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909A -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909A
KR20220080909A KR1020200170190A KR20200170190A KR20220080909A KR 20220080909 A KR20220080909 A KR 20220080909A KR 1020200170190 A KR1020200170190 A KR 1020200170190A KR 20200170190 A KR20200170190 A KR 20200170190A KR 20220080909 A KR20220080909 A KR 2022008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composition
plugging
inhibiting
carboxylic acid
based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주
김미소
이호성
김민구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에스케이지오센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0909A/ko
Priority to EP21207384.5A priority patent/EP4012008A3/en
Priority to JP2021189629A priority patent/JP2022091127A/ja
Priority to CN202111475520.4A priority patent/CN114606036A/zh
Priority to US17/543,801 priority patent/US20220177803A1/en
Publication of KR2022008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6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6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 C10M129/2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29/3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 C10M129/40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8 or more carbon atoms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22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 C10M105/24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cycloaliphatic carbon atom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2Scale prevention in a polymerisation reactor or its auxiliary parts
    • C08F2/005Scale prevention in a polymerisation reactor or its auxiliary parts by addition of a scale inhibitor to the polymerisation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 condensation reaction being involved
    • C10M149/18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 condensation reaction being involved
    • C10M149/2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10M2203/1025Aliphat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1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seven or less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10M2207/126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monocarboxy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4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4Macromolecular compounds from nitrogen-containing mono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17/046Polyamines, i.e. macromolecular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more than eleven amine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4Detergent property or dispersant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오일 및 지방산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오일에 대해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에도 단일상을 형성하는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로서,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플러깅을 억제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을 이용한 플러깅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Lubricating composition for inhibiting plugging and method for inhibiting plugg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카르복실산 공중합체는 씰링재, 접착제, 패킹재, 광학 필름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공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에틸렌-카르복실산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공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산 계열 화합물을 연속 반응기를 통해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는데, 카르복실산 계열 화합물은 에틸렌에 비해 자체 중합반응성이 높아 유로, 펌프, 컴프레서 등을 통해 공급되는 과정에서 높은 온도에 노출될 때 자체 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 컴프레서, 유로 등의 상술한 장비의 클로깅, 유로차단 등의 장비 결함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중합체의 생산 수율이 저하되며 공정의 균일한 연속 및 반복 진행이 어려우며,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져, 작업자의 안전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자체 중합반응성이 높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들간의 자가중합을 억제하기 위한 첨가제들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량체들의 누출에 의한 상술한 장비의 클로깅, 파울링 등의 장비 결함이 여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자체 중합반응성이 높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들의 누출에 의한 장비 결함을 직접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업 수율을 향상시키고, 작업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3679호(2016.08.08.)
본 발명의 목적은 윤활 조성물 내에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누출됨에 따른 마찰계수의 증가에 따라, 단량체의 자가중합에 의한 파울링, 클로깅 등의 장비 결함을 억제할 수 있는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장비 결함을 차단하여, 공정 수율 및 작업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베이스 오일; 및 지방산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오일에 대해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 단일상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가 C15 내지 C30의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지방산은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유화제는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지방산 및 유화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40 내지 85 ℃범위의 온도에서 단일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유입되는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는 0.1 내지 5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의 구동 마찰계수가 0.3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있어,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55 ℃ 30 N 이상에서 토출부의 플러깅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방법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술한 윤활 조성물을 상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를 토출하는 토출부에 주입하고,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 중합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방법에 있어, 상기 토출부로의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의 주입 속도는 2 kg/hr 내지 50 kg/hr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방법에 있어, 상기 토출부 내 온도는 20 내지 85℃상기 토출부로부터의 토출 압력은 1,000 내지 3,000 bar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윤활 조성물 내에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누출됨에 따른 마찰계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혼화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윤활 조성물로의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마찰계수를 저감시키면서 특정 구역에서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누적 및 마찰력의 증가에 의한 자가중합의 가속화를 억제하여,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가중합을 억제 및 지연시켜, 플러깅, 파울링 등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 형성 공정에 적용되어, 윤활 조성물 내에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누출에 의해 불필요하거나, 유도하지 않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억제하여, 펌프, 컴프레서, 유로 등의 상술한 장비의 클로깅, 유로차단, 파울링, 플러깅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장비 결함을 감소시키고, 생산 공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 조성물의 플러깅 억제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은 마찰력 측정 장비의 디스크 및 볼의 실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트)아크릴산'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단량체를 주입하는 고압 펌프 내의 윤활유 상에 누출되는 단량체들에 의한 플러깅(plugging) 또는 파울링(fouling)을 억제하여, 고압 펌프 폐색 등의 장비 결함을 억제할 수 있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였다. 이에 따라, 베이스 오일, 지방산 또는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윤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공정 중에서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토출부로부터 누출되어 유입되는 경우에도 단일상을 형성하고, 마찰계수를 저감시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베이스 오일 및 지방산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오일에 대해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윤활 조성물 내로 유입시 단일상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오일은 윤활 조성물의 베이스 용제, 희석제 또는 매질(media)로서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중합 장비, 석유 화학 설비 등에서 사용되는 윤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일 예로는 미네랄 오일, 폴리알파올레핀(PAO),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에스테르,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부텐, 폴리에틸렌 글리콜, 방향족 에스테르, 힌다드 에스테르(hindered ester), 2염기성 에스테르, 파라핀계 광유 및 나프텐계 광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가 C15 내지 C30의 불포화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
미리스토렌산(Myristole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및 DHA(docosahexaenoic acid)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베이스 오일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지방산은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 내지 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에서, 윤활 조성물에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 유입되더라도, 상분리가 되지 않고, 단일상의 우수한 혼화성을 가지고,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에 따른 마찰계수의 증가를 저감시킴으로써, 특정 구역에 누출된 카르복실산계 단량체의 누적 및 고온 및 고압 조건에서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중합을 억제하여 플러깅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공지된 유화제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분자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 imide)기와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기를 가지는 양이온성 폴리머 및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polyisobutylene succinimide, PIBSI)기를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기와 포스포네이트기를 가지는 양이온성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Suez사의 Thermoflo 7049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기를 가지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로는, 바람직하게 Suez사의 Prochem 3F18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베이스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유화제는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5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베이스 오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유입 시, 상분리가 되지 않고, 에멀젼의 단일상을 형성하여 우수한 혼화성을 가지고,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에 따른 마찰계수의 증가를 저감시킴으로써, 특정 구역에 누출된 카르복실산계 단량체의 누적 및 고온 및 고압 조건에서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중합을 억제하여 플러깅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비 제한적인 일 실시예로서,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지방산 및 유화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지방산은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고, 유화제는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베이스 오일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유입시, 상분리가 되지 않고, 에멀젼의 단일상을 형성하여, 우수한 혼화성을 가지며, 특정 구역에 누출된 카르복실산계 단량체의 누적을 방지하여, 고온 및 고압 조건에서의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중합을 억제하여 플러깅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20 내지 85 ℃의 온도 범위에서 단일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50 ℃이상의 온도에서 단일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70 ℃이상의 온도에서 단일 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75 ℃ 이상의 온도에서 단일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단일상이라 함은, 상이 2개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고, 균질한 하나의 상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윤활 조성물의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아크릴산 단량체가 누출되어, 상분리가 되는 경우, 마찰에너지에 의하여 아크릴산 단량체가 자가 중합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이 발생하여, 플러깅, 파울링 등이 유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도 1(b)와 같이, 아크릴산 단량체가 누출되어도, 상분리가 되지 않고 연속적인 단일상을 형성하여, 고온 및 고압 조건의 공정 중에서의 장비 내의 특정 구역에서 폴리아크릴산(PAA)의 생성 및 축적을 억제하여, 플러깅, 파울링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누출되는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함량은, 실질적으로 공정 중에 누출되는 함량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윤활 조성물에 대하여, 0 중량% 초과일 수 있고, 0.01 내지 30 중량%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의 마찰계수가 0.36 미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0.3 미만, 더 구체적으로는 0.28 미만,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25 미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55 ℃, 볼/디스크 간 접지 하중 30 N 조건에서의 측정되는 구동 마찰 계수(MTM TEST) 0.4 미만인 것일 수 있고, 55 ℃, 50 내지 볼/디스크 간 접지 하중 60 N 조건에서의 구동 마찰 계수 (MTM TEST) 0.3 미만, 구체적으로는 0.28 이하, 더 구체적으로는 0.26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55 ℃ 30 N의 접지 하중 이상에서 토출부의 플러깅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고, 이때, 토출부는 후술하는 토출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고압 펌프, 실린더 등에 누출되는 카르복실산계열 단량체가 토출부 내에 윤활유 오일상과 혼합될 때 혼화 되지 못하고 분리된 상으로 존재할 때 펌프의 피스톤 및 패킹부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 0.3 이상의 마찰에 의한 자체 중합이 가속화됨으로써 막힘, 플러깅, 파울링 등의 문제점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오일, 지방산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플러깅 억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을 이용한 플러깅 억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 방법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상술한 윤활 조성물을 상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를 토출하는 토출부에 주입하고,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 중합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올레핀 및 카르복실산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올레핀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는 연쇄적인 중합 반응이 가능한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인 일 예로서,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일 수 있고, 본 발명의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토출부는 피스톤 및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토출 유로를 통해 공급된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는 피스톤의 패킹부 내부에서의 왕복운동을 통해 펌핑 또는 분출될 수 있다. 패킹부는 예를 들면, 부싱(bushing), 실린더 등과 같은 실링 부재일 수 있다.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패킹부의 피스톤 및 패킹부 사이의 갭(gap) 등에 누출되는 경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국부적으로 쌓이게 되고, 상기 갭에서 피스톤 및 패킹부의 마찰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자가 중합하여 폴리아크릴산(PAA)과 같은 자가 중합체가 형성됨에 따라 파울링, 플러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상술한 토출부에 주입됨으로써,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가 누출되어도, 혼화성이 우수하여, 단일상을 형성함으로써,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국부적 농도 향상 및 자체 중합을 억제하여, 플러깅 및 파울링 등을 억제한다.
이때, 상기 토출부로의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의 주입 속도는 2 내지 50 kg/hr인 것일 수 있고, 상기 토출부 내 온도는 20 내지 85 ℃상기 토출부로 부터의 토출 압력은 1,000 내지 3,000 bar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 형성 공정에서의 불필요하거나, 유도하지 않은 중합반응을 억제하여, 펌프, 컴프레서, 유로 등의 상술한 장비의 클로깅, 유로차단, 파울링, 플러깅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장비 결함을 감소시키고, 생산 공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MTM(Mini-Traction Machine) 시험
제조한 윤활 조성물에 대하여 아크릴산(Acryl acid, AA)(99% 순도, 시그마 알드리히사 제조)을 혼합하여, 샘플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아크릴산은 기존에 함유하고 있는 중합금지제를 증류를 통해 제거하여 중합금지제에 의한 자가중합 억제 요인의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제조된 샘플 용액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찰력 측정 장비(MTM(Mini-Traction Machine) 2)를 사용하여 디스크 및 볼을 회전시키면서 자가 중합체 발생여부를 관찰하였다. 초기온도 55℃에서 샘플 용액을 볼(ball)과 함께 결합된 주입구를 통해 디스크(disc) 내로 공급한 후, 디스크 및 볼을 함께 회전시키면서 샘플 용액과 접촉시켰다. 디스크 및 볼 사이의 로드(Load), 및 볼 및 디스크 사이의 회전 속도비(SRR: Slide Roll Ratio)를 변화시키면서 자가중합체 생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베이스 오일로 HYPERCOMP-1000(SK이노베이션 자체 제조) 67.9 g에 올레산(oleic acid) 2.1 g을 100 ml 용기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0 분 이상 혼합하여 올레산의 함량이 3 wt% 인 윤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베이스 오일 63.7 g에 올레산을 6.3 g으로 올레산 함량이 9 wt%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윤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베이스 오일로 HYPERCOMP-1000(SK이노베이션 자체 제조) 68.32g 에 유화제(Suez사의 Thermoflo 7049) 1.68 g을 100 ml 용기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0 분 이상 혼합하여 유화제의 함량이 2.4 wt% 인 윤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베이스 오일 64.82 g에, 유화제(Suez사의 Thermoflo 7049) 5.18 g으로 유화제 함량이 7.4 wt% 가 되도록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윤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베이스 오일로 HYPERCOMP-1000(SK이노베이션 자체 제조) 67.2g에 올레산(oleic acid) 2.1 g, 유화제(Suez사의 Thermoflo 7049) 0.7 g을 100 ml 용기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0분 이상 혼합하여 올레산 함량 3 wt%, 유화제의 함량이 1 wt% 인 윤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베이스 오일로 HYPERCOMP-1000(SK이노베이션 자체 제조)를 단독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윤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윤활 조성물의 온도 및 아크릴산의 함량에 따른 상분리 양상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윤활 조성물에 대하여 아크릴산을 30 g 혼합하여, 혼합물의 상분리 양상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윤활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아크릴산을 17.5 g을 혼합한 것을 각각 실시예 6 및 실시예 7로 하여, 혼합물의 상분리 양상을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윤활 조성물의 조성 (단위: g) 아크릴산
(단위: g)
상분리 양상
설명 Base오일 올레산 유화제 25℃ 60℃ 70℃
실시예 1 올레산3% 67.9 2.1 0 30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실시예 2 올레산9% 63.7 6.3 0 30 상분리 단일상 단일상
실시예 3 유화제2.5% 68.32 0 1.68 30 단일상 단일상 단일상
실시예 4 유화제7.4% 64.82 0 5.18 30 단일상 단일상 단일상
실시예 5 올레산3%+유화제 1% 67.2 2.1 0.7 30 단일상 단일상 단일상
실시예 6 올레산 3% 67.9 2.1 0 17.5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실시예 7 올레산 9% 63.7 6.3 0 17.5 상분리 단일상 단일상
비교예 1 X 70 0 0 30 상분리 상분리 상분리
[실험예 2] 윤활 조성물의 MTM 시험 평가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윤활 조성물에 대하여 MTM 시험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대조군은 아크릴산을 혼합하지 않고 베이스오일 Hypercomp1000(SK이노베이션 자체 제조)을 사용하였다.
구동 마찰 계수 (by MTM 시험)
55℃30N 55℃50N 55℃60N 55℃70N 55℃75N
실시예1 0.36 0.3/PAA생성 시험 불가
실시예2 0.31 0.28 0.28 0.24/PAA생성 시험 불가
실시예3 0.31 0.19 0.21 0.23 0.21
실시예4 0.31 0.27 0.26 0.22 0.18
실시예5 0.30 0.27 0.26 0.26/PAA생성 시험 불가
실시예6 0.29 0.26 0.25 0.25 0.24/PAA 생성
실시예7 0.22 0.13 0.12 0.12 0.11
비교예1 0.38 0.36/PAA생성 시험 불가
대조군 0.1 0.1 0.1 0.1 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아크릴산을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오일 단독으로 사용되는 대조군의 경우, 마찰계수가 0.1으로 유지되는 것에 반해,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경우, 마찰계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올레산 및/또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의 경우,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1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동일 온도에서도 하중이 더욱 크게 가해지는 가혹조건에서 마찰계수의 저감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아크릴산 함유량이 낮은 실시예 6과 7은 아크릴산 함량이 높은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하여, 마찰계수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윤활 조성물 내로 아크릴산이 유입되더라도, 마찰계수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아크릴산의 자가중합에 의한 플러깅 발생을 지역 및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유입되는 아크릴산의 함량이 적을 경우, 마찰계수가 더 낮아지고, 충분히 안정적인 혼화성을 가지게 되어 윤활성능이 대조군 수준으로 좋아지며 PAA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아크릴산과 베이스오일이 단일상으로 우수한 혼화성(miscibility)를 가지게 될 경우, 55℃30 N 이상의 조건에서 플러깅을 유발하는 아크릴산의 자체 중합물인 polyacrylic acide(PAA)의 생성되는 현상을 억제 및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 및 4와 같이 유화제에 의하여 에멀젼상의 단일상을 형성하는 경우 역시, polyacrylic acid(PAA)의 생성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표 2에서와 같이, 베이스 오일 상에 충분한 올레산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60 N까지의 가혹조건에서도 PAA의 생성이 없이 우수한 윤활작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4, 5의 경우, 75 N까지의 가혹조건에서도 PAA의 생성이 없이 우수한 윤활작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베이스 오일 단일 종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경우, 쉽게 PAA가 생성되며, 플러깅이 발생하여, MTM 시험의 측정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베이스 오일; 및
    지방산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오일에 대해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 단일상을 형성하는,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가 C15 내지 C30의 불포화 지방산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윤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지방산 및 유화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40 내지 85 ℃범위의 온도에서 단일상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에 유입되는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는 0.1 내지 50 중량%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유입시의 구동 마찰계수가 0.3 미만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은 55 ℃ 30 N 이상에서 토출부의 플러깅을 억제하는 것인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10.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윤활 조성물을 상기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를 토출하는 토출부에 주입하고, 카르복실산 계열 단량체의 자체 중합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러깅 억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로의 상기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의 주입 속도는 2 kg/hr 내지 50 kg/hr인, 플러깅 억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내 온도는 20 내지 85℃,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토출 압력은 1,000 내지 3,000 bar인, 플러깅 억제방법.
KR1020200170190A 2020-12-08 2020-12-08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KR20220080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190A KR20220080909A (ko) 2020-12-08 2020-12-08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EP21207384.5A EP4012008A3 (en) 2020-12-08 2021-11-10 Lubricating composition for inhibiting plugging and method of inhibiting plugging using the same
JP2021189629A JP2022091127A (ja) 2020-12-08 2021-11-22 プラッギング抑制用潤滑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ッギング抑制方法
CN202111475520.4A CN114606036A (zh) 2020-12-08 2021-12-06 用于抑制堵塞的润滑组合物和使用其抑制堵塞的方法
US17/543,801 US20220177803A1 (en) 2020-12-08 2021-12-07 Lubricating Composition for Inhibiting Plugging and Method of Inhibiting Pluggin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190A KR20220080909A (ko) 2020-12-08 2020-12-08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909A true KR20220080909A (ko) 2022-06-15

Family

ID=7859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190A KR20220080909A (ko) 2020-12-08 2020-12-08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77803A1 (ko)
EP (1) EP4012008A3 (ko)
JP (1) JP2022091127A (ko)
KR (1) KR20220080909A (ko)
CN (1) CN114606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679A (ko) 2013-12-03 2016-08-08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공정용 중합 억제제로서의 니트록사이드 하이드록실아민 및 페닐렌디아민 조합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4091T2 (de) * 1994-06-24 2006-02-09 Crompton Corp., Middlebury Schmieröl mit Schmierbedingungsabhängiger Wirkung
US5578557A (en) * 1996-04-01 1996-11-26 Lyondell Petrochemical Company Food grade compressor oil
WO2013093080A1 (en) * 2011-12-22 2013-06-27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Improvements relating to high pressure compressor lubrication
WO2016077512A2 (en) * 2014-11-13 2016-05-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Lubricant compositions for improved high pressure free-radical polymerizations
BR112019004837B1 (pt) * 2016-09-28 2022-12-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o para preparar um polímero à base de etileno
KR20210006634A (ko) * 2019-07-09 2021-01-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679A (ko) 2013-12-03 2016-08-08 에코랍 유에스에이 인코퍼레이티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공정용 중합 억제제로서의 니트록사이드 하이드록실아민 및 페닐렌디아민 조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91127A (ja) 2022-06-20
US20220177803A1 (en) 2022-06-09
EP4012008A2 (en) 2022-06-15
CN114606036A (zh) 2022-06-10
EP4012008A3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8026B (en) Method of preventing coloration of water-absorbing resin
JP6205404B2 (ja) 阻害剤を用いた高圧エチレン重合法
KR102502365B1 (ko) 개선된 고압 자유 라디칼 중합을 위한 윤활제 조성물
KR101930736B1 (ko) 높은 유속 및 순환율로 제조된 폴리아이소부틸렌
KR20220080909A (ko) 플러깅 억제용 윤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러깅 억제방법
WO2011148627A1 (ja) エステル化物の製造方法
KR20140106520A (ko) 프리라디컬 중합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에틸렌성불포화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방법
EP3763779B1 (en) Lubric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copolymer using the same
CN102203142A (zh) 氟烯烃聚合反应
JPS63186710A (ja) エ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法
US6653428B1 (en) Copolymers with amphiphilic sub-unit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JP7227898B2 (ja) フリーラジカル重合のための潤滑剤処理
JP2019522065A (ja) 改善された熱的特性および接着特性を有する接着剤配合物
KR20140086985A (ko) 낮은 희석제 함량 반응 매질로 제조된 폴리아이소부틸렌
KR101930735B1 (ko) 중간 범위 비닐리덴 함량, 고 점성 폴리아이소부틸렌 중합체
US20210261695A1 (en) Method of Producing Ethylene-Carboxylic Acid Compolymer
US6825289B2 (en) Method for producing chemical reactive substance and polycarboxylic acid produced thereby
EP2581421A1 (en) Additive
EP0364328B1 (fr) Dispersions d'halogénures de terres rares en milieu aqueux
KR20200096126A (ko) 에틸렌-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JPS6354410A (ja) フツ素含有ビニ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75012A (ja) 回転機器の軸封部分における重合防止方法