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524A -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524A
KR20220081524A KR1020200171080A KR20200171080A KR20220081524A KR 20220081524 A KR20220081524 A KR 20220081524A KR 1020200171080 A KR1020200171080 A KR 1020200171080A KR 20200171080 A KR20200171080 A KR 20200171080A KR 20220081524 A KR20220081524 A KR 2022008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
light emitting
wheel cap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133B1 (ko
Inventor
김한빛
Original Assignee
한국내쇼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내쇼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내쇼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B60B7/003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 B60B7/005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the surface being deco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B60B7/003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 B60B7/00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the surface being reflective or including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2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having an element mounted for rotation independently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퀴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어 발광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상기 본체유닛이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유닛에 전압을 제공하는 하중축전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휠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LED NON-ROTATING WHEEL CAP WITH IMPROVED LUMINOUS PERSISTENCE AND WHEEL CAP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동일한 세기로 발광하여 가시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바퀴 및 기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여 로고가 쉽게 눈에 띄게 할 수 있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바퀴 휠에 결합되는 휠캡은 제조사를 홍보하기 위해 제조사를 대표하는 로고를 부착하여 차량의 이동중에도 제조사를 홍보할 수 있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바퀴의 휠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에 따라 로고가 함께 회전되어 로고를 확인할 수 없어 홍보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비회전식 휠캡이 다방면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두운 공간이나, 주행 또는 정지상태에서도 바퀴의 휠에 결합되는 로고는 쉽게 눈에 띄지 않아 홍보 효과를 위해 부착한 휠캡의 효용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휠캡에 발광할 수 있는 LED를 부착하여 로고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한 휠캡의 모터로 인해 전력을 발생시켜 이용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가 일정한 속도 이상이 되지 않으면 LED가 동작하지 않아 효용이 없고, 차량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빛의 세기가 가변되어 오히려 가시성을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고속도로를 주행하지 않는 이상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주행하지 않아 LED가 동작하지 않거나, 고속도로나 터널 등에서는 차량에 속도에 따라 밝기가 지나치게 높아져 가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바퀴의 회전에도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어두운 공간, 주행 또는 정지상태에서도 제조사의 로고를 확실하게 홍보할 수 있도록 비회전식 휠캡을 눈에 띄게 만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차량의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동일한 세기로 발광하여 가시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바퀴 및 기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여 로고가 쉽게 눈에 띄게 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퀴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어 발광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상기 본체유닛이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유닛에 전압을 제공하는 하중축전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중축전유닛은, 상기 바퀴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발광유닛이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바퀴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지부는,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하중축전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하중축전유닛에 의해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중축전유닛이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차량의 바퀴 및 기어와 연동되어 발광되는 LED가 내장된 휠캡 시스템으로서, 앞서 상술한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가 내장된 비회전식 휠캡 및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바퀴의 상태로 상기 차량의 전진과 후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상태판단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진과 후진을 판단하여 전진과 후진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바퀴가 정지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전진 및 후진 상태와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기어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판단부는, 상기 기어가 전진, 후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발광유닛의 빛의 색상을 상기 상태판단부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발광유닛을 조절하는 방향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판단부는, 상기 핸들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진행방향상의 좌측과 우측의 상기 발광유닛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빛의 색상이 변경되는 제1 광원부, 상기 기어판단부에 의해 빛의 색상이 변경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동일한 세기로 발광하여 가시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바퀴 및 기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여 로고가 쉽게 눈에 띄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1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2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본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이격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상태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방향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기어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발광 세기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1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2 광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본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이격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퀴(W)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퀴(W)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본체유닛(100), 상기 본체유닛(100)에 결합되어 상기 바퀴(W) 및 기어(G)의 상태와 연동되어 발광되는 발광유닛(200),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부공간(S) 하부에서 상기 본체유닛(100)이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유닛(200)에 균일하게 전압을 제공하는 하중축전유닛(300) 및 상기 바퀴(W) 및 상기 기어(G)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100)은 상기 바퀴(W)의 중앙, 즉,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유닛(100)의 외측면에는 제조사가 홍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조자를 대표하는 로고(L)를 부착하고, 상기 로고(L)가 상기 바퀴(W)의 회전과 같이 회전되어 홍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바퀴(W)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퀴(W)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은 내부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바퀴(W)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케이스부(120) 및 ?레를 따라 상기 케이스부(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되고, 상기 바퀴(W)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는 유지부(140)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유닛(100)에는 상기 바퀴(W)와 결합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케이스부(120)의 후방에 고정링(F)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지부(140)에 부착되고, 홍보하기 위한 상기 로고(L), 상기 로고(L)가 외부 요인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120)에는 상기 유지부(140)의 중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유지부(140)가 삽입되는 결합홈(122), 상기 케이스부(120)가 상기 바퀴(W)의 회전축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12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결합부재(124), 상기 고정링(F)이 삽입되는 제1 홈(126), 상기 커버(C)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홈(12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홈(122)은 상기 유지부(140)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부(120)와 상기 유지부(140)의 중심축을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120)와 상기 유지부(140)가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24)는 상기 케이스부(120)가 상기 바퀴(W)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부(120)의 하부에서 상기 바퀴(W)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한 쌍 또는 두 쌍과 같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4)에는 상기 제1 홈(126)이 형성되어 상기 바퀴(W)에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고정링(F)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로고(L)가 외부의 요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커버(C)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C)의 둘레와 맞물리는 상기 제2 홈(128)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지부(140)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부(120)와 동심원을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140)에는 상기 발광유닛(200)에 항상 동일한 빛의 세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균일한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이 결합하도록 삽입홈(14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42)은 상기 유지부(140)의 중심축에서 편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120)의 둘레를 향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부공간(S) 둘레와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중심에서 편향되어 하부로 하중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142)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부(120)의 둘레를 향해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이 상기 케이스부(120)와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부(120)와 상기 유지부(140) 사이에는 상기 유지부(140)가 상기 케이스부(120)의 회전에 따라 과도한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유지부(14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어링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00)에 결합되어 상기 바퀴(W) 및 상기 기어(G)의 상태에 따라 발광되고, 차량(B)의 전진과 후진, 상기 기어(G)의 상태, 상기 차량(B)의 진행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나 밝기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둘레 상에 구비되거나 상기 로고(L)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유닛(200)은 상기 바퀴(W)의 상태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제1 광원부(220), 상기 기어(G)의 상태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제2 광원부(240)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상기 바퀴(W)의 회전 방향을 통해 상기 차량(B)의 전진과 후진에 따라 색상이 서로 다르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원부(240)는 상기 기어(G)가 중립, 진행, 전진, 후진 등의 상태에 따라 색상이 가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광원부(220) 및 상기 제2 광원부(240)는 상기 본체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은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140)가 상기 바퀴(W)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하부를 향해 지속적으로 하중을 가하기 위해 상기 본체유닛(100)의 중심축에서 편심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은 상기 바퀴(W)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전력 공급이 가변되지 않고, 항상 균일하게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발광유닛(200)이 동일한 밝기를 저속, 정지, 고속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42)이 상기 케이스부(120)의 둘레를 향해 일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지부(140)가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에 의해 하부로 치우치면서 상기 케이스부(120)와 가까워지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이 상기 케이스부(120)와 상기 유지부(140)를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와 b는 서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으며,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은 상기 유지부(140)의 둘레를 따라 상기 케이스부(120)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바퀴(W) 및 상기 기어(G)의 상태에 따라 상기 차량(B)의 진행방향과 진행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200)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400)은 상기 바퀴(W)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B)의 전진 및 후진을 판단하는 상태판단부(420), 상기 기어(G)의 상태를 판단하는 기어판단부(440), 상기 차량(B)의 좌회전 및 우회전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B)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방향판단부(4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상기 바퀴(W)의 회전방향을 통해 전진과 후진을 판단하며, 전진과 후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상기 발광유닛(200)을 발광시킬 수 있고, 상기 기어판단부(440)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광원부(220)의 색상을 전진과 후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광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상기 바퀴(W)의 회전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 즉, 상기 바퀴(W)가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B)의 전진과 후진 상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전진과 후진 상태에서 발광되는 상기 제1 광원부(220)의 색상을 전진과 후진 상태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차량(B)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G)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제어하여 발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태판단부(420)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혼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량(B)이 전진과 후진 상태로 상기 기어(G)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광원부(220)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제2 광원부(24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기어(G)의 위치가 중립, 1단, 2단, 3단, 저속 등과 같이 다양한 상태로 위치될 경우, 상기 제1 광원부(220)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판단부(460)는 상기 차량(B)의 진행방향으로 가상의 기준선이 있다고 가정할 때에 상기 바퀴(W)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따라서 좌회전과 우회전, 좌후진과 우후진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량(B)에 구비되는 좌측 바퀴(W1)와 우측 바퀴(W2)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B)이 좌회전상태인 경우, 상기 좌측 바퀴(W1)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유닛(200)은 발광시키고, 상기 우측 바퀴(W2)의 상기 발광유닛(200)은 발광시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상술한 구성을 및 기능을 바탕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상태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방향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기어판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의 발광 세기를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상기 차량(B)의 전진과 후진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바퀴(W)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220)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바퀴(W)의 회전이 상기 차량(B)의 전방을 향해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차량(B)이 전진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차량(B)의 전진 상태에서 초록색으로 점멸하는 것을 기 설정해두었다면,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상기 차량(B)의 전진 상태에 맞는 초록색으로 점멸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진행상태임을 판단하도록 점멸되도록 기 설정될 수 있으나, 상기 로고(L)의 홍보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점멸하지 않고, 발광상태가 유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B)의 후방을 향해서 상기 바퀴(W)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상기 차량(B)이 후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차량(B)의 후진 상태에서 붉은색으로 점멸하는 것을 기 설정해 두었다면,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상기 상태판단부(420)에 의해 상기 차량(B)의 후진 상태에 맞는 붉은색으로 점멸 또는 발광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광원부(220)와 상기 제2 광원부(240) 중에서 상기 제1 광원부(220)를 발광시켜 상기 차량(B)의 전진과 후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기어(G)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기어(G)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기어(G)의 상태가 전방과 후방으로 진행되는 주행 상태와 후진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광원부(220)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어 상기 차량(B)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것에 혼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광원부(220)가 발광되는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판단부(420)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진 상태에서 초록색, 후진 상태에서 붉은색으로 상기 제1 광원부(220)를 조절하도록 기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주행 상태에서 초록색, 후진 상태에서 붉은색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상태판단부(420)에서 상기 바퀴(W)의 회전만을 판단하여 상기 제1 광원부(220)를 조절하기 때문에 전진과 후진, 정지 상태의 3가지 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1단, 2단, 3단, 중립 등 더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 상기 기어(G)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상기 제1 광원부(220)와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B)이 전진 상태에서 2단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전진 상태에 맞는 색상으로 발광되며, 상기 제2 광원부(240)는 상기 기어(G)가 2단에 위치되었을 때의 색상으로 서로 다르게 발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B)을 바라보게 되었을 때에 상기 바퀴(W) 및 상기 기어(G)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220)와 상기 제2 광원부(240)가 서로 다르게 발광되기 때문에 보다 이목을 집중시키기 쉬우며, 상기 차량(B)의 상태를 외부에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원부(220)와 상기 제2 광원부(240)가 서로 순차적으로 상기 본체유닛(1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쉽게 상기 로고(L)와 상기 차량(B)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는 전진 상태로 상기 제1 광원부(220)는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되지만, 상기 제2 광원부(240)는 주행 상태에서 상기 기어(G)의 위치의 변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색상이 가변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로고(L)를 집중시킬 수 있고, 주행 상태에서도 상기 로고(L)에 눈이 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B)이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상기 차량(B)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방향판단부(460)는 상기 바퀴(W)가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된 각도를 판단하여 좌회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좌측 바퀴(W1)와 상기 우측 바퀴(W2)의 상기 발광유닛(200)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 바퀴(W1)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유닛(200)은 발광시키고, 상기 우측 바퀴(W2)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유닛(200)은 발광되지 않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 바퀴(W1)와 상기 우측 바퀴(W2)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향판단부(460)는 상기 좌측 바퀴(W1)와 상기 우측 바퀴(W2)의 점멸 상태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유닛(400)의 판단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유닛(400)이 상기 차량(B)에 시동이 걸리는 것으로 동작되기 시작하면, 상기 제어유닛(400)은 우선적으로 상기 차량(B)이 주행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상태판단부(420)를 통해 상기 바퀴(W)의 회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바퀴(W)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B)은 주행을 시작하기 이전 상태이거나 상기 차량(B)이 주행 도중 정지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이에 따라 상기 제1 광원부(220)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퀴(W)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상기 상태판단부(420)는 상기 차량(B)의 주행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B)이 전진하고 있는지 여부를 상기 바퀴(W)의 회전방향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차량(B)이 전진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어판단부(440)는 상기 기어(G)의 상태를 중립상태인지 판단하고, 중립상태일 경우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색상을 중립상태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광원부(220)는 전진 상태에 맞는 색상으로 조절되고, 상기 제2 광원부(240)는 중립상태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차량(B)이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어(G)가 중립 상태에서 벗어나 드라이브 상태 또는 1단, 2단, 3단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기어(G)는 전진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1 광원부(220)와 동일한 색상으로 상기 제2 광원부(240)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향판단부(4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전진 상태 혹은 우측 전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바퀴(W1) 또는 상기 우측 바퀴(W2)의 밝기를 다르게 하거나 점멸 상태를 다르게 하는 등 양측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차량(B)이 후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진 상태와 동일하게 상기 방향판단부(460)는 상기 차량(B)의 진행 방향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판단하여 앞서 개별적으로 조절했던 것과 동일하게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태판단부(420), 상기 기어판단부(440) 및 상기 방향판단부(460)를 통해서 상기 바퀴(W)의 상태 및 상기 기어(G)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200)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로고(L)의 홍보를 효과적으로 하면서 상기 차량(B)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B)에 구비되는 상기 바퀴(W) 및 상기 기어(G)의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B)의 기울기에 따라서 상기 제1 광원부(220)와 상기 제2 광원부(240)의 일부를 발광시킬 수도 있고, 상기 차량(B)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와 연동되어 상기 차량(B)이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별도로 제3 광원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브레이크의 상태에 부합하는 색상 또는 점멸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차량에 부착되는 LED는 상기 바퀴(W)의 회전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활용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를 기준으로 T1의 속도까지는 0의 밝기를 유지하다가 일정한 속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전력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상승하는 속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빛의 세기가 상승하다가 기준점인 T2이상의 속도가 되면 전력을 공급하는 효율이 떨어지면서 빛의 세기가 다시 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은 상기 하중축전유닛(300)을 통해 균일한 전압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바퀴(W)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 고속, 정지, 서행 등 다양한 차량의 주행상태에서도 동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가시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차량(B)에 부착되는 상기 로고(L)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져 보다 눈에 쉽게 띌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B: 차량
C: 커버
F: 고정링
G: 기어
L: 로고
S: 내부공간
W: 바퀴
100: 본체유닛
120: 케이스부
122: 결합홈
124: 결합부재
126: 제1 홈
128: 제2 홈
140: 유지부
142: 삽입홈
160: 베어링부
200: 발광유닛
220: 제1 광원부
240: 제2 광원부
300: 하중축전유닛
400: 제어유닛
420: 상태판단부
440: 기어판단부
460: 방향판단부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바퀴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어 발광되는 발광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상기 본체유닛이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유닛에 전압을 제공하는 하중축전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축전유닛은,
    상기 바퀴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발광유닛이 동일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바퀴의 회전에도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는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도록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하중축전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하중축전유닛에 의해 동일한 위상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중축전유닛이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6. 차량의 바퀴 및 기어와 연동되어 발광되는 LED가 내장된 휠캡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기어 및 상기 바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휠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바퀴의 상태로 상기 차량의 전진과 후진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상태판단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진과 후진을 판단하여 전진과 후진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부는,
    상기 바퀴가 정지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전진 및 후진 상태와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기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유닛이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하는 기어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판단부는,
    상기 기어가 전진, 후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발광유닛의 빛의 색상을 상기 상태판단부와 동일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핸들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발광유닛을 조절하는 방향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판단부는,
    상기 핸들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진행방향상의 좌측과 우측의 상기 발광유닛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빛의 색상이 변경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기어판단부에 의해 빛의 색상이 변경되는 제2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광원부와 상기 제2 광원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캡 시스템.
KR1020200171080A 2020-12-09 2020-12-09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KR10250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80A KR102508133B1 (ko) 2020-12-09 2020-12-09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80A KR102508133B1 (ko) 2020-12-09 2020-12-09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524A true KR20220081524A (ko) 2022-06-16
KR102508133B1 KR102508133B1 (ko) 2023-03-09

Family

ID=822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080A KR102508133B1 (ko) 2020-12-09 2020-12-09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333A (ja) * 2003-02-28 2004-09-24 Kazunao Kameyama 発光装置
KR20160001203U (ko) * 2014-10-02 2016-04-12 김보연 전,후진시 서로 다른 발광수단을 구비한 기차완구
KR20160090520A (ko) * 2015-01-22 2016-08-01 엄태용 Led 조명이 구비된 차륜 엠블럼 장치
KR20170071708A (ko) * 2015-12-16 2017-06-26 우진웅 위상유지수단이 구비된 휠캡
DE102016214881A1 (de) * 2016-08-10 2018-0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bdeck- oder Nabenkap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2333A (ja) * 2003-02-28 2004-09-24 Kazunao Kameyama 発光装置
KR20160001203U (ko) * 2014-10-02 2016-04-12 김보연 전,후진시 서로 다른 발광수단을 구비한 기차완구
KR20160090520A (ko) * 2015-01-22 2016-08-01 엄태용 Led 조명이 구비된 차륜 엠블럼 장치
KR20170071708A (ko) * 2015-12-16 2017-06-26 우진웅 위상유지수단이 구비된 휠캡
DE102016214881A1 (de) * 2016-08-10 2018-0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bdeck- oder Nabenka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133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2458B2 (en) Vehicular turning indicator
US10427601B2 (en) Working machine
JP6258906B2 (ja) 車両用車線変更警告灯具
JP2016172545A5 (ko)
KR20220081524A (ko) 발광 지속성이 향상된 led 비회전 휠캡 및 이를 이용한 휠캡 시스템
JP201919922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3025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urning on lamp linked with vehicle seat position
JP2010264014A (ja) 移動玩具
CN105987358A (zh) 用于驱动前照灯盖的装置
JP7115255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4396903B1 (ja) 表示装置
JP6992428B2 (ja) 車両用灯具
US10071781B2 (en) Inverted pendulum vehicle
JP2007008268A (ja) 運転者覚醒維持装置
CN1799902A (zh) 车辆指示灯系统
US20040008520A1 (en) Mobile illumination system for a golf course
KR20130022155A (ko)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쉴드 유닛
KR20190081919A (ko) 차량용 램프
WO2023199884A1 (ja) 車両用灯具
JP3952065B2 (ja) トラクタの前輪駆動制御装置
KR200388256Y1 (ko) 완구 자동차
KR200189632Y1 (ko) 다수의 전구를 갖는 일체형 전조등
US20060062008A1 (en) Dazzling lamp on air faucet of a wheel tire
JP6571722B2 (ja) 作業機
JP2019199232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