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335A -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2335A
KR20220082335A KR1020200172143A KR20200172143A KR20220082335A KR 20220082335 A KR20220082335 A KR 20220082335A KR 1020200172143 A KR1020200172143 A KR 1020200172143A KR 20200172143 A KR20200172143 A KR 20200172143A KR 20220082335 A KR20220082335 A KR 20220082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tandard
unit
produc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범
김형준
이재관
이홍래
채준영
홍석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20017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2335A/ko
Publication of KR2022008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표준 제품을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을 검증하는 시험장치와 표준 제품이 위치하는 표준 지그, 상기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에 사용될 복수의 상기 표준 지그가 적층 되되, 하나의 상기 표준 지그를 순차적으로 동일 위치에 노출시키는 공급 보관부 및 상기 노출된 표준 지그를 상기 시험장치에 이송하는 지그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AUTOMATED INTEROPERABILITY TEST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 제품의 호환성 시험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 제품은 국제규격 기준으로 규격 적합성 시험과 상호 호환성 시험으로 나누어서 품질 검사를 시행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규격 적합성 시험은 검사 대상 제품(예, 스마트폰,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에 대해서 국제규격(Qi, AirFuel)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국제규격 성능사양에 만족하는지 등을 검사하는 시험을 말한다.
한편, 상호 호환성 시험은 검사 대상 제품(예, 스마트폰, 스마트폰 무선충전기) 과 전세계 타회사에서 이미 만들어져서 국제규격 인증을 받은 표준 인증 제품(예, 스마트폰, 스마트폰 무선충전기)들과 상호호환이 되는지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검사 대상 제품은 하나인데, 200개 다른 회사 표준 인증 제품과 일일이 상호호환성을 시험해야 한다. 즉, 하나의 검사 대상 제품과 200개 회사의 표준 인증 제품과 200번 시험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국제규격(Qi, AirFuel) 인증제품이 전세계적으로 각각 200여 개 있으며, 검사 대상 제품과 모두 200여 번 시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특허 제10-1625590호(2016.05.30. 공고, '근거리 무선모듈의 상호호환성 시험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대상물(3)을 적재하는 테스트 베드(2)와, 상기 테스트 베드(2) 근처에 설치되며 X축을 따라 배열되는 X축 가이드(10)와, 상기 X축 가이드(10)를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장착되고 Y축을 따라 배열되는 Y축 가이드(20)와, 상기 Y축 가이드(20)를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장착되고, Z축을 따라 배열되는 Z측 가이드(30)와, 상기 Z축 가이드(30)를 따라 이송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송부재(40)와, 상기 이송부재(40)에 장착되고 상기 대상물(3)과의 근거리 무선모듈의 상호호환성을 측정하는 측정수단(50)와, 상기 Y축 가이드(20), 상기 Z측 가이드(30), 상기 이송부재(40) 및 상기 측정수단(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됨으로써, 상호호환성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018-0075286호(2018.07.04. 공개, '무선 전력 송수신 제품의 호환성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용 지그 세트')에는 기 저장된 적재 정보에 따라 표준 인증 제품이 안착된 제1 전용 지그가 적어도 2 이상 적재된 적재 창고와, 적재 정보에 따라 적재 창고에 적재된 적어도 2 이상의 제1 전용 지그들 중 하나를 픽업하여 검사 대상 제품이 안착된 제2 전용 지그 상에 정렬시키는 이송 장치와, 검사 대상 제품과 표준 인증 제품에 대한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검사 장치를 포함하며, 이송 장치는, 검사 대상 제품에 대한 호환성 테스트가 완료된 표준 인증 제품이 안착된 제1 전용 지그를 적재 창고내의 원래 위치에 적재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153332호(2020.09.08.자 공고,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에는 표준 제품(1)이 위치하는 표준 지그(100)와 상기 표준 지그(100)를 인증 대상 제품(2) 상부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200) 및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을 상기 표준 제품(1)과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 지그(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검사 준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지그(100)는 표준 제품(1)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지그 개방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 이동부(200)는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의 상부 면과 상기 표준 제품(1)의 하부 면이 서로 마주 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 개방부(110)와 연결되는 이동 개방부(210)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153332호(2020.09.08.자 공고,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에 개시된 지그 개방부(210)로 검사대상의 표준 지그(100)를 자동으로 공급 및 분리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표준 제품(1)을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2)을 검증하는 시험장치(1000)와 표준 제품(1)이 위치하는 표준 지그(100), 상기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에 사용될 복수의 상기 표준 지그(100)가 적층 되되, 하나의 상기 표준 지그(100)를 순차적으로 동일 위치에 노출시키는 공급 보관부(600) 및 상기 노출된 표준 지그(100)를 상기 시험장치에 이송하는 지그 이송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 이송부(700)는 상기 노출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고정 및 분리하는 브라켓부(710) 및 상기 브라켓부(710)를 상기 공급 보관부(600)에서 시험장치(100)로 이동시키는 브라켓 이송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적층시키는 완료 보관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부(710)는 상기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브라켓 이송부(720)는 상기 브라켓부(710)를 상기 시험장치(1000)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800)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료 보관부(800)는 상기 지그 이송부(700)에서 이송된 상기 표준 지그(100)가 분리되어 놓이는 완료 보관 지지부(710)와 상기 완료 보관 지지부(710)를 상기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하부로 이동시키는 보관 이동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장치는 상기 표준 지그(100)를 인증 대상 제품(2) 상부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200) 및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을 상기 표준 제품(1)과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 지그(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검사 준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지그(100)는 표준 제품(1)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지그 개방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 이동부(200)는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의 상부 면과 상기 표준 제품(1)의 하부 면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 개방부(110)와 연결되는 이동 개방부(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료 보관부(800)는 인증 대상 제품(2)이 위치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보관부(600)는 상기 완료 보관부(800)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 이송부(720)는 상기 공급 보관부(600)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800)까지의 직선으로 마련된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무선전력전송 국제규격(Qi, AirFuel) 상호호환성 시험을 하는데 있어서, 표준 제품(1)의 표준 지그(100)를 공급 보관부(600)와 지그 이송부(700)를 통해서 자동 공급함으로써, 상호호환성 검사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비효율적인 대기 시간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호호환성 완전 자동화 시험 장치를 구성하면, 국제규격(Qi, AirFuel) 인증이 통과된 표준 제품이 향후 수백 개로 늘어날 경우에도 상호호환성 완전 자동화 시험장치는 자동 검사방식으로 상호호환성 시험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검사자가 대기하며 수행하던 많은 검사 시간과 비용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공급 보관부(600)와 지그 이송부(700) 및 완료 보관부(800)를 통해서 무선전력전송 국제규격(Qi, AirFuel) 상호호환성 시험을 하는데 있어서, 표준 제품(1)이 안치된 표준 지그(100)를 시험장치(1000)로 자동으로 공급하고 검사가 완료된 표준 지그(100)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음으로써, 상호호환성 검사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비효율적인 대기 시간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시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표준 지그와 지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지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검사 준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검사 준비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제공"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종래의 대한민국특허공보 제10-2153332호(2020.09.08.자 공고,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에 개시된 지그 개방부(210)로 검사대상의 표준 지그(100)를 자동으로 공급 및 분리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면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시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표준 지그와 지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지그 이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검사 준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검사 준비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대략적으로 표준 제품(1)을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2)을 검증하는 시험장치(1000)와 표준 제품(1)이 위치하는 표준 지그(100), 상기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에 사용될 복수의 상기 표준 지그(100)가 적층 되되, 하나의 상기 표준 지그(100)를 순차적으로 동일 위치에 노출시키는 공급 보관부(600) 및 상기 노출된 표준 지그(100)를 상기 시험장치에 이송하는 지그 이송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 이송부(700)는 상기 노출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고정 및 분리하는 브라켓부(710) 및 상기 브라켓부(710)를 상기 공급 보관부(600)에서 시험장치(100)로 이동시키는 브라켓 이송부(7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적층시키는 완료 보관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부(710)는 상기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100)를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브라켓 이송부(720)는 상기 브라켓부(710)를 상기 시험장치(1000)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800)로 이동시키는 것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료 보관부(800)는 상기 지그 이송부(700)에서 이송된 상기 표준 지그(100)가 분리되어 놓이는 완료 보관 지지부(710)와 상기 완료 보관 지지부(710)를 상기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하부로 이동시키는 보관 이동부(7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험장치는 상기 표준 지그(100)를 인증 대상 제품(2) 상부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200) 및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을 상기 표준 제품(1)과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 지그(100) 하부로 이동시키는 검사 준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지그(100)는 표준 제품(1)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지그 개방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 이동부(200)는 상기 인증 대상 제품(2)의 상부 면과 상기 표준 제품(1)의 하부 면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 개방부(110)와 연결되는 이동 개방부(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료 보관부(800)는 인증 대상 제품(2)이 위치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보관부(600)는 상기 완료 보관부(800)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 이송부(720)는 상기 공급 보관부(600)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800)까지의 직선으로 마련된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험장치(1000)와 표준 지그(100), 공급 보관부(600) 및 지그 이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표준 제품(1)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전기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전기가 될 수 있으며, 인증 대상 제품(2) 또한 송전기 또는 수전기가 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표준 제품(1)은 송전기 즉,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 테블릿 PC 무선충전기, 노트북 무선 충전기 등일 수 있고, 인증 대상 제품(2)은 수전기 즉,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등 일 수 있다.
한편, 표준 제품(1)은 수전기이고 인증 대상 제품(2)은 송전기일 수 있다.
표준 지그(100)는 표준 제품(1)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표준 지그(100)는 유전율이 3이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표준 지그(100)는 표준 제품(1)의 하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표준 지그(100)의 하부 면의 일부에는 표준 제품(1)의 하부 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지그 개방부(110)를 더 마련될 수 있다. 지그 개방부(110)는 표준 지그(100)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표준 제품(1)이 위치하기 위해서 마련된 홈은 표준 제품(1)에 포함된 송전기 즉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이 지그 개방부(110)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표준 지그(100)는 인증 대상 제품(2)을 검사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표준 제품(1) 들의 수량에 맞추어 마련될 수 있고, 홈은 각각의 표준 제품(1)에 마련된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에 지그 개방부(110)에 위치하도록 홈의 형상과 크기 및 위치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한 시험장치(1000)는 크게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표준 제품(1)을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2)을 검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시험장치는 크게 지그 이동부(200)와 검사 준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 지그 이동부(200)는 표준 지그(100)를 인증 대상 제품(2)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그 이동부(200)는 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판(220)에는 구멍이 뚫린 이동 개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판(220) 하부에는 판(220)을 회전시키는 이동 회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개방부(210)는 판(220)의 회전에 따라서 그 위치가 변경된다. 이동 개방부(210)의 상부로 표준 지그(100)가 놓여 진다. 지그 이동부(200)는 이동 회전부(230)에 의해서 판(220)이 회전되어 표준 지그(100)를 다른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표준 지그(100)에 의해서 하부 면이 노출된 표준 제품(1)이 이동 개방부(210)에 의해서 일부의 하부 면이 노출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인증 대상 제품(2)은 지그 이동부(200)에 의해서 이동된 이동 개방부(210)가 위치한 판(220)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검사 준비부(300)는 인증 대상 제품(2)을 표준 제품(1)과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표준 지그(100) 하부에 가깝도록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한 일례로, 검사 준비부(300)는 크게 인증 지그(310)와 준비 이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지그(310)는 인증 대상 제품(2)을 지지할 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지그(310)는 상기에서 설명된 표준 지그(10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인증 지그(310)는 인증 대상 제품(2)의 측면 또는 하부를 지지하여, 인증 대상 제품(2)의 상부 면이 개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준비 이동부(320)는 인증 지그(310)를 이동 회전부(230)에 의해서 이동된 이동 개방부(210)로 이동시킨다. 검사 준비부(300)는 지그 이동부(200)에 의해서 표준 제품(1)이 인증 대상 제품(2) 상부로 이동되면, 준비 이동부(320)가 인증 지그(31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부로 이동되는 인증 지그(310)에 의해서 인증 대상 제품(2)이 이동 개방부(210)에 삽입되어 표준 제품(1)의 하부 면과 가까운 상태가 된다. 즉, 검사 준비부(300)는 인증 대상 제품(2)이 지그 이동부(200)에 의해서 이동된 표준 제품(1)과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다.
한편, 준비 이동부(320)는 인증 대상 제품(2)의 상부 면이 표준 지그(100)의 지그 개방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준비 이동부(320)의 상승 거리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검사에 적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다른 일례로, 검사 준비부(300)는 인증 지그(310)와 준비 이동부(320) 사이에 준비 회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준비 회전부(미도시)는 통상의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준비 회전부(미도시)는 인증 지그(310)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회전축을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 준비 회전부(미도시)는 인증 지그(310)를 회전시킨다. 준비 회전부(미도시) 하부는 상기에서 설명된 준비 이동부(320)와 연결되어 준비 회전(미도시)가 표준 지그(100) 하부로 이동된다. 준비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검사 준비부(300)는 도 6에서처럼 지그 이동부(200)의 이동 개방부(210) 내에서 인증 지그(310)를 회전시켜 인증 대상 제품(2)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준비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검사 준비부(300)는 표준 제품(1)이 삽입되는 홈이 동일한 복수의 표준 지그(100)만으로 크기와 형태가 동일하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표준 제품(1)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지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복수의 표준 제품(1)들에 대응하는 표준 지그(100)들은 각각의 무선 전력용 코일이 지그 개방부(110)에 일치하도록 표준 제품(1)이 안치되는 홈들이 각각 다르게 형성하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시험장치(1000)는 지그 이동부(200)의 이동 개방부(210)로 표준 지그(100)가 놓인 후, 지그 이동부(200)의 이동 회전부(230)를 통해서 판(220)을 회전시켜 표준 지그(100)를 인증 대상 제품(2)이 지지된 검사 준비부(300) 상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표준 지그(100)는 이동 개방부(210)에 놓여 질 때의 표준 지그(100)의 지그 개방부(110)가 이동 개방부(210)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지그 이동부(200)의 작동으로 표준 지그(100)가 검사 준비부(300) 상부에 위치할 때는 인증 대상 제품(2)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과 표준 제품(1)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인증 대상 제품(2)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과 표준 제품(1)의 무선 전력용 코일의 중심 사이의 공간은 지그 개방부(110)와 이동 개방부(210)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표준 제품(1)과 인증 대상 제품(2)의 무선 전력용 코일이 서로 마주보는 것이다.
그 후,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검사 준비부(300)를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2)을 이동된 표준 제품(1)의 하부 면으로 이동시켜 상호 호환성 검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한다. 즉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표준 제품(1)을 인증 대상 제품(2)에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무선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함으로써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공급 보관부(600)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1000)에 사용될 복수의 표준 지그(100)가 적층 되되, 하나의 표준 지그(100)를 순차적으로 동일 위치에 노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 보관부(600)는 크게 공급 보관 지지부(610) 및 보관 이동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보관 지지부(610)는 표준 지그(100) 하부를 받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 보관 지지부(610)는 다수개의 표준 지그(100)가 상부로 쌓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 이동부(620)는 공급 보관 지지부(61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공급 이동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이동부(620)는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순차적으로 공급 보관 지지부(610)를 이동시킨다. 공급 이동부(620)는 통상의 스텝모터(step motor)와 통상의 리드스크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보관 이동부(620)는 리드스크류가 스템모터에 의해서 연동하고, 리드스크류는 공급 보관 지지부에 연결되어 스텝모터의 정회전 작동에 의해서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상승시키고, 역회전 작동에 의해서 표준 지그(100)를 두께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공급 이동부(620)는 지그 이송부(700)에 의해서 최 상위에 위치한 표준 지그(100)가 이송되면 상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공급 보관부(600)는 공급 보관 지지부(610)가 관통하고, 보관 지지부(610)에 적층된 표준 지그(100)의 측면을 가이드 하는 공급 케이스(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케이스(미 도시)는 공급 보관 지지부(610)에 적층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의 표준 지그(100)의 최 상층에 존재하는 하나의 표준 지그(100) 만이 노출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지그 이송부(700)는 공급 보관부(600)에 보관된 표준 지그(100)들 중에서 최상위에서 노출된 표준 지그(100)를 시험장치(1000)에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그 이송부(700)는 크게 브라켓부(710) 및 브라켓 이송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710)는 공급 보관부(600)에서 노출된 표준 지그(100)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부(710)는 표준 지그(100)의 표면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브라켓부(710)는 흡착력을 해제하여 표준 지그(10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710)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이 하부를 향하여 공급 보관부(600) 최상단에 위치한 표준 지그(100)의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부(710)는 양 측면이 선택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710)는 전자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브라켓 이송부(720)는 브라켓부(710)를 공급 보관부(600)에서 시험장치(100)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이송부(720)는 통상의 스텝모터와 그 스텝모터와 연동하는 리드스크류로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는 브라켓부(710)와 결합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는 시험장치(100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리드스크류는 공급 보관부(600)에 한쪽 끝단이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단이 시험장치(1000)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이송부(720)는 정회전시에 브라켓부(710)를 공급 보관부(600)에서 시험장치(1000)로 이동시킨다. 브라켓 이송부(720)는 역회전시에 브라켓부(710)를 시험장치(1000)에서 공급 보관부(600)로 이동시킨다. 즉 브라켓 이송부(720)는 브라켓부(710)를 공급 보관부(600)에서 노출된 표준 지기(100) 상부에 위치시키고, 브라켓부(710)를 검사 장치(1000)의 검사 준비부(300)와 반대에 위치한 이동 개방부(21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서 설명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지그 이송부(700)의 브라켓부(710)를 통해서 공급 보관부(600)에 노출된 표준 지그(100) 한 개를 고정하고, 브라켓 이송부(720)를 통해서 브라켓부(710)를 시험장치(1000)에 이송시킨다. 이때 브라켓부(710)가 표준 지그(100)를 분리하여 시험장치(1000)의 이동 개방부(210)에 표준 지그(100)가 안치되도록 한다. 이때, 공급 보관부(600)는 공급 이동부(620)를 통해서 공급 보관 지지부(610)를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상승시켜, 새로운 표준 지그(100)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시험장치(1000)가 작동하여 지그 이송부(700)에 의해서 이송된 표준 지그(100)를 검사 준비부(300)로 이동시켜 검사를 완료한다.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무선전력전송 국제규격(Qi, AirFuel) 상호호환성 시험을 하는데 있어서, 표준 제품(1)의 표준 지그(100)를 공급 보관부(600)와 지그 이송부(700)를 통해서 자동 공급함으로써, 상호호환성 검사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비효율적인 대기 시간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호호환성 완전 자동화 시험 장치를 구성하면, 국제규격(Qi, AirFuel) 인증이 통과된 표준 제품이 향후 수백 개로 늘어날 경우에도 상호호환성 완전 자동화 시험장치는 자동 검사방식으로 상호호환성 시험이 가능하게 되어, 기존의 검사자가 대기하며 수행하던 많은 검사 시간과 비용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을 참조한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표준 지그(100)를 적층시키는 완료 보관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710)는 시험장치(1000)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표준 지그(100)를 고정 및 분리하고, 브라켓 이송부(720)는 브라켓부(710)를 시험장치(1000)에서 완료 보관부(800)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한 완료 보관부(800)는 지그 이송부(700)에서 이송된 표준 지그(100)가 분리되어 놓이는 완료 보관 지지부(710)와 완료 보관 지지부(710)를 표준 지그(100)의 두께만큼 하부로 이동시키는 보관 이동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완료 보관부(800)는 공급 보관부(600)와 반대로 동작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의 지그 이송부(7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지그 이송부(700)와 동일하게 마련되되, 리드스크류의 한쪽 끝단이 시험장치(1000)의 검사준비부(300)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단이 완료 보관부(800) 상단에 위치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지그 이송부(700)는 기존의 지그 이송부(700)의 리드스크류 길이를 연장하여 공급 보관부(600)와 시험장치(1000) 및 완료 보관부(800)를 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공급 보관부(600)와 지그 이송부(700) 및 완료 보관부(800)를 통해서 무선전력전송 국제규격(Qi, AirFuel) 상호호환성 시험을 하는데 있어서, 표준 제품(1)이 안치된 표준 지그(100)를 시험장치(1000)로 자동으로 공급하고 검사가 완료된 표준 지그(100)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음으로써, 상호호환성 검사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비효율적인 대기 시간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에서 설명된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는 완료 보관부(800)는 인증 대상 제품(2)이 위치한 검사 준비부(300) 방향에 위치하고, 공급 보관부(600)는 완료 보관부(800)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며, 브라켓 이송부(720)는 공급 보관부(600)에서 완료 보관부(800)까지의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 : 표준 제품
2 : 인증 대상 제품
1000 : 시험장치
100 : 표준 지그
110 : 지그 개방부
120 : 고유 코드
200 : 지그 이동부
210 : 이동 개방부
220 : 판
230 : 이동 회전부
300 : 검사 준비부
310 : 인증 지그
320 : 준비 이동부
400 : 영상 획득부
500 : 검사관리부
600 : 공급 보관부
700 : 지그 이송부
800 : 완료 보관부

Claims (5)

  1. 표준 제품을 통해서 인증 대상 제품을 검증하는 시험장치;
    표준 제품이 위치하는 표준 지그;
    상기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시험장치에 사용될 복수의 상기 표준 지그가 적층 되되, 하나의 상기 표준 지그를 순차적으로 동일 위치에 노출시키는 공급 보관부; 및
    상기 노출된 표준 지그를 상기 시험장치에 이송하는 지그 이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이송부는
    상기 노출된 상기 표준 지그를 고정 및 분리하는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공급 보관부에서 시험장치로 이동시키는 브라켓 이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장치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를 적층시키는 완료 보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시험장치에 의해서 시험이 완료된 상기 표준 지그를 고정 및 분리하고,
    상기 브라켓 이송부는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시험장치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보관부는
    상기 지그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표준 지그가 분리되어 놓이는 완료 보관 지지부;
    상기 완료 보관 지지부를 상기 표준 지그의 두께만큼 하부로 이동시키는 보관 이동부;
    를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시험장치는
    상기 표준 지그를 인증 대상 제품 상부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 및
    상기 인증 대상 제품을 상기 표준 제품과 호환성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표준 지그 하부로 이동시키는 검사 준비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준 지그는 표준 제품 하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지그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 이동부는 상기 인증 대상 제품의 상부 면과 상기 표준 제품의 하부 면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 개방부와 연결되는 이동 개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료 보관부는 인증 대상 제품이 위치한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 보관부는 상기 완료 보관부의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브라켓 이송부는 상기 공급 보관부에서 상기 완료 보관부까지의 직선으로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KR1020200172143A 2020-12-10 2020-12-10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KR20220082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43A KR20220082335A (ko) 2020-12-10 2020-12-10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143A KR20220082335A (ko) 2020-12-10 2020-12-10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335A true KR20220082335A (ko) 2022-06-17

Family

ID=8226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143A KR20220082335A (ko) 2020-12-10 2020-12-10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23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328B2 (en)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20175334A1 (en) Overhead hoist transpor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0807604A (en) Test handler
TWI534440B (zh) Semiconductor component test sorting machine and test support method in the sorting machine
KR102153332B1 (ko)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CN101563620A (zh) 电子元件测试装置及电子元件的测试方法
CN102274828B (zh) 用于测试分选机的开放装置
KR20220082335A (ko)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KR100964956B1 (ko) 테이핑 장비
KR101199718B1 (ko) 발광 소자 검사 장치
US10447123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magnet into rotor iron core
KR102360923B1 (ko) 디바이스 고온 에이징 테스트 시스템
KR20040042549A (ko) 휴대폰의 자동 검사 공정 시스템
US20160185535A1 (en) Probe card loading apparatus and probe card man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384776B1 (ko) 멀티 프로버용 카트리지 얼라이너 장치
CN213470231U (zh) 汽车天线磁芯组装线
KR101915975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제품의 호환성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용 지그 세트
KR102655029B1 (ko) 검사 장치용 이송 기구,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대상물 검사 방법
KR102202074B1 (ko) 프로브 카드를 이용한 웨이퍼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218077B1 (ko) 로봇을 이용한 비접촉 통신 검사장치
KR102018821B1 (ko) X선회절 분석용 비정형 시편 고정장치
CN112091609A (zh) 汽车天线磁芯组装线
CN105789673A (zh) 检验叠置燃料电池堆的方法和利用该方法生产燃料电池堆的设备
CN105122608A (zh) 用于生产电动发电机的芯部件的生产线
JP3059158B1 (ja) ボールスプラインのガタ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