고정 결합되는 커넥팅블럭; 상기 커넥팅블럭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서브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축기;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2압축기; 상기 서브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3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1벨트; 및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다른 하나,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2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블럭과 상기 메인바디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블럭과 상기 메인바디의 위치 차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볼트는,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1볼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블록은 상기 제1-1볼트바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1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1조절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체결구 하측에 배치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볼트는 상기 제1관통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너비가 큰 제1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볼트는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2볼트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볼트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의 위치 차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볼트는,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1볼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2-1볼트바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2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조절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2체결구 하측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절볼트는 상기 제2관통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너비가 큰 제2리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볼트는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2볼트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1볼트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팅블럭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를 상기 커넥팅블럭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볼트의 결합방향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볼트는 상기 제1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팅블록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볼트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폭보다 큰 너비를 갖는 제1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볼트의 결합방향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바디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볼트는 상기 제2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볼트는 상기 제2가이드홈의 폭보다 큰 너비를 갖는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1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2압축기가 배치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팅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커넥팅프레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및 제2벨트와 연결되는 엔진풀리과, 상기 제1압축기,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제3압축기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2벨트와 연결되는 제1압축기풀리, 제2압축기풀리 및 제3압축기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및 제2벨트와 연결되는 엔진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블럭은 상기 엔진풀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제1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고, 상기 제2벨트는 상기 제2압축기, 상기 제3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제2벨트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각은 모두 90도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제1압축기,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고, 상기 제2벨트는 상기 제3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제2벨트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각은 모두 90도 이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엔진 히트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엔진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벨트의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에 의해, 엔진과 압축기에 벨트가 안정적인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하나의 엔진과 세개의 압축기를 두개의 벨트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메인바디 및 서브바디에 의해, 세개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와 나머지 둘의 벨트 장력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고정볼트에 의해 벨트의 장력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압축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엔진 및 압축기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시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벨트접촉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엔진 및 압축기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가스엔진 히트펌프의 엔진과 압축기가 벨트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가스엔진 히트펌프의 장력 조절장치 및 엔진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메인바디의 위치가 변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서브바디의 위치가 변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1조절볼트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조절볼트의 제1리프터가 커넥팅프레임을 들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조절볼트의 턱이 커넥팅프레임을 아래로 밀고 있는 상태는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2조절볼트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2조절볼트의 제2리프터가 커넥팅서브프레임을 들러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조절볼트의 턱이 커넥팅서브프레임을 아래로 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고정볼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고정볼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엔진하우징과 커넥팅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넥팅프레임과 메인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메인바디와 서브바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제1벨트가 엔진과 제1압축기를 연결하고, 제2벨트가 엔진, 제2압축기 및 제3압축기를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제1벨트가 엔진과 제3압축기를 연결하고, 제2벨트가 엔진, 제1압축기 및 제2압축기를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18에서 표시되는 전(F), 후(R), 좌(Le), 우(Ri), 상(U), 하(D)의 표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면, 상기의 방향 설정은 달리 파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가스 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00)과, 엔진(1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1압축기(410), 제2압축기(420) 및 제3압축기(430) 등 3개의 압축기를 포함한다. 제1압축기(410), 제2압축기(420) 및 제3압축기(430)는 벨트를 통해 엔진(100)과 연결된다. 제1압축기(410), 제2압축기(420) 및 제3압축기(430)는 각각 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하고, 각각의 회전축(미도시)의 일측에 제1압푹기풀리, 제2압축기풀리(미도시) 및 제3압축기풀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엔진(100)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엔진축(120)을 포함하고, 엔진축(120)의 일측에 엔진풀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벨트는 제1벨트(510)와 제2벨트(520)를 포함한다. 제1벨트(510)는 제1압축기(410) 또는 제3압축기(430) 중 어느 하나와 엔진(10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벨트(520)는 제1압축기(410) 또는 제3압축기(430) 중 다른 하나와 엔진(10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벨트(510)는 제1압축기풀리(미도시) 또는 제3압축기풀리(미도시) 중 어느 하나와 엔진풀리(130)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벨트(520)는 제1압축기풀리(미도시) 또는 제3압축기풀리(미도시) 중 다른 하나와 엔진풀리(130)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커넥팅블럭(140)과, 메인바디(200)와, 서브바디(300)를 포함한다. 커넥팅블럭(140)은 엔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은 엔진(100)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엔진(100)은 엔진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하우징(110)은 엔진(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 경우, 커넥팅블럭(140)은 엔진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팅블럭(140)은 엔진하우징(110)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바디(200)는 커넥팅블럭(140)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된다. 메인바디(200)는 엔진(100)과 위치 차이(ds1)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커넥팅블럭(14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압축기(410) 및 제2압축기(420)는 메인바디(200)에 배치된다. 제1압축기(410)와 제2압축기(42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압축기(410)는 메인바디(200)의 좌측(Le)에, 제2압축기(420)는 메인바디(200)의 우측(Ri)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메인바디(200)와 위치 차이(ds2)가 조절되도록 배치된다. 서브바디(300)는 커넥팅블럭(140)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엔진(100)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메인바디(20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압축기(430)는 서브바디(300)에 배치된다. 제3압축기(430)는, 제1압축기(410) 및 제2압축기(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커넥팅블럭(140)과 메인바디(20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1조절볼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는 커넥팅블럭(140)과 메인바디(200)의 위치 차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메인바디(200)와 서브바디(30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2조절볼트(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는 메인바디(200)와 서브바디(300)의 위치 차이를 조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바디(200)는 커넥팅블럭(14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커넥팅블럭(14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엔진(10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 차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바디(300)는 메인바디(2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 차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메인바디(2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커넥팅블럭(14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엔진(10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팅블럭(140)은 제1조절볼트(600)가 체결되는 제1체결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좌측에 배치된 제1프레임(210)과 우측에 배치된 제2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팅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프레임(230)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제1조절볼트(600)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관통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관통홀(231)은 메인바디(200)의 커넥팅프레임(2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관통홀(231)은 제1체결구(1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체결구(141)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1관통홀(231)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제1조절볼트(600)는 제1헤더(610), 제1-1볼트바디(620) 및 제1-2볼트바디(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헤더(610)는 제1조절볼트(600)의 최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더(610)는 후술하는 제1-1볼트바디(6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더(610)는 제1체결구(14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헤더(610)는 제1-1볼트바디(6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더(610)의 너비는 제1체결구(14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더(610)는 제1체결구(141)에 삽입될 수 없고, 제1체결구(141)를 관통할 수 없다. 제1헤더(6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조절볼트(60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는 제1헤더(610)의 하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에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6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구(141) 내측에 제1-1볼트바디(620)의 나사산(621)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의 나사산(621)은 제1체결구(141)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의 나사산(621)이 형성된 길이는, 제1체결구(141)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는 제1체결구(141)와 체결될 수 있다.
제1-2볼트바디(630)는 제1-1볼트바디(620)의 하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볼트바디(630)는 하부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1-2볼트바디(630)는 제1관통홀(23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관통홀(231)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관통홀(231)에 대응되는 제1-2볼트바디(630)의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제1관통홀(231)의 내경은 제1-2볼트바디(6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2볼트바디(630)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제1관통홀(23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관통홀(231)에 대응되는 제1-2볼트바디(630)의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제1관통홀(231)의 내경은 제1-2볼트바디(630)의 상기 나사산을 포함한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나사산은 후술하는 제1리프터(640)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1-2볼트바디(630)의 하단에 제1리프터(6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리프터(640)는 제1-2볼트바디(63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1리프터(640)는 제1관통홀(2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리프터(640)의 너비는 제1관통홀(2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리프터(640)는 제1-2볼트바디(630)의 하단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제1리프터(640)는 제1-2볼트바디(630)의 하단에 체결되는 이중너트일 수 있다. 제1리프터(640)가 이중너트일 경우, 너트와 너트 사이에 와셔(6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리프터(6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조절볼트(600)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의 외경은 제1-2볼트바디(630)의 외경 및 제1관통홀(2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1볼트바디(620)와 제1-2볼트바디(63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턱(6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1볼트바디(620)는 제1관통홀(231)을 관통할 수 없다. 또는, 제1-1볼트바디(620)의 외경은 제1-2볼트바디(630)의 외경보다 크지만, 제1관통홀(231)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볼트바디(620)의 외경이 제1관통홀(2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제1-1볼트바디(620)와 제1관통홀(231) 사이에 와셔(66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내경이 제1-1볼트바디(620)의 외경보다 작고 외경이 제1관통홀(2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와셔는 제1관통홀(231)을 관통할 수 없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조절볼트(6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조절볼트(600)를 풀면, 제1조절볼트(600)는 제1체결구(141)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1조절볼트(6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리프터(640)가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제1조절볼트(600)가 더욱 더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리프터(640)는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조절볼트(600)를 조이면, 제1조절볼트(600)는 제1체결구(141)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1조절볼트(6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조절볼트(600)의 턱(650)이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맞닿을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조절볼트(600)에 배치된 와셔(661)가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맞닿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절볼트(600)가 더욱 더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턱(650) 또는 상기 와셔(661)가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제1조절볼트(6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제1-1볼트바디(620)에 형성된 나사산(62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헤더(610)는 제1조절볼트(60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이동하는 범위는, 제1조절볼트(600)의 턱(650)과 제1리프터(64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이동하는 범위는 제1조절볼트(600)에 배치된 와셔(661)와 제1리프터(64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의 턱과 제1리프터(64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제1-1볼트바디(620)에 형성된 나사산(62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에 배치된 와셔(661)와 제1리프터(64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제1-1볼트바디(620)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메인바디(200)는 제2조절볼트(700)가 체결되는 제2체결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체결구(232)는 제1체결구(1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체결구(232)는 제1관통홀(2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좌측에 배치된 제1서브프레임(310)과 우측에 배치된 제2서브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은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제2조절볼트(700)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관통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관통홀(331)은 제2체결구(2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는 제1조절볼트(6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2체결구(23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2관통홀(331)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제2조절볼트(700)는 제2헤더(710), 제2-1볼트바디(720) 및 제2-2볼트바디(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헤더(710)는 제2조절볼트(700)의 최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헤더(710)는 후술하는 제2-1볼트바디(7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헤더(710)는 제2체결구(23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헤더(710)는 제2-1볼트바디(7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헤더(710)의 너비는 제2체결구(23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헤더(710)는 제2체결구(232)에 삽입될 수 없고, 제2체결구(232)를 관통할 수 없다. 제2헤더(7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조절볼트(700)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는 제2헤더(710)의 하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에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7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구(232) 내측에 제2-1볼트바디(720)의 나사산(721)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의 나사산(721)은 제2체결구(232)의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의 나사산(721)이 형성된 길이는, 제2체결구(232)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보다 거 길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는 제2체결구(232)와 체결될 수 있다.
제2-2볼트바디(730)는 제2-1볼트바디(720)의 하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2볼트바디(730)는 하부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2볼트바디(730)는 제2관통홀(33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2관통홀(331)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2관통홀(331)에 대응되는 제2-2볼트바디(730)의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제2관통홀(331)의 내경은 제2-2볼트바디(7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2볼트바디(730)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제2관통홀(33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관통홀(331)에 대응되는 제2-2볼트바디(730)의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제2관통홀(331)의 내경은 제2-2볼트바디(730)의 상기 나사산을 포함한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나사산은 후술하는 제2리프터(740)가 결합되기 형성될 수 있다.
제2-2볼트바디(730)의 하단에 제2리프터(7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프터(740)는 제2-2볼트바디(73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프터(740)는 제2관통홀(3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프터(740)의 너비는 제2관통홀(3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리프터(740)는 제2-2볼트바디(730)의 하단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제2리프터(740)는 제2-2볼트바디(730)의 하단에 체결되는 이중너트일 수 있다. 제2리프터(740)가 이중너트일 경우, 너트와 너트 사이에 와셔(7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프터(7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조절볼트(700)의 상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의 외경은 제2-2볼트바디(730)의 외경 및 제2관통홀(3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볼트바디(720)와 제2-2볼트바디(73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턱(7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1볼트바디(720)는 제2관통홀(331)을 관통할 수 없다. 또는, 제2-1볼트바디(720)의 외경은 제2-2볼트바디(730)의 외경보다 크지만, 제2관통홀(331)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1볼트바디(720)의 외경이 제2관통홀(3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제2-1볼트바디(720)와 제2관통홀(331) 사이에 와셔(76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셔(761)는 내경이 제2-1볼트바디(720)의 외경보다 작고 외경이 제2관통홀(3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와셔(761)는 제2관통홀(331)을 관통할 수 없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2조절볼트(7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조절볼트(700)를 풀면, 제2조절볼트(700)는 제2체결구(232)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2조절볼트(7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리프터(740)가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제2조절볼트(700)가 더욱 더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2리프터(740)는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조절볼트(700)를 조이면, 제2조절볼트(700)는 제2체결구(232)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2조절볼트(7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조절볼트(700)의 턱(750)이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에 맞닿을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조절볼트(700)에 배치된 와셔(761)가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에 맞닿을 수 있다. 여기서 제2조절볼트(700)가 더욱 더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턱(750) 또는 상기 와셔(761)가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제2조절볼트(7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제2-1볼트바디(720)에 형성된 나사산(72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2헤더(710)는 제2조절볼트(70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이 이동하는 범위는, 제2조절볼트(700)의 턱(750)과 제2리프터(74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이 이동하는 범위는 제2조절볼트(700)에 배치된 와셔(761)와 제2리프터(74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의 턱(750)과 제2리프터(74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제2-1볼트바디(720)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에 배치된 와셔(761)와 제2리프터(74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제2-1볼트바디(720)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1고정볼트(8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메인바디(200)를 커넥팅블럭(140)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볼트(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메인바디(200)를 관통하여 커넥팅블럭(14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의 결합방향은 제1조절볼트(600)의 결합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절볼트(600)의 결합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제1고정볼트(800)의 결합방향은 전후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엔진(100) 또는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여러 방향에서 흡수할 수 있게되고, 또한, 특정 방향으로 제1조절볼트(600) 또는 제1고정볼트(8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메인바디(200)에 제1고정볼트(8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가이드홀(2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홀(233)은 제1조절볼트(600)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홀(233)은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이 이동할 때,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의 이동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제1가이드홀(233) 역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은 제1고정볼트(800)가 체결도록 체결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제1가이드홀(23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142)에 체결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홈(142)은 상기 제1고정볼트(8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고정볼트(800)가 체결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가이드홀(233)은 폭 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일단에 제1홀더(8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홀더(810)의 너비는 제1가이드홀(233)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1가이드홀(233)의 깊이보다 길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가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가이드홀(233)도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8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각각 제1가이드홀(233)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고정볼트(8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42)도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고정볼트(8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에 각각 두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프레임(210)에 배치된 제1고정볼트(800)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프레임(220)에 배치된 제1고정볼트(800)도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가이드홀(233)과 체결홈(142)도 상기 제1고정볼트(800)에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고정볼트(800)를 조이면, 제1고정볼트(800)는 커넥팅블럭(1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고정볼트(800)가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 제1홀더(810)가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제1고정볼트(800)를 더 조이게 되면, 제1고정볼트(800)의 제1홀더(810)는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에 더 큰 하중을 가하여, 커넥팅블럭(140)에 메인바디(200) 또는 커넥팅프레임(2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도 9 및 도 13를 참조하여, 제2고정볼트(9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을 참조하면, 본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서브바디(300)를 메인바디(200)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볼트(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서브바디(300)를 관통하여 메인바디(20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의 결합방향은 제2조절볼트(700)의 결합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절볼트(700)의 결합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제2고정볼트(900)의 결합방향은 전후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엔진(100) 또는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여러 방향에서 흡수할 수 있게되고, 또한, 특정 방향으로 제2조절볼트(700) 또는 제2고정볼트(9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고정볼트(800)와 같다.
서브바디(300)에 제2고정볼트(9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가이드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홀(311)은 제2조절볼트(700)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이드홀(311)은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이 이동할 때,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조절볼트(700)의 이동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제2가이드홀(311) 역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200)는 제2고정볼트(900)가 체결도록 체결홈(211,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제2가이드홀(31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211, 221)에 체결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홈(211, 221)은 상기 제2고정볼트(9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고정볼트(900)가 체결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제2가이드홀(311)은 폭 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일단에 제2홀더(9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910)의 너비는 제2가이드홀(3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의 길이방향 길이는 제2가이드홀(311)의 깊이보다 길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가 복수개가 배치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홀(311)도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900)는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고,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에 각각 제2가이드홀(3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고정볼트(9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211, 221)도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고정볼트(900)는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에 각각 두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서브프레임(310)에 배치된 제2고정볼트(900)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서브프레임(320)에 배치된 제2고정볼트(900)도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가이드홀(311)과 체결홈도 상기 제2고정볼트(900)에 대응하는 위치와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2고정볼트(900)를 조이면, 제2고정볼트(900)는 메인바디(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고정볼트(900)가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제2홀더(910)가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과 맞닿게 된다. 여기서 제2고정볼트(900)를 더 조이게 되면, 제2고정볼트(900)의 제2홀더(910)는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에 더 큰 하중을 가하여, 메인바디(200)에 서브바디(300) 또는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엔진(100) 및 커넥팅블럭(14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엔진(100)의 엔진축(120)에 플라잉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플라잉휠(미도시)은 엔진(100)이 회전할 때, 회전에너지의 일부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플라잉휠(미도시)의 주변에 플라잉휠하우징(111)이 배치될 수 있다. 플라잉휠하우징(111)은 플라잉휠(미도시)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라잉휠하우징(111)은 엔진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100)의 엔진축(120)에 엔진풀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엔진풀리(130)는 플라잉휠(미도시)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엔진풀리(130)는 제1벨트(510) 및 제2벨트(520)와 연결된다. 엔진풀리(130)는 제1벨트(510) 및 제2벨트(520)에 각각 대응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엔진풀리(130)의 제1벨트(510)에 대응하는 홈(미도시)은, 제2벨트(520)에 대응하는 홈(미도시)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팅블럭(140)은 엔진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엔진하우징(110)에 플라잉휠하우징(111)이 배치된 경우, 커넥팅블럭(140)은 플라잉휠하우징(1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플라잉휠하우징(111)에 다수개의 체결홈(112)이 형성되고, 커넥팅블럭(140)에 상기 다수개의 체결홈(112)에 대응하는 체결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팅블럭(140)은 나사(151, 152) 결합을 통해 플라잉휠하우징(1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나사 나사(151)와 커넥팅블럭(140) 사이에 와셔 나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은 엔진풀리(1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은 엔진풀리(13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의 후방부는 엔진풀리(130)의 후방부보다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블럭(140)의 하측은, 제1벨트(510) 또는 제2벨트(52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메인바디(2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200)는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커넥팅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커넥팅프레임(23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커넥팅프레임(2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커넥팅프레임(23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커넥팅프레임(230)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은 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프레임(230)은 제1체결구(141)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제1조절볼트((60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1압축기(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1압축기(410)가 배치되는 제1서포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터(240)는 제1프레임(2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서포터(240)는 제1압축기(410)가 결합되기 위한 제1압축기결합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서포터(240)의 후방은 제1압축기풀리(미도시)가 엔진(100) 측을 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제2압축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제2압축기(420)가 배치되는 제2서포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서포터(250)는 제2프레임(2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서포터(250)는 제2압축기(420)가 결합되기 위한 제2압축기결합부(2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서포터(250)의 후방은 제2압축기풀리(미도시)가 엔진(100) 측을 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서브바디(3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바디(300)는 제1서브프레임(310), 제2서브프레임(320) 및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310)은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서브프레임(320)은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은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 사이의 간격은 상하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서브바디(300)의 무게가 줄어들 수 있다.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 사이에 제3서포터(3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서포터(340)는 제3압축기(4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서포터(340)는 제1서브프레임(310)과 제2서브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바닥면일 수 있다. 제3서포터(340)에 제3압축기(430)가 결합되기 위한 제3압축기결합부(341)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서브프레임(330)의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제3압축기(430)의 회전축(미도시) 또는 제3압축기풀리(미도시)는 엔진(100) 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서브바디(300)디는 메인바디(200)의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프레임(210)과 제1서브프레임(310)은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제2프레임(220)과 제2서브프레임(320)은 면접촉할 수 있다. 서브바디(300)는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바디(300)의 일부분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 거리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제1벨트(510) 및 제2벨트(520)에서의 접촉각을 설명한다.
벨트와 풀리가 연결된 경우, 벨트와 풀리 사이에 접촉이 시작되거나, 또는 상기 접촉이 해제되는 점을 이하 접촉점이라 지칭한다. 상기 접촉점은 하나의 풀리에 두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풀리에 있어서, 풀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두 접촉점 사이의 벨트와 풀리 표면이 접촉해 있는 범위의 각도를 벨트접촉각이라 한다. 벨트접촉각은 풀리의 크기와 풀리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벨트접촉각이 90도 미만인 경우, 벨트와 풀리 사이에 접촉이 이탈되어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때문에, 벨트접촉각은 90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을 참조하여, 제1벨트(510)가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와 엔진풀리(130)에 연결되고, 제2벨트(520)가 제2압축기풀리(미도시), 제3압축기풀리(미도시) 및 엔진풀리(130)에 연결된 상태를 살펴본다.
제1벨트(510)는, 엔진풀리(130)에 두개의 접촉점(P11, P14)가 형성되고,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12, P13)이 형성된다.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11, P14)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11)은 90도 보다 크다. 제1압축기(41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12, P13)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12)는 90도 보다 크다.
제2벨트(520)는, 엔진풀리(130)에 두개의 접촉점(P21, P26)가 형성되고,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22, P23)이 형성되며,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24, P25)이 형성된다.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1, P26)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1)은 90도 보다 크다.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2, P23)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2)은 90도 보다 크다. 제2압축기(42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4, P25)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3)은 90도 보다 크다.
또는, 엔진풀리(130)의 접촉점(P21)과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2)를 지나는 직선,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3)과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4)를 지나는 직선 및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5)과 엔진풀리(130)의 접촉점(P26)를 지나는 직선이 형성하는 삼각형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각 꼭지점의 내각은, 대응하는 풀리의 벨트접촉각과 합하여 180도가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삼각형은 세개의 내각이 모두 예각으로 형성된다.
메인바디(200) 또는 서브바디(300)는 하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벨트접촉각(θ11, θ21)은 커지지만,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3) 및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2)은 작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3) 및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2)은 90도 보다 크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제1벨트(510)가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와 엔진풀리(130)에 연결되고, 제2벨트(520)가 제1압축기풀리(미도시), 제1압축기풀리(미도시) 및 엔진풀리(130)에 연결된 상태를 살펴본다.
제1벨트(510)는, 엔진풀리(130)에 두개의 접촉점(P11, P14)가 형성되고, 제3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12, P13)이 형성된다.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11, P14)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11)은 90도 보다 크다. 제3압축기(43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12, P13)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12)는 90도 보다 크다.
제2벨트(520)는, 엔진풀리(130)에 두개의 접촉점(P21, P26)가 형성되고,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22, P23)이 형성되며,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에 두개의 접촉점(P24, P25)이 형성된다.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1, P26)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1)은 90도 보다 크다.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2, P23)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2)은 90도 보다 크다. 제2압축기(420)에 형성된 두개의 접촉점(P24, P25)이 형성하는 벨트접촉각(θ23)은 90도 보다 크다.
또는, 엔진풀리(130)의 접촉점(P21)과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2)를 지나는 직선,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3)과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4)를 지나는 직선 및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접촉점(P25)과 엔진풀리(130)의 접촉점(P26)를 지나는 직선이 형성하는 삼각형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각 꼭지점의 내각은, 대응하는 풀리의 벨트접촉각과 합하여 180도가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삼각형은 세개의 내각이 모두 예각으로 형성된다.
메인바디(200) 또는 서브바디(300)는 하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엔진풀리(130)에 형성된 벨트접촉각(θ11, θ21)은 커지지만,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2) 및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3)은 작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1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2) 및 제2압축기풀리(미도시)의 벨트접촉각(θ23)은 90도 보다 크도록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공지조화기의 제1벨트(510) 및 제2벨트(520) 장력 조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벨트(510) 및 제2벨트(52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 제1벨트(510)의 장력 또는 제2벨트(520)의 장력 중 어느 하나의 장력만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벨트(510)와 제2벨트(520)의 장력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제1벨트(510)와 제2벨트(520)의 장력을 모두 조절하는 경우, 장력 조절의 순서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제1벨트(510)가 엔진(100)과 제1압축기(4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2벨트(520)는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 및 제2압축기(420)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
이 경우, 제1압축기(410)는 메인바디(20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바디(2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제1벨트(51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제1조절볼트(600)를 조이면, 제1조절볼트(60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조절볼트(600)의 턱(650) 또는 와셔(661)는 메인바디(20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메인바디(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엔진(100)과 제1압축기(410)의 상대적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제1벨트(510)의 장력은 증가하게 된다. (도 8)
상기와 반대로, 제1조절볼트(600)를 풀면, 제1조절볼트(6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리프터(640)는 메인바디(200)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1벨트(510)의 장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7)
제1벨트(510)의 장력 조절이 완료되면, 제1고정볼트(800)를 조인다. 제1고정볼트(800)를 조이게 되면, 메인바디(200)는, 제1벨트(510)의 장력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넥팅블럭(140)에 고정이 된다. (도 12)
제2벨트(520)는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 및 제2압축기(42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압축기(420)는 메인바디(20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바디(2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제1벨트(51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제1조절볼트(600)를 조이면, 제1조절볼트(60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조절볼트(600)의 턱(650) 또는 와셔(661)는 메인바디(20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메인바디(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엔진(100)과 제2압축기(420)의 상대적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도 8)
상기와 반대로, 제1조절볼트(600)를 풀면, 제1조절볼트(6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리프터(640)는 메인바디(200)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7)
메인바디(200)와 커넥팅블럭(140)의 상대적 거리의 조절이 완료되면, 제1고정볼트(800)를 조인다. 제1고정볼트(800)를 조이게 되면, 메인바디(200)는 커넥팅블럭(140)에 고정이 된다. (도 12)
그러나, 제1벨트(5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이미 메인바디(200)와 커넥팅블럭(140)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한 경우, 상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1조절볼트(600)의 조절이 완료되면, 제1고정볼트(800)로 메인바디(200)를 커넥팅블럭(140)에 고정시키고, 제2조절볼트(700)를 조절한다.
제2조절볼트(700)를 조이면, 제2조절볼트(70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2조절볼트(700)의 턱 또는 와셔는 서브바디(30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서브바디(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의 상대적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제2벨트(520)의 장력은 증가하게 된다. (도 11)
상기와 반대로, 제2조절볼트(700)를 풀면, 제2조절볼트(7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리프터(740)는 서브바디(300)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2벨트(520)의 장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10)
제2벨트(520)의 장력 조절이 완료되면, 제2고정볼트(900)를 조인다. 제2고정볼트(900)를 조이게 되면, 서브바디(300)는, 제2벨트(520)의 장력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바디(200)에 고정이 된다. (도 13)
이하, 제1벨트(510)가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2벨트(520)는 엔진(100)과 제1압축기(410) 및 제2압축기(420)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
이 경우, 제1압축기(410) 및 제2압축기(420)는 메인바디(20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바디(2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제2벨트(52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제1조절볼트(600)를 조이면, 제1조절볼트(60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조절볼트(600)의 턱(650) 또는 와셔(661)는 메인바디(20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메인바디(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엔진(100)과 제1압축기(410)의 상대적 거리 및 엔진(100)과 제2압축기(420)의 상대적 거리는 멀어지게 되고, 제2벨트(520)의 장력은 증가하게 된다. (도 8)
상기와 반대로, 제1조절볼트(600)를 풀면, 제1조절볼트(6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리프터(640)는 메인바디(200)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2벨트(520)의 장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7)
제2벨트(520)의 장력 조절이 완료되면, 제1고정볼트(800)를 조인다. 제1고정볼트(800)를 조이게 되면, 메인바디(200)는, 제2벨트(520)의 장력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커넥팅블럭(140)에 고정이 된다. (도 12)
제1벨트(510)는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3압축기(430)는 서브바디(300)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브바디(3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제1벨트(51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제2조절볼트(700)를 조이면, 제2조절볼트(70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2조절볼트(700)의 턱(750) 또는 와셔(761)는 서브바디(300)를 하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서브바디(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엔진(100)과 제3압축기(430)의 상대적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도 11)
상기와 반대로, 제2조절볼트(700)를 풀면, 제2조절볼트(7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리프터(740)는 서브바디(300)를 상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도 10)
제1벨트(510)의 장력 조절이 완료되면, 제2고정볼트(900)를 조인다. 제2고정볼트(900)를 조이게 되면, 서브바디(300)는 메인바디(200)에 고정이 된다. (도 1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것이다.
100 엔진
110 엔진하우징
111 플라잉휠하우징
120 엔진축
130 엔진풀리
140 커넥팅블럭
141 제1체결구
142 제1고정볼트 체결홈
200 메인바디
210 제1프레임
211 제2고정볼트 체결홈
220 제2프레임
221 제2고정볼트 체결홈
230 커넥팅프레임
231 제1관통홀
232 제2체결구
233 제1가이드홀
240 제1서포터
250 제2서포터
300 서브바디
310 제1서브프레임
311 제2가이드홀
320 제2서브프레임
321 제2가이드홀
330 커넥팅서브프레임
331 제2관통홀
340 제3서포터
410 제1압축기
420 제2압축기
430 제3압축기
510 제1벨트
520 제2벨트
600 제1조절볼트
610 제1헤더
620 제1-1볼트바디
621 제1-1볼트바디 나사산
630 제1-2볼트바디
640 제1리프터
650 제1조절볼트 턱
661 제1조절볼트 와셔
662 제1리프터 와셔
700 제2조절볼트
710 제2헤더
720 제2-1볼트바디
721 제2-1볼트바디 나사산
730 제2-2볼트바디
740 제2리프터
750 제2조절볼트 턱
761 제2조절볼트 와셔
762 제2리프터 와셔
800 제1고정볼트
810 제1홀더
820 제1고정볼트바디
821 제1고정볼트 나사산
900 제2고정볼트
910 제2홀더
920 제2고정볼트바디
921 제2고정볼트 나사산

Claims (22)

  1.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상기 엔진에 고정 결합되는 커넥팅블럭;
    상기 커넥팅블럭과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와 위치 차이가 조절되도록 배치되는 서브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축기;
    상기 메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2압축기;
    상기 서브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3압축기;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1벨트; 및
    상기 제1압축기 또는 상기 제3압축기 중 다른 하나,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2벨트를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블럭과 상기 메인바디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블럭과 상기 메인바디의 위치 차이를 조절하는 제1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볼트는,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1볼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블록은 상기 제1-1볼트바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1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1조절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체결구 하측에 배치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볼트는 상기 제1관통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너비가 큰 제1리프터를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볼트는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2볼트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1볼트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가스엔진 히트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를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의 위치 차이를 조절하는 제2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볼트는, 적어도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1볼트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2-1볼트바디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제2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조절볼트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2체결구 하측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절볼트는 상기 제2관통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너비가 큰 제2리프터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볼트는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2볼트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1볼트바디의 직경은 상기 제2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가스엔진 히트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커넥팅블럭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메인바디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를 상기 커넥팅블럭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볼트의 결합방향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볼트는 상기 제1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팅블록과 결합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볼트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폭보다 큰 너비를 갖는 제1홀더가 형성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볼트의 결합방향은 상하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볼트는 상기 제2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와 결합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볼트는 상기 제2가이드홈의 폭보다 큰 너비를 갖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제1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2압축기가 배치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팅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커넥팅프레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및 제2벨트와 연결되는 엔진풀리과,
    상기 제1압축기,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제3압축기 각각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또는 상기 제2벨트와 연결되는 제1압축기풀리, 제2압축기풀리 및 제3압축기풀리를 더 포함하는 가스엔진 히트펌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벨트 및 제2벨트와 연결되는 엔진풀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블럭은 상기 엔진풀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가스엔진 히트펌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제1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고,
    상기 제2벨트는 상기 제2압축기, 상기 제3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제2벨트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각은 모두 90도 이상인 가스엔진 히트펌프.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는 상기 제1압축기, 상기 제2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고,
    상기 제2벨트는 상기 제3압축기 및 상기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제2벨트 상에 형성되는 벨트접촉각은 모두 90도 이상인 가스엔진 히트펌프.
KR1020200172644A 2020-12-10 2020-12-10 가스엔진 히트펌프 KR2022008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44A KR20220082599A (ko) 2020-12-10 2020-12-10 가스엔진 히트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44A KR20220082599A (ko) 2020-12-10 2020-12-10 가스엔진 히트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99A true KR20220082599A (ko) 2022-06-17

Family

ID=8226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44A KR20220082599A (ko) 2020-12-10 2020-12-10 가스엔진 히트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5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905A (ko) 2002-03-27 2003-10-04 최명부 기능성 전자파 차단베게 제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905A (ko) 2002-03-27 2003-10-04 최명부 기능성 전자파 차단베게 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200B2 (en) Portable generator and air compressor mounting arrangement
US8092328B2 (en) Dual tensioner assembly
CN103339403B (zh) 质量阻尼器
TW555943B (en) Method of tuning a belt drive system
KR20050043768A (ko) 진행 제한식의 선형 벨트 텐셔너
KR101861508B1 (ko)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CN103057389B (zh) 电动汽车动力集成机构以及电动汽车
EP2988021B1 (en) Accessory mounts for tensioning systems
KR20220082599A (ko) 가스엔진 히트펌프
JP2013108633A (ja) 保冷車
CN111844138A (zh) 一种工业机器人用可内部调节的固定座
CN106838163A (zh) 皮带自涨紧传送装置
US2255908A (en) Resilient motor support and belttightening apparatus
KR102235337B1 (ko) 차량의 듀얼 컴프레서 고정 및 장력 조절 텐셔너가 구비된 브라켓트
US4607714A (en) Radiator-fan system, particularly for buses having rear-mounted engines
CN1094096C (zh) 用于驱动车辆空调压缩机的皮带传动装置
CN207018219U (zh) 一种可调速的户外风机
CN220567359U (zh) 一种空调室内机
JP2929914B2 (ja) 車両の補機駆動装置
KR100959854B1 (ko) 냉동차량의 에어컨 전용 컴프레서 어셈블리
US11111987B2 (en) Counterforce drive-belt system
KR20040095449A (ko) 버스용 에어컨 컴프레서의 장착구조
KR100320506B1 (ko) 에어컨 콤프레서용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00051103A (ko) 자동차용 브이 벨트 장력 조절장치
CN108943130A (zh) 一种功能性纤维复合材料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